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032B1 -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032B1
KR101767032B1 KR1020170054981A KR20170054981A KR101767032B1 KR 101767032 B1 KR101767032 B1 KR 101767032B1 KR 1020170054981 A KR1020170054981 A KR 1020170054981A KR 20170054981 A KR20170054981 A KR 20170054981A KR 101767032 B1 KR101767032 B1 KR 101767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hing water
space
a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연
Original Assignee
이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연 filed Critical 이세연
Priority to KR102017005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02F2103/327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from processe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dairy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정화하는 세정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정화를 실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공간에 유입되는 상기 세정수가 침전되면서 오버플로우 방법으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침전에 의해 상기 세정수를 정화하는 침전부; 상기 침전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에서 복수회 침전에 의해 정수된 상태에서 펌프의 압력으로 공급되어 흡수에 의해 필터링한 후에 다시 상기 침전부의 다른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필터부; 상기 침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서 일차로 정화된 상기 세정수가 내부에 산소가 공급된 분위기에서 폭기여재를 통과하면서 유기물과 질소의 산화 반응을 유도하여 여과하는 폭기처리부; 및 상기 폭기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폭기처리부에서 인을 제거한 상기 세정수가 무산소여재를 통과하면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면서 상기 폭기처리부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하는 무산소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Dairy Farming}
본 발명은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젓소를 사용하여 우유를 생성하는 낙농업에서 발생되는 폐수와 착유에 따라 세정되는 세정수를 정화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복수회의 침전과정과 필터링 과정을 통해서 일차적으로 정화한 후에 생물막 여과를 통해서 여과를 실시함에 따라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물질은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 후자인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지점이 불분명하고 광범위한 지표면에 잔존해 있는 오염원이고, 전자의 점오염물질은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생활하수, 축산폐수 또는 산업폐수 등을 일컫는 말이다.
특히 축산폐수 중 한 예로 착유세척수를 들 수 있는데, 착유세척수의 경우 가축분뇨 및 산과 염기제재가 함유되어있고, 농가에서 산과 염기제재를 주기적으로 교차사용하기 때문에 간이정화조를 이용한 정화, 관리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가축분뇨의 경우 2012년에 가축분뇨의 해양배출 금지를 시작으로 환경부의 가축분뇨 관리 선진화 대책이 발표되면서 많은 축산농가들이 가축분뇨 처리를 위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현재 젖소 착유실 세척수 정화처리 기술 및 공정이 실용화되어 있지 못하며, 대개의 경우 간이 정화조를 이용하여 일정기간 저장하였다가 배출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할 때, 젖소 착유 및 착유시설 관리과정과 착유실 바닥 및 장비의 세척, 축사청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정수를 정화 처리하는 농가에 맞는 소규모의 장치가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낙농업의 사용되는 세정수의 정화 방법은 생물막 여과장치의 일종인 살수여상법(Trickling filter)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살수여상법은 여재가 채워진 반응조에 폐수를 세정수를 투입하면 유입수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폐수가 여재 사이를 통기하면서 흘러가면서 여과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경우 여재에서 여과 시에 슬러지가 응집되어 막힘에 의해 정화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특허 제0961452호는 상술된 살수여상법에 추가적으로 여재의 폐색을 막기 위한 역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술을 종래 기술로 제시하여 폐수의 슬러지로 인한 응집을 가압 공기로 역세를 실시하여 폐색을 방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여과를 실시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정화 방법은 통상적인 정화 방법에서 여재의 폐색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하수를 처리함에 있어 슬러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술임에 따라 일반하수를 정화하는 것임에 따라 젖소 착유후 세정수와 같은 고농도의 폐수성상을 지니고 있는 폐수를 정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착유 시 우유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은 점성을 가지고 있으나, 온도가 낮거나 농도가 적은 경우에는 점성이 약화되어 세정수와 함께 공급되어 생물막 여과 방법으로 여과 시에 농도가 높아지면서 온도가 상승따라 점성이 증대되어 응결의 발생으로 새로운 슬러지가 발생을 인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착유에 의한 세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의 응결은 미생물에 의해 슬러지를 분해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산소의 공급을 저해하여 미생물 대사를 방해함에 따라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젓소를 사용하여 우유를 생성하는 낙농업에서 발생되는 폐수와 착유에 따라 세정되는 세정수를 복수로 공간으로 구획된 수조로 공급받아 각각의 공간에서 순차적으로 침전하면서 비중이 높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필터를 