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602B1 -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602B1
KR100764602B1 KR20060115102A KR20060115102A KR100764602B1 KR 100764602 B1 KR100764602 B1 KR 100764602B1 KR 20060115102 A KR20060115102 A KR 20060115102A KR 20060115102 A KR20060115102 A KR 20060115102A KR 100764602 B1 KR100764602 B1 KR 10076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ank
anaerobic
treated wate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1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인자
Original Assignee
(주) 하나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나환경 filed Critical (주) 하나환경
Priority to KR20060115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하·폐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1) 유입관(203)을 통해 유입된 하·폐수가 혐기여상조 제1실(210)에서 제1혐기여재(21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고, 처리수조(250)로부터 순환된 처리수에 의해 질소가 제거되는 단계(S110); 2)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펌프(222)를 이용하여 유량조절장치(220)로 보내고, 상기 유량조절장치(220)는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일정량 이하로 조절하여 혐기여상조 제2실로 보내는 단계(S120); 3) 혐기여상조 제2실(230)에서 제2혐기여재(23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단계(S130); 4) 상기 혐기여상조 제2실(230)을 통과한 하·폐수가 생물여과조(240)의 폭기부(241)로 유입되어 충전된 스펀지 담체(242)에 부착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된 후,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로 보내어져 부유물질이 정지부-담체(247) 사이에 포집되어 여과되는 단계(S140); 5)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를 통과한 처리수가 처리수조(250)에서 저류되는 단계(S150); 6) 소독조(260)에서 상기 처리수조(250)를 거친 처리수를 소독제에 접촉시켜 멸균한 후 유출관(265)을 통해 방류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처리시설, 담체, 생물여과

Description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Bio-Filter Type Process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과정과 관련된 장치의 개략도,
도 6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6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6c은 도 6b의 순환수량조정장치에서 조정게이트를 상승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는 도 6a의 순환수량조정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6a의 순환수량조정장치의 B-B 방향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조정게이트와 기능판의 상세도,
도 9b는 도 9a의 순환수량조정장치에서 조정게이트를 상승시킨 상태의 조절게이트와 기능판의 상세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캡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 : 유입관 210 : 혐기여상조 제1실
212 : 제1혐기여재 220 : 유량조절장치
222 : 에어리프트펌프장치 230 : 혐기여상조 제2실
232 : 제2혐기여재 240 : 생물여과조
241 : 폭기부 242 : 스펀지 담체
246 : 정지부 247 : 정지부-담체
250 : 처리수조 260 : 소독조
265 : 유출관 270 : 순환수량조정장치
272 : 순환수이송관 280 : 세정용에어리프트펌프장치
281 : 역세관 282 : 세정배수이송관
본 발명은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하수처리시설 장치에 있어서, 혐기여상조 제1실(210), 유량조절장치(220), 혐기여상조 제2실(230), 혐기여상조 제2실(230)을 통과한 하·폐수가 폭기부(241)로 유입되어 충전된 스펀지 담체(242)에 부착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된 후,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로 보내어져 부유물질이 정지부-담체(247) 사이에 포집되어 여과되는 생물여과조(240),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를 통과한 처리수가 저류되는 처리수조(250), 처리수조(250)를 거친 처리수를 소독제에 접촉시켜 멸균한 후 유출관(265)을 통해 방류하는 소독조(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을 이용하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은 정화를 위한 계통의 흐름의 비적합성, 또는 하·폐수의 유입량의 변동에 따른 과부하시 적절한 대처 수단이 없었던 점, 하수처리시설 내에서 하·폐수의 흐름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하여 하수처리시설(또는 정화조)이 가지는 정화능력을 최대한 이용하지 못하는 점, 하수처리시설의 