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479B1 - 하지 은폐 도료 및 도장물 - Google Patents

하지 은폐 도료 및 도장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479B1
KR101864479B1 KR1020157030648A KR20157030648A KR101864479B1 KR 101864479 B1 KR101864479 B1 KR 101864479B1 KR 1020157030648 A KR1020157030648 A KR 1020157030648A KR 20157030648 A KR20157030648 A KR 20157030648A KR 101864479 B1 KR101864479 B1 KR 10186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 pigment
compound
base material
flake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465A (ko
Inventor
가츠노부 구보
Original Assignee
도요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알루미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81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81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 C09C1/0084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containing 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62Metallic pigments or fillers
    • C09C1/64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8Treatment with low-molecular-weight non-polyme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8Paints containing free metal not provided for above in groups C09D5/00 - C09D5/3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2L* (lightness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12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62Metallic pigments or fillers
    • C09C1/64Aluminium
    • C09C1/648Aluminium treated with inorganic and organic, e.g. polymer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복합 백색 안료와 수지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그 복합 백색 안료는, 플레이크상 기재와 그 표면에 부착된 제 1 백색 안료를 함유하고, 그 플레이크상 기재는, 금속, 금속으로 피복된 재료, 및 탄소 재료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그 제 1 백색 안료는,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지 은폐 도료 및 도장물 {SUBSURFACE CONCEALING PAINT AND PAINTED OBJECT}
본 발명은 하지 (下地) 은폐 도료 및 그것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체 (基體) 나 하도 도포막을 은폐하기 위해서, 안료로서 산화티탄만을 사용한 하지 도료를 그것들 위에 도장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 하지 도료를 사용한 경우, 산화티탄의 은폐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그 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지 도료의 도포막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대응해 왔다.
한편, 최근에는 비용 다운이나 VOC 대책으로서 도포막을 얇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164358호 (특허문헌 1)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37677호 (특허문헌 2) 는, 상기와 같은 하지 도료에 있어서, 그 은폐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 산화티탄에 더하여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배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서도 은폐력은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고, 추가적인 은폐력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16435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376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은폐력이 우수한 하지 (下地) 은폐 도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종래의 하지 도료와 같이 산화티탄과 알루미늄 플레이크를 각각 배합한 도료에서는, 그 배합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수단에 따라서는 은폐력의 향상에 한계가 있는 것이 분명해져, 이 때문에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더욱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복합 백색 안료와 수지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그 복합 백색 안료는, 플레이크상 기재와 그 표면에 부착된 제 1 백색 안료를 함유하고, 그 플레이크상 기재는, 금속, 금속으로 피복된 재료, 및 탄소 재료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그 제 1 백색 안료는,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백색 안료는,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공존하에서 그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그 제 1 화합물은,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그 제 2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제 1 화합물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이고, 그 제 2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 제 1 화합물은,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을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 또는,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과 아크릴산을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이고, 그 제 2 화합물은, 에틸렌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 메틸렌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지환식 디아민, 지환식 트리아민, 지환식 테트라아민, 및 지환식 다가 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아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플레이크상 기재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제 1 백색 안료는, TiO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그 하지 은폐 도료는, 상기 복합 백색 안료 이외에 추가로 제 2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에도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은폐력이 우수하다는 매우 유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 은폐 도료>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복합 백색 안료와 수지를 함유한다. 복합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것은, 당해 하지 은폐 도료가 백색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을 기대한 것이고, 그 위에 도장되는 상도층 (上塗層) 에 대한 색채적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이 목적으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복합 백색 안료의 「백색」및, 후술하는 제 1 백색 안료 및 제 2 백색 안료의 「백색」이란, 어디까지나 개념적인 것으로서, 담회색, 담청색, 담황색 등, 엷은 색의 색채를 갖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이하와 같이 다른 착색 안료를 함유함으로써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복합 백색 안료와 수지의 양자를 포함하는 한, 다른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안료 분산제, 소포제, 침강 방지제, 경화 촉매 등의 첨가제, 다른 착색 안료, 및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지 은폐 도료에 있어서, 복합 백색 안료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50 ∼ 20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 140 질량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복합 백색 안료의 함유량이 50 질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은폐력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고, 200 질량부를 초과해도 효과에 변화가 없다.
