KR101870451B1 -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 - Google Patents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451B1
KR101870451B1 KR1020120081890A KR20120081890A KR101870451B1 KR 101870451 B1 KR101870451 B1 KR 101870451B1 KR 1020120081890 A KR1020120081890 A KR 1020120081890A KR 20120081890 A KR20120081890 A KR 20120081890A KR 101870451 B1 KR101870451 B1 KR 101870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strap
operating lever
base body
rel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071A (ko
Inventor
가포리오 루카
살베티 알베르토
Original Assignee
놀란그룹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놀란그룹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놀란그룹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3001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8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with means to facilitate removal, e.g. after an accid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0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Equipment therefor
    • A43C11/146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with adjustment means provided for on the strap, e.g. ratchet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 A44B11/223Buckle with fixed prong fixed on a movabl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1Strap tighteners
    • Y10T24/2192Buckle typ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 상기 베이스 본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트랩에서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위(11)와 체결하도록 커플링 부위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로 이루어진 스트랩의 결박 및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스트랩과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상기 래칫을 가역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칫와 상기 베이스 본체 사이에 삽입되는 제1 탄성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추가로 상기 제1 탄성 수단의 반대편을 가역적으로 억눌러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칫을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바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 작동 레바가 최소한 정해진 각진 구간을 위해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래칫 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회전하는 각진 구간에서 상기 래칫에 대해 상기 작동 레바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제2 탄성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A device for regulating and fastening a strap of protecting helmets}
본 발명은 스트랩 조정 및 결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제를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헬멧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턱 스트랩을 고정 및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사이클 분야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 헬멧은, 낙상하는 경우에 목에 부착되어 헬멧이 사용자의 머리에서 우발적으로 해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길이를 결박하고 조정하는 턱 스트랩(strap)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턱 스트랩은 일반적으로 헬멧의 한쪽 하부 선단에 강제 삽입되어 있고, 상기 헬멧의 다른 하부 선단에 결박 장치에 의해서 영속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턱 스트랩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결박 장치에 의해서 서로 강제 삽입 및 조정되어 그의 선단이 일체로 되어 있다.
특수하게 모터사이클 분야에 사용하는 안전 헬멧을 위해서 제조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면, 바퀴가 2개인 운송수단, 스노우모빌 그리고 의류 또는 개인적인 액세서리의 2개의 플랩(flaps)을 서로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으로 어떤 스트랩을 고정 및 조정하기 위한 것이라도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안전 헬멧에 이용할 수 있다.
1년여에 걸쳐, 헬멧의 턱 스트랩을 결박 및 조정하기 위해서, 수많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예를 들면, 스트랩의 적어도 한 부분에 삽입하기 위해 두 개의 링 안쪽에 리본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이것은 제조하기에 매우 간편하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시스템은 턱 스트랩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기를 원할 때, 미리 설정한 방식에 따라 두 개의 링을 통해서 스트랩을 통과시켜야 하기 때문에 매우 직관적이지 못하고, 사용이 복잡하다.
더욱이, 리본형 스트랩을 상기 두 개의 링을 통해서 삽입하면, 그의 자유 산단은 성가시게 하는 플래핑(flapping)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벨크로(Velcro) 부분 또는 유사한 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턱 스트랩 결박 장치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버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상보 부위에 삽입되어 있고, 함께 연결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장치의 비결박은 버튼의 작동을 통해서 달성되며, 이것은 상보 부위가 버클로부터 풀어지게 된다. 장치의 구조는 상기 두 위치를 이동 가능한 실질적으로 치형 돌기와 이에 일치하는 리세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턱 스트랩의 연결 위치와 해제 위치 간단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수행되어져야 하는 스트랩의 미세한 길이 조정을 허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대해 해당 케이싱 안쪽에서 래칫이 축회전하고 턱 스트랩 상에 제공된 치형 부위와 체결되기에 적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형을 갖고 있는 턱 스트랩을 조정 및 결박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래칫의 치형 부위와 스트랩의 체결은 먼저 래칫의 작동 없이는 상기 장치로부터 스트랩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스트랩이 상기 장치의 안쪽에 결박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동시에 이들 장치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래칫과 다른 체결 위치에 서 장치 케이싱 내부로 스트랩 치형의 슬라이딩을 통해서 턱 스트랩의 길이를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조정 타입은 이 기술분야에서 "마이크로미터식" 커플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턱 스트랩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사용자에게 높은 수준의 적합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에서, 상기 래칫은 스프링에 의해서 스트랩과의 체결 위치에서 항상 유지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머리에서 헬멧을 해제하기 위해 스트랩을 결박 장치로부터 분리하기를 원할 때, 그는 또는 그녀는 스트랩의 치형 부위가 있는 체결 위치로부터 래칫을 수동으로 멀리 보내는 행위를 하게 되며, 그래서 스트랩을 비결박 상태로 하고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실제로, 일부 단점이 발견되었다.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래칫이 장치의 본체 또는 케이싱로부터 돌출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은 우발적으로 이끌릴 수 있으며, 원하지 않게 턱 스트랩이 결박되어 있는 위치에서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래칫의 돌출부가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서, 즉, 모터사이클의 자켓의 일부분과 접촉 가능성이나 스트랩의 비결박을 유발하는 예상할 수 없는 사용자의 움직임과 같이 우발적인 상황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경우에는 돌출되지 않게 래칫의 치수를 줄이고 있고, 그가 또는 그녀가 턱 스트랩을 비결박상태로 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가 래칫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거기에 테이프를 강제 삽입하고 있다.
