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990B1 -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990B1
KR101339990B1 KR1020110093436A KR20110093436A KR101339990B1 KR 101339990 B1 KR101339990 B1 KR 101339990B1 KR 1020110093436 A KR1020110093436 A KR 1020110093436A KR 20110093436 A KR20110093436 A KR 20110093436A KR 101339990 B1 KR101339990 B1 KR 10133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hing liquid
washing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976A (ko
Inventor
김홍기
Original Assignee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기 filed Critical 김홍기
Priority to KR102011009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의 표면을 긁거나 문지르지 않으면서 필터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필터의 표면에 남겨진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튜브형의 정수기용 필터(F)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면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 통기 가능하게 고정되는 세척케이스(100);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고정하는 상태로 세척케이스(100)의 개구를 폐쇄하는 뚜껑(200);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면서 정수기용 필터(F)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공급수단(300);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나 타단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400); 및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FOR WATER CONDITION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필터의 표면을 긁거나 문지르지 않으면서 필터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필터의 표면에 남겨진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씽크대에 설치되는 언더 씽크 정수기(Under sink type water conditioner)와 일반 가정용 정수기 등 원수(지하수, 수돗물 등)를 직접 여과시키는 방식의 정수기들은 물을 여과시키는 필터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필터는 역삼투압방식과 중공사막방식 및 세라믹방식이 있으나 중공사막방식과 세라믹방식의 필터가 주로 사용된다.
중공사막 방식과 세라믹 방식의 필터는 속이 빈 튜브형상으로 표면에 0.01㎛ 이하의 미세한 기공이 뚫려 있어 그 사이로 물이 통과할 때 오염물질이 여과된다.
이러한, 언더 씽크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정수하는 침전필터와 활성탄 필터를 갖는다.
즉, 침전필터와 활성탄 필터는 1차적으로 유입된 원수(原水) 속에 포함된 1~5㎛ 크기까지의 미세한 불순물(먼지, 녹, 흙, 모래, 미생물, 산화물, 박테리아)들을 제거하여 정수하고, 2차적으로 물속의 염소성분, 발암물질, 유기물질 등 분자량 200 이상되는 화학성분을 흡착시켜 제거하며, 3차로 2차 정수된 물을 완전히 정수한다.
위 1~3단계의 정수과정은 제조사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위에서 1~3단계의 필터는 하나의 브래킷에 3개의 뚜껑이 고정되어 있고, 원통형 필터가 각각 넣어지는 원통형의 하우징을 상기 각각의 뚜껑 밑에서 나사 결합시킨다.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 하우징의 일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 하우징(10) 조립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상하단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11)와 정수된 물이 배출되는 정수 배출구(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한 입수구(11)와 정수 배출구 (12)의 사이에 튜브형 필터(2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입수구(11)속으로 유입된 물은 하우징(10)과 필터(20)의 사이 즉, 필터의 원주면 둘레로 유입되어 필터(20)의 미세공(㎛)을 통과하면서 정수된 뒤 중공부(21)를 통해 정수 배출구(12)로 배수된다.
상기한 필터(20)는 입수구(11)와 배출구(12)와 연결되는 부위에 상하측 지지판(22, 2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측 지지판(22)은 필터(20)의 중공부(21)와 막혀 있어 입수구(11)로 유입된 물을 필터(20)의 원주 둘레쪽으로 가이드하고, 하측 지지판(23)은 중공부(21)와 배출구(12)가 통해져 있어 필터(20)를 통과한 물이 배출구로 배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측 지지판(22)과 배출구(12)의 사이에는 실링부재(25)가 설치되어 오염된 물과 정수된 물이 썩이지 않도록 실링되어 있으며, 하우징 캡(10a)과 하우징의 사이에도 실링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캡(10a)은 하우징에서 개폐시켜 필터(20)를 삽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입수구(11)와 배출구(12)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급수호수나 배수호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하우징(10)내로 유입된 물은 필터(20)를 통과하면서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걸러내어 정수시킴으로 필터의 반경방향 외측이 내측보다 더 빠르게 오염이 진행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정수능력이 점차 저하된다. 따라서, 정수기의 정수능력을 회복시키기 위해 정기적으로 필터를 세척해 주어야 한다.