또,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그것들 다른 성분은,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는 한 임의의 함유량으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기체 또는 그 표면에 도장된 하지층을 은폐하기 위해서 도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체에 직접 또는 근접하여 도장되는 것으로서, 통상, 이 하지 은폐 도료층 위에 1 층 또는 복수의 상도층이 형성되어 최종의 도장물이 구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0 % 가 되는 경우에, 하지(상기에서 말하는 기체 또는 하지층) 가 은폐된 것으로 한다. 단, 용도에 따라서는 반드시 가시광선 투과율이 0 % 가 될 필요는 없다.
<복합 백색 안료>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에 함유되는 복합 백색 안료는, 플레이크상 기재와 그 표면에 부착된 제 1 백색 안료를 함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종래의 하지 도료와 같이 플레이크상 기재와 제 1 백색 안료를 각각 함유한 것이 아니라,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구성의 복합 백색 안료를 함유함으로써, 비약적으로 은폐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백색도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 백색 안료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플레이크상 기재가 갖는 은폐력과 제 1 백색 안료가 구비하는 백색도가 상승적으로 작용하여, 높은 은폐력과 백색도가 고도로 양립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복합 백색 안료에 있어서, 제 1 백색 안료는, 플레이크상 기재 100 질량부에 대해, 1 ∼ 20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0 질량부의 양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 1 백색 안료의 부착량은, 플레이크상 기재의 비표면적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그 부착량이 1 질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복합 백색 안료에 대해 충분한 백색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 그 부착량이 200 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증점되는 등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이와 같은 복합 백색 안료는, 1 ∼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20 ㎛ 의 평균 입자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이 1 ㎛ 미만인 경우, 제조 공정에 있어서 증점되는 등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평균 입자경이 100 ㎛ 를 초과하면, 도포막 표면의 평활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자동차용의 하지 은폐 도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균 입자경이 20 ㎛ 이하인 것이, 도포막의 막두께를 얇게 해도 도포막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입자경이란, 레이저 회절법 등의 공지된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입도 분포에 기초하여, 그 체적 평균을 산출하여 구해지는 체적 평균 입경을 말한다.
여기서,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는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판데르발스력이나 전하 등에 의한 물리 흡착이나 다른 화합물의 개재에 의한 화학 흡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제 1 백색 안료가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공존하에서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화합물은,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본질적으로 산이다. 이에 대하여 제 2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본질적으로 염기이다. 이 때문에, 이들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을 각각 미리 플레이크상 기재 및 제 1 백색 안료의 표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이것들을 혼합하면, 산-염기의 염 형성에 의한 응집이 급격하게 발생하여, 제 1 백색 안료를 선택적으로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제 1 백색 안료를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공존하에서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면, 놀랍게도 상기와 같은 응집은 일절 발생하지 않고,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강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이 상세한 메커니즘은 불명확하지만, 아마, 제 1 화합물과 제 2 화합물의 마이크로한 상태에서의 응집이 발생하고, 이것이 매크로한 응집 상태가 되기 전에 각각의 플레이크상 기재 표면에 퇴적되어, 이 퇴적이 제 1 백색 안료를 받아들이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작용에 의해 제 1 백색 안료가 기재의 표면에 강고하게 부착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다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 1 백색 안료와 플레이크상 기재가 직접 접촉하고 있는 경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 1 화합물 및/또는 제 2 화합물과 같은 다른 화합물이 양자 사이에 개재되는 상태에서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에 부착되어 있는 양태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 1 백색 안료가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공존하에서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제 1 백색 안료와 플레이크상 기재가 직접 접촉하여 부착되어 있는 양태 그리고 제 1 화합물 및/또는 제 2 화합물이 양자 사이에 개재되는 상태에서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에 부착되어 있는 양태의 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상, 복수 개의 제 1 백색 안료가 1 개의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양태를 갖고,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은, 제 1 백색 안료를 개재하여, 또는 개재하지 않고, 플레이크상 기재 위에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제 1 화합물은, 상기와 같이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후술하는 제 2 화합물과 상승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제 1 백색 안료를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화합물은,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1 분자 중의 카르복실기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 1 화합물로는,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1 개 이상의 이중 결합과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중합체, 또는 이염기산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중합체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열 중합 카르복실산이 바람직하다. 