다른 장치에서는, 턱 스르랩의 결박 위치로부터 래칫의 해제를 장치의 케이싱에 대해 축회전하고 운동학적으로 상기 래칫에 연결되어 있는 추가 레버의 작동을 통해서 수행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 래칫과 접촉 위치에 있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스트랩과의 체결 위치에서 래칫이 스트랩으로부터 비결박상태가 될 수 있도록 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출원인이 EDC인 EP-A-0772983에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래칫은 상기 장치의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강제 삽입되어 있는 레바에 의해 턱 스트랩을 체결되지 않도록 회전시켜서 작동을 하고 있다.
EP-A-0772983에 기재한 장치에서 래칫의 직접적인 작동을 예방하는 레바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기 작동 레바와 래칫은 항상 접촉되어 있는 바, 이것은 스트랩의 비결박을 야기하는 레바의 우발적인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상기 레바는 비록 짧은 각진 구간이라고 할지라도 초기 회전시 래칫과 체결 표면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래칫 상에서의 효과는 없다.
더욱이, 상기 장치의 케이싱에 모두 제공되어 있는 래칫과 레바 사이의 연결은 얼마간의 제한된 허용오차가 수반되겠지만, 어떤 정확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것은 레바의 특별한 형상과 상당히 제한된 허용오차 때문에 EP-A-0772983에 기재한 장치는 생산하는데 복잡하고 그래서 값이 비싸다.
특히, 이러한 턱 스트랩의 결박 장치는 상기 래칫과 작동 레바 모두를 상기 장치에 강제 삽입할 수 있는 치수를 갖는 장치 본체를 제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한 치수의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트랩, 특히 안전 헬멧의 턱 스트랩을 결박 및 조정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치밀한 치수와 제한된 무게를 가지며, 우발적인 스트랩의 비결박과 해제 가능성을 낮추고 스트랩의 결박 및 조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스트랩의 결박 및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랩에 대한 결박 효능 및 스트랩의 길이 조정 가능성을 감소시킴이 없이 제작 및 사용이 간단한 스트랩의 결박 및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및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의 결박 및 조정 장치에 의해서 달성되며, 이러한 장치는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의 베이스 본체 또는 케이싱, 그리고 베이스 본체에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구속되어 있고 스트랩의 적어도 하나의 해당 부위와 체결하기에 적합한 커플링 부위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스트랩과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래칫을 가역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래칫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제1 탄성 수단과, 상기 제1 탄성 수단의 반대편을 가역적으로 압도하고, 상기 래칫을 스트랩과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로 래칫을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바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작동 레바가 적어도 주어진 각진 구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작동 레바가 래칫에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각도 간격 내에서 래칫에 대해 작동 레바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랫치에 대해 작동 레바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탄성 수단은 비변형 상태, 또는 출발시 그의 조건은 랫치와의 접촉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휴면 위치에서 작동 레바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작동 레바를 직접 상기 래칫에 구속하는 것에 의해, 장치의 전체 크기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구조는 이미 특별한 방법으로 래칫과 레바의 체결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래칫 상에 레바를 설치하기 위하여 극히 제한된 오차 범위도 요구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의 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래칫에 대한 작동 레바의 각도 간격은 최소한 래칫과 작동 레바의 접촉 위치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래칫에 대한 작동 레바의 회전은 방해를 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레바와 래칫 간의 접촉 위치는 레칫에 대한 작동 레바의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선단에 도달되어진다. 이 방법에서, 상기 작동 레바는 베이스 본체에 대한 래칫의 초기 회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주어진 각진 구간에서 래칫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래칫이 앞에서 언급한 접촉 위치에 도달할 때 작동 레바의 추가 회전은 래칫의 통합 회전을 일으킨다.
장치의 베이스 본체와 관련하여 회전을 일으키도록 래칫과의 접촉 위치로 들어오기 전에 래칫에 비례해서 작동 레바를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은 래칫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제의 발생 가능성을 상당히 감소시키게 된다.
실제로, 래칫을 들어 올리기 위하여 그리고 래칫을 스트랩으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바를 래칫과의 접촉 위치에 도달되게 해야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에는 또한, 래칫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제1탄성 수단이 제공되어 있으며, 스트랩과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래칫을 가역적으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상기 제1 탄성수단은 스트랩과 체결 위치에서 래칫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예하중(preloaded)을 갖고 있고, 스트랩과의 체결 위치로부터 스트랩의 해제 위치로 베이스 본체에 대해 래칫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게 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각도 간격 내에서 래칫에 대한 작동 레바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2 탄성 수단이 제공되어 있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래칫과의 접촉 위치와는 일치하지 않고 적어도 휴면 위치에서 작동 레바를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예하중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스프링의 예하중은 베이스 본체에 대한 래칫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래칫에 대한 작동 레바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필요한 스프링의 최대 하중 보다 크다.
달리 말하면, 베이스 본체에 대해 래칫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데 적합한 스프링과 래칫에 대해 작동 레바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데 적합한 스프링의 탄성 응답 특성은 서로 다르다. 특히 베이스 본체에 대해 래칫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스프링에 적용하는 하중은 래치에 대해 작동 레바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스프링에 적용하는 하중 보다는 크다.
이 방법에서, 작동 레바는 레칫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작동 레바와 래칫 간의 접촉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베이스 본체에 대해 래치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이러한 정렬의 결과로, 사용자가 장치로부터 스트랩을 풀어서 스트랩을 결박하고 싶지 않을 때, 그는 또는 그녀는 래치에 대해 작동 레바를 작동시켜서 회전을 일으킨다.
