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167B1 -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167B1
KR102203167B1 KR1020200061811A KR20200061811A KR102203167B1 KR 102203167 B1 KR102203167 B1 KR 102203167B1 KR 1020200061811 A KR1020200061811 A KR 1020200061811A KR 20200061811 A KR20200061811 A KR 20200061811A KR 102203167 B1 KR102203167 B1 KR 10220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ponge
powder
sponge powd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Priority to KR102020006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골편파우더를 봉입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봉입하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가 피부각질층에 침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출물을 함께 봉입함으로써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피부 탄력,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 다양한 제형(크림, 에센스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피지 개선, 두피 모공 크기 개선, 모발수 개선 및 모발 큐티클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 다양한 두피용 화장품(토너, 에센스, 샴푸 등)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that contains hydrolyzed sponge powder or spongy powder sealed on a lamella liquid crystal that has fast skin regeneration and improved skin and scalp}
본 발명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골편파우더를 봉입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 피하지방층으로 나뉘고 사람의 몸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시간이 경과되고 여러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피부의 노화가 가속화되며 거칠어지고 건성화되어 조기 노화가 일어나게 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노화된 피부에 대해 보다 차별적인 방법으로 피부를 개선하고 활력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한편, 해면동물은 뼈, 근육, 신경 또는 장기가 없는 원시적인 해양 생물로 전세계에 약 1만 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바다에서 서식하나 일부는 담수성 종류도 있으며 고착성 생활을 한다. 몸체의 조직 내에는 종류에 따라 특징적인 여러가지 모습의 침골들을 가진다. 침골은 무척추동물의 체내에 있는 미세한 골격 요소로, 막대모양, 바늘 모양, 별모양 등 다양한 모습을 띠고, 골침 또는 골편이라 하기도 하며 주성분은 규산, 탄산칼륨으로 이루어진다. 해면동물류에서는 기본형으로 1축형, 3축형, 4축형, 다축형이 있다.
해면동물은 골편을 가져, 이를 이용한 흡수 능력을 통해 목욕용, 의료용, 청소용 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20150041730호, 한국 등록특허 10-178125호 등에서 해면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기술된 바 있으나, 정제 과정에서의 어려움, 자극으로 인한 부작용 등의 문제가 있어 피부에 안정성이 있으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봉입하되, 하이들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가 피부각질층에 침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출물을 함께 봉입함으로써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알코올, 계면활성제에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넣어 1차 교반하는 단계 (a); 상기 1차 교반 후, 하이드롤라이즈드(Hydrolyzed)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투입하고 2차 교반하는 단계 (b);를 포함하되, 상기 알코올은,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로 조성된 알코올 혼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Sucrose Di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Glyceryl Monostearate), 세라마이드 엔피 (Ceramide NP)가 혼합된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알란토인,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는, 바람직하게 10~500㎛의 크기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봉입하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가 피부각질층에 침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추출물을 함께 봉입함으로써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피부 탄력, 피부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 다양한 제형(크림, 에센스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 피지 개선, 두피 모공 크기 개선, 모발수 개선 및 모발 큐티클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 다양한 두피용 화장품(토너, 에센스, 샴푸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 형성 혼합계면활성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 유화물 제조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 유화물이다.
도4는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컬러 필터가 장착된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5는 라멜라 액정 유화물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이 봉입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와 해면골편파우더 사진이다.
도 7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와 해면골편파우더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입자 사진이다.
도 8은 형성된 라멜라 액정 유화물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흡수경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9는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와 해면골편파우더가 봉입된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입자 사진이다.
도 10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와 해면골편파우더가 라멜라 액정 유화물 안에 봉입된 것을 확인해 주는 편광 현미경 사진이다.
