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513B1 -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513B1
KR102085513B1 KR1020190015292A KR20190015292A KR102085513B1 KR 102085513 B1 KR102085513 B1 KR 102085513B1 KR 1020190015292 A KR1020190015292 A KR 1020190015292A KR 20190015292 A KR20190015292 A KR 20190015292A KR 102085513 B1 KR102085513 B1 KR 102085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asil
cosmetic composition
mask pac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우
이수연
조일지
변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19001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추출물은 바질씨앗의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은, 우수한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보이며, 건식 마스크 팩의 제공으로 종래 습윤식 마스크 팩 보다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생체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BASIL SEED, AND MASK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ASK P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질씨앗으로부터 불용성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며, 내측의 수분을 막는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분화되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으로 발달하게 된다. 구조적으로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며, 각질세포의 세포 간 지질들은 몰타르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인체는 노화되면서 건조한 피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대기오염 및 실내난방 등으로 인해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피부 보습제로 당류, 다가 알코올이 일반적인 보습제로서 화장료에 배합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보습제는 피부에 끈적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피부에 충분한 보습 효과 및 지속적인 보습 효과를 주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습도가 매우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외부로부터 수분을 끌어와 피부가 끈적이고, 겨울에는 외부 대기의 습도가 낮아 오히려 피부에서 수분을 끌어당겨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수분은 인체에 필요한 생리활성 물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습관적 요소,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그 기능이 쉽게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여러 유해 요인들이 늘어난 최근에 들어서는 건조 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겪는 사람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성분을 가진 대기 부유 물질로 눈에 보이지 않은 지름 10㎛ 이하의 작은 먼지를 가리키며, 황산염, 질산염 등과 같은 독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자동차 매연 및 공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중금속 등이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지며, 고농도의 미세먼지 환경에 노출되면 기침, 안구 따가움, 피부 트러블 및 폐 염증이 발생한다.
특히, 중금속은 납, 수은, 카드뮴, 아연, 니켈 등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가리키며, 이러한 중금속은 미량이라도 체내에 축적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우리 몸속의 단백질에 쌓여 장기간에 걸쳐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산화물(NO)과 같은 유해물질을 추가로 생성해 피부의 염증, 아토피,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미세먼지 및 중금속이 피부에 닿으면 모낭을 통해 피부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며, 피부 내부에 있는 세포에 염증을 일으켜 세포 손상은 물론 색소 침착, 염증, 콜라겐 파괴 및 조기 피부 노화를 유발한다.
환경오염과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노화가 증가함에 따라 2005년 이후 화장품 업계에서 '안티-폴루션(antipollution)' 기능이 있는 제품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안티-폴루션 제품은 세안을 통하여 세포 모공 속에 침투한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단순한 세안만으로 흡착력이 강한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어렵다. 또한, 세안력이 강한 제품의 경우 피부에 자극이 강한 화학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민감하거나 예민한 피부의 경우 각종 피부질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보호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 유래 화장품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다.
한편, 식품은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원료들 중 하나로서, 이 중 씨앗(곡물)은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는 많은 영양과 에너지를 담고 있으며, 특히 다양하고 풍부한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식이섬유란 식물의 구조 중 하나로 곡류, 채소, 과일에 다량 함유되며, 주로 다당류의 형태로 존재한다. 상기 식이섬유는 물에 녹는 수용성 섬유질(soluble fiber)와 불용성 섬유질(insoluble fiber)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상기 수용성 섬유질로는 펙틴(Pectin), 검류(Gums), 점질물(Mucilages) 등이 있고, 불용성 섬유질로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리그닌(Lignin) 등이 있다.