통해서 착유 시 세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점성을 가지고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일차적으로 여과한 후에 생물막여재를 통해서 정화를 실시함에 따라 정화 효율이 향상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는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정화하는 세정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정화를 실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공간에 유입되는 상기 세정수가 침전되면서 오버플로우 방법으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침전에 의해 상기 세정수를 정화하는 침전부; 상기 침전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에서 복수회 침전에 의해 정수된 상태에서 펌프의 압력으로 공급되어 흡수에 의해 필터링한 후에 다시 상기 침전부의 다른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필터부; 상기 침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서 일차로 정화된 상기 세정수가 내부에 산소가 공급된 분위기에서 폭기여재를 통과하면서 유기물과 질소의 산화 반응을 유도하여 여과하는 폭기처리부; 및 상기 폭기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폭기처리부에서 인을 제거한 상기 세정수가 무산소여재를 통과하면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면서 상기 폭기처리부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하는 무산소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침전부는,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고 4개의 구역으로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각 구역별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제1 침전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 침전공간과 상기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맞닿은 제2 침전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 침전공간과 상기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맞닿아 상기 필터부로 연결되는 제3 침전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3 침전공간과 상기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맞닿아 상기 폭기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4 침전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침전공간과 상기 제2 침전공간이 나뉘어진 구획격벽의 상부로 상호 연통되어 상기 제1 침전공간에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침전공간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제1 연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침전공간과 상기 제4 침전공간이 나뉘어진 구획격벽의 상부로 상호 연통되어 상기 제3 침전공간에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4 침전공간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제2 연통구를 형성한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침전공간의 상부와 상기 필터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2 침전공간에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 형태의 필터공급관; 상기 필터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필터공급펌프; 상기 필터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필터공급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필터공급밸브;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4 침전공간의 상부와 상기 폭기처리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4 침전공간에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폭기처리부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 형태의 여과공급관; 및 상기 여과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여과공급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침전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에서 복수회 침전에 의해 정수된 후에 펌프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상기 침전부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연통되어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필터링하는 필터공간을 형성한 필터몸체;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중앙으로 상기 필터몸체에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배출되는 통공 형태의 개폐통공을 가지는 필터개폐체; 상기 필터개폐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개폐통공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침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몸체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침전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필터배출관; 상기 필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몸체의 내부에 복수 수량으로 적층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상기 세정수가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를 흡수 통과시키면서 상기 세정수 내부에 유분의 단백질과 유지방을 제거하도록 필터링하는 충진흡수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체; 상기 필터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유입되는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하부지지통공을 가지는 하부지지체; 및 상기 필터몸체의 내측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상기 필터체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상기 필터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통과되는 복수의 상부지지통공을 