도 11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함유 액정 크림의 피부적용 사진(상단)과, 사용전후 비교 사진(하단)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피부 보습효과를 비교군과 함께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탄력도 개선효과를 도포전의 피부와 비교예와 함께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피부 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피부 미백개선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두피의 피지 개선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두피 모발의 모공크기 개선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두피 모발의 수 증가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의 두피 모발 큐티클 개선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해면동물은 뼈, 근육, 신경 또는 장기가 없는 원시적인 해양 생물로 전세계에 약 1만 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부분 바다에서 서식하나 일부는 담수성 종류도 있으며 고착성 생활을 한다. 몸체의 조직 내에는 종류에 따라 특징적인 여러가지 모습의 침골(골침, 골편)들을 가지며, 이를 이용한 흡수 능력을 통해 목욕용, 의료용, 청소용 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다만, 정제 과정에서의 어려움, 해면의 피부 침투시 자극으로 인한 부작용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예의 노력하였고, 안정하게 형성된 라멜라 액정상을 이용하고 침상골편으로 이루어진 바늘모양의 해면파우더를 사용하되 여러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여, 해면이 피부각질층에 침투되면서 상처가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기능성을 탁월하게 발휘할 수 있는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제조방법을 고안해내었다.
본 발명은 알코올, 계면활성제에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넣어 1차 교반하는 단계 (a); 상기 1차 교반 후, 하이드롤라이즈드(Hydrolyzed)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투입하고 2차 교반하는 단계 (b);를 포함하되, 상기 알코올은,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로 조성된 알코올 혼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Sucrose Di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Glyceryl Monostearate), 세라마이드 엔피 (Ceramide NP)가 혼합된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계 (a): 1차 교반>
본 단계는 알코올, 계면활성제에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넣어 1차 교반하는 과정이다.
본 단계에서는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이 혼합된 알코올 혼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이들 알코올 혼합물은 형성된 액정을 안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여, 하이드롤라이즈드(Hydrolyzed)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가 그 내부에 안정되게 안착되어 유지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코올 혼합물은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이 중량비로 4:4:2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Sucrose Di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Glyceryl Monostearate), 세라마이드 엔피 (Ceramide NP)이 혼합된 복합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은 바람직하게 10~40 중량부의 알코올 혼합물(세틸알코올(Cetyl Alcohol) :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4:4:2의 혼합물), 3~10 중량부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40~48 중량부의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Sucrose Distearate), 5~12 중량부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 2~7 중량부의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Glyceryl Monostearate) 및 3~15 중량부의 세라마이드 엔피 (Ceramide NP)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알코올 혼합물 및 혼합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저점도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안정하게 라멜라 액정이 형성되게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상적으로 저점도의 액정은 제조 즉시에는 보이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여 없어지기 때문에 안정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알코올 혼합물 및 혼합 계면활성제를 사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때, 상기 '저점도'란 브루크 필드 점도계(Brookfiled Viscometer)를 사용하여 얻어진, 점도가 500 ~ 50,000 cps의 범위에 속하는 0.1 ~ 200㎛의 유화 입경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성성분으로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에칠헥사노인, 마카데미아씨오일 및 아르간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성성분으로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2,3-부탄다이올,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롤 및 정제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교반은 바람직하게 호모믹서(homo-mix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 ~ 5,000 rpm, 70 ~ 85℃으로 교반하는 것이 좋다.
<단계 (b): 2차 교반>
본 단계는 상기 1차 교반 후, 하이드롤라이즈드(Hydrolyzed)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투입하고 2차 교반하는 과정이다.
본 단계에서는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상기 '알코올, 계면활성제에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넣어 제조한 혼합물'에 투입하는데, 투입 후 교반하고, 냉각, 진공탈기 과정을 거쳐서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최종적으로 생성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해면은 무척추동물로서 알려진 단순한 동물종의 거대 그룹에 속하는 다세포 해생동물로부터 얻어진 것으로, 작은 사이즈로 갈아서 메쉬(mesh)를 통과하여 얻어진 미세한 침상의 분말(파우더)를 사용하였다. 해면은 천연 해조류에서 얻어진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폰질라 스피큘(Spongilla spicule)에서 추출 정제한 골편분말을 사용하였으며, 해면동물을 건조하고 분쇄하여 해면 분말을 만들고 이를 다시 증류수와 혼합하고 가수분해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해면골편분말은 침상구조이고, 경질의 골격에 의해 지지되는 젤리형의 단백질 매트릭스에 현탁된 연질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와 해면골편파우더는, 바람직하게 10~500㎛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범위보다 작거나 큰 경우에도 액정입자에 봉입하는 것은 가능하나, 피부에 작용하는 효과가 미미하거나,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25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단계에서의 교반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투입한 후, 호모믹서로 2,000 ~ 5,000 rpm, 55 ~ 65℃으로 교반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 통해 0.1 ~ 200㎛의 안정한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최종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추가적으로 피부에 유용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물질인 활성성분 또는 해면의 피부 침투시 부작용을 최소화할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일 예로, 아데노신, 니아신아마이드, 덱스판테놀, 멘톨, 살리실릭애씨드, 징크피리치온, 미녹시딜, 니코틴산아미드, 비오틴, 병풀추출물을 단독 혹은 두 종 이상의 성분을 함께 봉입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알란토인,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을 단독 혹은 두 종 이상의 성분을 함께 봉입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가 피부에 침투시 발생되는 염증을 빠르게 진정 완화시켜 재생속도를 빠르게 해주게 된다.
