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516B1 -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516B1
KR101862516B1 KR1020170065798A KR20170065798A KR101862516B1 KR 101862516 B1 KR101862516 B1 KR 101862516B1 KR 1020170065798 A KR1020170065798 A KR 1020170065798A KR 20170065798 A KR20170065798 A KR 20170065798A KR 101862516 B1 KR101862516 B1 KR 101862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hing water
supply
suppli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연
Original Assignee
이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연 filed Critical 이세연
Priority to KR102017006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는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필터링하는 세정수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의 가압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일측에 하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필터링한 후에 상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흡수되면서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필터링하도록 섬유 재질로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복수로 적층 구비된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로 적층된 상기 필터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 필터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Apparatus of Filter For Dairy Farming}
본 발명은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젓소를 사용하여 우유를 생산하는 착유 시 세정되는 세정수의 필터링 구조를 개선하여 착유 시 세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키는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인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지점이 불분명하고 광범위한 지표면에 잔존해 있는 오염원이고, 전자의 점오염물질은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생활하수, 축산폐수 또는 산업폐수 등을 일컫는 말이다.
특히 축산폐수 중 한 예로 착유세척수를 들 수 있는데, 착유세척수의 경우 가축분뇨 및 산과 염기제재가 함유되어있고, 농가에서 산과 염기제재를 주기적으로 교차사용하기 때문에 간이정화조를 이용한 정화, 관리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가축분뇨의 경우 2012년에 가축분뇨의 해양배출 금지를 시작으로 환경부의 가축분뇨 관리 선진화 대책이 발표되면서 많은 축산농가들이 가축분뇨 처리를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착유 시 우유 속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은 점성이 높은 물질이나 세정 시 물과 혼합되어 농도가 저하된 상태로 정화 처리를 위해서 공급되면 정화 시설을 통과한 후나 통과하면서 응결이 발생되어 정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젖소 착유실 세척수 정화처리 기술 및 공정이 실용화되어 있지 못하며, 대개의 경우 간이 정화조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저장하였다가 배출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젖소 착유 및 착유시설 관리과정과 착유실 바닥 및 장비의 세척, 축사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정수를 정화 처리하는 농가에 맞는 소규모의 장치가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낙농업의 사용되는 세정수의 필터링 방법은 생물막 필터의 일종인 살수여상법(Trickling filter)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살수여상법은 필터체가 채워진 반응조에 폐수를 세정수를 투입하면 유입수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폐수가 필터체 사이를 통기하면서 흘러가면서 여과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경우 필터체에서 필터링 시에 슬러지가 응집되어 막힘에 의해 필터링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특허 제0961452호는 상술된 살수여상법에 추가적으로 필터체의 폐색을 막기 위한 역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술을 종래 기술로 제시하여 폐수의 슬러지로 인한 응집을 가압 공기로 역세를 실시하여 폐색을 방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여과를 실시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정화 방법은 통상적인 정화 방법에서 필터체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하수를 처리함에 있어 슬러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임에 따라 일반하수를 정화하는데는 효과가 있으나, 젖소 착유후 세정수와 같은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이 포함되어 고농도의 폐수성상을 지니고 있는 폐수를 필터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착유 시 우유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은 점성을 가지고 있으나, 온도가 낮거나 농도가 적은 경우에는 점성이 약화되어 세정수와 함께 공급되어 생물막 필터링 방법으로 여과 시에 농도가 높아지면서 온도가 상승되면 점성이 증대되어 응결의 발생으로 새로운 슬러지가 발생되어 필터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착유에 의한 세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의 응결은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를 분해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산소의 공급을 저해하여 미생물 대사를 방해함에 따라 필터링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젓소를 사용하여 우유를 생산하는 착유 시 세정되는 세정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체를 섬유 재질로 세정수를 흡수하면서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필터링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키는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는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필터링하는 세정수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의 가압한 상태로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일측에 하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필터링한 후에 상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흡수되면서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필터링하도록 섬유 재질로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복수로 적층 구비된 필터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로 적층된 상기 필터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 필터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를 상기 몸체부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 상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공급펌프; 및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 상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공급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필터부가 위치하는 필터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공급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필터공간과 연통되는 통공 형태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필터공급공이 형성된 필터몸체;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뚜껑 형태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상기 필터부가 위치하는 상기 필터공간을 통해서 필터링된 후에 배출되는 통공 형태의 개폐통공을 가지는 개폐뚜껑; 상기 