래칫에서 작용하는 스프링의 예하중 때문에 래칫에 대한 작동 레바의 회전시 래칫은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에 대해서는 회전하지 않고 스트랩과의 체결 위치에서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작동 레바가 래칫과의 접촉 위치에 도달한 이후에만, 래칫은 작동 레바와 접촉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이것은 베이스 본체에 대해 회전을 하게 되어 스트랩과의 체결 위치를 떠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장치로부터 자유롭게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헬멧의 스트랩의 결박 및 조정장치는 작동 레바와 래칫의 접촉 위치에 도달할 필요성으로 결박 장치의 안전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으며, 실제로 래칫의 우발적인 회전 가능성과 그로 인한 스트랩으로부터의 해제 현상은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스트랩이 결박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베이스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작동 레바가 래칫과의 접촉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래칫이 스트랩으로부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7은 헬멧의 외관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리본형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트랩(10),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머리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안전 헬멧에 사용되는 턱 스트랩을 결박 및 조정하기 위한 장치(1)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이하에서 기재할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모터사이클과 자동차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같은 안전 헬멧은 그의 외관을 보통 폴리카보네이트와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와 복합 재질로 형성하고 있고, 그 안에 충격 흡수 재질층(예를 들면, EPS)을 삽입하여 낙상하는 경우와 일반적으로 지표면, 물체 등과 충돌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충격 흡수 재질층은 보호층이라고 불리우며, 그 아래에는 캡이나 내부 패딩층(padding)이라고 불리우는 "쾌적층"의 안감이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와 보호층, 즉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층 간의 접촉을 직접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도 1의 사시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10)을 결박 및 조정하기 위한 장치(1)는 스트랩(1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된 베이스 본체(2)와 베이스 본체(2)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속되어 있고 스트랩(10)의 적어도 하나의 해당 부위(11)와 체결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도록 커플링 부위(4)가 제공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ratchet)(3)로 이루어져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측면 부위와 또한 임의로 헬멧의 하부 후방 부위에 구속되는 두 개의 리본형 부분(50,51)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1)에 의해서 연결 및 서로 결박되어 있는 턱 스트랩을 결박 및 조정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장치(1)에 의해 서로 구속된 스트랩의 두 부분은 다른 사용자에 적합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보통 리본형 으로서 스트랩의 두 끝 부분 중 하나에 구속되어 있다.
첨부한 도 1 내지 6은 리본형 부위(51)에 구속되는 스트랩(10)의 일부만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스트랩(10)은 상기 장치(1)에 의해 결박 및 조정되어지며, 상기 장치 내부에 삽입되어지고, 래칫(3)의 커플링 부위(4)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본체(2)에 구속되는 턱 스트랩의 제1 리본형 부위(50)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스트랩(10)은 상기 장치의 내부에서 결박될 수 있게 래칫(3)의 해당 커플링 부위(4)와 체결 위치로서 적합한 부위(11)가 제공되어 있다.
스트랩(10)은 또한 리본형 부위(51)와 헬멧에 구속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바, 예를 들어 리본형 부위(51)가 삽입될 수 있는 적당한 브라켓(52)에 의해서 그 안에서 만들어진 홀(12)을 통과하는 리벳(또는 다른 유사한 잘 알려진 수단)에 의해서 스트랩(10)에 연결되어 있는 리본형 부위(51)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본형 부위(51)는 연결 플레이트(53)와 임의의 풀 탭(54)에 제공되어 있는 홀을 통과하는 잘 알려진 수단, 예를 들어 리벳에 의해서 헬멧의 외관에 구속되어 있다.
자연적으로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장치의 스트랩(10)과 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턱 스트랩의 일부를 연결하는 다른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와 도 6의 구현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2)는 하부면(2.3)에서 개구부(2.1)을 포함하고 있는 바, 이것은 헬멧에 구속시키고자 하는 턱 스트랩의 다른 쪽 선단을 이용하여 헬멧에 상기 장치를 구속시키는데 사용한다. 특히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1)는 리본형 부위(50)의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스트랩의 고정을 허용하고 연결 플레이트(53)와 임의의 풀 탭(54)에 제공된 홀을 통해서 잘 알려진 수단, 예를 들어 리벳으로 헬멧의 외관과 헬멧의 외관의 반대편 측면 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부위에 스트랩의 리본형 부위(51)와 상기 장치(1) 내부에 삽입하고자 하는 부위(11)가 연결되어 있고, 구속되어있다.
자연적으로,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턱 스트랩의 일부를 연결하는 다른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래칫(3)의 커플링 부위(4)는 장치 내부로 스트립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고, 이 장치의 내부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스트랩을 결박할 수 있는 어떤 수단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시에 스트랩(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래칫(3) 없이는 장치로부터 스트랩의 분리가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레칫(3)의 커플링 부위(4)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 부위로 이루어진 스트랩의 부위(11)를 체결하기 위해 역시 치형 부위를 포함하고 있다.
치형 부위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 부위가 적어도 하나의 치형 돌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것은 스트랩과 래칫 간의 체결 위치에서 래칫의 치형 표면에 배열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 돌기와 상호 작용을 하기에 적합한 것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 래칫(3)은 스트랩(10)의 치형 부위(11)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1.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 돌기(11.1)와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치형 돌기(4.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2)를 가지는 커플링 부위(4)를 포함하고 있다.
첨부하는 도면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래칫(3)은 그의 하부에 2개의 치형 돌기(4.1)와 리세스(4.2)를 가지는 치형 부위(4)가 제공되어 있다.
스트랩(10)의 치형 부위(11)에는 대신에 리세스(11.2)가 서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치형 돌기(11.1)가 제공되어 있다.