한편, 하기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크림, 에센스), 두피용 화장품(토너, 에센스, 샴푸) 등으로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계면활성제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피부 보습, 피부 탄력도, 피부 미백, 피부 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였으며, 두피 피지 개선, 두피 모공 크기 개선, 모발수 개선 및 모발 큐티클 개선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산업 분야에서 제형이 안정하면서 해면의 피부 침투시 자극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어,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이용한 피부 기능성이 탁월한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에 적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일예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초화장료 제형; 스킨; 로션; 아이크림; 수딩젤; 연고; 마스크팩용 제형; 바디워시용 제형; 필링젤;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 유해자외선차단 제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색조화장료 제형; 두피용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점성의 크림, 토너, 에센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이 좋으며, 헤어용 토너, 헤어용 에센스,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등의 두피용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봉입하는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봉입하되, 여러 추출물을 함께 봉입하여 해면의 피부 침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1) 혼합계면활성제 베이스 개발
먼저 10~40 중량부의 알코올 혼합물(세틸알코올 : 스테아릴알코올 : 베헤닐알코올=4:4:2의 혼합물), 3~10 중량부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48 중량부의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5~12 중량부의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2~7 중량부의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및 3~15 중량부세라마이드 엔피를 포함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베이스를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이는 딱딱한 왁스형태로 사용하기 편리하게 동그란 반구형의 고체상으로 개발하였다. 그 중, 실시예 1-4를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도 1은 라멜라 액정 형성 혼합계면활성제(실시예 1-4)를 나타낸 사진이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1
함량
(중량부)
실시예
1-2
함량
(중량부)
실시예
1-3
함량
(중량부)
실시예
1-4
함량
(중량부)
실시예
1-5
함량
(중량부)
1 고급알코올
(세틸알코올:스테아릴알코올:베헤닐알코올=4:4:2혼합물)
10 23 30 34 40
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 10 7 5 6 3
3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40 42 44 46 48
4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2 10 9 8 5
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7 6 3 5 2
6 세라마이드 엔피 3 15 10 1 5
소계 82 103 101 100 103
2) 라멜라 액정 형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활성성분을 봉입한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4의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하며, 활성성분으로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를 봉입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2와 같았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6
함량
(wt%)
실시예
1-7
함량
(wt%)
실시예
1-8
함량
(wt%)
실시예
1-9
함량
(wt%)
실시예
1-10
함량
(wt%)
계면활성제 [실시예1-4]의 혼합계면활성제 2 3 7 8 10
유성
성분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5 5
에틸헥실팔미테이트 3 3 3 3 3
트리에칠헥사노인 2 2 2 2 2
마카데미아씨오일 1 1 1 1 1
아르간오일 1 1 1 1 1
수성
성분
아데노신 1 1 1 1 1
니아신아마이드 1 1 1 1 1
2,3-부탄다이올 3 3 3 3 3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5
글리세롤 7 7 7 7 7
정제수 58.5 61.5 58 56.5 50.5
첨가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50~250㎛) 0.5 1.5 3 5 10
해면파우더 10 5 3 1.5 0.5
소 계 100 100 100 100 100
액정형성유무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액정입경사이즈 21.6㎛ 15.7㎛ 10.2㎛ 8.5㎛ 5.3㎛
45℃ 안정성(4주경과)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제조공정은 도 2에 나타내었다. 제조공정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실시예 1-4의 혼합계면활성제에 유성성분을 넣고, 수성성분을 넣고 호모믹서로 2,000 ~ 5,000 rpm, 70 ~ 85℃으로 교반하여 0.1 ~ 200㎛의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라멜라 액정 유화물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투입하여 2,000 ~ 5,000 rpm, 55 ~ 65℃으로 교반하는 단계 후, 냉각, 진공탈기 과정을 거쳐서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최종적으로 생성하였다.