개폐뚜껑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뚜껑의 개폐 시에 상기 필터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된 개폐힌지체; 및 상기 개폐뚜껑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통공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공간을 통해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관 형태의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개방된 하부지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필터공간의 바닥 부분의 내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부를 받치면서 상기 공급부와 상기 필터지지부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하부지지공간으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된 하부지지돌기; 및 상기 필터몸체의 내측 상부에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개방된 상부지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필터 공간의 상부의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기 필터지지부의 상부가 걸림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세정수가 배출되는 상부에 상기 필터지지부가 걸림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세정수가 배출되는 부분과 상기 필터지지부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지지공간으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필터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링되는 위치에 복수로 적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커버체; 및 상기 필터커버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커버체를 통과한 상기 세정수를 흡수하여 함유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필터링에 의해 제거하는 솜 형태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충진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지지체는, 상기 필터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필터부 설치 시에 필터링되는 부분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필터부의 상부를 지지하고, 내부에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상부로 통과 배출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상부지지공을 가지는 상부지지체; 및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잇으며, 상기 필터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필터부 설치 시에 필터링되는 부분의 하부에 떠받혀진 상태로 상기 필터부의 하부를 지지하고, 내부에 상기 공급부를 통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하부지지공을 가지는 하부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는 젓소를 사용하여 우유를 생산하는 착유 시 세정되는 세정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체를 섬유 재질로 세정수를 흡수하면서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필터링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는 내부에 흡수체를 복수의 수량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하부에서 공급되어 상부 방향으로 흡수하면서 필터링함에 따라 응결된 불순물이 침전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필터링되는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의 필터링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의 개폐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의 필터링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의 개폐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100)는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이런,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100)는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부(110), 몸체부(120), 필터부(130), 및 필터지지부(140)를 포함한다.
공급부(110)는 세정수가 몸체부(120)로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공급관(111), 공급펌프(112), 및 공급밸브(113)를 포함한다.
공급관(111)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세정수를 몸체부(120)에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공급관(111)은 세정수가 공급되는 위치에 연결되어 세정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필터링을 실시하는 몸체부(120)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관 형태로 구비된다.
공급펌프(112)는 공급관(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관(111) 상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공급펌프(112)는 공급관(111)으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 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몸체부(120)의 하부로 공급되어 내부에서 필터부(130)로 필터링을 실시한 후에 상부로 배출되는 세정수의 공급 압력을 제공하여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지속적으로 필터링 작업을 실시하도록 구비된다.
공급밸브(113)는 공급관(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관(111) 상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공급되는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몸체부(120)는 공급관(111)을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필터링을 실시하는 필터몸체(121), 개폐뚜껑(124), 개폐힌지체(126), 배출관(127), 하부지지돌기(128), 및 상부지지돌기(129)를 포함한다.
필터몸체(121)는 공급관(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필터부(130)가 위치하는 필터공간(12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공급관(111)과 연결되도록 필터공간(122)과 연통되는 통공 형태로 세정수가 공급되는 필터공급공(123)이 형성된다.
필터몸체(121)는 필터공간(122)의 하부가 연통되는 필터공급관(111)에 연결된 공급관(111)을 통해서 공급밸브(113)로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공급펌프(112)의 압력으로 세정수가 공급된다. 필터공급공(123)을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는 필터부(130)가 설치된 필터공간(122)을 거쳐서 필터링된 상태로 필터몸체(121)의 상부로 배출된다.
개폐뚜껑(124)은 필터몸체(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공간(12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뚜껑 형태로 구비되고, 중앙에 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세정수가 필터부(130)가 위치하는 필터공간(122)을 통해서 필터링된 후에 배출되는 통공 형태의 개폐통공(125)을 가진다.
개폐힌지체(126)는 개폐뚜껑(124)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개폐뚜껑(124)의 개폐 시에 필터몸체(121)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개폐힌지체(126)는 개폐뚜껑(124)을 필터몸체(121)에 힌지 결합하여 개폐뚜껑(124)의 개폐 시에 일측에 회전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개폐힌지체(126)는 필터몸체(121)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130)의 설치와 교체 시에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뚜껑(124)을 회전에 의해 개폐 작동되도록 필터몸체(121)에 힌지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배출관(127)은 개폐뚜껑(124)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개폐통공(125)과 연결되어 필터공간(122)을 통해서 필터링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관 형태로 구비된다.