이 구현예는 특별한 참고를 위한 것으로, 래칫의 커플링 부위(4)는, 역시 치형 부위를 갖는, 스트랩(10)의 해당 부위(11)와 체결하기에 적합한 치형 부위를 포함하고 있으며, 래칫의 커플링 부위와의 체결 위치에 도달해서 스트랩을 결박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래칫(3)의 커플링 부위(4)는 스트랩(10)의 해당 부위(11)를 가압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결박도 방지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상기 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측단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은 스트랩과 체결 위치에 있으며, 래칫(3)의 치형 부위(4)의 치형 돌기(4.1)는 스트랩(10)의 치형 부위(11)와 체결 위치에 있다. 특히 스트랩(10)의 치형 돌기(11.1)와 공간을 두고 리세스(11.2)의 안쪽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스트랩(10) 부위(11)의 치형 돌기(11.1)는 래칫(3)의 커플링 부위(4)의 치형 돌기(4.1)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리세스(4.1) 안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3)과 스트랩(11)의 치형 부위에 각각 속해있는 치형 돌기(4.1, 11.1)는 각각 경사면과 직각 표면을 갖고 있으며 "톱니" 구조와 같다.
첨부 도면에서와 같이, 래칫(3)과 치형 부위(11) 각각의 치형 돌기(4.1, 11.1)는 에지가 예리하지 않지만, 상기 장치의 내부에 삽입될 때 스트랩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EP-A-0772983에서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둥근 외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스트랩(1)을 상기 장치의 본체(2) 내부로 삽입할 때, 래칫(3)의 치형 돌기(4.1)와 스트랩(11.1)의 치형 돌기(11.1)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하여 치형 돌기(4.1)와 치형 돌기(11.1)의 이들 경사면에서 슬라이딩이 일어나게 되지만, 래칫(3)의 치형 돌기(4.1)와 스트랩(10)의 치형 돌기의 각진 표면에 의해서는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로부터 스트랩(10)의 분리는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래칫의 치형의 커플링 부위(4)가 스트랩(10)의 부위에 제공되어 있는 복수의 치형 돌기 및/또는 리세스에 도달할 수 있는 체결 위치가 다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랩의 길이의 미세 조정(또는 마이크로 조정)이 가능하다.
특히, 치형 돌기의 기하학적인 단면 구조는 구조적인 필요성에 따라 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통해서, 스트랩과 래칫 간의 커플링의 조정과 장치의 인장 강도, 예를 들어 장치로부터 스트랩의 인출 저항의 수행의 조정이 가능하다.
래칫(3)은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회전 가능한 방식, 스트랩(10)과의 체결 위치와 그로부터의 해제의 위치에 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속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구현예에 따르면, 래칫(3)은 베이스 본체 내부를 통과하는 회전축(30)에 의해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 상에서 축회전 된다. 회전축(3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두 개의 홀(31,32)을 통해서 리벳에 의해서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구속되고, 베이스 본체(2)의 두 개의 측벽(2.2)에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다. 핀(30)은 래칫(3)을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본체(2)에 구속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래칫(3)은 상기 장치(1)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해 회전축(30)으로 구성되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30)은 홀(3.2)에 의해 래칫(3)의 베이스 본체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장치는 스트랩(10)과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가역적으로 래칫(3)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래칫(3)과 베이스 본체(2)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제1 탄성 수단(20)을 포함하고 있다. 이 위치는 도 3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수단(20)은 또한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특히 스트랩(10)과의 체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향하는 래칫(3)의 이동에 대한 반발성을 발휘한다(이러한 후자의 위치는 도 5의 단면도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의 제1탄성 수단(20)은 예하중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트랩(10)과의 체결 위치에서 래칫(3)을 유지시켜 주게 되며, 스트랩과의 체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운동의 조정을 허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스트랩(10)과의 체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로, 제1탄성 수단, 특히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정하는 스프링의 저항을 가역적으로 압도하여 래칫(3)을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 레바(5)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 레바(5)는 주어진 최소한의 각진 구간에서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래칫(3)에 구속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도 3 내지 5의 단면도에서 특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레바(5)는 환형 시트(5.2)를 통해서 그의 내부를 관통하는 핀(33)에 의해서 래칫(3) 상에서 축회전되며, 상기 핀(33)은 널링(knurling)과 상호간섭(interference)에 의해 래칫(3)이 제공되어 있는 특수한 시트(3.3)에 구속되어 있다.
작동 레바(5)의 회전은 작동 레바(5)와 래칫(3)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위치로 이루어진 각진 구간에서 일어나며,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은 방해를 받는다.
바람직하게, 도 4의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레바(5)와 래칫(3) 사이의 접촉 부위는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의 최소한 끝이 도달하게 된다.
작동 레바(5)와 래칫(3) 사이의 접촉 위치에서, 도면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작동 레바(5)의 상부 표면(5.1)은 래칫(3)에 제공되어 있는 내부의 가로 놓인 표면(3.1)과 접촉하려고 들어온다. 이어서 작동 레바(5)의 상부 표면(5.1)과 래칫(3)의 내부의 가로 놓인 표면(3.1)과의 접촉이 이루어지고, 래칫(3)에 대한 레바(4)의 추가 회전은 방지되며, 접촉 위치는 래칫(3)에 대한 레바(5)의 각진 내부 회전의 한쪽 끝을 구성한다.
자연스럽게 레바(5)와 래칫(3) 사이의 접촉 위치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지만, 이 위치에서 레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은 허용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장치는 또한, 각진 회전(자유) 구간에서의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제2탄성 수단(21)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은 스프링으로서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예하중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 변형되지 않은 조건하에서, 스프링(21)은 작동 레바(5)를, 래칫(3)과 접촉 위치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최소한 휴면 위치에서 유지시키는데 적합하다.
작동 레바(5)의 휴면 위치는 스프링(21)에 의해서 예하중에 의해서 부여된 것으로 도 3에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의 본체(2)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는 방식이며 작동 레바가 하부 위치(아래로 내려와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구현예에서, 그리고 도 3과 4를 비교하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레바의 각도 간격은 레바(5)와 래칫(3)의 접촉 위치와 이 레바(5)의 휴면 위치, 즉 아래로 내려와 있는 위치 사이이다. 이러한 휴면 위치에서 래칫과의 접촉 위치까지의 래칫에 대한 작동 레바(5)의 각도 간격은 60°와 90°사이의 크기을 갖는다. 비록 바람직한 각도는 약 85°의 크기을 갖는 것이다.