열 중합 카르복실산이란, 이중 결합을 갖는 1 종류 이상의 카르복실산을 열 중합하여 얻어진 1 개 이상의 이중 결합과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의 출발 원료의 예로는, 이중 결합과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인 3-옥텐산, 10-운데센산, 올레산, 리놀레산, 에라이딘산, 아크릴산, 리놀렌산이나, 공업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지방산 혼합물인 톨유 지방산, 팜유 지방산, 미강유 지방산, 아마인유 지방산, 대두유 지방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의 보다 바람직한 예로는,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을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과 아크릴산을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 톨유 지방산을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특히 열 중합 카르복실산인,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을 열 중합한 열 중합 카르복실산,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과 아크릴산을 열 중합한 열 중합 카르복실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중합 카르복실산의 시판품으로는, 하리다이머 200, 하리다이머 300, 다이애시드 1550 (이상 각 상품명, 하리마 화성사 제조), 프리폴 1017 (상품명, 유니케마사 제조), 엔폴 1008 (상품명, 코그니스사 제조), 유니다임 27 (상품명, 애리조나 케미컬사 제조), 바사다임 216 (상품명, 헨켈 재팬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염기산의 예로는, 헥산이산, 헵탄이산, 옥탄이산, 노난이산, 데칸이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아세톤디카르복실산, 도데칸이산, 에이코사이산, 에이코사디엔이산, 에틸옥타데칸이산, 디메틸에이코산이산, 옥타데칸디엔디이산, 이소도코사디엔이산, 이소도코산이산, 이소에이코사디엔이산, 부틸옥탄이산, 디알콕시카르보닐이소도코사디엔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이염기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합 백색 안료에 함유되는 제 1 화합물의 양은, 사용하는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적과 사용하는 제 1 백색 안료의 양에 따라 상이한데, 플레이크상 기재 100 질량부에 대해, 0.1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 2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 질량부 미만이면 제 1 백색 안료를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충분히 부착시킬 수 없고, 30 질량부를 초과해도 이러한 효과에 변화가 없어 경제적으로 불리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의 제 2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상기의 제 1 화합물과 상승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제 1 백색 안료를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작용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2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1 분자 중의 아미노기 수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 2 화합물로는, 특히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이 바람직하다. 제 1 백색 안료를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특히 강고하게 부착시키는 작용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아미노기란, 암모니아, 제 1 급 아민 또는 제 2 급 아민으로부터 수소를 제거한 1 가의 관능기를 말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으로는, 2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지환식 디아민, 지환식 트리아민, 지환식 테트라아민, 및 지환식 다가 아민 (아미노기의 수가 5 개 이상인 것)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아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복합 백색 안료에 함유되는 제 2 화합물의 양은, 사용하는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적과 사용하는 제 1 백색 안료의 양에 따라 상이한데, 플레이크상 기재 100 질량부에 대해, 0.1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 2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 질량부 미만이면 제 1 백색 안료를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충분히 부착시킬 수 없고, 30 질량부를 초과하면 응집이 발생하여 제 1 백색 안료를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충분히 부착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플레이크상 기재>
본 발명의 복합 백색 안료에 함유되는 플레이크상 기재는, 금속, 금속으로 피복된 재료, 및 탄소 재료의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플레이크상」이란, 그 형상이 플레이크상이라고 인정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크상 기재의 평균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평균 두께는,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평균 두께가 0.02 ㎛ 이상인 경우, 제조 공정의 용이함의 면에서 유리하고, 평균 두께가 5 ㎛ 이하인 경우, 도포막 등의 도료 조성물의 외관의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금속의 예로는, 알루미늄, 아연, 은, 구리, 철, 니켈, 티탄 및 이들의 금속을 적어도 1 종 함유하는 합금 (예를 들어 SUS (스테인리스강), 브론즈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본 발명의 플레이크상 기재는 특히 높은 은폐력을 갖고, 저렴한 데다가 비중이 작기 때문에 취급하기 쉬운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으로 피복된 재료의 예로는, 무기 화합물 입자 (유리, 마이카, 및 알루미나 또는 티타니아 등의 세라믹스 입자 등) 의 표면에 대해 도금 등에 의해 상기에 예시한 금속을 피복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그 금속은 층상으로 형성되어,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후술하는 제 1 백색 안료와는 분명하게 구별되는 것이다. 또, 마이카 (운모) 등의 무기 화합물 입자는, 이와 같이 금속으로 피복됨으로써 비로소 본 발명의 플레이크상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금속으로 피복되어 있지 않은 상태 (즉 마이카 (운모) 등의 단체) 에서는, 은폐력이 낮기 때문에, 본 발명의 플레이크상 기재로서 사용할 수는 없다.
