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436B1 -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436B1
KR101869436B1 KR1020170017349A KR20170017349A KR101869436B1 KR 101869436 B1 KR101869436 B1 KR 101869436B1 KR 1020170017349 A KR1020170017349 A KR 1020170017349A KR 20170017349 A KR20170017349 A KR 20170017349A KR 101869436 B1 KR101869436 B1 KR 101869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xture
turmeric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안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안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안상사
Priority to KR1020170017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의 생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NCREASING SKIN BIOACTIVITY}
본 발명은 피부의 생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흑화(melanogenesis)는 멜라닌 색소생성세포(melanocyte)에서 자외선 등의 자극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멜라닌 생성활동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만들어진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전이되어 피부표피층에 축척된 결과이다. 멜라닌의 생성목적은 피부보호일 수 있으나, 멜라닌 생성으로 인한 피부 과색소침착은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점 등을 일으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당사자에게 미용상의 불편과 부정적인 정신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국제출원 PCT/US2011/048090
본 발명은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진된 피부 트러블 완화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 오일을 3 내지 7 중량%로 포함하고, 강황 식이섬유를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며, 강황 단백질을 2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커큐미노이드를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피부 트러블 완화능을 가지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 오일을 3 내지 7 중량%로 포함하고, 강황 식이섬유를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며, 강황 단백질을 2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커큐미노이드를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의 혼합에 의해 커큐미노이드에 속하는 커큐민의 피부 투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어서 피부 미백 효과와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도포 후 피부 미백 효과를 관찰한 사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도포 후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를 관찰한 사진.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강황 오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법을 통해 강황으로부터 얻어지는 휘발성 오일일 수 있다. 또한, "강황 식이섬유"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수 추출법(hot water extraction)을 통해 강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강황 단백질"은 튜메린(turmerin)으로 불리기도 하는 수용성 단백질이며, 이 역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예컨대, Biochimie. 2009 Sep;91(9):1156-62).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는 일반적으로 강황(tumeric, Curcuma longa)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의 폴리페놀을 일컬으며,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및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커큐미노이드" 역시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및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으로 구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커큐미노이드" 는 천연 유래 물질뿐 아니라 인공적으로 합성한 커큐미노이드(커큐민, 디메톡시커큐민 및 비스디메톡시커큐민)도 포함한다.
종래의 커큐미노이드, 특히 커큐민의 다양한 효과가 알려져 있었으나, 이는 모두 인비트로 실험에 지나지 않았으며, 실제 경구 투여시에는 커큐미노이드의 구조적인 불안정성 및 낮은 투과성 등의 문제로 인해 상당히 낮은 수준의 생체 이용률을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랜 기간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경구 투여시 생체 이용률을 개선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커큐미노이드를 포함하는 특수 혼합물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이에 속하는 다양한 물질 상호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우수한 피부 생활성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동일한 물질이라 할지라도, 인비보 실험, 더 구체적으로 피부 도포시에 경구 투여시와 동일한 효과가 날 것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경구 투여는 구강을 통과하여 소화기관에 이를 때까지, 뿐만 아니라 소화기관에서 혈관을 타고 효과를 목적하는 세포에 이를 때까지 유효성분의 안정성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제한이 있는 반면, 피부 도포시에는 표피 및 진피를 무사히 투과해야만 목적하는 세포에 이를 수 있으므로, 효과 개시를 위해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통과해야 하는 장애물의 성질 및 조건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물이 위 4가지 물질 상호 간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커큐미노이드 화합물들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표피를 지나 진피에 이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형 또는 파괴되지 않은 형태의 커큐미노이드가 보다 높은 농도로 진피에 이를 수 있어서, 커큐미노이드를 통한 피부 생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의 미백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혼합물은 강황 미네랄 및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술한 혼합물을 구성하는 물질 간의 시너지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 오일을 3 내지 7 중량%로 포함하고, 강황 식이섬유를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며, 강황 단백질을 2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중량 범위를 제한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경우, 구성 물질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서, 커큐미노이드를 통한 피부 생활성, 더 구체적으로 커큐미노이드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 역시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 오일을 3.5 내지 6.5 중량%, 4 내지 6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강황 식이섬유를 10.5 내지 14.5 중량%, 11 내지 14 중량% 또는 11.5 내지 1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강황 단백질을 2.5 내지 5.5 중량%, 3 내지 5 중량% 또는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커큐미노이드를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커큐미노이드를 위와 같은 중량 범위로 포함해야 피부 생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커큐미노이드를 41.5 내지 58.5 중량%, 43 내지 57 중량% 또는 44.5 내지 5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혼합물 내 커큐미노이드는 커큐미노이드 총 중량에 대하여 75 내지 80 중량%의 커큐민, 15 내지 20 중량%의 디메톡시커큐민 및 5 내지 10 중량%의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량을 구성할 경우, 커큐미노이드에 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혼합물을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혼합물을 포함하여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물질 간의 관계에서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피부 트러블 완화능을 가지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은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피부 트러블 완화능을 가지는 피부 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혼합물은 강황 미네랄 및 탄수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위 설명한 혼합물을 구성하는 물질 간의 시너지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 오일을 3 내지 7 중량%로 포함하고, 강황 식이섬유를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며, 강황 단백질을 2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중량 범위를 제한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경우, 구성 물질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어서, 커큐미노이드를 통한 피부 생활성, 더 구체적으로 커큐미노이드에 의한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 역시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 오일을 3.5 내지 6.5 중량%, 4 내지 6 중량% 또는 4.5 내지 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강황 식이섬유를 10.5 내지 14.5 중량%, 11 내지 14 중량% 또는 11.5 내지 1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강황 단백질을 2.5 내지 5.5 중량%, 3 내지 5 중량% 또는 3.5 내지 4.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커큐미노이드를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커큐미노이드를 위와 같은 중량 범위로 포함해야 피부 생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커큐미노이드를 41.5 내지 58.5 중량%, 43 내지 57 중량% 또는 44.5 내지 5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혼합물 내 커큐미노이드는 커큐미노이드 총 중량에 대하여 75 내지 80 중량%의 커큐민, 15 내지 20 중량%의 디메톡시커큐민 및 5 내지 10 중량%의 비스디메톡시커큐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량을 구성할 경우, 커큐미노이드에 의한 피부 트러블 완화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혼합물을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혼합물을 포함하여야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물질 간의 관계에서 문제가 없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물을 액상화시켜서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물을 용매, 예컨대 물에 개어서 용해시킨 후 만들어진 액상물질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옷이나 베개 등으로의 이염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화장수(스킨로션 및 밀크로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팩, 젤,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및 보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패치 등의 형태로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혼합물의 제조
아래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커큐미노이드
커큐민 371mg
디메톡시커큐민 93mg
비스디메톡시커큐민 16mg
강황 오일 50mg
강황 식이섬유 120mg
강황 미네랄 10mg
강황 단백질 30mg
강황 탄수화물 300mg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이 제조한 혼합물을 아래 제형예 1의 표 2와 같은 제형으로 로션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로션을 지원자의 피부에 도포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피부 상태가 개선되는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 내지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검버섯 및 기미가 개선되어 피부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도 4및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 트러블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 예를 설명하나, 이는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로션
배합성분 중량%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크림
배합성분 중량%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2.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팩
배합성분 중량%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to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8)

