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67Y1 -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 Google Patents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67Y1
KR200373167Y1 KR20-2004-0029758U KR20040029758U KR200373167Y1 KR 200373167 Y1 KR200373167 Y1 KR 200373167Y1 KR 20040029758 U KR20040029758 U KR 20040029758U KR 200373167 Y1 KR200373167 Y1 KR 200373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ter
wastewater
purification
cas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준
Original Assignee
브니엘수질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니엘수질환경(주) filed Critical 브니엘수질환경(주)
Priority to KR20-2004-0029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오염물질의 미생물 분해를 통한 오폐수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미생물 서식처 제공용 접촉여재에 관한 것으로서, 폭기조 내 오폐수의 사방 흐름에 대한 용이성을 위한 다리부(112)를 갖는 사각형박스를 구비하되 그 상하좌우의 외면 전부를 코팅철망(111)으로 배치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사각형박스 내에 다수 배열되되 유동방지를 위해 가득하게 채워지며 탄력성이 있고 다이아몬드형 다공을 형성하는 망사구조이되 환형으로 감아 말아진 망사입방체의 여재몸체(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조건을 항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 유기성물질의 분해에 따른 오폐수의 정화력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FILTER FOR PURGE OF FILTHY AND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IES}
본 고안은 각종 오염물질의 미생물 분해를 통한 오폐수의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미생물 서식처 제공용 접촉여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조건이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활하수나 오수/폐수를 정화하는 정화시스템은 오폐수중의 각종 유기성 오염물질을 산화작용 및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소화작용을 통해 분해시켜 깨끗한 상태로 정화되게 한다.
이러한 오폐수 정화처리시스템은 수백에서 수천 세대의 집단화된 아파트단지의 조성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고 수천 두수이상의 가축을 사육하는 기업형 가축농가가 증가되고 있어 이의 처리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관련기술의 보급도 가속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정화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오폐수 정화시스템은 유입되는 오/폐수 중에 혼합된 큰 입자상태의 이물질(예를 들면 종이조각이나 비닐 및 플라스틱 등)을 걸러주는 스크린(1)과, 상기 스크린(1)을 통과한 오폐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2)와, 상기 유량조정조(2)를 통과한 오폐수중의 유기성물질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도록 폭기되는 폭기조(3)와, 상기 폭기조(3)를 통과한 오폐수중의 침전물(활성슬러지)을 단계적으로 침전시켜주는 침전조(4)와, 상기 침전조(4)를 통과한 상등수는 오폐수처리시설 밖으로 내보내는 배수조(5)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오폐수를 유량조정조(2) 및 폭기조(3)로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핑장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정조(2)에는 오폐수의 폭기조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위감지방식을 이용한 자동펌핑장치가 있고, 상기 폭기조(3) 내에는 유기성물질을 분해하는데 이용되는 미생물의 서식처가 될 접촉여재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여재(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개구부(11a)를 갖는 원통형 케이스(11) 내에 솜이나 스폰지 등의 여재몸체(12)가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촉여재(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기조(3) 내에 일정높이가 되도록 채워져, 솜이나 스폰지 등의 여재몸체(12)가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처가 되고 이 미생물을 통해 오폐수중에 포함된 유기성 물질을 분해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를 진행되게 한다. 이때, 오폐수중에 포함된 유기성물질은 오폐수가 폭기조(3) 내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 정도 머무는 과정에서 상기 오폐수에 산소공급에 따른 물과 공기의 혼합에 의한 산화작용과 더불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으로 오폐수 중에 포함된 유기성물질이 깨끗하게 정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오폐수 정화시스템은 생활하수를 포함한 각종 오폐수가 흘러들어오면 스크린(1)을 통해 오폐수 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고 유량조정조(2)에서 유량이 조정되어 한쌍의 폭기조(3) 내로 균등하게 유입되어진다. 