또, 상기의 탄소 재료의 예로는, 그라파이트, 그라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 재료는, 상기에 예시한 금속에 의해 피복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플레이크상 기재의 평균 입자경은,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 ㎛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 평균 입자경은,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이 1 ㎛ 이상인 경우, 제조 공정에서의 취급이 용이하고, 일반적으로 응집되기 어려운 경향을 나타내며, 또 평균 입자경이 100 ㎛ 이하인 경우, 도료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도포막 표면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용의 하지 은폐 도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평균 입자경이 20 ㎛ 이하인 것이, 도포막의 막 두께를 얇게 해도 도포막 표면의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플레이크상 기재의 평균 두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어스펙트비를 나타내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 평균 두께는,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평균 두께가 0.02 ㎛ 이상인 경우, 제조 공정에서의 취급의 용이함 면에서 유리하고, 평균 두께가 5 ㎛ 이하인 경우, 도포막의 외관의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평균 입자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회절법 등의 공지된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입도 분포에 기초하여, 그 체적 평균을 산출하여 구해진다. 또, 평균 두께에 대해서는, 플레이크상 기재의 은폐력과 밀도로부터 산출된다.
또한,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는, 적절히,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 에 의한 내수성, 내약품성, 내후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처리를 미리 실시하고 있어도 된다. 특히, 플레이크상 기재로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은 물, 산, 알칼리와 반응하기 쉽기 때문에, 이들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제 1 백색 안료>
본 발명의 제 1 백색 안료는, 상기의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입자의 형상을 나타낸다」란, 예를 들어 종래의 펄 안료에 확인되는,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을 연속한 층으로서 층상으로 덮는 피복물과는 상이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의미를 갖는 한 그 입자의 형상은 특정 형상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상세한 메커니즘은 불명확하지만, 아마 제 1 화합물 및/또는 제 2 화합물이 플레이크상 기재와 제 1 백색 안료 사이에 개재되는 상태에서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에 부착됨으로써, 이 제 1 백색 안료는 입자의 형상을 나타낸 상태에서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고, 따라서 종래의 층상의 피복물에 비해 비약적으로 은폐력이 향상된 것이 된다. 즉, 본 발명은,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이 제 1 백색 안료가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백색 안료는, 황산바륨, 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실리카, 운모,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 1 백색 안료는,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백색 안료는, 상기의 예시 중, 특히 산화티탄 (TiO2) 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우수한 백색도를 갖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제 1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1 ∼ 2 ㎛ 가 바람직하고, 0.01 ∼ 1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입자경이 0.01 ㎛ 이상인 경우에는, 제 1 백색 안료의 분산이 곤란해질 위험성이 적고, 입자경이 2 ㎛ 이하인 경우에는 플레이크상 기재 표면에 균일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곤란해질 위험성이 적다.
<보호층>
본 발명의 복합 백색 안료는, 그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층에 의해, 복합 백색 안료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음으로써, 제 1 백색 안료의 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층은, 복합 백색 안료의 표면 전체를 피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층은, 적어도 1 개의 중합성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를 라디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수지, 또는, Al, Si, Ti, Cr, Zr, Mo, 및 Ce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원소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백색 안료>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상기 복합 백색 안료 이외에 추가로 제 2 백색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 제 2 백색 안료는, 상기의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지 않는 점에서 제 1 백색 안료와 상이한 것이다. 즉, 이 제 2 백색 안료는,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단독으로 하지 은폐 도료에 함유된다.
이와 같은 제 2 백색 안료는, 화학 조성적으로는 상기의 제 1 백색 안료와 동일한 것이고, 1 종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하지 은폐 도료 중에 함유할 수 있다. 또 그 형상도, 상기의 제 1 백색 안료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가 이와 같은 제 2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복합 백색 안료 100 질량부에 대해 100 ∼ 1000 질량부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2 백색 안료의 첨가는, 백색도를 유지하고 또한 도료 막 두께를 박막화하여 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제 2 백색 안료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1 ∼ 2 ㎛ 가 바람직하고, 0.01 ∼ 1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그 입자경이 0.01 ㎛ 이상인 경우에는, 제 2 백색 안료의 분산이 곤란해질 위험성이 적고, 입자경이 2 ㎛ 이하인 경우에는, 도포막 표면의 평활성을 저해할 위험성이 적다.