가지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폭기처리부는, 상기 침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침전부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상기 세정수가 펌프의 압력으로 공급받아 유기물과 질소의 산화 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하는 폭기반응공간을 가지는 폭기반응조; 상기 폭기반응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반응공간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도록 산소를 생성하는 산소공급장치; 상기 폭기반응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반응공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수가 상기 산소공급장치로 산소가 공급된 상태로 통과하면서 인을 제거하도록 여과되는 생물막을 가지도록 폐타이어, 폴리에틸렌수지, 합성수지, 링레이스, 자갈, 맥반석, 패각류, 황토볼, 모래, 세라믹,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폭기여재; 및 상기 폭기반응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여재를 통과하여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무산소처리부로 배출하도록 연결 설치된 폭기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무산소처리부는, 상기 폭기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처리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폭기처리부를 거쳐 정화된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아 무산소 상태에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하는 무산소반응공간을 가지는 무산소반응조; 상기 무산소반응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소반응공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수가 무산소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무산소 상태에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되는 생물막을 가지도록 폐타이어, 폴리에틸렌수지, 합성수지, 링레이스, 자갈, 맥반석, 패각류, 황토볼, 모래, 세라믹,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무산소여재; 상기 무산소반응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소여재를 통과하여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된 무산소배출관; 상기 무산소반응조와 상기 폭기처리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무산소반응조에서 반응에 의한 여과 시에 유실된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상기 세정수를 재여과하기 위해서 반송하도록 상기 폭기처리부에 연결된 반송관; 및 상기 반송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소반응조에서 반송되는 상기 세정수가 상기 폭기처리부로 이동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반송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산소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서처리부에서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내부에 충진된 직물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여과하는 여과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아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면서 침전을 실시하고, 침전 후에 배출되도록 설치된 2차 침전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는 젓소를 사용하여 우유를 생성하는 낙농업에서 발생되는 폐수와 착유에 따라 세정되는 세정수와 같은 고농도의 폐수성상을 지니고 있는 폐수를 복수로 공간으로 구획된 수조로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비중이 높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필터를 통해서 착유 시 세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점성을 가지고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일차적으로 여과한 후에 생물막여재를 통해서 정화를 실시함에 따라 정화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는 폐수가 유입되는 위치에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는 수조가 설치되고, 각 수조별로 순차적으로 오버플로우 형태로 각각의 공간마다 침전에 의해 슬러지를 분리한 상태로 정화를 실시함에 따라 고농도의 폐수성상의 낙농업용 세정수 중에서 비중이 높은 슬러지를 침전에 의해 제거하여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는 폐수가 유입되어 침전에 의해 비중이 높은 슬러지가 제거된 폐수를 복수의 천연섬유 흡수체를 통해서 폐수 내부에 우유에 포함되어 있던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제거함으로써, 유분의 공급으로 인해 세포막 여과 전에 응결되지 않아 불순물이 없는 상태에서 세포막 여과 시에 응결에 의해 불순물이 증대되어 여과가 어려운 현상을 최소화함에 따라 여과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인 필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의 주요 구성인 필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100)는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정화하는 세정수 정화장치이다.
이런,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100)는 정화를 위해서 세정수가 유입되는 침전부(110), 필터부(120), 폭기처리부(130), 무산소처리부(140), 여과조(150), 및 2차 침전조(160)를 포함한다.
침전부(110)는 침전에 의한 여과를 위해서 세정수가 유입되는 침전조(111), 필터공급관(113), 필터공급펌프(114), 필터공급밸브(115), 여과공급관(116), 및 여과공급펌프(117)를 포함한다.
침전조(111)는 세정수가 공급받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고, 구획격벽(112)으로 복수의 구역으로 나뉘어진 공간이 형성된다.
구획격벽(112)은 침전조(111)의 내부의 상부가 개방된 공간을 4개의 구역을 구획하여 각 구역별로 세정수가 공급되는 제1 침전공간(111a)을 가지고, 제1 침전공간(111a)과 구획격벽(112)으로 나뉘어져 맞닿은 제2 침전공간(111b)을 가지며, 제2 침전공간(111b)과 구획격벽(112)으로 나뉘어져 맞닿아 필터부(120)로 연결되는 제3 침전공간(111c)을 가지고, 제3 침전공간(111c)과 구획격벽(112)으로 나뉘어져 맞닿아 폭기처리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제4 침전공간(111d)을 가진다.