그 중, 실시예 1-8의 액정 유화물(도 3)를 선택하여 사용하였고 이는 유백색을 띠었으며,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할 시, 도 4와 같이 다중 라멜라형태의 액정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에는 상기 라멜라 액정 유화물이 다중층의 라멜라 구조로 형성되고, 그 안에 침상골편파우더(ex.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패킹되어 있음을 입체적인 구조도로 나타내었다.
3) 라멜라 액정 형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와 첨가제를 함께 봉입한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4의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하며, 첨가제(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알란토인,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를 함께 봉입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즉, 상기 첨가제들을 함께 봉입함으로써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가 피부에 침투하게 될 때 발생하는 염증을 빠르게 진정 완화시켜 재생속도를 빨라지게 하였다. 이를 통해 해면의 피부 침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피부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종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각 조성물은 안정성있게 제조되었으며,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3과 같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와 해면파우더는 스폰질라 스피큘(Spongilla spicule)에서 추출 정제한 골편분말로 침상형태의 입자 길이가 50 ~ 250㎛의 크기인 것을 사용하였고,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와 해면파우더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 7과 같이 바늘처럼 침상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11
함량(wt%)
실시예
1-12
함량(wt%)
실시예
1-13
함량(wt%)
실시예
1-14
함량wt%)
실시예
1-15
함량(wt%)
1 [실시예1-4]의 혼합계면활성제 3 5 7 10 15
2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2 2 2 2 2
3 에틸헥실팔미테이트 3 3 3 3 3
4 트리에칠헥사노인 2 2 2 2 2
5 마카데미아씨오일 1 1 1 1 1
6 아르간오일 1 1 1 1 1
7 2,3-부탄다이올 3 3 3 3 3
8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5
9 글리세롤 3 3 3 3 3
10 1,2-헥산다이올 2 2 2 2 2
11 에틸헥실글리세린 0.1 0.1 0.1 0.1 0.1
12 정제수 72.59 69.59 68.59 64.59 57.5
13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50~250㎛) 2 3 - - 2.59
14 해면파우더 - - 2 3 2.5
15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0.1 0.1 0.1 0.1
16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 0.01 0.01 0.01 0.01
17 알란토인 0.1 0.1 0.1 0.1 0.1
18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0.1 0.1 0.1 0.1 0.1
소 계 100 100 100 100 100
액정형성유무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액정입경사이즈 9.5㎛ 11.2㎛ 11.2㎛ 13.8㎛ 8.5㎛
45℃ 안정성 (4주경과)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한편, 라멜라 액정 형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라멜라 액정상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와 첨가제들을 함께 봉입한 조성물이 피부 속으로 흡수되는 경로를 도 8에 나타내었다. 이는 라멜라 액정 속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가 피부에 얇게 박히면서 피부 속으로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여러 기능성(피부 활력, 재생, 보습 등)을 발휘할 수 있는 원리였다.