하부지지돌기(128)는 필터몸체(121)의 내측 하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개방된 하부지지공간(128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하부지지돌기(128)는 필터공간(122)의 바닥 부분의 내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필터부(13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부(140)의 하부를 받치면서 공급관(111)의 필터공급공(123)으로 연결된 세정수를 공급되는 부분과 필터지지부(140) 사이에 간격을 유지함에 따라 하부지지공간(128a)으로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하부지지돌기(128)는 필터지지부(140)의 하강에 의해 필터공급공(123)을 근접하거나 폐쇄하여 세정수가 공급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하부지지공간(128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돌기(129)는 필터몸체(121)의 내측 상부에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개방된 상부지지공간(129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돌기(129)는 필터공간(122)의 상부의 내주면에서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필터부(130)의 상부를 지지하는 필터지지부(140)의 상부가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돌기(129)는 필터몸체(121)의 필터공간 상부에 걸림되어 배출관(127)의 개폐통공(125)에 삽입된 부분과 필터지지부(140)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상부지지공간(129a)으로 필터링된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돌기(129)는 필터지지부(140)의 상승에 의해 개폐통공(125)에 삽입된 배출관(127)에 근접하거나 폐쇄하여 세정수가 배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세정수를 배출하는 상부지지공간(129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돌기(129)는 개폐뚜껑(124)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필터몸체(121) 방향으로 개방되고, 개폐통공(125)과 연통된 상부지지공간(129a)이 형성되도록 돌출된다. 상부지지돌기(129)는 개폐뚜껑(124)으로 필터공간(122) 상부 폐쇄 시에 돌출된 하부면이 필터지지체(140)와 접촉되면서 배출관()이 연결된 개폐통공(125)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부지지공간(129a)으로 필터링된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돌기(129)는 필터지지부(140)의 상승에 의해 개폐통공(125)에 삽입된 배출관(127)에 근접하거나 폐쇄하여 세정수가 배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세정수를 배출하는 상부지지공간(129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필터부(130)는 필터몸체(121)의 내부에 설치된 필터커버체(131), 및 충진흡수체(132)를 포함한다.
필터커버체(131)는 필터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로부터 공급된 세정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링되는 위치에 복수로 적층되도록 구비되어 세정수가 통과되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필터커버체(131)는 세정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링하도록 직물 섬유와 합성섬유로 구비된다.
충진흡수체(132)는 필터커버체(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커버체(131)를 통과한 세정수를 흡수하여 함유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필터링에 의해 제거하는 솜 형태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다. 충진흡수체(132)는 천연섬유인 목화솜 형태로 구비되어 세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흡수에 의해 제거하도록 필터링한다.
필터지지부(130)는 복수로 적층 설치되는 필터커버체(131)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지지체(141), 및 하부지지체(143)를 포함한다.
상부지지체(141)는 복수로 적층된 필터커버체(1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로 적층된 필터커버체(131)의 상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필터링된 세정수가 상부로 통과 배출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상부지지공(142)을 가진다. 상부지지체(141)는 충진흡수체(132)가 충진된 복수로 적층되는 필터커버체(131)의 상부에 상부지지돌기(129)에 걸림된 상태로 복수로 적층된 최상부에 위치한 필터커버체(131)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체(141)는 복수로 적층된 솜 형태로 구비된 충진흡수체(132)가 충진된 섬유 재질의 필터커버체(131)의 상부에 위치하여 흡수에 의해 부피의 증대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부지지체(141)는 필터몸체(121)의 내부에 설치 시 상부지지돌기에 상부가 걸림되어 상부지지공간(129a)이 형성되도록 배출관(127)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세정수의 배출 간섭이나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하부지지체(143)는 복수로 적층된 필터커버체(1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로 적층된 필터커버체(131)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되고, 내부에 필터링된 세정수가 하부로 통과 공급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하부지지공(144)을 가진다. 하부지지체(143)는 충진흡수체(132)가 충진된 복수로 적층되는 필터커버체(131)의 하부에 하부지지돌기(128)에 떠받혀진 상태로 복수로 적층된 최하부에 위치한 필터커버체(13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하부지지체(143)는 복수로 적층된 솜 형태로 구비된 충진흡수체(132)가 충진된 섬유 재질의 필터커버체(131)의 하부에 위치하여 흡수에 의해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하부지지체(143)는 필터몸체(121)의 내부에 설치 시 하부지지돌기(128)에 하부가 떠받혀져 하부지지공간(128a)이 형성되도록 공급관(111)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세정수의 공급 간섭이나 폐쇄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필터 장치 110 : 공급부
111 : 공급관 112 : 공급펌프
113 : 공급밸브 120 : 몸체부
121 : 필터몸체 122 : 필터공간
123 : 필터공급공 124 : 개폐뚜껑
125 : 개폐통공 126 : 개폐힌지체
127 : 배출관 128 : 하부지지돌기
128a : 하부지지공간 129 : 상부지지돌기
129a : 상부지지공간 130 : 필터부
131 : 필터커버체 132 : 충진흡수체
140 : 필터지지부 141 : 상부지지체
142 : 상부지지공 143 : 하부지지체
144 : 하부지지공

Claims (6)

  1.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필터링하는 세정수 필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일측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관 형태로 구비된 공급관;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 상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공급펌프;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관 상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공급되는 공급량을 조절하는 공급밸브;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하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펌프로 압력이 제공되어 상기 공급밸브로 공급량이 조절되어 상기 공급관을 통해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필터링한 후에 상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링되는 위치에 복수로 적층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는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필터커버체;