또한, 제1 침전공간(111a)과 제2 침전공간(111b)이 나뉘어진 구획격벽(112)의 상부로 상호 연통되어 제1 침전공간(111a)에 공급된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제2 침전공간(111b)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제1 연통구(112a)를 형성하고, 제3 침전공간(111c)과 제4 침전공간(111d)이 나뉘어진 구획격벽(112)의 상부로 상호 연통되어 제3 침전공간(111c)에 공급된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제4 침전공간(111d)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제2 연통구(112b)를 형성한다.
즉, 구획격벽(112)으로 4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진 침전조(111)의 구역 중에서 제1 침전공간(111a)으로 세정수가 유입된다. 제1 침전공간(111a)에 세정수가 공급되어 제1 연통구(112a) 높이의 수위까지 도달하면 제1 연통구(112a)를 통해서 제2 침전공간(111b)으로 오버플로우 이동된다.
이때, 제1 침전공간(111a)에 유입되는 세정수는 제1 연통구(112a)의 높이에 따른 수위를 유지함에 따라 내부 슬러지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는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침전여과를 실시한다.
제2 침전공간(111b)으로 이동된 세정수는 필터공급펌프(114)의 작동에 의해 필터공급관(113)을 통해서 필터부(120)로 공급되고, 필터부(120)에서 여과된 세정수는 제3 침전공간(111c)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침전공간(111b)은 제1 침전공간(111a)에서 이동되는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까지 도달하면 필터공급펌프(114)의 작동으로 필터공급관(113)을 통해서 필터부(120)로 공급됨에 따라 제2 침전공간(111b)의 내부에서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함에 따라 내부 슬러지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는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침전여과를 실시한다.
제3 침전공간(111c)으로 이동되는 세정수는 제2 연통구(112b)의 높이의 수위까지 도달하면 제2 연통구를 통해서 제4 침전공간으로 오버플로우 이동된다.
이때, 제3 침전공간(111c)에 유입되는 세정수는 제2 연통구(112b)의 높이에 따른 수위를 유지함에 따라 내부 슬러지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는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침전여과를 실시한다.
제4 침전공간(111d)으로 이동된 세정수는 여과공급펌프(117)의 작동에 의해 여과공급관(116)을 통해서 폭기처리부(130)로 공급된다.
이때, 제4 침전공간(111d)은 제3 침전공간(111c)에서 이동되는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까지 도달하면 여과공급펌프(117)의 작동으로 여과공급관(116)을 통해서 폭기처리부(130)로 공급됨에 따라 제4 침전공간(111d)의 내부에서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함에 따라 내부 슬러지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가라앉는 침전과정을 거치면서 침전여과를 실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침전공간(111a), 제2 침전공간(111b), 제3 침전공간(111c), 및 제4 침전공간(111d)으로 이동되는 세정수가 각각의 공간별로 침전에 의해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4차에 걸쳐 침전 여과되어 세정수의 슬러지를 단계별로 각각 여과함에 따라 정화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필터공급관(113)은 침전조(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침전공간(111b)의 상부와 필터부(120)를 각각 연결하여 제2 침전공간(111b)에서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필터부(120)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 형태로 구비된다.
필터공급펌프(114)는 필터공급관(11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공급관(113)으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즉, 필터공급펌프(114)는 제2 침전공간(111b)의 내부에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작동에 의해 필터공급관(113)을 통해서 필터부(120)로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필터공급관(113) 상에 설치된다.
필터공급밸브(115)는 필터공급관(11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부(120) 방향으로 위치하여 필터공급관(113)을 통해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즉, 필터공급밸브(115)는 제2 침전공간(111b)에서 필터부(120)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역류를 방지하고, 필터부(120)의 상태에 따라 필터부(120)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여과공급관(116)은 침전조(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4 침전공간(111d)의 상부와 폭기처리부(130)를 각각 연결하여 제4 침전공간(111d)에서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폭기처리부(130)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 형태로 구비된다.