종래 정수기 필터의 세척방법으로는 하우징 캡(10a)을 열고 그 속에 들어 있는 필터(20)를 꺼낸 뒤 그 필터(20)의 원주면을 수세미나 솔로 닦아 세척한 뒤 세척된 필터(20)는 다시 하우징(10)에 조립하면 필터가 파손되지 않는 한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위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수기 필터의 세척작업은 별다른 어려움이 없어 일반인들도 간편하게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필터 세척시 필터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을 손으로 만지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을 뿐만아니라, 정수기 필터의 세척작업시 분해된 부품의 망실이나 훼손될 우려가 있어서 일반인이나 소비자가 직접 세척을 기피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되어 2007년8월13일에 공개번호10-2007-0080666호 "셀프 세척기능을 갖춘 정수기용 필터 하우징 조립체"가 공개된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필터 하우징을 흔드는 것으로 세척링이 세라믹필터의 외주면을 긁게 되면서 세라믹필터에 의해 정화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사용자에 의해 필터 하우징이 강하게 흔들리는 경우 강하게 와복이동되는 세척링에 의해 필터 하우징의 표면이 긁히게 되면서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고, 필터 하우징이 약하게 흔들리는 경우 필터 하우징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세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정수기용 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으면서, 세척후 정수기용 필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튜브형의 정수기용 필터(F)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면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 통기 가능하게 고정되는 세척케이스(100);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고정하는 상태로 세척케이스(100)를 폐쇄하는 뚜껑(200);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면서 정수기용 필터(F)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공급수단(300);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나 타단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400); 및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케이스(100)는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10); 및 상기 고정부재(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이 배수되는 배수홀(121)이 형성되며, 정수기용 필터(F)를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수홀(121)을 통해 배수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저면에 저장되도록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격판(120);을 포함한다.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으로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공급관(310);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에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세척액공급관(310)에 연결되며 세척액이 충전되는 세척액탱크(320); 및 상기 세척액탱크(320)에 충전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에 가압되면서 공급되도록 세척액탱크(320)에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셔(33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은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세척액공급관(31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을 회전되면서 경사상태로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재(3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액분사부재(370)은 상기 세척액을 경사상태로 분사하도록 경사지게 절곡되는 복수의 분사노즐(710);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710)들이 각기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방사상태로 분기되면서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관통되는 분사노즐(710)들에 상기 세척액을 제공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캡형태의 로테이터(720); 및 상기 로테이터(720)가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서 피벗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로테이터(720)의 하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73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에 끼워져서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10); 및 상기 고정부재(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42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수단(500)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배출필터(510); 및 상기 배출필터(510)에서 필터링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5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여 정수기용 필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과정에서 필터의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이점이 있고, 정수기용 필터의 양단을 가압하면서 고정한 상태로 세척액이 공급되므로 세척액이 정수기용 필터의 양단으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정수기용 필터를 세척할 수 있어서 세척력이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후 공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정수기용 필터를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드라이어를 구비하지 않아도 필터를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는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기용 필터가 장착된 하우징 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수기용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케이스(100); 뚜껑(200); 세척액공급수단(300); 가압수단(400); 및 배출수단(500);을 포함한다.
세척케이스(100)는 튜브형의 정수기용 필터(F)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면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 통기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세척케이스(100)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10); 및 격판(120);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10)는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세척액은 물이 바람직하며 정수된 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격판(120)은 상기 고정부재(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이 배수되는 배수홀(121)이 형성되며, 정수기용 필터(F)를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수홀(121)을 통해 배수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저면에 저장되도록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한다. 이러한, 격판(120)은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액이 저수되면서 세척액의 오버플로우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홀(121)에서 배수된 세척액이 배수되는 추가배수홀(131)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120)에 의해 분할된 세척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추가로 상하분할하여 세척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세척케이스(100)에 추가격판(13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격판(130)은 지지대(101)에 의해 격판(120)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지지대(101)는 추가격판(130)의 상부와 격판(120)의 하부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세척액공급관(310), 공기공급관(341) 및 소독제공급관(351)이 관통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추가격판(130)에 의해 세척케이스(100)의 하부에 모여지는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세척케이스(100)에 드레인(D)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200)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고정하는 상태로 세척케이스(100)를 폐쇄한다.