물리적 구조의 비적합성 등의 문제가 있어, 전체적으로 정화 효율이 떨어지고 관리에 있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은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사용한 접촉여재를 청소하는데 있어 직접 꺼내어 세척한 후에 다시 충진하여 폭기실에 넣어야 하기 때문에 청소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하수처리시설 내부의 정화 능력, 정화의 대상이 되는 하수, 폐수의 유입량과 상관없이 정화시스템을 작동하면 일정량이 무조건 순환되어 정화시스템의 운전자가 그 순환량을 상황 또는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화를 위한 계통의 흐름이 적합하고, 또한 하·폐수의 유입량의 변동에 따른 과부하시 적절한 대처 수단을 갖추고 있고, 하수처리시설 내에서 하·폐수의 흐름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 하수처리시설이 가지는 정화능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하수처리시설의 물리적 구조의 적합하여, 전체적으로 정화 효율이 우수하고 관리가 용이한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에 있어서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사용한 접촉여재를 청소하는데 있어 이를 자동화시켜 제어박스에 내장된 타이머가 설정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역세를 실시하여 종래의 경험에 의한 역세 조작이 필요없는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에 있어서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 특유의 유량조절장치, 순환수량조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하수처리시설 내부의 정화 능력, 정화의 대상이 되는 하수, 폐수의 유입량에 따라 정화시스템의 운전자가 과정을 거치는 하·폐수 처리량, 처리수의 순환량을 상황 또는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어 안정된 처리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순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한번 조절량을 설정해놓으면 차후 조정까지 환송량이 변동이 없는, 처리수 순환량 조정이 용이하면서도 조정량 유지의 기능성이 우수한 순환수량조정장치를 포함하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은 하수처리시설의 하·폐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1) 유입관(203)을 통해 유입된 하·폐수가 혐기여상조 제1실(210)에서 제1혐기여재(21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고, 처리수조(250)로부터 순환된 처리수에 의해 질소가 제거되는 단계(S110); 2)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펌프(222)를 이용하여 유량조절장치(220)로 보내고, 상기 유량조절장치(220)는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일정량 이하로 조절하여 혐기여상조 제2실로 보내는 단계(S120); 3) 혐기여상조 제2실(230)에서 제2혐기여재(23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단계(S130); 4) 상기 혐기여상조 제2실(230)을 통과한 하·폐수가 생물여과조(240)의 폭기부(241)로 유입되어 충전된 스펀지 담체(242)에 부착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된 후,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로 보내어져 부유물질이 정지부-담체(247) 사이에 포집되어 여과되는 단계(S140); 5)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를 통과한 처리수가 처리수조(250)에서 저류되는 단계(S150); 6) 소독조(260)에서 상기 처리수조(250)를 거친 처리수를 소독제에 접촉시켜 멸균한 후 유출관(265)을 통해 방류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과정과 관련된 장치의 개략도이다.
1) 먼저, 유입관(203)을 통해 유입된 하·폐수가 혐기여상조 제1실(210)에서 제1혐기여재(21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고, 처리수조(250)로부터 순환된 처리수에 의해 질소가 제거된다. 이때 처리수조(250)의 처리수는 순환수량조정장치(270)에 의해 상기 순환수량조정장치(270)는 순환수이송관(272)을 경유하여 공급된다. 혐기여상조 제1실(210)의 상부에 유량조정부가 형성되어 유입오수의 유량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2) 다음에,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펌프(222)(바람직하게, 에어리프트펌프장치)를 이용하여 유량조절장치(220)로 보내고, 상기 유량조절장치(220)는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일정량 이하로 조절하여 혐기여상조 제2실로 보낸다.
본 발명에 있어 에어리프트펌프 또는 에어리프트펌프장치는 송풍기 또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유체를 상승, 흡입할 수 있는 배관구조를 포함하는 에어(공기)를 이용한 펌핑 시스템 또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주지된 에어를 이용한 유체(하·폐수 포함) 상승, 흡입 장치를 포함하며 주지된 에어리프트펌프(펌핑)장치의 원리 및 구체적인 구조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본다. 예를들어 고압의 공기를 배관의 일방향으로 분사, 공급하여 주면 배관의 타방향 일단에 접한 유체는 고압의 공기 흐름 방향으로 흡입, 이동하게 된다.