그 중, 실시예 1-12(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함유)와 실시예 1-14(해면파우더 함유)의 유화물을 일반 광학현미경을 관찰한 결과, 도 9와 같이 동그란 입자로 관찰되는 유화물의 입자와, 유화물 사이로 길게 나타나는 침상구조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편광 현미경도 사용하여 관찰한 결과(위, 아래 3번째 사진), 도 10과 같이 액정 입자가 빽빽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라멜라 액정의 입자 안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가 봉입 안정화되어 있음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12(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함유)의 유화물을 손등의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에 흡수하는 과정을 도 11(위쪽 사진)에 나타내었다. 상기 유화물은 저점성의 유액으로, 적당량을 덜어서 손등의 피부에 도포하여 마사지하면서 피부에 흡수시킨 결과, 도 11(아래쪽 사진)과 같이 사용 전의 피부는 건조한 느낌이었으나 사용 후 촉촉한 보습력과 광채가 나는 피부로 변화되는 것을 외관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봉입한 조성물(크림 제형)의 효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또는 해면파우더)를 봉입하고, 활성성분과 여러 추출물을 함께 봉입한 조성물(크림 제형)'(실시예 1-16 및 실시예 1-17)에 대해 피부 보습력, 피부탄력도, 피부 미백능 및 피부 주름 개선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상기 실시예 1-4의 혼합계면활성제 대신 일반 계면활성제인 폴리솔베이트60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2로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4와 같았다.
임상시험에 사용된 기기는 Aramo-TS (아람휴비스, 한국)를 사용하였으며, 이 측정기기는 보습효과, 탄력효과, 주름개선효과 및 미백효과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평가기기이다.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시료를 하루 2회씩(아침, 저녁) 눈가 양옆에 약 0.2g씩 바르고 30일 경과 후에 각각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16
함량(wt%)
비교예1
함량(wt%)
실시예
1-17
함량(wt%)
비교예2
함량(wt%)
1 [실시예1-4]의 혼합계면활성제 7 - 7 -
2 폴리솔베이트60 - 7 - 7
3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5
4 에틸헥실팔미테이트 3 3 3 3
5 트리에칠헥사노인 2 2 2 2
6 마카데미아씨오일 1 1 1 1
7 아르간오일 1 1 1 1
8 2,3-부탄다이올 3 3 3 3
9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10 글리세롤 7 7 7 7
11 1,2-헥산다이올 2 2 2 2
12 에틸헥실글리세린 0.1 0.1 0.1 0.1
13 정제수 59.29 59.29 61.25 61.25
14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50~250㎛) 2 2 - -
15 투명잔탄검 0.3 0.3 0.3 0.3
16 해면골편파우더 - - 2 2
17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0.1 0.1 0.1
18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1 0.01 0.01 0.01
19 알란토인 0.1 0.1 0.1 0.1
20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0.1 0.1 0.1 0.1
21 나이아신아마이드 2 2 - -
22 아데노신 - - 0.04 0.04
소 계 100 100 100 100
액정형성유무 형성됨 없음 형성됨 없음
입경사이즈 7.3㎛ 2.6㎛ 7.1㎛ 2.3㎛
45℃ 안정성 (4주경과) 양호 양호 양호 양호
1) 보습력 측정
실시예 1-16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액정크림과 비교예 1의 일반 액정 크림과의 보습성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2와 같이 비교예 1은 도포전보다 1.8% 증가된 반면 실시예 1-16의 8시간 경과후의 보습력은 도포전보다 12.5%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다.
2) 피부탄력도 측정
실시예 1-16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액정크림과 비교예 1의 일반 액정 크림과의 피부탄력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3과 같이 비교예 1은 12.5%, 플라세보 크림은 약 5.3%의 탄력도를 나타낸 반면, 실시예 1-16은 23.7%의 탄력도로 탁월하게 탄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피부미백능 측정
미백효과의 피부의 밝기를 도포 전에 비하여 밝아지는 정도를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16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액정크림과 비교예 1의 일반 액정 크림과의 피부미백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4와 같이 도포전(무도포)의 피부는 42.5의 밝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교예 1은 48.7로 변화한 반면, 실시예 1-16은 55.8로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예 1이 14.6%로 피부 밝기가 개선된 것에 비해 실시예 1-16은 31.3%로 피부 밝기가 개선되어 탁월하게 피부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결과였다.