접촉 위치에 도달한 후에, 추가로 사용자에 의해서 전해진 회전은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완전한 회전을 일으킨다.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랩(10)과의 체결 위치로부터 스트랩(10)의 해제 위치(도 5에서 볼 수 있음)로의 이동을 일으킨다. 여기서 래칫(3)의 커플링 부위(4)와 스트랩(10)의 해당 부위(11)는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장치로부터 스트랩(10)은 화살표 O 방향으로 자유롭게 분리될 것이다.
제1 탄성 수단(20)은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며,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 제2 탄성 수단(21) 보다 큰 회전 저항성을 발휘한다.
더 상세하게,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스프링(20)의 예하중은 래칫에 대한 작동 레바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스프링(21)의 최대 하중 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운동과 래치(3)에 대한 작동 레바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에 적합한 스프링(20,21) 각각의 탄성 응답 특성은 다르다. 특히, 특히 베이스 본체(2)에 대해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20)에 적용하는 하중은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21)에 적용하는 하중 보다 크다.
이 방법에서, 작동 레바(5)는 레칫(3)에 대해 회전할 수 있으며, 작동 레바(5)와 래칫(3) 사이에 있는 접촉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치(3)의 회전은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래칫(3)에 대해 초기에 자유스럽게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작동 레바를 처음에 조작시킬 필요가 있고 작동 레바(5)와 래칫(3) 사이의 접촉 위치에 도달한 후에 래칫(3)의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상기 장치(1)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레바(5)와 래칫(3)의 완전한 회전에 의해서 스트랩(10)으로부터 해제를 일으키게 되므로 상기 장치가 원하지 않고 우발적인 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본체(2)는 또한,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을 제한하는 대항 수단(6)이 제공되어 있다. 도 2의 사시도에 나타낸 구현예에 따르면, 대항 수단(6)은 베이스 본체(2)의 측벽면(2.2)으로부터 내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대항 수단(6)은 래칫(3)의 외부 측면 상에 형성된 시트에 수용되어 있다.
스트랩(10)이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 안쪽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래칫(3)의 회전에 대항하기 위한 수단(6)은 베이스 본체(2)의 내부 베이스면(2.3)과 접촉할 때까지, 래칫과 거기에 구속되어 있는 작동 레바(5)가 스프링(20) 때문에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대항 수단(6)은 상기 장치로부터 스트랩(10)을 분리하기를 원할 때 래칫(3)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게 되며,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레칫(3)이 작동 레바와 접촉한 후에 스트랩(10)과의 해제 위치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래칫(3)의 과도한 회전은 이와 같이 스프링의 스트레싱을 일으키므로 방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즉, 스트랩과의 체결 위치에서 스트랩과의 해제 위치로의 회전은 5°내지 15°의 크기 범위를 가지며, 특히 이 각도는 약 11°의 크기이 바람직하다.
자연스럽게,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 각도, 그리고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5)의 회전 각도는 여기서 기재한 것과 다른 크기을 갖고 있다. 이 각도는 스트랩이 해제되어 있는 편안함과 같이 상기 장치의 기술적-기능적인 특성에 영향을 주며, 인장 강도는 스트랩의 결박시에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의 구조 및 크기는 간편하고 효과가 있는 수동 조작을 위해 인체공학에 맞게 설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재한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 장치의 특별한 구현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박 및 조정 장치를 사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특히 모터사이클용 안전 헬멧을 착용할 때, 최근의 규정상 턱 스트랩을 실질적으로 목, 어떤 경우에는 사용자의 턱 아래의 얼굴 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길이로 결박 및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10)을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 안으로 삽입하고 래칫(3)의 커플링 부위(4)는 스트랩(10)의 부위(11)와의 체결 위치로 들어간다.
상세하게, 도면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특히 래칫이 스트랩(10)과 체결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 도 3의 단면도에서, 치형 돌기로 되어 있는 래칫(3)의 커플링 부위(4)가 역시 치형 돌기로 되어 있는 스트랩(10)의 해당 부위(11)와 상호 작용을 한다.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래칫(3)의 치형 구조와 스트랩(10)의 치형 구조는, 레칫을 들어올려서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스트랩(10)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에 도달하게 되지 않는 한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로부터 래칫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래칫(3)과 스트랩(10)에 모두 치형 부위가 존재하는 것은 사용자를 위해서 턱 스트랩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상기 장치의 본체 내부로 스트랩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래칫은 다른 체결 위치에 도달하여 길이의 "마이크로미터식" 조정을 얻게 된다.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의 본체 내부로 스트랩(10)의 삽입과 스트랩의 치형 부위(11)와의 연속적인 체결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베이스 본체에 대한 래치(3)의 일시적인 회전에 의해서 달성된다.