종래 이러한 식이섬유 중 수용성 섬유질만이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을 위한 원료로서 사용되는바, 이를 위하여 불용성 섬유질을 수용화하여 추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바질씨앗 추출물에 불용성 섬유질이 포함되면, 더욱 우수한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018-0088173 A KR 10-1869436 B1 KR 10-1917740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추출물은 바질씨앗의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질씨앗의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건식 마스크 팩을 제조함으로써, 종래 습윤식 마스크 팩보다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며, 생체 친화적인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추출물은 바질씨앗의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며,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질씨앗의 추출물은, 바질씨앗에 추출용매를 가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용매를 가한 바질씨앗을 10~30℃에서 1~5시간 침습추출하여, 바질씨앗의 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조추출물을 2,000~6,000rpm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 중 선택된 순수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질씨앗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마스크 팩은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며, 보습 및 피부톤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은, 바질씨앗에 추출용매를 가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용매를 가한 바질씨앗을 10~30℃에서 1~5시간 침습 추출하여, 바질씨앗의 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조추출물을 2,000~6,000rpm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시트를 40~80℃에서 10~20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은, 우수한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보이며, 건식 마스크 팩의 제공으로 종래 습윤식 마스크 팩 보다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생체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3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4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험예 6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추출물은 바질씨앗의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천연물의 추출물로서 수용성 식이섬유만을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불용성 식이섬유 역시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된다는 데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러한 불용성 식이섬유가 포함된 바질씨앗의 추출물은, 바질씨앗의 수용성 식이섬유만을 포함하는 추출물에 비하여 더욱 우수한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바질씨앗의 추출물은 불용성 식이섬유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가 모두 포함된 형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며, 그 비율은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식이섬유 외 바질씨앗에 포함된 각종 영양성분 역시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질씨앗을 천연물로 선택한 이유는, 상기 바질씨앗은 천연물 중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불용성 식이섬유 및 수용성 식이섬유가 풍부할 뿐 아니라, 불용성 식이섬유를 쉽게 추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바질씨앗에 추출용매를 가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용매를 가한 바질씨앗을 10~30℃에서 1~5시간 침습추출하여, 바질씨앗의 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조추출물을 2,000~6,000rpm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바질씨앗을 준비하고, 이에 약 20~60중량배의 추출용매를 혼합한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 중 선택된 순수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추출용매를 가한 바질씨앗을 10~30℃에서 1~5시간 침습추출하여 바질씨앗의 조추출물을 제조한다. 여기서, 침습추출이란 상기 바질씨앗에 상기 추출용매가 침습되어 유효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 시 필요에 따라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할 수도 있는바,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조추출물을 2,000~6,000rpm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과 침전물로 분리한다. 상기 상등액은 수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며, 침전물은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침전물은 불용성 식이섬유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닌, 바질씨앗으로 부터 추출된 각종 영양성분들과 수용성 식이섬유 역시 불용성 식이섬유에 흡수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에 흡수된 영양성분 및 수용성 식이섬유를 모두 포함하는 추출물의 회수를 위하여, 상기 침전물을 여과포 등으로 여과하여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수득된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건조하고, 분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 및 분쇄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힌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은, 우수한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질씨앗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너무 적으면 각종 기능성을 발휘할 수 없고, 과량이 되면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고, 제형 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성분들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는바, 예컨대 희석제, 부형제, 완충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착색제, 향료 또는 감미제 등의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미용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화장 성분, 보습제, 기타 첨가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으며,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담체 성분으로는 동물성 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실리콘, 락토스, 실리카, 탈크, 물, 에탄올, 벤질 알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 황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바,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미용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오일, 분말형 클렌징, 미용팩, 페이스 스크럽, 페이스오일, 미스트, 각질제거제,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라이너, 브로우펜슬, 브로우카라, 마스카라,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볼터치, 하이라이트, 파운데이션, 베이스, 파우더, 팩트, BB크림, CC크림, CB크림, 파우더, 샴푸, 바디샴푸, 린스, 두피마사지제, 헤어트리트먼트, 바디로션, 핸드워시, 바디스크럽, 바디오일, 샤워코롱, 세정제, 비누, 향수, 피부가려움증 완화액, 피부가려움증 완화크림 중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그 제형예는 본 발명의 바질씨드 추출물이 첨가된 것 이외에는,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은, 종래 습윤식 마스크 팩이 아닌 건식 마스크 팩으로의 제공이 가능한데, 이러한 건식 마스크 팩은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며, 생체 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마스크 팩은 우수한 보습 및 피부톤 개선의 효과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크 팩은 바질씨앗에 추출용매를 가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용매를 가한 바질씨앗을 10~30℃에서 1~5시간 침습추출하여, 바질씨앗의 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조추출물을 2,000~6,000rpm의 속도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고,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시트를 40~80℃에서 10~20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과정은 앞서 화장료 조성물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수득한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시트를 성형한다. 