4) 피부 주름 개선능 측정
실시예 1-17의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액정크림과 비교예 2의 일반 액정 크림과의 피부 주름 개선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5와 같이 비교예 2는 5.2%, 플라세보 크림은 약 1.8%의 주름 개선능을 나타낸 반면, 실시예 1-17은 9.8%로 탁월하게 주름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를 봉입한 조성물(토너 제형)의 효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를 봉입하고, 여러 추출물을 함께 봉입한 조성물(토너 제형)'(실시예 1-18 내지 실시예 1-21)에 대해 두피 피지조절능 및 두피 모공 크기 개선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상기 실시예 1-3의 혼합계면활성제 대신 일반 계면활성제인 폴리솔베이트60을 사용한 비교예 3으로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5와 같았다.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시료를 하루 2회씩(아침, 저녁) 머리 상단 가마가 있는 부근에 스프레이로 뿌려 도포하고 30일 경과 후에 두피의 피지량 측정 또는 두피의 모공 지름 측정을 통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18
함량
(wt%)
실시예
1-19
함량
(wt%)
실시예
1-20
함량
(wt%)
실시예
1-21
함량
(wt%)
비교예3
함량
(wt%)
1 [실시예1-3]의 혼합계면활성제 7 7 7 7 -
2 폴리솔베이트60 - - - - 7
3 2,3-부탄다이올 3 3 3 3 3
4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5
5 글리세롤 7 7 7 7 7
6 1,2-헥산다이올 2 2 2 2 2
7 에탄올 50 50 50 50 50
8 정제수 22.1 22.6 22.3 21.3 22.1
9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 (50~250㎛) 2 2 2 2 2
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1 0.1 0.1 0.1 0.1
11 덱스판테놀 0.25 0.1 0.2 0.3 0.25
12 살리실릭애씨드 0.25 0.1 0.2 0.3 0.25
13 멘톨 0.3 0.1 0.2 0.4 0.3
14 징크피리치온 - - - 0.3 -
15 니코틴산아미드 - - - 0.3 -
16 병풀추출물 1 1 1 1 1
소 계 100 100 100 100 100
액정형성유무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없음
45℃ 안정성 (4주경과)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분리
1) 두피 피지 조절능 평가
임상시험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Aramo-TS (아람휴비스, 한국)를 전용 소프트 프로그램을 장착시킨 장비로 사용하였으며, 피부가 묻어 있는 것의 면적을 계산하여 개선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18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헤어 토너와 비교예 3의 헤어 토너의 두피 피지 조절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6과 같이 비교예 3은 2.3% 감소되는 것에 비해 실시예 1-18은 27.8% 피지가 탁월하게 감소되어 탈모개선용 토너로 사용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2) 두피 모공 크기 개선능 평가
임상시험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Aramo-TS (아람휴비스, 한국)의 200배 현미경을 장착시켜서 모공부위를 촬영하여 모공의 두께를 측정하여 그 지름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18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헤어 토너와 비교예 3의 헤어 토너의 두피 모공 크기 개선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7과 같이 비교예 3은 0.352±0.163mm인 것에 비해 실시예 1-18은 0.236±0.181mm로 모공의 지름이 약 32.9% 정도 더 작아져 비듬방지용 토너로 사용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두피에 매일 도포하면서 마사지하는 효과, 피부를 청결히 관리하는 효과와 함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피부를 자극함으로써 두피 혈류량이 증가하고 활력이 더해져 더욱 우수한 효과가 발휘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를 봉입한 조성물(에센스 제형)의 효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를 봉입하고, 여러 추출물을 함께 봉입한 조성물(에센스 제형)'(실시예 1-22 내지 실시예 1-25)에 대해 모발수 증가 개선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상기 실시예 1-3의 혼합계면활성제 대신 일반 계면활성제인 폴리솔베이트60을 사용한 비교예 4로 비교하였다. NeoPIT-MACA-20EOF는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 마카다미아오일 20%가 정제수와 혼합된 나노유화물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6과 같았다.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시료를 하루 2회씩(아침, 저녁) 머리 상단 가마가 있는 부근에 스프레이로 뿌려 도포하고 60일 경과 후에 두피의 모발수 측정을 통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22
함량
(wt%)
실시예
1-23
함량
(wt%)
실시예
1-24
함량
(wt%)
실시예
1-25
함량
(wt%)
비교예4
함량
(wt%)
1 [실시예1-3]의 혼합계면활성제 3 3 3 3 -
2 폴리솔베이트60 - - - - 3
3 2,3-부탄다이올 5 5 5 5 5
4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5
5 글리세롤 2 2 2 2 2
6 1,2-헥산다이올 1 1 1 1 1
7 투명잔탄검 0.3 0.3 0.3 0.3 0.3
8 에탄올 50 50 50 50 50
9 정제수 23.6 23.4 22.6 20.7 23.6
10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 (50~250㎛) 1 1.5 2 3 1
11 멘톨 0.3 0.2 0.3 0.5 0.3
12 덱스판테놀 0.25 0.1 0.1 0.1 0.25
13 살리실릭애씨드 0.25 0.1 0.3 0.5 0.25
14 비오틴 0.1 0.1 0.1 0.1 0.1
15 미녹시딜 0.1 0.1 0.2 0.5 0.1
16 작약추출물 0.1 0.2 0.1 0.3 0.1
17 NeoPIT-MACA-20EOF 7 7 7 7 7
18 수용성 동백오일 1 1 1 1 1