3) 다음에, 혐기여상조 제2실(230)에서 제2혐기여재(23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4) 생물여과조(240)에서는 혐기여상조 제2실(230)을 통과한 하·폐수가 생물여과조(240)의 폭기부(241)로 유입되어 충전된 스펀지 담체(242)에 부착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된 후,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로 보내어져 부유물질이 정지부-담체(247) 사이에 포집되어 여과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5) 다음에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를 통과한 처리수가 처리수조(250)에서 저류되는 단계(S150)와 6) 소독조(260)에서 상기 처리수조(250)를 거친 처리수를 소독제에 접촉시켜 멸균한 후 유출관(265)을 통해 방류하는 단계(S160)가 수행된다.
7) 공압(바람직하게 에어리프트펌프장치)을 이용하여 처리수조(250)의 처리수를 순환수량조정장치(270)로 상승시키면, 순환수량조정장치(270)는 상승된 처리 수 중 일정량을 순환수이송관(272)을 경유하여 혐기여상조 제1실(210)로 순환시킨다. 초과량은 처리수조(250)로 환송된다.
8) 역세관(281)에 공기를 불어 넣음과 동시에 세정용에어리프트펌프장치(280)로 폭기부(241)와 정지부(246) 간 지점으로부터 세정폐수를 잡아 빼서 세정배수이송관(282)으로 보내고, 세정폐수는 세정배수이송관(282)을 경유하여 혐기여상조 제1실(210)로 보내어진다. 미생물은 항상 일정하게 콘트롤되어 처리 성능이 안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는 하수처리시설 장치에 있어서, 1) 유입관(203)을 통해 유입된 하·폐수가 제1혐기여재(21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고, 처리수조(250)로부터 순환된 처리수에 의해 질소가 제거되는 혐기여상조 제1실(210); 2) 에어리프트펌프장치(222)가 상기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보내면 이를 일정량 이하로 조절하여 혐기여상조 제2실로 보내는 유량조절장치(220); 3) 제2혐기여재(23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혐기여상조 제2실(230); 4) 상기 혐기여상조 제2실(230)을 통과한 하·폐수가 폭기부(241)로 유입되어 충전된 스펀지 담체(242)에 부착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된 후,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로 보내어져 부유물질이 정지부-담체(247) 사이에 포집되어 여과되는 생물여과조(240); 5)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를 통과한 처리수가 저류되는 처리수조(250); 6) 상기 처리수 조(250)를 거친 처리수를 소독제에 접촉시켜 멸균한 후 유출관(265)을 통해 방류하는 소독조(260); 7) 에어리프트펌프장치가 상기 처리수조(250)의 처리수를 상승시켜 보내면 상승된 처리수 중 일정량을 순환수이송관(272)을 경유하여 혐기여상조 제1실(210)로 순환시키고 초과량은 상기 처리수조(250)로 환송시키는 순환수량조정장치(270); 8) 역세관(281)에 공기를 불어 넣어지면 상기 폭기부(241)와 정지부(246) 간 지점으로부터 세정폐수를 잡아 빼서 혐기여상조 제1실(210)까지 통로를 제공하는 세정배수이송관(282)으로 보내는 세정용에어리프트펌프장치(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6b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사시도, 도 6c은 도 6b의 순환수량조정장치에서 조정게이트를 상승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는 도 6a의 순환수량조정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6a의 순환수량조정장치의 B-B 방향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조정게이트와 기능판의 상세도, 도 9b는 도 9a의 순환수량조정장치에서 조정게이트를 상승시킨 상태의 조절게이트와 기능판의 상세도, 도 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캡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순환수량조정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순환수량조정장치(270)는, 