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982A -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982A
KR20160114982A KR1020150041562A KR20150041562A KR20160114982A KR 20160114982 A KR20160114982 A KR 20160114982A KR 1020150041562 A KR1020150041562 A KR 1020150041562A KR 20150041562 A KR20150041562 A KR 20150041562A KR 20160114982 A KR20160114982 A KR 20160114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ample
composition
protein polysaccharide
externa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413B1 (ko
Inventor
이지언
한정희
이근하
이정민
권순상
Original Assignee
(주)모아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캠 filed Critical (주)모아캠
Priority to KR102015004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41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3/00Compounds containing only hydrogen atoms and saccharide radicals hav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atoms
    • C07H3/02Mono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PROTEIN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OCIMUM BASILICUM SEED,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 (intrinsic aging)와 광노화 (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즉,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collagen),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엘라스틴 (elastin), proteoglycan, fibronectin등이 절단되어 심한 과다 염증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중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화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프리라디칼 뿐만 아니라 MMP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까지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단순히 효소 활성만을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세포 내 자연노화와 광노화에 의해 그 발현이 유도되는 MMP 발현 양 및 활성을 조절하고자 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피부건조, 습진등으로 표현되는데, 아토피성 피부염은 다수의 요인에 의하여 기인한다. 아토피 피부염 악화에 관련하는 여러 외적 환경요인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증거로 혈중 IgE의 증가, IL-4와 IL-5의 증가, INF-r등이 있으며 피부적인 이상은 표피 내 수분함량이 저하되고 자연보습인자의 성분이 감소되고 경피수분손실량이 증가되고 있다.
한편, 바질 (Ocimum basilicum)이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열대 아시아 지역 원산이다. 높이 20∼70cm이고 줄기는 사각형이며 부드러운 털이 나 있다. 잎은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 톱니가 있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마주나며 길이 5∼10cm이고 향기가 강하다. 꽃은 여름에 원줄기의 윗부분에서 이삭 형태로 층층이 달리지만 돌려나고 입술처럼 생기며 자줏빛을 띤 흰색이다. 포는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은 관 모양이며 수술은 4개이나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매우 작고 검은색이며 물기가 있으면 우무 모양의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눈에 든 티를 씻어내는 데 이용된다. 뿌리는 가늘고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식하기 좋고 4∼5월에 파종하여 6월에 이식한다. 잎이나 줄기는 말려서 요리의 향신료로 쓰이고 방향유(芳香油)는 음료나 비누의 향기를 내는 데 이용한다. 오시멘(ocimene), 알파피넨(α-pinene)의 성분이 있고 진해(鎭咳), 해열, 해독, 설사, 변비, 월경불순 등의 약재로도 사용한다. 동남아시아·유럽·아메리카·일본 등 세계 각지에서 재배하며, 온난한 지역에서는 야생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1784호에서는 바질 등의 정유를 포함하는 항비듬균제를 개시한 바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10-0478139, 옥시멈 바질리컴 등을 포함하는 살충성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바질의 씨앗에서 추출한 천연 단백 다당체나 이러한 단백 다당체의 구체적인 활성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21784호 (2005.10.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139호 (2005.03.21)
본 발명은 항노화 효과, 보습 효과, 피부 주름 억제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광노화 억제 효과 및 미백 효과을 가지는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바질 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질 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는,
(a) 바질 시드를 수용액에 침지하는 침지 단계;
(b) 상기 바질 시드의 침지액에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분리하는 결정(結晶)단계; 및
(c) 분리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여과 단계; 를 포함하는 단백 다당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백 다당체, 우수한 항노화 효과, 보습 효과, 피부 주름 억제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광노화 억제 효과 및 미백 효과을 가지는 단백 다당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제조예 1에서 바질 시드를 침지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질 (basil, Ocimum basilicum)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질 시드 (basil seed)는 상기 바질의 종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바질 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는,