소 계 100 100 100 100 100
액정형성유무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형성됨 없음
45℃ 안정성 (4주경과)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분리
임상시험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Aramo-TS (아람휴비스, 한국)의 60배 현미경을 장착시켜서 두피 헤어가 있는 부위를 촬영하여 모발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22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헤어 에센스와 비교예 4의 헤어 에센스의 모발수 증가 개선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8과 같이 비교예 4는 원둘레 안에 있는 모발수가 111개/1cm2 이었는 반면, 실시예 1-22는 167개/1cm2 로 월등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여 탈모방지용 및 비듬방지용 에센스로 사용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녹시딜의 효능, 두피에 매일 도포하면서 마사지하는 효과, 피부를 청결히 관리하는 효과와 함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두피를 자극함으로써 모근의 신진대사를 증가하여 건강한 모공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육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를 봉입한 조성물(샴푸)의 효능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라멜라 액정에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를 봉입하고, 여러 추출물을 함께 봉입한 조성물(샴푸)'(실시예 1-26)에 대해 두피 모발 큐티클 개선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상기 실시예 1-3의 혼합계면활성제 대신 일반 계면활성제인 폴리솔베이트60을 사용한 비교예 5로 비교하였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았다.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시료를 하루 1회씩 아침에 머리에 샴푸를 사용하고 30일 경과 후에 두피의 모발 큐티클 개선능 측정을 통해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26
함량(wt%)
비교예5
함량(wt%)
1 [실시예1-3]의 혼합계면활성제 5 -
2 폴리솔베이트60 - 5
3 소듈라우릴설페이트 15 15
4 알루미늄라우레드설페이트 25 25
5 코카미드프로필베타인 3 3
6 TEA-글루타믹애씨드 1 1
7 폴리쿼터늄-10 0.5 0.5
8 2,3-부탄다이올 3 3
9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5 5
10 글리세롤 3 3
11 1,2-헥산다이올 2 2
12 에틸헥실글리세린 0.1 0.1
13 정제수 35.6 35.6
14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 (50~250㎛) 0.5 0.5
15 멘톨 0.3 0.3
16 덱스판테놀 0.25 0.25
17 살리실릭애씨드 0.25 0.25
18 비오틴 0.1 0.1
19 미녹시딜 0.1 0.1
20 작약추출물 0.3 0.3
소 계 100 100
임상시험에 사용된 측정기기는 Aramo-TS (아람휴비스, 한국)의 1000배 현미경을 장착시켜서 모발표면을 분석하였고 모발의 윤기와 광택도를 통해 모발 큐티클 개선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26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함유된 샴푸와 비교예 5의 샴푸의 모발 큐티클 개선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도 19와 같이 비교예 5는 약 5.8% 정도 큐티클이 개선된 것에 비해 실시예 1-26은 약 10.3% 큐티클이 개선되었고, 모발이 광택과 윤기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녹시딜, 비오틴 및 작약추출물의 효능, 두피에 매일 도포하면서 마사지하는 효과, 피부를 청결히 관리하는 효과와 함께,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가 두피를 자극함으로써 모근의 신진대사를 증가하여 건강한 모공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육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3)

  1.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에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넣어 1차 교반하는 단계 (a);
    상기 1차 교반 후, 하이드롤라이즈드(Hydrolyzed)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투입하고,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알란토인 및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을 추가로 투입하고 2차 교반하는 단계 (b);를 포함하여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을 제조하되,
    상기 알코올은,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이 4 : 4 : 2의 중량비로 조성된 알코올 혼합물을 사용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Sucrose Di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및 세라마이드 엔피(Ceramide NP)가 혼합된 혼합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며,
    상기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혼합물 10~40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3~10 중량부,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Sucrose Distearate) 40~4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5~12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2~7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엔피(Ceramide NP) 3~15 중량부로 혼합하며,
    상기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은 피부 재생 효과가 증진되어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 두피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제조방법.