상부가 개방된 몸체(5)가 구비되고, 유입공(10a)을 형성하는 유입관(10)이 구비된 상부가 개방된 유입실(15)과; 상기 몸체(5)를 횡 으로 가로지르며 제2통과홈(30a)가 구비되는 차단판(30)과, 상기 차단판(30)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조정게이트(40)가 삽입되는 지지판(42) 및 기능판(50)에 의해 형성되는 분배실(35)과; 상기 분배실(35)에 인접하며 횡간벽(49)과 상기 조정게이트(40)가 삽입되는 지지판(42)에 의해 형성되고, 환송수가 환송공(47a)을 가지는 환송관(47)으로 보내어지는 환송실(45)과; 상기 분배실(35)과 상기 환송실(45)에 인접하며, 상기 기능판(50)과 상기 횡간벽(49)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능판(50)을 통과한 이송수가 이송관(57)으로 보내어지는 이송실(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순환수량조정장치(270)는 유입실(15)과 분배실(3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차단판(30)과 하부에 제1통과홈(20a)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30) 대비 엇갈리게 세워지는 통과벽판(20)에 의해 형성되는 통과실(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순환수량조정장치(270)는, 캡본체(71)에 상기 유입관(10)의 크기에 상응하는 원형테두리(72)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 사각형상의 내부테두리(74)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테두리(74)를 넘어 연장부(75)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테두리(74)와 나란하게 적어도 두개의 락테두리(76)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실(15)과 상기 통과실(25)을 상기 몸체(5)의 상부에서 폐쇄하는 캡(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순환수량조정장치(270)에 있어서, 조정게이트(40)는 조정게이트 하부(40a), 서로 수평한 복수의 수평한 돌기가 형성된 조정게이트 측부(40b), 및 조정게이트 상부(40c)에 의해 방형의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돌출부(40d)가 구비되고, 기 능판(50)은 상부에 'V'자형 홈이 형성되고 눈금이 새겨진다.
명세서 기재의 번잡을 피하기 위해 직접 기재를 피하고, 본 출원인에 의해 본 출원과 동일자로 선출원된 "발명의 명칭 : 하수 이송량 조정장치" 명세서에 기재된 사항은 모두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하며, "하수 이송량 조정장치"는 "순환수량조정장치(270)"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생물여과조(240)는 폴리우레탄 스폰지 담체를 충전하여 부착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와 물리적 여과에 의한 부유물질(SS)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폭기부(241)와 정지부(246)로 구성된다. 폭기부(241)는 항상 폭기를 행하여 담체에 다량으로 부착한 미생물에 의해서 BOD의 산화와 암모니아의 초화를 수행하고, 상기 정지부는 부유물질(SS)를 담체 사이에 포집하여 여과하기 때문에, 맑은 처리수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생물여과조 담체는 공장 출하시에 충전하기 때문에, 별도로 시공시에 담체를 생물여과조에 충전할 필요가 없어진다.
생물여과조에 충전하는 스펀지 또는 폴리우레탄 담체는 스펀지 구멍이 서로 통해 있기 때문에 내부까지 산소나 오수가 들어가기 쉬워서 다량의 미생물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폴리우레탄 담체는 내수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생물여과조에 충전하는 폴리우레탄 담체는, 스폰지 구멍이 서로 통해 있기 때문에, 내부까지 산소나 오수가 들어가기 쉽고, 적은 공간에서도 스폰지의 공극률을 극대화 할수 있어 다량의 미생물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생물여과조에서 호기성 및 혐기성이 동시에 1차, 2차 발효를 시켜 유기물을 완전 분해시킨다.