이때, 성형틀의 형태는 마스크 팩용 시트의 형상이면 족한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성형된 시트를 40~80℃에서 10~20시간 건조한 후, 이를 냉각하고, 10~30℃ 정도에서 상기 건조된 시트를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건조 시트는 건식의 마스크 팩으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별도의 액상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지 않으므로, 저장성이 우수하며, 부직포 시트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 트러블의 발생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시트는 종래의 습윤식 시트에 비하여 피부 밀착력이 오히려 뛰어나며, 천연물 유래의 식이섬유를 포함하여 생체친화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상기 건식 마스크 팩의 사용방법은, 사용자의 얼굴에 물 또는 화장수 등을 도포하여 충분히 습윤되도록 한 후, 이에 건식의 마스크 팩을 습윤된 얼굴에 부착하고, 약 15분 정도 방치함으로써, 상기 건식 마스크 팩 내 포함된 수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및 영양성분들에 의해 보습성 및 피부 톤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험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바질씨앗 50g에 추출용매로서 증류수,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을 91.45:5:3:0.0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2L를 가한 후, 교반기(Heidoph, MR3001, MR3001K)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2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침습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침습추출된 조추출물을 3,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불용성 식이섬유가 포함된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그리고 이를 100℃의 드라이 오븐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켜 11.8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하기 시험예들의 실시를 위하여 상기 건조된 바질씨앗 추출물 0.5중량%에 증류수,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을 91.45:5:3:0.0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99.5중량%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1)
히알루론산 0.5중량%에 증류수,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을 91.45:5:3:0.0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99.5중량%를 혼합하였다.
(비교예 2)
바질씨앗 50g에 추출용매로서 증류수 2L를 가한 후, 교반기(Heidoph, MR3001, MR3001K)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2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침습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침습추출된 조추출물을 3,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고, 상기 상등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그리고 그 여과액에 5부피배의 100% 에탄올을 첨가하고, 4℃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고, 이를 다시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침전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하여 수용성 식이섬유를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 수용성 식이섬유 0.5중량%에 물,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을 91.45:5:3:0.0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99.5중량%를 혼합하였다.
(시험예 1) : 식이섬유 함량 확인
실시예 1의 시료 내 식이섬유 유무 및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시료를 한국식품과학 연구원에 의뢰하여 식품공전(▶ 제 7. 일반시험법 ▶ 2. 식품성분시험법 ▶ 2.1 일반성분시험법 ▶ 2.1.4 탄수화물 ▶ 2.1.4.3 식이섬유 )에 명시된 방법을 기준으로 (가법)불용성 식이섬유, (나법)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가법) 0.1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나법) 0.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시료(건잔 0.5%)에서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가 총 0.2%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 보습 효능 평가
보습 효능의 평가를 위하여, 20대 성인 여성 3명을 대상으로, 피험자의 팔 안쪽 피부를 비누를 이용하여 수세한 후, 물기를 제거하고 상온에서 5분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피부에 3㎝×3㎝의 시험 부위 4곳을 표시하고, 각 시험 부위에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가 5중량%의 비율로 함유된 젤타입 에센스 및 시료가 함유되지 않은 젤타입 에센스(placebo)를 100㎕씩 떨어뜨린 뒤 3분간 손가락으로 완전히 흡수시켰다. 그리고 피부 측정 장치(MPA580)를 이용해 피부 수분 보유량(Corneometer)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첨부된 도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험실의 평균 온도는 27~28℃이고, 평균 습도는 38~40%이었으며, 상기 젤타입 에센스는 시판 상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시험군 모두 동일한 상품을 사용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부에 에센스를 흡수시키기 전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센스 흡수 후 피부 수분 함유량은 placebo 자체에서 32% 증가하였고, 모든 시료처리군에서 50%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포함하는 시료처리군은 97.64%의 증가율을 보였는바,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시료처리군보다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 자외선에 의한 홍반 억제 효능 평가
자외선 차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의 함량으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의 양성 대조군으로서 하기 표 3와 같은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비.
phase Trade Name INCI Wt%
A Silube T308-16 Cetyl PEG/PPG-10/1 Dimethicone 2.000
KSG-320 Isododecane, PEG-15/Lauryl Dimethicone Crosspolymer 5.000
KSG-16 Dimethicone,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000
Polyglyceryl-10 Oleate Polyglyceryl-10 Oleate 1.000
GTCC Caprylic/Capric Triglyceride 15.000
SF 0015Z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5.000
Bentone 38V Disteardimonium Hextorite 0.500
B Talc Talc 13.000
C Water Water 41.25
EDTA-2Na Disodium EDTA 0.05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0.20
Clycerin Clycerin 5.00
1,3-BG Butylene Glycol 7.00
1,2-Hexanediol 1,2-Hexanediol 2.00
실시예 1의 시료 2.00
total 100
일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대조군)의 성분비.