(a) 바질 시드를 수용액에 침지하는 침지 단계;
(b) 상기 바질 시드의 침지액에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분리하는 결정(結晶)단계; 및
(c) 분리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여과 단계; 를 포함하는 단백 다당체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추출된 단백 다당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a) 침지 단계는 상기 바질 시드를 상기 수용액에 30 분 내지 5 시간 동안 침지하는 것이다. 상기 바질 시드를 상기 수용액에 30 분 미만 침지하는 경우, 유효 농도 이상의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수득할 수 없으며, 5 시간 이하 침지하는 경우,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의 회합 등으로 인하여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의 수득이 원활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결정 단계는 높은 분자량을 갖는 바질 시드의 구성 물질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을 갖는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b) 결정 단계는 상기 바질 시드의 침지액을 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b) 결정 단계는 상기 바질 시드의 침지액에 조분리 물질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분리 물질은 글라스 비드(glass bead), 실리카 비드(silica bead), 해사(sea sand) 등 입자 충돌을 이용하여, 상기 바질 시드에서 단백 다당체층의 분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 여과 단계는 메쉬 단위 50 내지 100 인 여과체를 이용하여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여과체의 메쉬 단위가 50 미만인 경우, 여과 능력의 측면에서 필터 효율이 저하되며, 메쉬 단위가 100 이하인 경우, 공극이 커지기 때문에 여과 속도의 측면에서 필터효율이 저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시 (mesh) 단위는 1인치 길이에 들어가는 여과 구멍의 개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 여과 단계는 여과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침전시키는 (c1) 침전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c1) 침전 단계는 상기 여과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에 유기용매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c) 여과 단계는 여과 또는 침전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농축시키는 (c2) 농축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c2) 농축 단계는 상기 여과 또는 침전된 바질 시드를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한 건조, 동결 건조에 의한 건조, 드라이 오븐에 의한 건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백 다당체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1,500,000 Da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백 다당체는 자일로스 (Xylose), 아라비노오스 (Arabinose), 람노스 (Rhamnose) 및 갈락투론산 (Galacturo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백 다당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백 다당체는 갈락토오스 (Glactose), 글루코오스 (Glucose) 또는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단백 다당체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백 다당체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백 다당체의 함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산화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보습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억제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광노화 억제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미백용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수중유(O/W) 제형, 유중수(W/O) 제형,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바질 시드를 3차 증류수에 3 %중량으로 가하여 1시간 동안 도 1과 같이 침지시켰다. 침지된 바질 시드와 조분리 물질인 글라스 비드 (GHM-30, B&K Media, KOREA에서 제조)를 넣고 함께 넣고 호모디스퍼 (homo-disper, Primix, JPN)를 이용하여 3,000rpm, 20℃, 조건으로 1시간 동안 전 분산 한다. 그 후 80 mesh, 100 mesh 표준체를 이용하여 찌꺼기 및 불순물을 거르고 남은 점액성 콜로이드 수용액을 상등 점액성 콜로이드 수용액에 4배(v/v)의 에탄올을 넣고 0℃ 저온에서 12시간 침전시킨 후 상등 혹은 침전된 폴리머를 회수하여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1"라 한다.
[시험예 1] 바질시드 단백다당체의 성분 분석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의 단백질 함량, 당 함량, 구성 당 성분, 분자량 측정, FT-IR을 이용한 폴리머 동정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1) 단백질 함량 측정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총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BCA Assay법을 수행하였다.
BCA Assay는 단백질이 구리 이온(Cu2 +, Cu1 +)을 환원 (Reduction) 시킬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단백질에 의해 환원된 구리 이온은 BCA용액과 반응을 해서 보라빛의 화합물(Cu+/BCA chromophore)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보랏빛 화합물은 특정 파장 562 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인다. 따라서 단백질의 양이 많을수록 보랏빛 화합물(Cu+/BCA chromophore)이 더 많이 생기며 562nm에서의 흡광도가 증가함을 이용, 단백질의 양을 측정한다. 실험방법은 하기과 같다.