생물여과조의 역세는 공기역세와 세정용에어리프트펌프에 의한 물역세를 동시에 실시, 담체에서 박리한 SS(부유물질)을 혐기여상조 제1실에 정량 순환 시킨다. 생물여과조의 역세는 자동운전되며, 제어박스에 내장한 타이머가 설정 시간이 됨면 자동적으로 역세를 실시되기 때문에 균일성이 보장되어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생물여과조는, 과잉 미생물과 포촉한 SS(부유물질)를 박리.세정하기 때문에 공기와 물에 의한 세정을 1일 1회 합니다. 제어박스에 내장한 타이머가 설정 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역세를 실시, 경험에 의한 역세는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유량조절기능이 탑재되어 생활 폐수의 유량변동을 조절하여 안정된 처리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의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화를 위한 계통의 흐름이 적합하고, 또한 하·폐수의 유입량의 변동에 따른 과부하시 적절한 대처 수단을 갖추고 있고, 하수처리시설 내에서 하·폐수의 흐름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 하수처리시설이 가지는 정화능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하수처리시설의 물리적 구조의 적합하여, 전체적으로 정화 효율이 우수하고 관리가 용이한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사용한 접촉여재를 청소하는데 있어 이를 자동화시켜 제어박스에 내장된 타이머가 설정시간이 되면 자동적으로 역세를 실시하여 종래의 경험에 의한 역세 조작이 필요없는 하수처리시설 시스템에 있어서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 특유의 유량조절장치, 순환수량조정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하수처리시설 내부의 정화 능력, 정화의 대상이 되는 하수, 폐수의 유입량에 따라 정화시스템의 운전자가 과정을 거치는 하·폐수 처리량, 처리수의 순환량을 상황 또는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어 안정된 처리 성능을 얻을 수 있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사용자가 순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한번 조절량을 설정해놓으면 차후 조정까지 환송량이 변동이 없는, 처리수 순환량 조정이 용이하면서도 조정량 유지의 기능성이 우수한 순환수량조정장치를 포함하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하수처리시설 장치에 있어서,
    1) 유입관(203)을 통해 유입된 하·폐수가 제1혐기여재(21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고, 처리수조(250)로부터 순환된 처리수에 의해 질소가 제거되는 혐기여상조 제1실(210);
    2) 에어리프트펌프장치(222)가 상기 혐기여상조제1실의 처리수를 보내면 이를 일정량 이하로 조절하여 혐기여상조 제2실로 보내는 유량조절장치(220);
    3) 제2혐기여재(232)에 부착한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혐기여상조 제2실(230);
    4) 상기 혐기여상조 제2실(230)을 통과한 하·폐수가 폭기부(241)로 유입되어 충전된 스펀지 담체(242)에 부착한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하·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된 후,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로 보내어져 부유물질이 정지부-담체(247) 사이에 포집되어 여과되는 생물여과조(240);
    5) 상기 생물여과조(240)의 정지부(246)를 통과한 처리수가 저류되는 처리수조(250);
    6) 상기 처리수조(250)를 거친 처리수를 소독제에 접촉시켜 멸균한 후 유출관(265)을 통해 방류하는 소독조(260);
    7) 에어리프트펌프장치가 상기 처리수조(250)의 처리수를 상승시켜 보내면 상승된 처리수 중 일정량을 순환수이송관(272)을 경유하여 혐기여상조 제1실(210)로 순환시키고 초과량은 상기 처리수조(250)로 환송시키는 순환수량조정장치(270);
    8) 역세관(281)에 공기를 불어 넣어지면 상기 폭기부(241)와 정지부(246) 간 지점으로부터 세정폐수를 잡아 빼서 혐기여상조 제1실(210)까지 통로를 제공하는 세정배수이송관(282)으로 보내는 세정용에어리프트펌프장치(28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순환수량조정장치(270)는,
    상부가 개방된 몸체(5)로 구비된 하수 이송량 조정장치이며, 유입공(10a)을 형성하는 유입관(10)이 구비된 상부가 개방된 유입실(15)과; 상기 몸체(5)를 횡으로 가로지르며 제2통과홈(30a)가 구비되는 차단판(30)과, 상기 차단판(30)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조정게이트(40)가 삽입되는 지지판(42) 및 기능판(50)에 의해 형성되는 분배실(35)과; 상기 분배실(35)에 인접하며 횡간벽(49)과 상기 조정게이트(40)가 삽입되는 지지판(42)에 의해 형성되고, 환송수가 환송공(47a)을 가지는 환송관(47)으로 보내어지는 환송실(45)과; 상기 분배실(35)과 상기 환송실(45)에 인접하며, 상기 기능판(50)과 상기 횡간벽(49)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능판(50)을 통과한 이송수가 이송관(57)으로 보내어지는 이송실(55)과; 유입실(15)과 