phase Trade Name INCI Wt%
A Silube T308-16 Cetyl PEG/PPG-10/1 Dimethicone 2.000
KSG-320 Isododecane, PEG-15/Lauryl Dimethicone Crosspolymer 5.000
KSG-16 Dimethicone,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000
Polyglyceryl-10 Oleate Polyglyceryl-10 Oleate 1.000
Persol MCX Ethylhexyl Methoxycinnamate 7.000
Persol EHS Ethylhexyl Salicylate 5.000
Neohoeliopan E-100 Isoamyl-p-Methoxycinnamate 2.00
GTCC Caprylic/Capric Triglyceride 3.00
SF 0015Z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0
Bentone 38V Disteardimonium Hextorite 0.500
B TiO2 PFC 407 AS Titanium Dioxide, Aluminum Hydroxide, Triethoxycaprylylsilane 10.00
Zinc Oxide Zinc Oxide 2.00
Talc Talc 1.00
C Water Water 43.25
EDTA-2Na Disodium EDTA 0.05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0.20
Clycerin Clycerin 5.00
1,3-BG Butylene Glycol 7.00
1,2-Hexanediol 1,2-Hexanediol 2.00
total 100
그리고 20대 성인 남성 2명을 대상으로, 피험자의 전박 부위에 지름 1.5cm의 원형의 시험 부위를 2곳 표시한 뒤, 시험 부위의 홍반 수치를 Cutometer MPA580-Mexameter prob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시험 부위에 각 시료 5㎕씩을 도포(손가락으로 시험부위 바깥쪽으로 번지지 않도록 도포)한 후, 30분간 상온에서 방치하고, 스탠드에 달린 UV lamp 아래로 팔을 넣어 200mJ/㎠의 조사량으로 UV-B(Wave Length : 312nm)를 조사하였다. 이때 Light Intensity는 0.902 mW/㎠였고, 조사 시간은 3분 49초였다. 그리고 UV-B의 조사 후 1시간 간격으로 홍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첨부된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UV-B 조사 후 3시간 경과 시 피시험자 두 명 모두 음성 대조군에서 홍반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양성 대조군 및 실시예 1의 처리군에서는 홍반이 발생하지 않았음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의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홍반 억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 미세먼지 차단 효능
미세먼지 차단 효능의 확인을 위하여, 20대 성인 여성 2명을 대상으로, 피시험자의 양쪽 손등을 증류수로 닦아 건조시켰다. 그리고 한쪽에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고, 다른 한쪽에는 실시예 1의 시료를 100㎕씩 떨어뜨리고 완전히 흡수시켰다. 다음으로, 활성탄 분말(입자 크기 10㎛)을 비닐 안에 소량 넣고, 손을 비닐 안에 넣어 밀봉한 뒤, 흔들어 활성탄이 손등에 고루 묻어나도록 하였다. 활성탄 처리직 후 Soft Plus Telecamera probe-keratin program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측정하였으며, 흐르는 물로 시험 부위를 세척(문지르지 않고 물로만 세척)한 뒤 동일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흐르는 물에서 시험 부위를 손으로 문질러 세척한 뒤 다시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첨부된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처리군은 물로만 세척하더라도 활성탄 분말이 거의 씻겨 내려갔으나, 대조군은 피부결 사이에 활성탄 분말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은 피부에 도포 시 불용성 식이섬유에 의해 얇은 막이 형성되므로, 활성탄 분말의 피부 침투를 차단하여 상기 활성탄 분말이 잘 씻겨 내려간 것으로 판단되었는바, 이를 통해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 피부 안전성 평가
피부 자극도 평가를 위하여, 건강한 20~30대 성인 남녀 5명을 대상으로 팔 안쪽 부위를 수세하여 안정화시켰다. 그리고 8mm Finn Chamber에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시료를 각각 20㎕씩 처리한 뒤 1시간 동안 첩포하였다. Finn Chamber 제거 후 1시간, 24시간 경과 시 피부 자극 유발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5 결과
구분 피험자 자극도
A B C D E
실시예 1 - - - - - 0
비교예 1 - - - - - 0
비교예 2 - - - - - 0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 = [{(±)수*1+{(+)수*2}+{(++)수*3}}/피험자수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모두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바질씨앗 500g에 추출용매로서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을 5:3:0.05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20L를 가한 후, 교반기(Heidoph, MR3001, MR3001K)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800rpm으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침습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침습추출된 조추출물을 3,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불용성 식이섬유가 포함된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수한 불용성 식이섬유가 포함된 바질씨앗의 추출물 50g을 마스크 팩용 시트 성형틀에 투입하고, 60℃의 건조장치에서 10시간 건조한 후, 실온에서 냉각하여 30℃가 되도록 하고, 이를 성형틀을 분리하여 건조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6) ; 건조 시트의 피부 보습 및 밝기 효능