우선 micro BCA protein assay reagent kit (Pierce, cat. no. 23227)를 이용, 각 96 microplate well에 표준액 150 μl 및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를 1%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시킨 용액 150 μl를 각각 넣은 후 bicinchoninic acid(BCA) kit WR(Working Reagent) 시약을 첨가하여 30초간 볼텍싱 (voltexing)하였다. 그 후 37 ℃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반응 시킨 후 microplate reader (UVT-06685, Thermo max, USA에서 제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단백질 정량을 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1)의 단백질 함량은 4.03 %로 확인되었다.
또한, 당 함량 측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바질시드 단백다당체의 총 당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페놀-설페이트 (Phenol-sulfate)법을 수행하였다. 페놀-설페이트법은 환원당을 진한 황산으로 처리하면 탈수되어 퍼퓨랄 (furfural) 또는 그 유도체가 형성되는데 이 유도체의 흡광도를 49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는 방법으로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를 1% 농도로 증류수에 희석시킨 용액 0.5 ml에 5 % 페놀 (phenol)을 0.5 ml 가한 후 황산 2.5 ml 를 강하게 넣는다. 그 후 vortex mixer를 사용, 30초간 볼텍싱 후 25 ℃의 온도에서 20분간에 방치하고 microplate reader(UVT-06685, Thermo max, USA에서 제조)를 이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검량선을 작성하고 총당량 정량을 하였다. 검량 표준선은 Sigma, USA 사의 Glucose standard를 사용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른 측정 결과 결과와 같이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의 당 함량은 95.13 %로 확인되었다.
2) 구성 당 및 그 함량 측정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의 2.5 mg을 1 ml의 3차 증류수에 용해한 후 trifluoroacetic acid (TFA)를 이용하여 가수 분해 (hydrolysis)시켰다.
그 후, CarboPacTM PA1 컬럼과 Bio LC (HPAEC-PAD system, Dionex, USA에서 제조)를 이용하여 18mM NaOH 단일용매 기울기로 분석하였으며, 유속은 1 ml/min로 표준물질 1 mM 혼합물 (Fucose,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Mannose, Xylose, Fructose, Galacturonic acid)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성분 당을 확인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Mole%
Galacturonic acid Xylose Arabinose Rhamnose Galactose Glucose Glucuronic acid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35 26 12 15 5 2 5
상기 결과와 같이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구성당은 주로 산성다당체가 많았으며, 주 성분은 Galacturonic acid, Xylose, Arabinose, Rhamnose이며, Glactose, Glucose, Glucuronic acid도 소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분자량의 측정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pL aquagel OH-30, 40, 50 (7.5 X 300 mm, VARIAN, USA) 컬럼과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GPC, Agilent, USA에서 제조), ELSD 검출기(ELSD 3300, Alltech, USA에서 제조)를 이용하여, 이동상 DeIonized Water, 컬럼 온도 25 ℃, 분당 0.7 ㎖ 유속, 검출기 온도 50℃, 질소가스 유속 1.4 L/min의 조건으로 검출하였으며, 표준물질로 각 분자량 별 PEG (PolyEthyleneGlycol)를 사용하여 시료의 컬럼 내 지연시간에 따른 분자량의 검량선을 작성하여,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분자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폴리머(시료 1)의 분자량 범위는 10,000에서 1,500,000 Da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음으로 밝혀졌으며, 1,500,000 Da 이상의 거대분자도 소량 포함되어 있었다. 분자량 분포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은 하기 표 2와 같이 약 530,000 Da 으로 밝혀졌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검량곡선식 R2 value Mn(Da)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y=-0.289x + 9.068 0.992 530,000
4) FT-IR을 이용한 단백다당체 구조 측정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의 검증을 위해 분광학적 분석법인 FT-IR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백질의 기본구조인 펩타이드의 아미노카보닐(C=O)기와 당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OH)기의 확인을 각각 3450 cm- 1와 1650 cm-1에서 확인함으로 단백다당체임을 검정하였다. 그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의 0.001 g을 KBr (Potassium bromide, FT-IR grade, Sigma) 0.5 g과 함께 막자사발로 고르게 분쇄하였다. 그 후 소량을 펠렛 (Pellet) 주형에 넣고 유압기를 사용하여 펠렛을 만들었다. 이러한 펠렛을 FT-IR (Varian 640-IR, Varian, USA에서)을 이용하여 적외선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3300 내지 3400 cm-1에서 당고리의 전형적인 O-H의 stretching 흡수피크가 수소결합에 의해 이동되어 나타났고, 2900 cm-1 부근에서 C-H 스트레칭 (stretching) 진동이 일어나고, 1600 cm-1 부근에서 단백질의 기본구조인 펩타이드의 아미노카보닐(C=O)기가 확인되었으며, 1000 내지 1100 cm-1에서는 C-H와 C=O 벤딩 (bending) 진동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은 단백다당체 구조임을 검정하였다.