분배실(3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차단판(30)과 하부에 제1통과홈(20a)이 구비되고 상기 차단판(30) 대비 엇갈리게 세워지는 통과벽판(20)에 의해 형성되는 통과실(25)과; 캡본체(71)에 상기 유입관(10)의 크기에 상응하는 원형테두리(72)가 구비되고 가장자리에 사각형상의 내부테두리(74)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테두리(74)를 넘어 연장부(75)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테두리(74)와 나란하게 적어도 두개의 락테두리(76)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실(15)과 상기 통과실(25)을 상기 몸체(5)의 상부에서 폐쇄하는 캡(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정게이트(40)는 조정게이트 하부(40a), 서로 수평한 복수의 수평한 돌기가 형성된 조정게이트 측부(40b), 및 조정게이트 상부(40c)에 의해 방형의 개방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돌출부(40d)가 구비되고, 상기 기능판(50)은 상부에 'V'자형 홈이 형성되고 눈금이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060115102A 2006-11-21 2006-11-21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KR10076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5102A KR100764602B1 (ko) 2006-11-21 2006-11-21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5102A KR100764602B1 (ko) 2006-11-21 2006-11-21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602B1 true KR100764602B1 (ko) 2007-10-08

Family

ID=39419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15102A KR100764602B1 (ko) 2006-11-21 2006-11-21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246B1 (ko) 2022-03-23 2023-02-21 주식회사 디에이치 복합담체가 구비된 담체 회전기 및 그 담체 회전기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484A (ja) * 1993-02-03 1994-10-11 Hitachi Chem Co Ltd 汚水浄化槽
JP2003181482A (ja) 2001-12-13 2003-07-02 Fuji Clean Kogyo Kk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水移送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484A (ja) * 1993-02-03 1994-10-11 Hitachi Chem Co Ltd 汚水浄化槽
JP2003181482A (ja) 2001-12-13 2003-07-02 Fuji Clean Kogyo Kk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水移送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246B1 (ko) 2022-03-23 2023-02-21 주식회사 디에이치 복합담체가 구비된 담체 회전기 및 그 담체 회전기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591B1 (en) Device and process to treat and disinfect sewage, food processing wastewater and other biologically contaminated water
KR101767032B1 (ko)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CN214693687U (zh) 一种鱼粪水处理系统
CN114380454A (zh) 一种基于mabr和mbr的tmbr污水处理工艺
KR20070012971A (ko) 미생물을 이용한 축산분뇨 정화시스템
KR100764602B1 (ko) 담체 생물여과방식의 고도처리 장치
KR20100049254A (ko) 사육수 여과장치
CN115974305B (zh) 一种集成式膜法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JP2006289152A (ja) 有機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90464A (ja) 排水再利用装置
CN211861518U (zh) 鱼池过滤装置
KR101227781B1 (ko) 광촉매분해부와 미생물정화부를 구비한 중수처리장치
KR100828143B1 (ko) 미생물제재를 이용한 호소 청정장치
JP4391006B2 (ja) 流体移送装置を備えた排水処理装置、排水処理方法
JP4675529B2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CN218073068U (zh) 一种高效节能的循环水养殖系统
JP2001096292A (ja) 汚水処理装置
CN219556020U (zh) 养殖设备
JPH09239368A (ja) 汚染液体の循環浄化装置
CN214167697U (zh) 一种具有紫外线消毒功能的污水处理装置
JP4381555B2 (ja) 合併処理浄化槽
JPH11221585A (ja) 生活雑廃水処理槽
JP2005152835A (ja) 汚水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浄化袋
CN209594559U (zh) 多功能景观鱼池水质处理装置
JP7042081B2 (ja) バイオトイ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