세척액공급수단(300)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면서 정수기용 필터(F)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공급관(310); 세척액탱크(320); 및 에어컴프레셔(330);를 포함한다.
세척액공급관(310)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으로 상기 세척액을 공급한다. 이러한, 세척액공급관(310)은 후술되는 에어컴프레셔(330)의 공기를 차단하여 세척액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밸브(311)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밸브(311)는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액탱크(320)는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에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세척액공급관(310)에 연결되며 세척액이 충전된다.
에어컴프레셔(330)는 상기 세척액탱크(320)에 충전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에 가압되면서 공급되도록 세척액탱크(320)에 연결관(390)에 의해 연결되어 공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은 상기 정수기용 필터(F)에 공기를 공급하여 정수기용 필터(F)를 건조시키는 필터건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건조수단은 예컨대 공기공급관(341); 및 밸브(342);를 포함한다.
공기공급관(341)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까지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330)의 연결관(390)에 타단이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셔(33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정수기용 필터(F)에 공기를 공급한다.
밸브(342)는 상기 공기공급관(341)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341)을 개폐한다. 이러한, 밸브(342)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은 상기 정수기용 필터(F)에 세제를 공급하여 정수기용 필터(F)를 세정하는 소독제공급수단(35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소독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염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염소가 포함된 소독제는 정수기용 필터(F)를 소독한 후 휘발되므로 정수기용 필터(F)가 소독된 후에 깨끗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소독제공급수단(350)은 예컨대 소독제공급관(351); 소독제탱크(352); 및 밸브(353)를 포함한다.
소독제공급관(351)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까지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330)의 연결관(390)에 타단이 연결되어 에어컴프레셔(330)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소독제을 정수기용 필터(F)에 공급한다.
소독제탱크(352)는 상기 소독제공급관(351)이 일측에 연결되고 소독제공급관(351)에 공급하기 위한 소독제이 충전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셔(330)의 공기에 의해 충전된 소독제이 소독제공급관(351)으로 공급되도록 타측으로 에어컴프레셔(330)가 연결된다.
밸브(353)는 상기 소독제공급관(351)에 설치되어 소독제공급관(351)을 개폐한다. 이러한, 밸브(353)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세척액공급관(31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을 회전되면서 경사상태로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재(37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세척액분사부재(370)은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사노즐(710); 로테이터(720); 및 스테이터(730);를 포함한다.
복수의 분사노즐(710)은 상기 세척액을 경사상태로 분사하도록 경사지게 절곡된다.
로테이터(720)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710)들이 각기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방사상태로 분기되면서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관통되는 분사노즐(710)들에 상기 세척액을 제공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캡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로테이터(720)는 스테이터(730)에서 회전되도록 하단에 외향플랜지(721)가 형성된다.
스테이터(730)는 상기 로테이터(720)가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서 피벗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로테이터(720)의 하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테이터(730)는 로테이터(720)의 외향플랜지(721)가 걸린 상태로 회전되도록 일단부에 내향플랜지(731)가 형성된다. 또한, 외향플랜지(721)와 내향플랜지(731)의 사이에는 베어링(BR)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730)는 로테이터(7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로테이터(720)의 외향플랜지(721)의 하부를 지지하는 와셔(WS)가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와셔(WS)와 외향플랜지(721)의 사이에는 외향플랜지(721)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BR)이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스테이터(730)와 세척액공급관(310)의 사이에는 스테이터(730)와 세척액공급관(310)의 사이를 실링하여 세척액의 유실을 방지하는 패킹(PK)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터(730)는 세척액공급관(3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타단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수단(4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나 타단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고정부재(410); 및 탄성체(42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10)는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에 끼워져서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고정한다.
탄성체(420)는 상기 고정부재(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일단이 고정부재(410)에 고정되고 타단이 뚜껑(200)에 고정된다.
즉, 고정부재(410)는 전술한 뚜껑(200)이 세척케이스(100)에 결합됨에 따라 탄성체(42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전술한 고정부재(110)와 함께 정수기용 필터(F)의 양단을 가압한다. 따라서, 세척액은 정수기용 필터(F)의 양단으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면서 정수기용 필터(F)의 외측에 정수시에 흡착(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킨다.