성인 여성 3명 및 남성 1명을 대상으로, 마스크 시트 적용 전 Hydration probe(SOFT PLUS 사)와 Melanin probe(SOFT PLUS 사)를 이용하여 얼굴의 피부 보습 및 밝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토너 10ml씩을 얼굴에 도포 후, 실시예 2의 건조 시트를 부착한 뒤, 15분간 방치하고, 시트 제거 후 피부 보습 및 밝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첨부된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건조 시트의 사용시 멜라닌 수치가 감소함에 따라 즉각적인 피부톤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보습 또한 사용 전 대비 2.4배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추출물은, 바질씨앗에 추출용매를 가하고, 상기 추출용매를 가한 바질씨앗을 10~30℃에서 1~5시간 침습추출하여 바질씨앗의 조추출물을 제조하며, 상기 제조된 조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자외선 차단, 미세먼지 차단 또는 피부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인 무수 또는 함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 중 선택된 순수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질씨앗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제3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피부톤 개선용 건식 마스크 팩.
  6. 바질씨앗에 추출용매를 가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용매를 가한 바질씨앗을 10~30℃에서 1~5시간 침습 추출하여, 바질씨앗의 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조추출물을 원심분리하고, 그 침전물을 여과하여 불용성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바질씨앗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수득한 추출물을 성형틀에 투입하여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시트를 40~80℃에서 10~20시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습 및 피부톤 개선용 건식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1020190015292A 2019-02-11 2019-02-11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KR10208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92A KR102085513B1 (ko) 2019-02-11 2019-02-11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292A KR102085513B1 (ko) 2019-02-11 2019-02-11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513B1 true KR102085513B1 (ko) 2020-03-05

Family

ID=6980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292A KR102085513B1 (ko) 2019-02-11 2019-02-11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5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032A (ko) * 2011-09-16 2013-03-26 한국콜마주식회사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4537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4982A (ko) * 2015-03-25 2016-10-06 (주)모아캠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69436B1 (ko) 2017-02-08 2018-06-20 주식회사 주안상사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2017-01-26 2018-08-0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17740B1 (ko) 2016-12-08 2018-11-13 (주)진셀팜 부레옥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032A (ko) * 2011-09-16 2013-03-26 한국콜마주식회사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4537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14982A (ko) * 2015-03-25 2016-10-06 (주)모아캠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7740B1 (ko) 2016-12-08 2018-11-13 (주)진셀팜 부레옥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8173A (ko) 2017-01-26 2018-08-03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큰실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9436B1 (ko) 2017-02-08 2018-06-20 주식회사 주안상사 증진된 피부 생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3290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и топ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моложения, регенерации и упрочнения кожи во время сна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JPH07106967B2 (ja) 皮膚湿潤用グリセロール及びジグリセロール混合物
CN109077952B (zh) 抗蓝光气垫cc霜及其制备方法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08234A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CN104434768A (zh) 一种具有缓释功效的保湿化妆水及其制备方法
CN110573136B (zh) 用于改善头发保湿力的化妆品组合物
KR20160036236A (ko) 극지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KR1019816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CN102813613B (zh) 一种清洁防晒修复湿巾整理液
KR20120000251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7496B1 (ko)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85513B1 (ko)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N106333886A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JP2005298503A (ja) 粉状化した玉竹を含む保湿性化粧料組成物
KR101062156B1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971549B2 (ja) 化粧料
CN110496086B (zh) 一种含铁皮石斛提取物的清凉防晒气垫及其制备方法
KR102203167B1 (ko)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4312513A (ja) 化粧料
KR20090073622A (ko) 로도크로사이트 추출물, 스미스소나이트 추출물 및피토스테릴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