폭기조(3)를 순차적으로 거친 오폐수는 오폐수중의 유기성물질이 물과 공기의 혼합에 의한 산화작용과 상기 접촉여재(10)에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 등으로 분해되어 정화됨에 의해 생활용수나 농/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접촉여재(10)는 하나씩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폭기조(3) 내로 정화를 위한 오폐수가 공급될 때 여재몸체(12)의 유동성이 심하고, 이는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쳐 상기 호기성 미생물이 일부 사멸되거나 상당기간동안 그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여 결국 오폐수의 정화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공극률이 높으면서 탄력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망사섬유를 감아서 말은 여재몸체를 구비하되 코팅철망의 케이스 내에 가득 채워 넣은 구성으로 하여 이를 폭기조 내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폭기조 내로 정화를 위한 오폐수가 공급되더라도 상기 여재몸체가 독자적으로 유동됨이 없도록 함으로써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조건이 항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정화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의 여재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가 정화시스템의 폭기조에 사용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의 여재몸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여재몸체를 나타낸 전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가 정화시스템의 폭기조에 사용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접촉여재 110: 케이스
111: 코팅철망 112: 다리부
120: 여재몸체 200: 폭기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폭기조 내 오폐수의 사방 흐름에 대한 용이성을 위한 다리부를 갖는 사각형박스를 구비하되 그 상하좌우의 외면 전부를 코팅철망으로 배치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사각형박스 내에 다수 배열되되 유동방지를 위해 가득하게 채워지며 탄력성이 있고 다이아몬드형 다공을 형성하는 망사구조이되 환형으로 감아 말아진 망사입방체의 여재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의 여재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여재몸체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 정화용 접촉여재가 정화시스템의 폭기조에 사용된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100)는 폭기조 내 오폐수의 사방 흐름에 대한 용이성을 위한 다리부(112)를 갖는 사각형박스를 구비하되 그 상하좌우의 외면 전부를 코팅철망(111)으로 배치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사각형박스 내에 다수 배열되되 유동방지를 위해 가득하게 채워지며 탄력성이 있고 다이아몬드형 다공을 형성하는 망사구조이되 환형으로 감아 말아진 망사입방체의 여재몸체(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여재몸체(120)는 상기 케이스(110) 내에 배열되되 다수의 병렬 복수층을 형성하여 케이스(110) 내부에 적층되는 상태이며, 이는 호기성 미생물의서식처가 되는 여재몸체(120)가 독자적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다공성 구조에 의하여 여재몸체와 여재몸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물과 산소의 원활한 투입이 진행되므로 호기성 미생물의 향상된 서식조건을 갖게 한다.
여기서, 상기 환형의 망사입방체인 여재몸체(120)는 상호간에 엮인 눈이 촘촘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재질이 질긴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두루마리방식의 환형구조 형성과 더불어 여재몸체(120)에 다공성과 탄력성을 향상되게 하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촉여재(100)는 폭기조(200)에 수용되는 오폐수에 완전 잠김이 이루어지도록 집어넣어야 한다. 이렇게 접촉여재(100)의 오폐수 내 잠김은 접촉여재의 공간 내에서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을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호기성 미생물을 통해 오폐수 중에 포함된 유기성 물질을 분해하여 오폐수의 정화를 수행하게 된다.
즉, 오폐수 중에 포함된 유기성물질은 오폐수가 폭기조(200) 내에서 12시간 내지 48시간 정도 머무는 과정에서 상기 오폐수로 산소가 공급됨에 따라 물과 공기의 혼합에 의한 산화작용과 접촉여재(100)에서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에 의해 분해되어 오폐수의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접촉여재(100)에 있어 호기성 미생물의 실질적인 서식처가 되는 다공성 망사입방체의 여재몸체(120)는 그 자체적으로도 내부의 공극률이 높은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는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에 매우 유리한 환경을 조성되게 한다.