또한, 전술한 뚜껑(200)과 세척케이스(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사결합되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제각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뚜껑(200)은 세척케이스(100)에 나사결합되어 세척케이스(100)를 폐쇄할 수 있으면서 세척케이스(100)에 나사결합되는 과정에서 고정부재(410)를 통해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가압하게 되므로 정수기용 필터(F)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배출수단(500)은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배출필터(510); 및 배출관(520);을 포함한다.
배출필터(510)는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전술한 정수기용 필터(F)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출필터(510)는 정수기용 필터(F)에서 정수시 걸러진 이물질들을 필터링하므로 정수된 배출수(세척액)가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520)은 상기 배출필터(510)에서 필터링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배출관(520)은 전술한 세척액탱크(320)에 배출된 세척액을 다시 공급하도록 세척액탱크(3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관(520)은 세척액탱크(320)에 연결되는 경우 세척액이 낭비되지 않으면서 재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에어콤프레셔(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들(342)(353)이 클로스동작되어 공기공급관(341) 및 소독제공급관(351)이 폐쇄된 상태이면서 밸브(311)가 오픈동작되어 세척액공급관(3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경우 연결관(390)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세척액탱크(320)의 세척액을 세척액공급관(310)으로 공급시킨다.
이어서, 세척액공급관(310)은 세척액을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으로 분사한다. 따라서, 세척액은 복수의 고정부재(110)(410)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정수기용 필터(F)의 양단으로 유실되지 않으면서 외측면으로 투과되면서 정수기용 필터(F)의 외측에 흡착된 이물질을 정수기용 필터(F)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복수의 분사노즐(7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서 세척액공급관(31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의 수압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척액을 경사상태로 분사하므로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 고르게 세척액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액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사노즐(710)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분사되므로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서 와류현상이 발생되어 정수기용 필터(F)의 내부압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정수기용 필터(F)를 강하게 투과하여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세척액은 이물질과 함께 격판(120)의 배수홀(121)로 배수되고, 추가격판(130)의 추가배수홀(131)에 연이어서 배수되면서 세척케이스(100)의 하부에 저수된다. 이때, 이물질은 세척케이스(100)의 하부에 저수되면서 추가격판(130)에 의해 세척케이스(100)의 상부로 오버플로우되지 않는다.
세척케이스(100)의 하부에 저수되는 세척액은 배출필터(510)에서 필터링되면서 배출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정수기용 필터(F)는 표면을 물리적으로 자극하지 않는 상태로 세척액에 의해 세척된다.
또한, 에어콤프레셔(330)는 밸브(342)가 클로스동작되어 공기공급관(341)이 폐쇄된 상태이면서 밸브(353)가 오픈동작되어 소독제공급관(351)이 개방된 경우 연결관(390)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소독제공급관(351)으로 (352)의 소독제를 공급시킨다. 따라서, 소독제는 소독제공급관(351)에서 정수기용 필터(F)로 분사되어 정수기용 필터(F)를 소독한 후 휘발되면서 배출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세척액공급관(310)은 밸브(311)가 오픈동작되는 경우 소독제와 함께 세척액을 정수기용 필터(F)로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액은 정수기용 필터(F)를 소독한 소독제와 함께 배출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에어콤프레셔(330)는 밸브(311)가 클로스동작되어 세척액공급관(310)이 폐쇄된 상태이면서 밸브(342)가 오픈동작되어 공기공급관(341)이 개방된 경우 연결관(39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공기공급관(341)은 연결관(39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정수기용 필터(F)에 제공하여 세척이 완료된 정수기용 필터(F)를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용 필터(F)는 세척액에 의해 세척된 후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될 수 있으므로 건조된 상태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며 보관되는 과정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세척케이스 200 : 뚜껑
300 : 세척액공급수단 400 : 가압수단
500 : 배출수단

Claims (6)

  1. 튜브형의 정수기용 필터(F)가 수용되도록 일측이 개구되면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 통기 가능하게 고정되는 세척케이스(100);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고정하는 상태로 세척케이스(100)를 폐쇄하는 뚜껑(200);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투과되면서 정수기용 필터(F)의 외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공급수단(300);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나 타단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가압하는 가압수단(400); 및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필터링 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0);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케이스(100)는,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10); 및 상기 고정부재(1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이 배수되는 배수홀(121)이 형성되며, 정수기용 필터(F)를 바닥에서 이격시키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배수홀(121)을 통해 배수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저면에 저장되도록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격판(120);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에 관통상태로 설치되어 정수기용 필터(F)의 내측으로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공급관(310);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에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세척액공급관(310)에 연결되며 세척액이 충전되는 세척액탱크(320); 및