[시험예 2] 바질시드 단백다당체의 항산화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상기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에 대한 피부 노화개선 효과 검정시험으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소거시험과 활성산소소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은 안정한 DPPH의 흡광도가 540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는 것을 이용, 자유라디칼인 DPPH가 시료에 의해 소거되어 보라색에서 투명한 색이 될수록 즉,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증가될수록 상기 540nm파장에서 흡광도가 줄어들게 됨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검정시험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먼저 0.1 mM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DPPH, Sigma에서 제조) 용액 1 mL에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을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1 mL를 혼합하고, 37℃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microplate reader(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540nm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DPPH 1 ml과 메탄올 1 ml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1 ml과 시료 1 ml을 넣어 시료 1과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소거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1]
자유라디칼소거율(%) = 100 - ((시료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활성산소소거시험은 잔틴/잔틴옥시데이즈(xanthine/xanthine oxidase, Sigma)의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을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NBT)의 산화를 이용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활성 산소의 소거능을 알 수 있다.
Na2CO3 2.4 mL, 잔틴 (xanthine, Sigma에서 제조) 0.1 mL, EDTA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0.1 mL, BSA (bovine serum albumin, Sigma에서 제조) 0.1 mL, NBT 0.1 mL 및 시료 0.1 mL을 넣고 볼텍스 미터 (vortex mixer, Type 37600 Mixer, Mini mix, USA에서 제조)를 이용하여 볼텍싱 후 25 ℃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잔틴 옥시다아제 (xanthine oxidase) 0.1 mL을 넣고 25 ℃ 20분간 반응시킨 후, 6 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 microplate reader (UVT-06685, Thermo max, USA에서 제조)를 이용하여 540 nm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산소소거활성시험에서의 대조군으로 상기 시료 1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잔틴 옥시다아제 용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추출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수학식 2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5에서, IC50은 활성산소를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활성이 강함을 의미한다.
[수학식 2]
활성산소소거율(%) = 100 - ((시료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이며,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시험을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자유라디칼소거율,
SC50(ppm, μg/mL)
활성산소소거율,
IC50(ppm, μg/mL)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100 120
BHT 125 154
상기 표 3의 결과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는 강력한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하여 더 좋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으며, 자유라디칼 소거율 50%의 농도는 100 ppm, 활성산소소거율 50% 농도는 120 ppm으로 미량의 농도에서 항산화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바질시드 단백다당체의 보습효과 측정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보습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보습효과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과 결과는 하기와 같다.
보습효과의 측정은 유수분측정기(WSK-P500U, Inforward. Inc, Japan에서 제조)를 이용한 커패시턴스 측정법을 사용하고, 20-3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시작 직전에 전박 굴측면을 항온항습실 (22℃, 상대습도 40 내지 60%)에서 20분동안 적응하게 하여 피부의 수분 자체를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 다음, 상기 유수분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시료 도포부위의 초기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후, 시료를 도포하였다. 시료의 도포는, 2.0 mg/cm2를 전박 굴측면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검자마다 도포하는 시료의 위치를 달리하면서 도포하였다.