    상기 필터커버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커버체를 통과한 상기 세정수를 흡수하여 함유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필터링에 의해 제거하는 솜 형태의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충진흡수체;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로 적층된 상기 필터커버체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 필터지지부;를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필터커버체가 위치하는 필터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공급관와 연결되도록 상기 필터공간과 연통되는 통공 형태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필터공급공이 형성된 필터몸체;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뚜껑 형태로 구비되고, 중앙에 상기 공급관에서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상기 필터커버체가 위치하는 상기 필터공간을 통해서 필터링된 후에 배출되는 통공 형태의 개폐통공을 가지는 개폐뚜껑;
    상기 개폐뚜껑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뚜껑의 개폐 시에 상기 필터몸체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힌지 결합된 개폐힌지체; 및
    상기 개폐뚜껑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통공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공간을 통해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관 형태의 배출관;을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에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개방된 하부지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필터공간의 바닥 부분의 내주면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커버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부를 받치면서 상기 공급관와 상기 필터지지부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하부지지공간으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도록 구비된 하부지지돌기; 및
    상기 개폐뚜껑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필터몸체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개폐통공과 연통된 상부지지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개폐뚜껑으로 상기 필터공간 상부 폐쇄 시에 돌출된 하부면이 상기 필터지지부와 접촉되면서 상기 배출관이 연결된 상기 개폐통공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상부지지공간으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상부지지돌기;를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부는,
    상기 필터커버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커버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필터커버체 설치 시에 필터링되는 부분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필터커버체의 상부를 지지하고, 내부에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상부로 통과 배출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상부지지공을 가지는 상부지지체; 및
    상기 필터커버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잇으며, 상기 필터커버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필터커버체 설치 시에 필터링되는 부분의 하부에 떠받혀진 상태로 상기 필터커버체의 하부를 지지하고, 내부에 상기 공급관를 통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통공 형태의 하부지지공을 가지는 하부지지체;를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KR1020170065798A 2017-05-29 2017-05-29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KR101862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798A KR101862516B1 (ko) 2017-05-29 2017-05-29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798A KR101862516B1 (ko) 2017-05-29 2017-05-29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516B1 true KR101862516B1 (ko) 2018-06-29

Family

ID=6278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798A KR101862516B1 (ko) 2017-05-29 2017-05-29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5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066B2 (ja) * 1993-05-19 2000-12-18 東レ株式会社 混繊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編織物
KR200390280Y1 (ko) * 2005-04-16 2005-07-22 김문주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9066B2 (ja) * 1993-05-19 2000-12-18 東レ株式会社 混繊複合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編織物
KR200390280Y1 (ko) * 2005-04-16 2005-07-22 김문주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79838A1 (en) Multistage fiber filtering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filtering
CN105766781A (zh) 密闭式鱼缸过滤筒
KR101767032B1 (ko)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US20200122060A1 (en) Fiber filtering apparatus
KR101510923B1 (ko) 카트리지 필터를 내장한 공극제어 섬유 여과기 및 섬유 여과기 세척 방법
KR101862516B1 (ko)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JPH0785767B2 (ja) ろ過装置
KR100676953B1 (ko) 액체 청정 여과장치
KR102465263B1 (ko) 수질환경 오염방지 구조물
KR100697649B1 (ko) 여과기가 내장된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KR101758907B1 (ko) 우수 처리 시스템
KR102442907B1 (ko) 폐수 처리 장치
CN205865661U (zh) 密闭式鱼缸过滤筒
KR200194977Y1 (ko) 물정화장치를 가지는 수족관
KR101339990B1 (ko)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KR100764602B1 (ko)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KR20100079431A (ko) 연못의 수질 정화장치
JP3707458B2 (ja) 殺菌槽付濾過装置の石英管及び紫外線ランプの汚染防止装置
KR200373167Y1 (ko)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JP3722383B2 (ja) 湯循環浄化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カートリッジフィルター
JPH1080611A (ja) 鑑賞魚水槽用簡易濾過器
JP2006271233A (ja) 釣り堀装置
KR960000496Y1 (ko) 물탱크
KR100489631B1 (ko) 하·폐수 정화장치
JPH1015542A (ja) 浄水器用濾過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