한편, 새로운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정화가 이루어진 오폐수는 일정량 방류하고 새롭게 정화시킬 오폐수를 폭기조(200) 내로 일정량 다시 공급시키는데, 이 과정에서는 다공성 망사입방체인 여재몸체(120)가 케이스(110)측 코팅철망(111)에 의해 보호되어있는 상태이므로 폭기조(200) 내로 오폐수의 공급/배출이 수행되어도 여재몸체(120)는 유동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여재몸체(120) 내에 서식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탄력성이 있는 망사입방체의 여재몸체(120)는 유량조정조(도 1참조)로부터 유입되는 오폐수의 유량/유속에도 유연하게 탄력적인 접촉을 가지는 상태를 제공하므로 여재몸체(120) 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호기성 미생물에 영향력 형성을 배제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에 의하면, 다공성 및 탄력성이 있는 환형의 망사입방체로 된 여재몸체를 구비하되 이를 코팅철망의 케이스를 통해 보호되게 하는 구성으로, 폭기조 내에서 정화를 위한 오폐수를 유입시 여재몸체의 유연한 대처에 의해 유동발생을 억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오폐수 중의 유기성 물질을 분해시키는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할 뿐만 아니라 호기성 미생물의 사멸 방지 및 그 활동성을 항상 활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므로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조건 향상에 따른 오폐수의 정화됨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폭기조 내 오폐수의 사방 흐름에 대한 용이성을 위한 다리부(112)를 갖는 사각형박스를 구비하되 그 상하좌우의 외면 전부를 코팅철망(111)으로 배치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사각형박스 내에 다수 배열되되 유동방지를 위해 가득하게 채워지며 탄력성이 있고 다이아몬드형 다공을 형성하는 망사구조이되 환형으로 감아 말아진 망사입방체의 여재몸체(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KR20-2004-0029758U 2004-10-21 2004-10-21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KR200373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58U KR200373167Y1 (ko) 2004-10-21 2004-10-21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58U KR200373167Y1 (ko) 2004-10-21 2004-10-21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67Y1 true KR200373167Y1 (ko) 2005-01-15

Family

ID=4944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58U KR200373167Y1 (ko) 2004-10-21 2004-10-21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05B1 (ko) * 2009-11-16 2012-05-02 장동건설(주)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메디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05B1 (ko) * 2009-11-16 2012-05-02 장동건설(주) 오폐수 처리용 미생물 메디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08855B2 (en)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ter
JPH0899092A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JP2007152275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CN104276722B (zh) 尾水提标系统
KR200373167Y1 (ko) 오폐수처리시설의 정화용 접촉여재
KR100853452B1 (ko) 철과 망간을 포함한 강변 여과수의 처리장치
KR100857421B1 (ko) 정수 장치
KR100436981B1 (ko) 수처리장치
KR200237437Y1 (ko) 오ㆍ폐수 처리시스템
JP6383725B2 (ja) 水処理装置
CN207347250U (zh) 一种用于农村分散式生活污水处理的复合生态滤床
KR100401094B1 (ko) 오ㆍ폐수 처리시스템
CN106045210A (zh) 一种微污染源水深度处理工艺和系统
JP6652898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100249466B1 (ko) 오수 정화용 접촉여재
KR101088385B1 (ko) 자연형 연못 정수 시스템
KR20100129118A (ko) 하폐수 재활용 이온활성화 정화시스템
JP2002045878A (ja) 水の浄化システム
JP2000117257A (ja) 生活排水利用装置
JP5000594B2 (ja) 合併処理浄化槽
KR200273451Y1 (ko) 오,폐수 정화용 여재
KR200293992Y1 (ko) 활성탄을 이용한 하천용 정화기
KR200267137Y1 (ko) 오,폐수 정화용 여재
KR200172792Y1 (ko) 생물학적 오수처리조의 여재
JP2007105640A (ja) 循環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循環浄化槽、並びに汚水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