도포 10분, 30분, 50분, 90분, 120분에서 시간별로 피부 수분량을 1차 측정하고, 2시간 후에 다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부위를 3번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피부 수분량을 계산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의 1 % 수용액과 여러 연구결과에서 피부보습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히아루론산 (Hyaluronic acid sodium salt, Sigma에서 제조) 1% 수용액이다.
시료 1 및 히아루론산의 피부 수분량 측정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에서 수분량의 단위인 A.U.는 WSK-P500U에서 측정된 수분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시료 도포후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량(A.U)
10분경과 30분경과 50분경과 90분경과 120분경과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62.45 61.90 59.43 58.41 55.31
1 % 히아루론산 61.31 58.24 57.21 55.87 52.11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1% 수용액은 현재 보습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히아루론산의 1% 수용액과 비교하여 보습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바질시드 단백다당체의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 측정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피부주름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시험 (elastase inhibition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틴은 피부 진피 내 매트릭스 (matrix)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엘라스틴이 분해되고 진피 내 매트릭스층이 무너지며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엘라스틴 (elastin)을 분해하는 효소인 엘라스테이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엘라스테이즈 기질인 N-석시닐-(Ala)3 p-니트로아닐린 (N-succinyl-(Ala)3 p-nitroaniline, Sigma)을 이용하여 p-니트로아닐린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40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엘라스테이즈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완충액은 pH 8.0, 0.267 M Trizma-HCl (Sigma), 기질액은 8.8 mM N-Succinyl-(Ala)3 p-nitroaniline, 효소액은 돼지췌장 엘라스테이즈를 10 μg/mL (Sigma)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완충액 60 μL, 기질액 20 uL와 상기 시료 각각을 농도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한 시료액 100 μL를 섞은 후, 효소액 20 μL를 넣어 25℃ 항온수조에서 15분간 반응시켜 p-니트로아닐린의 생성량을 microplate reader(UVT-06685, Thermo max, USA)를 사용하여 파장 405nm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엘라스테이즈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를 설정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과,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효과를 판단하기 위하여, 현재 주름개선 기능성 원료로 효과가 뛰어다고 알려진 레티놀 (Retinal, Sigma Aldrich사에서 제조), 및 엘라스테이즈의 특이 저해제인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 Sigma)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시험에 따른 측정 결과를,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엘라스테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서 IC50은 엘라스테이즈 활성을 50% 저해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저해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3]
엘라스테이즈활성저해율(%) = 100 - ((시료의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시료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율,
IC50(mg/mL)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1.30
레티놀 1.20
PMSF 0.07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율은 1.30 mg/mL로 엘라스타아제 특이 저해제인 PMSF 0.07 mg/mL 보다는 낮았지만 레티놀과 비슷할 정도로 주름개선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자외선 조사 후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폴리머에 의한 MMP-1 발현억제 평가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UV 조사 및 시료 첨가 후 MMP-1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효소면역분석법(ELISA)를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UVA를 5 J/㎠의 에너지로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다. UVA 방출량은 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UVA가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 한 후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의 0.1% 농도를 처리한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에 코팅하였다. 일차항체(MMP-1 (Ab-5) 단일클론항체와 MMP-2(Ab-3) 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 ℃에서 60분 반응시킨다. 이차항체인 안티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1 mg/mL ρ-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시에 발현이 유도되는 MMP-1에 대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은 35%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레티놀의 억제율 보다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6].
시료 처리농도(%) MMP-1 발현억제율(%)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0.1 35
[시험예 6] 자외선조사에 의한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세포독성 완화 효과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의 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과 같이 실험을 실시 하였다.