다시 말해서, 스트랩의 삽입 도중에, 스트랩(10)과 체결되는 하부 위치에서 래칫(3)을 유지하고 있는 스프링(20)의 작용을 압도하여 래칫(3)이 일시적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러한 조작은 작동 레바(5)와 래칫(3) 간의 상대적인 회전 없이 레바(6)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장치의 본체 내부로의 점진적인 삽입에 의해 스트랩의 길이를 조정한 후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3)의 커플링 부위(4)가 스트랩(10)의 부위(11)와 체결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위치에서 스트랩의 분리는 래칫에 의해서 방해를 받게 되며, 특별한 경우 스트랩(10)과 래칫(3)의 치형 구조와 같은 기하학적인 구조 때문에, 래칫이 스트랩(10)에서 해제 위치에 도달해서 들어올려야만 가능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장치는 특별히 뻑뻑하다. 그 이유는 작동 레바(5)가 레칫 상에 직접적으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작동 레바는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서 휴면 위치에서 유지하고 있다. 이 스프링(2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부위에서 작동 레바(5)를 유지하고 있으며 레바가 우발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장치의 본체(2)는 스트랩(10)의 치형 부위(11)가 삽입되기에 용이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장치의 본체(2) 측벽면(2.2)의 아래는,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의 본체(2) 내부 및 그로부터 스트랩(10)의 삽입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같은 것을 형성하는 식으로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본체(2), 래칫(3), 작동 레바(5) 및 모든 구성 부품의 모든 가장자리는 특히 사용자의 옷가지와의 우발적인 걸림을 방지할 수 있게 라운드처리 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스트랩(10)을 비결박하고 그리고 상기 장치로부터 분리하기를 원할 때, 사용자들은 수동으로 작동 레바를 그것이 구속되어 있는 래칫에 대해 회전축(3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사용자는 휴면 위치에서 작동 레바(5)를 유지하고 있는 스프링(21)의 예하중를 압도하게 된다. 작동 레바(5)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3)과의 접촉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작동 레바(5)는 그의 상부 표면(5.1)이 래칫(3) 내부의 가로 놓인 표면(3.1)과 접촉에 의해 회전에 방해를 받게 된다.
작동 레바(5)의 하부 부위는 상기 장치의 개방시 및 작동 레바(5)의 회전시 슬리핑을 방지하게 사용자의 손가락에 위한 단단한 그립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상승된 부위 및/또는 쐐기형 부품으로 제공하게 된다.
더욱이, 래칫(3)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으로 만들며,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의 정면 부위에 2개의 측면 노치(3.4)를 갖고 있다. 이것은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 내부에 래칫(3)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본체(2)의 측면의 내부 벽면에 대항 수단(6)의 존재하면 복잡해 질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촉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은 사용자에 의해서 전해진 것으로 상기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레칫(3)의 회전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래칫(3)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래칫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20)의 예하중은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5)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필요한 스프링(21)의 최대 하중 보다 크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20,21)의 탄성 특성은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20)에 적용하는 하중이 래칫(3)에 대한 작동 레바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21)에 적용하는 하중 보다 크다.
결론적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 레바(5)와 래칫(3) 간의 접촉 부위에 도달한 후에만 사용자는 레버(5)의 회전 동작을 계속할 수 있으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장치의 베이스 본체(2)에 대한 래칫(3)의 회전을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스트랩(10)과의 체결 위치(도 3)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해제 위치로 랫치(3)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명백한 것은, 래칫(3)의 커플링 부위(4)가 스트랩(10)의 해당 부위(11)와 체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스트랩이 장치로부터 도 5의 화살표 O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다.
작동 레바(5)와 래칫(3)의 접촉 위치에 도달할 필요가 있는 것은 결박 장치의 안전을 상당히 개선시키게 된다. 실제로 래칫(3)의 우발적인 회전 가능성과 그로 인한 스트랩으로부터의 해제 현상은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1 : 결박 및 조정장치
2 : 베이스 본체
2.2 : 측벽
3 : 래칫
4 : 커플링 부위
5: 작동 레바
6 : 대항 수단
10 : 스트랩
20,21 : 스프링
30 : 회전축

Claims (17)

  1.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는,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본체(2),
    상기 베이스 본체(2)에 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 부위(11)와 체결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위(4)가 제공되어 있는 제1 핀(30) 주위에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래칫(3),
    상기 스트랩과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서 상기 래칫(3)을 가역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래칫(3)과 상기 베이스 본체(2)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제1탄성 수단(20), 및
    상기 제1탄성 수단(20)의 저항력을 가역적으로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랩(10)과 체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부터 상기 스트랩으로부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래칫(3)을 회전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레바(5)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레바(5)는 적어도 하나의 주어진 각도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칫(3)에 구속되고, 그리고 상기 작동 레바(5)가 작동 레바(5)의 내부를 관통하여 랫치(3)에 제공된 시트(3.3)에 구속되는 제2 핀(33)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3)에 대한 상기 작동 레바(5)의 각도 간격은 상기 랫치(3)과 상기 작동 레바(5)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칫에 대한 상기 작동 레바의 회전은 상기 접촉 위치에서 방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바(5)와 상기 래칫(3) 간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위치는 상기 래칫에 대해 상기 작동 레바의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3)은 상기 래칫에 대한 상기 작동 레바의 회전 각도 간격의 접촉 위치에서, 상기 작동 레바(5)의 적어도 하나의 상부 표면(5.1)과 체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의 가로 놓인 표면(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수단(20)은 상기 스트랩(10)과 체결 위치에서 상기 래칫(3)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예하중 제1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과의 최소한의 체결 위치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하나의 해제 위치로 상기 베이스 본체(2)에 대해 상기 래칫(3)의 회전이 스프링에 의해 조절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 각도 간격에서 상기 래칫(3)에 대해 상기 작동 레바(5)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탄성 수단(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3)에 대한 상기 작동 레바(5)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2 탄성 수단(21)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비변형 조건에서 상기 래칫(3)에 대해 상기 작동 레바(5)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제2 탄성 수단(21)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프링은 상기 래칫과의 접촉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휴면 위치에서 상기 작동 레바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9.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2)에 대해 상기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1 탄성 수단(2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프링 및 상기 래칫(3)에 대해 상기 작동 레바(5)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탄성 수단(21)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프링의 탄성 특성은 다르고, 상기 베이스 본체(2)에 대해 상기 래칫(3)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1 탄성 수단(2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프링에 적용하는 하중이 상기 래칫(3)에 대해 상기 작동 레바(5)의 회전 운동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2 탄성 수단(21)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프링에 적용하는 하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베이스 본체(2)에 대해 상기 래칫(3)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대항 수단(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면 위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래칫과의 접촉 위치까지의 상기 래칫(3)에 대란 상기 작동 레바(5)의 회전 각도 간격은 60°와 90°사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트랩(10)과의 체결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트랩의 해제 위치까지의 상기 베이스 본체(2)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래칫(3)의 회전 각도는 5°와 15°사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위(4)는 치형 부위로 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10)은 상기 래칫의 치형 형상의 커플링 부위와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치형 부위(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치형 부위(4)는 상기 스트랩(10)의 적어도 하나의 치형 부위(11)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리세스(11.2) 또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치형 돌기(11.1)와 체결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치형 돌기(4.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3)과 상기 스트랩(10)의 상기 치형 부위(4,11)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형 돌기(4.1, 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4.2,12)는 상기 래칫이 상기 스트랩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본체로부터 상기 스트랩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턱 스트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의 스트랩(10)의 결박 및 조정장치(1).
