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583A -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583A
KR20050098583A KR1020040023856A KR20040023856A KR20050098583A KR 20050098583 A KR20050098583 A KR 20050098583A KR 1020040023856 A KR1020040023856 A KR 1020040023856A KR 20040023856 A KR20040023856 A KR 20040023856A KR 20050098583 A KR20050098583 A KR 20050098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kin
jade
cosmetic compositio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희경
김연준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40023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8583A/ko
Priority to JP2005108948A priority patent/JP2005298503A/ja
Publication of KR2005009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5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죽(Polygonatum Officinale)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방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생약재 중 보음의 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진 옥죽을 추출물이 아닌 생약파우더 형태 그대로 제형내 첨가함으로서, 일반적인 수용액 추출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 보다 많은 함량을 제형내 함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좀 더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gonatum Officinale powder for skin hydrating}
본 발명은 옥죽(Polygonatum Officinale)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막(Barrier)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피부는 수분의 건조를 막기 위하여 표피층에서 분화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으로 발달하게 된다. 각질층은 외부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피부 최외각층으로서 기계적, 화학적으로 유해한 성분의 침입을 방지하고, 생체 내보다 건조한 외부환경에서 내부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각질층 자신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여 유연성을 유지하고 있다.
피부 수분량은 진피에서는 70 %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각층인 각질층에서는 약 10-30 %가 된다. 각질층에 수분이 적당히 유지되어야 피부의 탄력이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피부는 약 30 % 정도의 수분이나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건강한 사람의 각질세포는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situring Factors, NMF)가 존재하여 피부 수분보유를 돕는다.
그러나, 피부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피부는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등과 세안, 면도, 겨울철 실내난방 등과 더불어 오염된 대기에 노출되고, 나이가 들어갈수록 노화라는 인자가 더해져서 피부는 쉽게 수분을 잃게되어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이를 막기 위해 피부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습을 목적으로 하는 물질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는데, 지금까지 알려진 피부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글리세롤, 글리세린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J. Invest. Dermatol., 5, pp731-740, 1994).
그러나, 근래 한방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면서 인체에 안전한 천연 생약재들로 부터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보음이라는 개념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개념을 현대적 시각에서 피부적으로 해석해 보면, 피부보습작용과 깊은 연관이 있다. 피부보습은 피부에 원하는 효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단계로서, 피부가 건조함에 따라 주름 등의 피부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방 생약 중 보음의 효과가 알려져 있는 것 중의 하나인 옥죽(Polygonatum Officinale)은 둥글레의 근경으로 약용하며, 생약의 이명(異名)은 지절(地節), 황지(黃地), 여위(女委) 등으로 불리운다. 옥죽의 기원식물인 둥글레는 다년생의 초본으로 이 식물의 근경인 옥죽은 가을 또는 이른 봄에 채취하여 줄기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응달에서 말리거나 아니면 수증기로 쪄서 햇볕에 말려서 약용한다. 이 옥죽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는 콘발라마린(convallamarin), 콘발라린(convallarin)등의 스테로이성 사포닌(steroidal saponin)과 다수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함유하여 강심작용,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 갈증완화작용, 항산화작용, 피부노화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양의학에서 이 약의 성질은 평(平)라고 감(甘)하며, 자양, 윤폐, 지갈(止渴) 등을 효능으로 하며, 허약체질, 번갈(煩渴), 당뇨병, 협심통 등에 탕제, 환제(丸劑) 또는 산제(散劑)로 하여 복용한다.
수옥죽 외에도 한방생약들의 효능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런 효능이 있는 생약물질은 화장품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생약재들을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그 한방생약의 효능을 실제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제형내 많은 함량의 옥죽을 포함하면서 사용이 간편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한 결과, 옥죽을 파우더로 제조시 기존의 옥죽 추출물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많은 함량을 제형내 첨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죽(Polygonatum Officinale)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여 많은 양을 제형내 첨가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죽 파우더는 전체 조성물 중 0.01 내지 30 중량 %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1 중량 % 이하의 농도에서는 옥죽 파우더에 의한 보습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0 중량 % 이상의 농도에서는 조성물 내 옥죽의 향이 너무 강하여 제품의 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옥죽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실제 파우더 형태가 아닌 추출물로 사용할 경우, 제형 내 첨가되는 함량은 제한이 있어서 파우더 