섬유아세포 (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1x105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 μL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 B(UVB) 램프 (Model : F15T8, UV B 15W, Sankyo Dennki, Japan에서 제조)를 이용하여 자외선 10 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 (DMEM에 10 % FBS가 첨가된 것) 1 ㎖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를 0.1%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나면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세포배양 배지 500 ㎕ 배지와 MTT 용액(2.5 ㎎/㎖) 60 ㎕를 넣은 후 2시간동안 37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이소프로판올-HCl(0.04 N)을 500 ㎕씩 넣어주었다. 5분간 진탕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상등액 100 ㎕씩을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옮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565 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4에 의해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고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은 수학식 5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수학식 4]
세포생존율(%) =[(St-Bo)/(Bt-Bo)] X 100
Bo: 세포배양배지 만을 발색 반응한 웰의 565 nm 흡광도
Bt: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을 발색 반응한 웰의 565 nm 흡광도
St: 시료를 처리한 웰을 발색 반응한 웰의 565 nm 흡광도
[수학식 5]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 =〔1-(S't-Bo)/(B't-B'o)〕X 100
B'o: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세포 생존율
B'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세포생존율
S'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세포생존율
실험결과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은 자외선에 의한 세포 독성을 0.1 % 농도에서 42 %의 세포독성을 완화하여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7].
시료 처리농도(%) 세포독성 완화율(%)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0.1 42
[시험예 7] 자외선 조사에 의한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의 표피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x104개씩 넣고 24시간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 ㎕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B(UVB) 램프 (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10 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DMEM에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 350 ㎕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를 0.1% 농도로 처리한 후 5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50 ㎕ 취하여 IL-1α를 정량함으로써,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억제효과를 판단하였다.
IL-1α의 양은 효소면역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IL-1α의 생성율은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계산하였다.
[수학식 6]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1-(S"t-Bo)/(B"t-B"o)]X 100
B"o :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생성량
B"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생성량
S"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IL-1α생성량
실험결과, 실시예 1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는 자외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α의 생성을 0.1 % 농도에서 32 %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염증 발생을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다 [표 8].
시료 처리농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0.1 32.0
[시험예 8]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시험
본 발명의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의 미백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기능이 억제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는 생체내에서 타이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멜라닌이란 흑색의 고분자로서 생체내에서 상기와 같은 산화에 의해 멜라닌이 형성되어 피부 상층부로 이동하게 되면 피부가 검게 변하고 기미, 주근깨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미백효과를 검정하는 방법 (Pomerantz S. H., J. Biochem., 24:161-168, 1966)을 응용해 판정하였다.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제조예 1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 1 0.9 mL, 0.1 M 인산완충액 (pH 6.8) 1.0 mL 및 1.5 mM L-타이로신 용액 1.0 mL을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유지시켰다. 머쉬룸타이로시네이즈(1,500 units/mL) 0.1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Smartspec Plus, Biorad, USA)를 사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은 경우로 설정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그리고 여러 연구결과에서 미백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알부틴 (arbutin, Arbutin synthetic, Sigma)을 비교하였고, 하기 수학식 7을 이용하여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9에서, IC50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저해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7]
타이로시네이즈저해율(%) = 100 - ((시료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x 100)
시료 Tyrosinase 활성저해율,
IC50(mg/mL)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0.03
알부틴 0.03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는 현재 미백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알부틴과 비교하여 미백효과가 거의 비슷할 정도로 뛰어난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며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5.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3.00
3 PEG 1500 1.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에탄올 10.00
9 옥틱도데세스-16 0.20
10 폴리솔베이트 20 0.20
11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시료 1) 5.0