  17. 적어도 하나의 턱 스트랩과 제1항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턱 스트랩을 결박 및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헬멧.






KR1020120081890A 2011-08-03 2012-07-26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 KR101870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6380.7A EP2554066B1 (en) 2011-08-03 2011-08-03 A device for regulating and fastening a strap of protecting helmets
EP11006380.7 2011-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071A KR20130016071A (ko) 2013-02-14
KR101870451B1 true KR101870451B1 (ko) 2018-07-19

Family

ID=4477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890A KR101870451B1 (ko) 2011-08-03 2012-07-26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32798B2 (ko)
EP (1) EP2554066B1 (ko)
JP (1) JP6112798B2 (ko)
KR (1) KR101870451B1 (ko)
AU (1) AU2012205155B2 (ko)
BR (1) BR102012001013B1 (ko)
ES (1) ES2467995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249A (ko) 2022-06-13 2023-12-20 구재선 헬멧 착용 끈 버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5359B1 (en) 2013-09-16 2015-10-13 Dennis Morgan Bailey Ratchet buckle with locking mechanism
JP6204768B2 (ja) * 2013-09-18 2017-09-27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JP6297810B2 (ja) * 2013-10-16 2018-03-20 株式会社オージーケーカブト バックル
CN103610582B (zh) * 2013-11-25 2015-04-29 深圳市倍轻松科技股份有限公司 头部按摩器及其间距调节结构
US11730222B2 (en) 2014-02-21 2023-08-22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11744312B2 (en) * 2014-02-21 2023-09-05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US11659882B2 (en) 2014-02-21 2023-05-30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padding system
KR101430435B1 (ko) * 2014-03-26 2014-08-14 장태욱 버클 장치
IL236216A (en) * 2014-12-11 2016-03-31 Ehud Kantor Airway opening mechanism for helmet and helmet containing it
FR3030291B1 (fr) * 2014-12-19 2020-02-07 Skis Rossignol Ensemble de reglage comprenant un lien de retenue et un dispositif de blocage pour le maintien d’une chaussure sur un engin de sport
US9566499B2 (en) * 2015-02-07 2017-02-14 Daniel C. Sullivan Binding strap assist mechanism with a torsion spring
CA2922193A1 (en) * 2015-03-02 2016-09-02 Grigooris Manssourian Retainer mechanism
USD799125S1 (en) * 2015-03-25 2017-10-03 Aaron + Amanda Holdings, Inc. Animal identification band
US10154704B1 (en) * 2015-04-17 2018-12-18 Desmark Industries, Inc. Helmet slide assembly
CA2928081C (en) * 2015-04-24 2018-09-18 Buckingham Manufacturing Company, Inc. Cam assembly for use with pole climbing fall restriction device
WO2017210511A1 (en) * 2016-06-03 2017-12-07 Simpson Joseph Ray Secure fit quick release belt system and method for use
KR101950979B1 (ko) * 2017-07-27 2019-02-22 (주)써보레 보호구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헤드밴드
US10070701B1 (en) * 2017-11-06 2018-09-11 Bo Cai Enterprise Co., Ltd. Buckle device
KR101847448B1 (ko) * 2017-12-29 2018-04-10 류양석 버클
US11540577B2 (en) 2020-03-12 2023-01-03 Matscitechno Licensing Company Helmet system
IT202000014779A1 (it) * 2020-06-19 2021-12-19 Dainese Spa Fibbia di chiusura per cinturino di casco di protezione e metodo di chiusura di cinturino di casco di protezione
US11089831B1 (en) * 2020-10-23 2021-08-17 DoubleThree, LLC Incrementally adjustable and pivotable semi-rigid retention strap for a helmet
CN112972089B (zh) * 2021-03-12 2022-11-22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矫形头盔的可调结构
CN113017958B (zh) * 2021-03-12 2022-11-22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一种矫形头盔的双边可调结构
KR102641456B1 (ko) 2023-09-01 2024-02-27 주식회사 로터스인터내셔날컴퍼니 방탄 안면 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2983A1 (en) * 1995-11-09 1997-05-14 E.D.C. Sa Locking device for toothed chin-straps of safety helmets for motorcyclists
JP2003033208A (ja) * 2001-06-19 2003-02-04 Bauer It Spa 歯合ベルト締め具
US20070089945A1 (en) * 2005-10-25 2007-04-26 Emmepi S.R.L.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a sports sho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2259B (de) * 1979-06-13 1983-09-26 Sesamat Anstalt Spannhebelverschluss fuer schuhe, insbesondere skistiefel
EP0242531A1 (fr) * 1986-04-18 1987-10-28 Lange International S.A. Dispositif de fermeture d'une chaussure et chaussure de ski équipée du dispositif
JPH0531926Y2 (ko) * 1986-12-27 1993-08-17
US4796336A (en) * 1987-08-05 1989-01-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wo part buckle