만큼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10 % 추출물 용액을 사용할 경우, 추출물 원액을 사용한다 하여도 함유량은 10 % 이고, 예를 들어, 제형에 따라 이 10 % 추출물 용액을 10 % 첨가한다면 제형내 옥죽 함량은 1 %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옥죽을 파우더로 직접 제형내 첨가하게 되면, 더 많은 함량을 쉽게 첨가할 수 있어, 더 우수한 보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옥죽 파우더의 제조방법은 재배한 옥죽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볶은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볶은 옥죽을 잘게 분쇄하여 본 발명의 옥죽 파우더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방법으로 수득된 옥죽 파우더의 함량에 따른 보습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을 수행하여 에피더말 워터 로스(Trans Eepidermal Water Loss; TEWL)량을 측정한 결과, 옥죽 파우더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가 윤택해지고 보습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된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파우더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보습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서, 세라마이드, 글리세롤,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죽 파우더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제형으로써 용출물, 용출물의 건조분말을 그대로 도포하는 것이 적합하나, 통상의 외용의 제제 또는 화장료 형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를 위한 화장품, 세안제 및 샴푸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등과 같은 화장품류 와 샴퓨,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미용액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분무제 등과 같은 제형을 들 수 있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파우더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한 제제는 보습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 % 배합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옥죽 파우더의 제조방법
재배한 옥죽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볶은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볶은 옥죽을 잘게 분쇄하여 본 발명의 옥죽 파우더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옥죽 파우더의 농도별 보습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옥죽 파우더의 농도에 따른 피부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옥죽 파우더를 농도별로 각각 물에 분산시킨 후 수분증발 측정기(Evoporimeter, ServoMED사)로 트랜스 에피더말 워터 로스(Trans Epidermal Water Loss; 이하 TEWL이라 함)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정상적인 기니아피그(Guinea pig) 20 마리를 선정하여 등의 동일한 부위를 제모하고 임의의 여러 지점을 지정한 후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ly Sulfate; SLS)로 처리하여 피부조직에 상처를 유발한 후 옥죽 파우더를 각 농도별(0.01 %, 0.1 %, 1 %, 5 %, 10 %)로 상처부위에 도포한 다음 수분증발 측정기로 측정한 값을 읽어 초기값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4 일간 상처 부위에 동일한 농도의 옥죽 파우더를 도포한 다음 5 일째 되는 날 수분증발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읽었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옥죽 파우더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습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옥죽은 추출물 보다 파우더의 형태로 사용하여 파우더를 직접 제형 내 첨가할 경우, 더 많은 함량을 용이하게 첨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보다 우수한 보습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함량(%) TEWL(g/h qm) TEWL량 차(T1-T2)
SLS 처리 후(T1) 4일 후(T2)
0.01 % 22.6 22.0 0.6
0.1 % 21.7 17.8 3.9
1 % 22.5 14.5 8.0
5 % 21.3 9.5 11.8
10 % 22.1 8.7 13.4
실험예 2. 옥죽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의 피부 미용 효과
옥죽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료의 피부 미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제형예에서 제조한 화장료로 임상실험을 수행하였다.
2-1. 제형예 1(유화제형)의 피부 미용 효과
먼저 하기 표 2의 조성에서 각각의 유상과 수상은 70 ℃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 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크림제형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조한 하기 표 2의 제조예 1과 비교예 1의 유화제형의 화장료를 피부가 좋지 않은 20 내지 40세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제조예 1의 옥죽 파우더가 함유된 것은 왼쪽에, 비교예 1의 옥죽 파우더가 함유되지 않은 것은 오른쪽에 발라 5시간 후의 피부윤택 및 TEWL양을 측정하고 좋은 것을 선택하여 그 인원수를 계산하였다.
성분(함량 %) 실시예 1 비교예 1
비즈왁스 2 2
스테아릴알코올 5 5
스테아린산 8 8
스쿠알렌 10 1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3 3
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1 1
방부제, 항산화제 정량 정량
글리세린 4 4
프로필렌글리콜 8 8
트리에틸아민 1 1
소디윰폴리아크릴레이트 0.2 0.2
정제수 100 까지 100 까지
옥죽 파우더 5 -
2-2. 제형예 2(가용화 팩 제형)
먼저, 하기 표 3의 조성에서 수상은 70 ℃이상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40 ℃로 냉각 후 알코올상을 첨가하여 완전히 섞어서 가용화 팩 제형을 제조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조한 하기 표 3의 제조예 2 및 비교예 2의 필 오프(peel-off) 형태의 가용화 팩 제형의 화장료를 피부가 좋지 않은 20 내지 40세 여성 30명을 선정하여, 시험대상자의 얼굴에 30 분간 팩을 한 후 팩을 제거하고 5시간 후의 피부윤택 및 TEWL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7일간 반복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성분(함량 %) 제조예 2 비교예 2
정제수 100 까지 100 까지
글리세린 5 5
부틸렌글리콜 5 5
폴리비닐알코올 10 10
알코올 (95 %) 7 7
방부제, 항산화제 정량 정량
0.1 0.1
옥죽 파우더 5 -
2-3. 결과
상기 실험예 2-1 및 2-2의 실험 결과, 하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옥죽 파우더가 제형내 5 %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검자 70 %이상이 피부가 윤택해짐을 느꼈으며,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시 보습효과도 더 우수하였음을 TEWL량 차이로 확인할 수 있었다.