<수지>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에 함유되는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종류의 용도에 사용되는 종래 공지된 수지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열 경화형 아크릴 수지/멜라민 수지, 열 경화형 아크릴 수지/CAB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멜라민 수지, 열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알키드) 수지/멜라민 수지, 열 경화형 폴리에스테르(알키드)/CAB/멜라민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형 우레탄 수지/상온 경화형 아크릴 수지, 수희석형 아크릴 에멀션/멜라민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복합 백색 안료와 수지를 함유하는 한, 전술한 바와 같은 다른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용제는, 이 종류의 용도에 사용되는 종래 공지된 용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알코올계, 글리콜계, 케톤계, 에스테르계 등의 친수성 용제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n-프로필알코올, t-부틸알코올, n-부틸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부틸카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등), 방향족계, 지환족계, 탄화수소계 용제 등의 유성 용제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옥탄, 미네랄 스피릿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용제의 함유량은, 하지 은폐 도료에 함유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00 ∼ 140 질량부로 할 수 있다.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에 있어서 사용되는 복합 백색 안료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한,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레이크상 기재와 제 1 화합물과 제 2 화합물과 제 1 백색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레이크상 기재, 제 1 화합물, 제 2 화합물 및 제 1 백색 안료를 어떠한 순서로 혼합해도 지장이 없어, 그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든 성분을 한 번에 첨가하여 혼합해도 되고, 각 성분을 차례로 첨가하면서 혼합해도 된다. 또, 제 1 백색 안료는, 그대로 첨가해도 되고, 첨가하기 전에 미리 분산기 등으로 분산시킨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혼합시에는, 각 성분을 분산 또는 용해시키기 위해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혼합 방법으로는, 슬러리 상태에서 교반기 등을 사용하여 혼합해도 되고, 페이스트 상태에서 니더 믹서 등의 혼련기를 사용하여 혼합해도 된다.
또, 상기의 제조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어 제 1 백색 안료를, 아미노 화합물 (예를 들어 전술한 제 2 화합물과 같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 의 존재하, 또는 그 아미노 화합물과 알루미늄 혹은 티타늄킬레이트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비극성 용제 중에서 분산시켜, 제 1 백색 안료의 표면에 분자 중에 2 개의 아미노기를 갖고,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아미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 또는 그 아미노 화합물과 알루미늄 혹은 티타늄킬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을 형성하고, 표면 처리 제 1 백색 안료의 분산체를 생성한 후, 그 표면 처리 제 1 백색 안료의 분산체에 플레이크상 기재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그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 상에 그 표면 처리 제 1 백색 안료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 제 1 백색 안료와 플레이크상 기재를 부착시키는 작용을 구비하는 특정의 화합물, 예를 들어 전술한 제 1 화합물과 같은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인 이중 결합을 갖는 1 종 이상의 카르복실산을 열 중합한 1 개 이상의 이중 결합과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카르복실산 및 플레이크상 기재를 유기 용제 중에서 교반하고, 이것을 여과한 케이크 또는 여과를 하고 있지 않은 그대로의 슬러리와 제 1 백색 안료를 유기 용제의 존재하, 혼련 혼합 또는 교반 혼합함으로써 그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 상에 그 제 1 백색 안료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제 1 백색 안료와 플레이크상 기재를 부착시키는 작용을 구비하는 특정 화합물로서, 인산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및 플레이크상 기재를 유기 용제 중에서 교반하고, 이것을 여과한 케이크 또는 여과를 하고 있지 않은 그대로의 슬러리와 제 1 백색 안료를 유기 용제의 존재하, 혼련 혼합 또는 교반 혼합함으로써 그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 상에 그 제 1 백색 안료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 얻어진 복합 백색 안료를, 추가로 원하는 바에 따라, 유기 용제 중에서 분산 교반하면서,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첨가한 후, 라디칼 중합성 이중 결합을 3 개 이상 갖는 모노머 및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시키고, 이로써 여분의 유기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복합 백색 안료의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복합 백색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종래 공지된 조제 방법에 의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제조할 수 있다.