  2. 유성성분, 수성성분, 하이드롤라이즈드(Hydrolyzed)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 중 하나 이상, 첨가제,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는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알란토인 및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알코올 및 계면활성제는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스테아릴알코올(Stearyl Alcohol), 베헤닐알코올(Behenyl Alcohol)이 4 : 4 : 2의 중량비로 조성된 알코올 혼합물 10~40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3~10 중량부, 수크로오스다이스테아레이트(Sucrose Distearate) 40~48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5~12 중량부,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2~7 중량부 및 세라마이드 엔피(Ceramide NP) 3~15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며,
    피부 재생 효과가 증진되어 피부 보습 효과,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및 두피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는,
    10~50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면 함유 라멜라 액정 유화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61811A 2020-05-22 2020-05-22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11A KR102203167B1 (ko) 2020-05-22 2020-05-22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11A KR102203167B1 (ko) 2020-05-22 2020-05-22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167B1 true KR102203167B1 (ko) 2021-01-14

Family

ID=7414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811A KR102203167B1 (ko) 2020-05-22 2020-05-22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7147A (zh) * 2023-06-02 2023-08-22 上海春之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舒缓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410A (ko) * 2014-11-28 2016-06-08 김형길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4260B1 (ko) * 2018-11-08 2019-05-30 정재우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을 포함하는 관절 또는 근육 통증 완화용 조성물
KR20200011322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410A (ko) * 2014-11-28 2016-06-08 김형길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관리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11322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마스크팩용 액정 유화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마스크팩
KR101984260B1 (ko) * 2018-11-08 2019-05-30 정재우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을 포함하는 관절 또는 근육 통증 완화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7147A (zh) * 2023-06-02 2023-08-22 上海春之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皮肤舒缓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1717B (zh) 化妆品的制造方法、化妆品用凝胶的制备方法及减少向化妆品原料中配入的高分子增稠剂的使用量的方法
KR102165565B1 (ko) 기미, 잡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904302A (zh) 一种富勒烯外用组合物
KR100955846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가지는 미용 조성물
CN108524479A (zh) 包含神经酰胺的皮肤外用组合物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9609A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20165A (ko) 연장된 보습 미용 조성물
KR102203167B1 (ko) 라멜라 액정상에 봉입된 하이드롤라이즈드 해면파우더 또는 해면파우더를 함유하여 빠른 피부 재생능과 피부 및 두피 개선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
CN110227039A (zh) 具有自发泡功能的化妆品组合物
JP6356457B2 (ja) セラミド配合外用剤組成物
JP6883723B2 (ja) リポソーム、リポソーム液及び化粧料、並びに上記リポソームを製造する方法
CN114306134A (zh) 一种温和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JP2017193506A (ja) 皮膚化粧料
FR3060379B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polymere d&#39;amps, de la montmorillonite, de la silice et du kaolin
BRPI0905182A2 (pt) composições estruturadas diluìdas que compreendem um álcool graxo ramificado
KR101062156B1 (ko) 황기종자 스크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061451A (ja) 天然保湿因子を利用して形成されたミセル複合体を含む化粧料組成物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化粧料組成物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8544A (ko) 알긴산 염 비드를 함유하는 스크럽 조성물
TWI704930B (zh) 一種深層清潔毛孔的套組及深層清潔毛孔的方法
KR20050098583A (ko)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