피부윤택 TEWL 량 (g/h qm) TEWL량 차(T1-T2)
무처리시(T1) 5시간 후(T2)
실시예 1 21 명 4.5 2.4 2.1
비교예 1 9 명 4.5 3.8 0.7
실시예 2 24 명 4.7 2.2 2.5
비교예 2 6 명 4.6 3.6 1
하기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제예를 더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비누 제조
실시예 1의 옥죽 파우더........................1~20 (%)
유지..........................................적당량
수산화나트륨..................................적당량
염화나트륨....................................적당량
향료..........................................소 량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비누를 제조하였다.
로션 제조
실시예 1의 옥죽 파우더..........................3.00 (%)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수용성 콜라겐(1 % 수용액).......................1.00
시트르산나트륨..................................0.10
시트르산........................................0.05
감초 엑기스.....................................0.20
1,3-부틸렌글리콜................................3.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에 의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크림 제조
실시예 1의 옥죽 파우더..........................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5.00
세틸알코올.......................................4.00
스쿠알렌.........................................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6.00
스핑고당지질.....................................1.00
1.3-부틸렌글리콜.................................7.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팩 제조
실시예 1의 옥죽 파우더..........................5.00(%)
폴리비닐알코올..................................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1.00
수용성 콜라겐(1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3.00
에탄올...........................................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팩을 제조하였다.
미용액 제조
실시예 1의 옥죽 파우더...........................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 수용액).............12.00
크산탄검(2 % 수용액)..............................2.00
1,3-부틸렌글리콜..................................6.00
진한 글리세린.....................................4.00
히알루론산나트륨(1 % 수용액)......................5.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옥죽 파우더는 제형 내 추출물 형태로 첨가하는 것보다 많은 함량을 첨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우수한 피부보습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Claims (3)

  1. 옥죽(Polygonatum Officinale)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죽 파우더는 전체조성물 중 0.01 내지 30 중량 %의 농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컵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취, 미용액, 클렌징 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워터, 비누, 분무제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23856A 2004-04-07 2004-04-07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8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56A KR20050098583A (ko) 2004-04-07 2004-04-07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108948A JP2005298503A (ja) 2004-04-07 2005-04-05 粉状化した玉竹を含む保湿性化粧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56A KR20050098583A (ko) 2004-04-07 2004-04-07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83A true KR20050098583A (ko) 2005-10-12

Family

ID=35330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856A KR20050098583A (ko) 2004-04-07 2004-04-07 옥죽 파우더를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298503A (ko)
KR (1) KR20050098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952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황정을 판별하기 위한 단일염기다형성을 갖는 유전자 마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324B1 (ko) * 2005-12-0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탈모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537292B1 (ko) * 2008-11-19 2015-07-16 (주)아모레퍼시픽 포제 처리된 작약, 옥죽 또는 백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11102275A (ja) * 2009-11-11 2011-05-26 Shiseido Co Ltd Tie2活性化剤、血管の成熟化、正常化又は安定化剤、リンパ管安定化剤並びにしわ防止・改善剤及びむくみ改善・予防剤
WO2012101741A1 (ja) * 2011-01-24 2012-08-02 株式会社資生堂 Tie2活性化剤、血管の成熟化、正常化又は安定化剤、リンパ管安定化剤並びにしわ防止・改善剤及びむくみ改善・予防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274B2 (ja) * 1989-12-21 1999-11-02 株式会社資生堂 肌荒れ防止改善剤
JP3862765B2 (ja) * 1994-04-11 2006-12-27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メラニン生成抑制物質
JPH09249576A (ja) * 1996-03-12 1997-09-22 Masahiro Tanaka 細胞活性培養促進液
JPH10175868A (ja) * 1996-10-18 1998-06-30 Dokutaazu Kosumeteikusu:Kk 津液改善組成物
JPH10182417A (ja) * 1996-11-11 1998-07-07 Masao Takita 皮膚外用剤
JP2001106618A (ja) * 1999-10-04 2001-04-17 Masao Takita 美白性皮膚外用剤
JP2002348246A (ja) * 2001-05-23 2002-12-04 Shiro Matsuda 漢方生薬の粉末剤の製造方法
JP3974003B2 (ja) * 2002-09-02 2007-09-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育毛素材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5112793A (ja) * 2003-10-08 2005-04-28 Norihide Yamaguchi 美白化粧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952A (ko)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황정을 판별하기 위한 단일염기다형성을 갖는 유전자 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98503A (ja)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8534B2 (ja) ピキア・アノマーラ及びチコリ根抽出物を含む局所用組成物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8101214B2 (en)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complex of herbal extracts
KR100767974B1 (ko)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CN109106677B (zh) 一种具有美白功能的组合物及其应用
CN110691630A (zh) 红毛丹果皮提取物在皮肤和/或粘膜保湿中的用途
US20140106009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kin
JP2001039848A (ja) 皮膚外用剤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45451A (ko) 드래곤블러드수지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3140B1 (ko)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140227204A1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CN106333886B (zh) 一种具有保湿和美白亮肤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CN112236201B (zh) 红木(bixa orellana)提取物的用途
CN109771326B (zh) 一种用于美白修护面膜的组合物
JP2005298503A (ja) 粉状化した玉竹を含む保湿性化粧料組成物
KR20070008831A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