<도장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 (즉 하지 은폐 도료층) 을 갖는 도장물에도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는, 기체 또는 그 표면에 도장된 하지층을 은폐하기 위해서 도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체에 직접 또는 근접하여 도장되는 것으로서, 통상, 이 하지 은폐 도료층 위에 1 층 또는 복수의 상도층이 형성되어, 최종의 도장물이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장물을 구성하는 기체로는, 금속, 플라스틱 등의 유기 재료, 콘크리트나 세라믹 등의 무기 재료, 종이, 목재 등, 그 소재는 특별히 한정 되지 않는다. 또 형상도, 예를 들어 자동차, 차량, 선박, 교량, 철탑, 건축물 등의 입체 구조물, 판, 박, 종이, 천, 필름 등의 평면적인 것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 (즉 하지 은폐 도료층) 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15 ∼ 25 ㎛ 등의 두께로 형성해도 충분한 은폐력이 발휘된다. 이것은, 종래의 이 종류의 하지 은폐층의 두께가 35 ∼ 45 ㎛ 인 두께를 필요로 했던 것에 반해, 본 발명의 도포막이 이하로 얇은 두께로서 우수한 은폐력을 나타내는 것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도포막은, 「멀티 앵글 분광 측색계 (상품명:「X-Rite MA-68II」, X-Rite 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한 L* 값을 8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L* 값은 도포막의 백색도 (명도) 를 나타내고, 수치가 높은 편이 백색도 (명도) 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를 기체 상에 도장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도장 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채용할 수 있어, 어떠한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과 기체 사이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복합 백색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백색 도료에 의한 도포막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합 백색 안료의 제조>
삼구 플라스크에 미네랄 스피릿 300 ㎖ 를 넣고, 이것에 플레이크상 기재로서 알루미늄 입자 (상품명:「알루미늄 페이스트 CS420」(금속분 65 %, 평균 입자경 8 ㎛), 토요 알루미늄 주식회사 제조) 을 153.8 g, 및 제 1 화합물로서 아크릴산과 대두유 지방산을 열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 (상품명:「다이애시드 1550」, 하리마 화성 주식회사 제조) 20.0 g 을 첨가하고, 가열 및 교반한 후, 상온까지 냉각시켜, 이것을 여과함으로써, 탈지 공정을 실시하였다. 이로써, 제 1 화합물로 탈지 처리된 플레이크상 기재를 얻었다.
이어서, 용매로서 미네랄 스피릿 400 ㎖, 제 1 백색 안료로서 TiO2 (상품명:「CR-90-2」(평균 입자경 0.25 ㎛), 이시하라 산업 주식회사 제조) 70.0 g, 상기로 탈지 처리한 플레이크상 기재 200.0 g, 상기와 동일한 제 1 화합물 20.0 g, 및 제 2 화합물로서 지환식 다가 아민 (상품명:「아데카 스타브 LA-67」, ADEKA 사 제조) 20.0 g 을 혼련기에 넣고, 0 ∼ 150 ℃ 에서 1 분 ∼ 1 시간 교반함으로써, 제 1 백색 안료가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공존하에서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된 복합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얻었다.
계속해서, 상기에서 얻어진 복합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슬러리 640 g 을 미네랄 스피릿 1000 ㎖ 가 든 삼구 플라스크에 넣고, 추가로 아크릴산 1.0 g 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이어서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30.0 g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0.0 g 을 각각 미네랄 스피릿 150 ㎖ 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고, 가열 (50 ∼ 150 ℃) 및 교반 (30 분 ∼ 8 시간) 한 후, 상온까지 냉각시켜, 이것을 여과함으로써, 표면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층이 형성된 본 발명의 복합 백색 안료를 얻었다.
<베이스 도료의 조제>
도료용 수지 (상품명:「아크릭 #2000 클리어」, 칸사이 페인트 주식회사제조) 67.0 g, 그 수지분 100 중량부에 대해 제 2 백색 안료인 TiO2 (상품명:「TIPAQUE CR-50」(평균 입자경 0.25 ㎛), 이시하라 산업 주식회사 제조) 120 중량부 (phr) 를, 스테인리스 보틀에 직경 2 ㎜ 의 지르코니아 비즈가 든 포트 밀에 넣고, 40 rpm 으로 3 시간 회전시킴으로써 분쇄하여, 베이스 도료를 얻었다.
<하지 은폐 도료의 조제>
상기에서 얻어진 베이스 도료에 대해, 베이스 도료 중의 수지분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에서 얻어진 복합 백색 안료 10 중량부 (phr) 를 넣어, 교반기를 사용하여 균일 교반함으로써 하지 은폐 도료를 얻었다.
<도장물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하지 은폐 도료를, 자동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토출량 200 cc, 무화압 3.0 kgf/㎠, 건 거리 30 cm, 부스 온도 27 ℃, 부스 습도 45 % 로, 기체인 필름 및 은폐력 시험지에 대해 도장함으로써,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그 도포막은 두께가 25 ㎛ 이고, 상기 필름 (기체) 위의 도포막을 측정한 결과, 가시광선 투과율은 0 % 였다. 또, 상기 은폐력 시험지 (기체) 상의 도포막을 측정한 결과, X-rite 의 L* 값은 87 이상이었다 (이하의 표 1 참조).