  1. 커큐미노이드, 강황 오일, 강황 식이섬유 및 강황 단백질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포함하여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강황 오일을 3 내지 7 중량%로 포함하고, 강황 식이섬유를 10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며, 강황 단백질을 2 내지 6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커큐미노이드를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진된 미백능을 가지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17349A 2017-02-08 2017-02-08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9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49A KR101869436B1 (ko) 2017-02-08 2017-02-08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349A KR101869436B1 (ko) 2017-02-08 2017-02-08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436B1 true KR101869436B1 (ko) 2018-06-20

Family

ID=6277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349A KR101869436B1 (ko) 2017-02-08 2017-02-08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13B1 (ko) 2019-02-11 2020-03-05 주식회사 래디안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498A (ja) * 2002-09-18 2004-04-30 Veritas:Kk 皮膚外用剤
KR20090007564A (ko) * 2006-03-17 2009-01-19 허발사이언스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쿠르쿠마 종을 포함한 추출물 및 이를 수득하는 방법
WO2011048090A1 (en) 2009-10-19 2011-04-28 Badger Explorer Asa System for communicating over a power cable
KR20140020100A (ko) * 2012-08-08 2014-02-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강황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1498A (ja) * 2002-09-18 2004-04-30 Veritas:Kk 皮膚外用剤
KR20090007564A (ko) * 2006-03-17 2009-01-19 허발사이언스 싱가포르 피티이 리미티드 쿠르쿠마 종을 포함한 추출물 및 이를 수득하는 방법
WO2011048090A1 (en) 2009-10-19 2011-04-28 Badger Explorer Asa System for communicating over a power cable
KR20140020100A (ko) * 2012-08-08 2014-02-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강황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513B1 (ko) 2019-02-11 2020-03-05 주식회사 래디안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8723A2 (en)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90129059A (ko) 약제학적 조성물
KR20180027375A (ko)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9512A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H027287B2 (ko)
JP2012111727A (ja) 細胞賦活剤
KR101869436B1 (ko)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1230A (ko) 폴리글리세린-3을 함유하는 항균 또는 보존용 조성물
JP2005047910A (ja) 皮脂分泌抑制用組成物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137874A (ja) ビタミンC(Ascorbicacid)を含有するレシチンゲ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4862A (ko)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55182A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키트
ES2804029T3 (es) Composición que contiene ácido graso poliinsaturado
EP2387990A1 (en) Top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for the prophylaxis and the treatment of defects connected to inflammatory dermopathies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595662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TW201821073A (zh) 含亞麻油酸之組成物
JPH11222412A (ja) 皮膚外用剤
KR102086316B1 (ko) 경피흡수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5802930B2 (ja) 刺激緩和剤及び低刺激性皮膚外用剤
US20220378676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skin elasticity or improving skin wrinkles
JP2019069919A (ja) ゲル状組成物
KR101695549B1 (ko) 주글론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223208B1 (ko)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