DE3841832A1 (de) * 1988-01-28 1989-08-10 Artur Foehl Verschlusseinrichtung fuer den kinnriemen eines motorradschutzhelms
IT223068Z2 (it) * 1990-11-19 1995-06-09 Everest Off Struttura di dispositivo di serraggio,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US5416952A (en) * 1994-01-27 1995-05-23 Burton Snowboards Ratchet-type buckle
US5606779A (en) * 1996-05-28 1997-03-04 Monotype Supply Co., Ltd. Microscopically adjustable buckle for shoes
CA2206074A1 (en) * 1996-05-30 1997-11-30 Bauer Italia S.P.A. A device for adjusting and clamping the toothed strap of a fastening for sports footwear
US5779259A (en) * 1996-06-14 1998-07-14 Lin; Jack Toe-strap of a ski boot binding
EP0820707B1 (en) * 1996-07-23 2001-12-12 Bauer Italia S.p.A. A device for clamping a toothed strap, particulary for a closure for sports footwear
IT1291408B1 (it) * 1997-02-04 1999-01-11 Dolomite Spa Dispositivo di allacciatura a leva
IT236439Y1 (it) * 1997-02-04 2000-08-17 Giuseppe Cavasin Dispositivo di serraggio,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sportive
US6195848B1 (en) * 1998-08-14 2001-03-06 Usa Products Slidable ratchet tensioning device and tie-down assembly
US6116580A (en) * 1999-07-13 2000-09-12 Dutton-Lainson Company Reversible winch ratchet mechanism
FR2809778B1 (fr) * 2000-05-30 2002-09-06 Salomon Sa Dispositif a cliquet pour retenir une bande
EP1284792B1 (en) * 2000-05-31 2004-07-28 K-2 Corporation Ratchet-type buckle for snowboard binding
US6374464B1 (en) * 2000-07-25 2002-04-23 Chin-Kuo Lai Buckle with fine adjustment means
US6772447B2 (en) * 2002-08-30 2004-08-10 Stryke Lacrosse, Inc. Protective sport helmet
US7246383B2 (en) * 2004-05-27 2007-07-24 Bell Sports, Inc. Fit adjustment mechanism for helmets
US7571520B2 (en) * 2006-12-08 2009-08-11 Qbas Co., Ltd. Adjustable buckle
US7877845B2 (en) * 2007-12-12 2011-02-01 Sidi Sport S.R.L. Controlled-release fastening device
US7966701B2 (en) * 2008-06-05 2011-06-28 Qbas Co., Ltd. Adjustable ratchet buckle
GB0911711D0 (en) * 2009-07-06 2009-08-19 Abdul Yaragi Fastening device
US8763211B1 (en) * 2013-03-04 2014-07-01 Cheng-Che Yu Binding belt-based rod member clamp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2983A1 (en) * 1995-11-09 1997-05-14 E.D.C. Sa Locking device for toothed chin-straps of safety helmets for motorcyclists
EP0772983B1 (en) * 1995-11-09 2000-05-24 E.D.C. Sa Locking device for toothed chin-straps of safety helmets for motorcyclists
JP2003033208A (ja) * 2001-06-19 2003-02-04 Bauer It Spa 歯合ベルト締め具
US20070089945A1 (en) * 2005-10-25 2007-04-26 Emmepi S.R.L. Closure device particularly for a sports sho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249A (ko) 2022-06-13 2023-12-20 구재선 헬멧 착용 끈 버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12798B2 (ja) 2017-04-12
EP2554066B1 (en) 2014-03-05
US20130031702A1 (en) 2013-02-07
US9332798B2 (en) 2016-05-10
AU2012205155B2 (en) 2016-03-31
KR20130016071A (ko) 2013-02-14
JP2013036159A (ja) 2013-02-21
ES2467995T3 (es) 2014-06-13
AU2012205155A1 (en) 2013-02-21
BR102012001013A2 (pt) 2013-07-30
BR102012001013B1 (pt) 2020-09-01
EP2554066A1 (en)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451B1 (ko)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
CN110650643B (zh) 头盔
US9179729B2 (en) Tightening systems
EP0638253B1 (en) Helmet
US9700094B2 (en) Device for reducing head and neck injury for helmet wearer
KR101979456B1 (ko)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US5165117A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shield plate of a helmet
EP3012001B1 (en) Underwater mask
JP2007247114A (ja) ヘルメット
JP6943670B2 (ja) 取り外し可能なパッド付きヘルメット
WO2006036228A1 (en) Adjustable headband
WO2008041688A1 (fr) Dispositif de réglage coulissant pour ceinture et boucle
EP3017714B1 (en) Buckle device
JP2005042287A (ja) クラッシュヘルメット顎ガードの回転をアンロックさせるための装置
US9844238B2 (en) Attachment system for a helmet
TW201127306A (en) Protective helmet with winder of a chin strap
JP2014532818A (ja) ベルトファスナ及びそれを備えた保護ヘルメットのあご紐
CN220125290U (zh) 面罩
WO2023144814A1 (en) A release mechanism of a head restraint unit
WO2017101975A1 (en) Headband and adjustment device and a safety helmet with such a device
WO2022019177A1 (ja) 頭部装着装置
CA2862002C (en) Attachment system for a helmet
CN112706664A (zh) 头部安全防护装置、儿童安全座椅和车辆
JP2008307267A (ja) 鞄締め付けベルト
JP2018168495A (ja) 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