    상기 세척액탱크(320)에 충전된 세척액이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에 가압되면서 공급되도록 세척액탱크(320)에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컴프레셔(330);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공급수단(300)은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 마련되어 세척액공급관(31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을 회전되면서 경사상태로 분사하는 세척액분사부재(3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액분사부재(370)은
    상기 세척액을 경사상태로 분사하도록 경사지게 절곡되는 복수의 분사노즐(710);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710)들이 각기 동일한 방향을 향하면서 방사상태로 분기되면서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관통되는 분사노즐(710)들에 상기 세척액을 제공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캡형태의 로테이터(720);
    상기 로테이터(720)가 상기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서 피벗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로테이터(720)의 하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태로 세척액공급관(310)의 단부에 고정되는 스테이터(730);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에 끼워져서 정수기용 필터(F)의 타단을 고정하는 고정부재(410); 및
    상기 고정부재(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420);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500)은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정수기용 필터(F)를 통과한 세척액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배출필터(510); 및
    상기 배출필터(510)에서 필터링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520);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KR1020110093436A 2011-09-16 2011-09-16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KR10133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36A KR101339990B1 (ko) 2011-09-16 2011-09-16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36A KR101339990B1 (ko) 2011-09-16 2011-09-16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76A KR20130029976A (ko) 2013-03-26
KR101339990B1 true KR101339990B1 (ko) 2013-12-11

Family

ID=4817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436A KR101339990B1 (ko) 2011-09-16 2011-09-16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649B1 (ko) * 2014-09-05 2016-09-22 박종하 필터 세정 장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071A (ja) * 2004-02-25 2005-09-08 Nippon Filter Kk ろ過機
US20080060982A1 (en) 2006-09-08 2008-03-13 General Electronic Company App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ilter assembly
US20100044284A1 (en) 2006-12-22 2010-02-25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Water filter device with depletion display
KR20100133123A (ko) * 2009-06-11 2010-12-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필터의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071A (ja) * 2004-02-25 2005-09-08 Nippon Filter Kk ろ過機
US20080060982A1 (en) 2006-09-08 2008-03-13 General Electronic Company App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filter assembly
US20100044284A1 (en) 2006-12-22 2010-02-25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Water filter device with depletion display
KR20100133123A (ko) * 2009-06-11 2010-12-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필터의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76A (ko) 201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425B2 (ja) 水処理機器
WO2014103854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装置の逆洗浄方法
KR101135951B1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KR102010981B1 (ko) 수처리장치
KR101339990B1 (ko) 정수기용 필터 세척장치
KR100912268B1 (ko) 생물학적 활성탄 흡착 여과 장치 및 그 세정 방법
KR20100089341A (ko) 자가세정가능한 정수기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02035216B1 (ko) 빗물 정화장치
KR100888647B1 (ko) 정수기용 필터 장치
KR101481634B1 (ko) 수족관용 물관리장치
KR101770652B1 (ko) 물 여과장치
KR100825680B1 (ko) 플랜지 이음 정화 수단을 갖는 물탱크
KR102333795B1 (ko) 세척이 가능한 헤파 필터
JP2011020068A (ja) 排水浄化装置
KR101204383B1 (ko) 흡입 회전식 슬러지 분리장치
KR101346312B1 (ko) 중력의 낙차를 이용한 정수장치 및 정수방법
CN208995300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0899071B1 (ko) 탁도 제거기
KR101176889B1 (ko) 고액 분리장치
KR101987792B1 (ko) 수처리장치의 살균방법
KR20100050279A (ko) 초기강우 여과장치
KR200182218Y1 (ko) 분뇨차용탈취기
JPH09267092A (ja) 浄水器の補助フィルタ装置
CN220309884U (zh) 一种污水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