Figure 112015103118633-pct00001
또한, 상기 L* 값은 멀티 앵글 분광 측색계 (상품명:「X-Rite MA-68II」, X-Rite 사 제조) 를 사용하여, 표 1 에 기재된 측정 각도에 의해 측정하였다. L* 값의 수치가 높을수록, 백색도 (명도) 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또, 가시광선 투과율은, 투과율 측정 장치 (상품명:「Z-1001DP」, 일본 전색 공업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은, 수치가 작을수록, 은폐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또, 도포막의 두께는 전자 (電磁) 막두께계 (상품명:「LE-300J」, 주식회사 게쯔토 과학 연구소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하지 은폐 도료 중의 복합 백색 안료의 함유량을 20 phr, 도포막의 두께를 15 ㎛ 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막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및 X-rite 의 L*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인 지환식 다가 아민 20.0 g 을 에틸아민 20.0 g 으로 치환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막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및 X-rite 의 L*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제 2 화합물인 지환식 다가 아민 20.0 g 을 헥사메틸렌디아민 20.0 g 으로 치환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막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및 X-rite 의 L*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하지 은폐 도료가 복합 백색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막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및 X-rite 의 L*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하지 은폐 도료 중의 복합 백색 안료 대신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제 1 백색 안료를 10 phr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막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및 X-rite 의 L*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하지 은폐 도료 중의 복합 백색 안료 대신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플레이크상 기재를 10 phr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막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및 X-rite 의 L*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하지 은폐 도료 중의 복합 백색 안료 대신에, 운모 (상품명:「Iriotec8800」, 머크사 제조) 를 10 phr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것은 모두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기체 상에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막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및 X-rite 의 L* 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은, 비교예의 도포막과 비교하여, 우수한 은폐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지 은폐 도료가 우수한 은폐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 설명을 실시했지만,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 및 실시예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도 당초부터 예정되어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8)

  1. 복합 백색 안료와 수지를 함유하는 하지 (下地) 은폐 도료로서,
    상기 복합 백색 안료는, 플레이크상 기재와 그 표면에 부착된 제 1 백색 안료를 함유하고,
    상기 플레이크상 기재는, 금속, 금속으로 피복된 재료, 및 탄소 재료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백색 안료는, 입자의 형상을 나타내고, 또한
    상기 제 1 백색 안료는, 제 1 화합물 및 제 2 화합물의 공존하에서 상기 플레이크상 기재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화합물은, 2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상기 제 2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상기 복합 백색 안료는, 상기 플레이크상 기재 및 상기 제 1 백색 안료 사이에 적어도 상기 제 1 화합물 및 상기 제 2 화합물이 개재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백색 안료가 상기 플레이크상 기재에 부착되어 있는 양태를 포함하는, 하지 은폐 도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중합체이고,
    상기 제 2 화합물은, 1 개 이상의 아미노기를 갖는 아민인 하지 은폐 도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합물은,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을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 또는, 아마인유 지방산 또는 대두유 지방산과 아크릴산을 중합한 중합 카르복실산이고,
    상기 제 2 화합물은, 에틸렌디아민, 페닐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1,12-도데칸디아민, 지환식 디아민, 지환식 트리아민, 지환식 테트라아민, 및 지환식 다가 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아민인 하지 은폐 도료.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크상 기재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하지 은폐 도료.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백색 안료는 TiO2 인 하지 은폐 도료.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 은폐 도료는, 상기 복합 백색 안료 이외에 추가로 제 2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하지 은폐 도료.
  8.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지 은폐 도료에 의해 형성된 도포막을 갖는 도장물.