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3 증류수 잔량
[제형예 2] 수렴화장수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2.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2.00
3 알란토인 0.10
4 DL-판테놀 0.30
5 EDTA-2Na 0.02
6 벤조페논-9 0.04
7 에탄올 15.00
8 폴리솔베이트 20 0.20
9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3.0
10 구연산 미량
11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2 증류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화장수
번호 성 분 함량(%)
1 세테아릴 알코올 1.0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0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0
6 스쿠알란 4.00
7 샤플라워오일 4.00
8 부틸렌글라이콜 4.00
9 글리세린 4.00
10 카보머 0.10
11 트리에탄올아민 0.10
12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제형예 4] 에센스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10.00
2 베타인 5.00
3 PEG 1500 2.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0
9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0
10 트리에탄올아민 0.18
11 옥틸도데칸올 0.30
12 옥틸도데세스-16 0.40
13 에탄올 6.00
14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5.00
15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6 증류수 잔량
[제형예 5] 팩
번호 성 분 함량(%)
1 폴리비닐 알코올 15.00
2 셀룰로오스 검 0.15
3 글리세린 3.00
4 PEG 1500 2.00
5 시이크데스트린 0.15
6 DL-판테놀 0.30
7 알란토인 0.10
8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20
9 니코틴 아미드 0.40
10 에탄올 5.00
11 PEG 40 경화피마자유 0.30
12 바질시드 단백다당체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Claims (12)

  1. 바질 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 다당체는 자일로스, 아라비노오스, 람노스 및 갈락투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 다당체.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단백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 다당체의 함량은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상처 치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산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주름 억제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광노화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미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12. (a) 바질 시드를 수용액에 침지하는 침지 단계;
    (b) 상기 바질 시드의 침지액에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분리하는 결정(結晶) 단계; 및
    (c) 분리된 바질 시드의 단백 다당체층을 여과 단계; 를 포함하는 단백 다당체의 제조방법.
KR1020150041562A 2015-03-25 2015-03-25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562A KR101751413B1 (ko) 2015-03-25 2015-03-25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562A KR101751413B1 (ko) 2015-03-25 2015-03-25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982A true KR20160114982A (ko) 2016-10-06
KR101751413B1 KR101751413B1 (ko) 2017-06-28

Family

ID=5716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562A KR101751413B1 (ko) 2015-03-25 2015-03-25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1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7916A (zh) * 2017-01-19 2017-05-31 山东中医药大学 罗勒多糖提取物在制备治疗肺纤维化药物中的应用
KR102085513B1 (ko) * 2019-02-11 2020-03-05 주식회사 래디안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39B1 (ko) 2004-05-31 2005-03-2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모기, 개미, 진드기, 바퀴벌레 및 저장물 해충에 대한살충성 조성물
KR100521784B1 (ko) 2002-07-23 2005-10-14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76030A1 (en) 2011-04-29 2012-11-01 Garden Art Innovations, Llc Cosmetic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84B1 (ko) 2002-07-23 2005-10-14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KR100478139B1 (ko) 2004-05-31 2005-03-21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모기, 개미, 진드기, 바퀴벌레 및 저장물 해충에 대한살충성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7916A (zh) * 2017-01-19 2017-05-31 山东中医药大学 罗勒多糖提取物在制备治疗肺纤维化药物中的应用
CN106727916B (zh) * 2017-01-19 2020-02-07 山东中医药大学 罗勒多糖提取物在制备治疗肺纤维化药物中的应用
KR102085513B1 (ko) * 2019-02-11 2020-03-05 주식회사 래디안 바질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1413B1 (ko)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4114B1 (ko) 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74115B1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1413B1 (ko)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7020B1 (ko) 무환자 열매로부터 고순도 사포닌을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4795B1 (ko) 초음파 병행 저온 압착법으로 추출된 흰목이버섯과 참마 혼합추출물이 포접된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7202B1 (ko) 홍삼 다당체 또는 홍삼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146246A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27113B1 (ko) 해송의 송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61848B1 (ko) 둥근마 유래의 뮤신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206B1 (ko) 적양파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적양파 흑효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29B1 (ko) 구주소나무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58186B1 (ko) 여우구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16267B1 (ko) 천상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2123B1 (ko) 갈산 및 당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미 추출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4203B1 (ko) 해양식물 유래 뮤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5B1 (ko) 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