KR1020157030648A 2013-03-26 2014-03-13 하지 은폐 도료 및 도장물 KR101864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4383 2013-03-26
JP2013064383A JP6059574B2 (ja) 2013-03-26 2013-03-26 下地隠蔽塗料および塗装物
PCT/JP2014/056727 WO2014156691A1 (ja) 2013-03-26 2014-03-13 下地隠蔽塗料および塗装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465A KR20150135465A (ko) 2015-12-02
KR101864479B1 true KR101864479B1 (ko) 2018-06-04

Family

ID=5162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648A KR101864479B1 (ko) 2013-03-26 2014-03-13 하지 은폐 도료 및 도장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53128A1 (ko)
EP (1) EP2980173B1 (ko)
JP (1) JP6059574B2 (ko)
KR (1) KR101864479B1 (ko)
CN (1) CN105121570B (ko)
WO (1) WO2014156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7257B2 (ja) 2012-09-27 2016-10-12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着色メタリック顔料および着色物
KR101876199B1 (ko) * 2017-04-21 2018-08-03 씨큐브 주식회사 복합 백색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257590A1 (en) * 2020-07-02 2023-08-17 Toyo Aluminium Kabushiki Kaisha Composite pigm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olded bod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943B2 (ja) * 1988-04-26 1996-02-14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薄片状体質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875600B2 (ja) * 1990-07-06 1999-03-31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被覆力に優れた着色基剤を配合して成る化粧料
JP2609513B2 (ja) 1994-12-14 1997-05-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複層塗膜形成法
JP3276131B2 (ja) * 1995-01-26 2002-04-22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粉体塗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5912283A (en) * 1995-07-19 1999-06-15 Toyo Aluminium Kabushiki Kaisha Surface-treated color pigment, colored substrate particles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3643144B2 (ja) * 1995-08-04 2005-04-27 メルク株式会社 新規な真珠光沢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25102A (ja) * 1995-10-27 1997-05-13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鱗片状金属チタン粒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金属チタン粒子からなる粉体
JPH09132514A (ja) * 1995-11-10 1997-05-20 Catalysts & Chem Ind Co Ltd 薄片状微粉末および化粧料
JP3755844B2 (ja) 1996-11-15 2006-03-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複層塗膜形成方法
JPH1149993A (ja) * 1997-08-07 1999-02-23 Nippon Paint Co Ltd 高隠蔽性白色ソリッド塗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装方法
JPH11181356A (ja) * 1997-12-25 1999-07-06 Nippon Paint Co Ltd 内板塗装用高隠蔽性ソリッド塗料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連続塗装方法
JP2002301426A (ja) * 2001-04-04 2002-10-15 Kansai Paint Co Ltd 複層塗膜形成方法
JP2007177240A (ja) * 2005-12-02 2007-07-12 Shiraishi Calcium Kaisha Ltd 遮光用コーティング材、基材フィルム、農業ハウス用コーティング材、及び農業ハウス
JP5081422B2 (ja) * 2006-10-03 2012-11-28 株式会社コーセー 白色複合粉体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DE102010007147A1 (de) * 2010-02-05 2011-08-11 Eckart GmbH, 91235 Mit SiO2 beschichtete Metalleffektpigmente,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Metalleffektpigmente und Verwendung
JP5759764B2 (ja) * 2011-03-24 2015-08-05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着色金属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07257B2 (ja) * 2012-09-27 2016-10-12 東洋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着色メタリック顔料および着色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0173A4 (en) 2016-11-30
CN105121570B (zh) 2017-07-04
WO2014156691A1 (ja) 2014-10-02
EP2980173B1 (en) 2018-06-13
US20160053128A1 (en) 2016-02-25
CN105121570A (zh) 2015-12-02
EP2980173A1 (en) 2016-02-03
JP2014189579A (ja) 2014-10-06
JP6059574B2 (ja) 2017-01-11
KR20150135465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8226B2 (ja) 金属顔料組成物、その製造方法、その金属顔料組成物を含有する塗料組成物およびインキ組成物
CN1673284A (zh) 带有金属光泽的有色干涉颜料、其制备方法及用途
US20130164529A1 (en) Colored platelets
KR101864479B1 (ko) 하지 은폐 도료 및 도장물
KR101726523B1 (ko) 착색 메탈릭 안료 및 착색물
WO2010095485A1 (ja) 粉体塗料組成物の製造方法
CN101309979A (zh) 表面涂布的珠光颜料、其制备方法及用途
KR20190135002A (ko) 피복안료
JP2020535240A (ja) 67°〜78°の範囲の色相(h15)および90以上の彩度(c*15)を有する金色の効果顔料
US20040244649A1 (en) Metal colloid luster color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reof
JP3481360B2 (ja) 表面処理着色顔料、着色基体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46990B1 (ko) 도료 조성물 및 그 도료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도막을 갖는 도포물
JP5368967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
JPH08170034A (ja) メタリック塗料組成物および塗膜形成方法
JP2004275972A (ja) 複層塗膜形成方法、複層塗膜及び物品
JPH09323064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及び塗装物
JPH09124973A (ja) 表面処理着色顔料、着色基体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51043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及び塗装物品
JP6473657B2 (ja) 複層塗膜形成方法
JPH10298458A (ja) 光輝性顔料含有塗料組成物および複合塗膜形成方法
JP3685211B2 (ja) 塗料組成物と塗膜形成方法
JP6369869B2 (ja) 光輝性塗料組成物
JP2016059900A (ja) 塗膜形成方法
JPH08196986A (ja) 光輝性塗膜形成方法
JP2013052348A (ja) 複層塗膜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