여과공급펌프(117)는 여과공급관(116)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공급관(116)으로 공급되는 세정수의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즉, 여과공급펌프(117)는 제4 침전공간(111d)의 내부에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작동에 의해 여과공급관(116)을 통해서 폭기처리부(130)로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여과공급관(116) 상에 설치된다.
필터부(120)는 여과공급관(116)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여과하는 필터몸체(121), 필터개폐체(123), 필터배출관(124), 필터체(125), 하부지지체(126), 및 상부지지체(127)를 포함한다.
필터몸체(121)는 침전부(11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침전부(110)의 제3 침전공간(111c)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필터공급펌프(114)의 작동에 의해 세정수를 공급하는 필터공급관(113)이 유입관(122a)에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공급된 세정수를 필터링하는 필터공간(122)을 형성한다.
필터개폐체(123)는 필터몸체(12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공간(122)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중앙으로 필터몸체(121)에서 필터링된 세정수가 배출되는 통공 형태의 개폐통공(123a)을 가진다.
즉, 필터개폐체(123)는 필터몸체(12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필터체(125) 교환 시에 개방되고, 필터링 시에 폐쇄하도록 구비되고, 개폐통공(123a)에 필터배출관(124)이 설치되어 필터링 후에 세정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필터배출관(124)은 필터개폐체(12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폐통공(123a)에 연결되고, 타측이 침전조(111)의 제3 침전공간(111c)으로 배출되도록 연결되어 필터몸체(121)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세정수를 침전조(111)의 제3 침전공간(111c)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필터체(125)는 필터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몸체(121)의 내부에 복수로 적층되어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세정수가 통과되면 필터링하여 필터배출관(124)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필터체(125)는 필터커버(125a), 및 충진흡수필터(125b)를 포함하며, 필터커버(125a)는 세정수가 통과되면서 필터링하도록 직물 섬유와 합성섬유로 구비된다.
충진흡수필터(125b)는 필터커버(125a)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정수를 흡수 통과시키면서 세정수 내부에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필터링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천연섬유인 목화솜 형태로 구비되어 세정수에 포함되어 있는 카제인 단백질과 유지방을 흡수에 의해 제거하도록 필터링한다.
하부지지체(126)는 필터몸체(121)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체(125)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유입되는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하부지지통공(126a)을 가진다. 하부지지체(126)는 섬유 재질로 흡수에 의해 단백질과 유지방 제거 시에 흡수된 세정수로 인해 처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된다.
상부지지체(127)는 필터몸체(121)의 내측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필터체(125)의 상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필터체(125)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세정수가 필터배출관(124)으로 배출되도록 통과되는 복수의 상부지지통공(127a)을 가진다.
폭기처리부(130)는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 반응에 의해 질소와 인을 제거하도록 여과하는 폭기반응조(131), 산소공급장치(133), 폭기여재(134), 및 폭기배출관(135)을 포함한다.
폭기반응조(131)는 침전조(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4 침전공간(111d)과 여과공급관(116)으로 연결되어 여과공급펌프(117)의 작동에 의해 세정수를 공급받아 유기물과 질소의 산화 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하는 폭기반응공간(132)을 가진다.
산소공급장치(133)는 폭기반응조(1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폭기반응공간(132)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도록 산소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폭기여재(134)는 폭기반응조(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폭기반응공간(132)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정수가 산소공급장치(133)로 산소가 공급된 상태로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생물막을 가지도록 폐타이어, 폴리에틸렌수지, 합성수지, 링레이스, 자갈, 맥반석, 패각류, 황토볼, 모래, 세라믹,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폭기여재(134)는 부착성장 미생물의 막두께에 의한 산소농도구배 발생으로 질산화, 탈질화 반응이 동시에 일어나 탈질에 요구되는 탄소량 저감이 가능하고, 지속적인 산소 공급을 통해서 유기물 및 질소의 산화반응을 유도하여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폭기배출관(135)은 폭기반응조(1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폭기여재(134)를 통과하여 여과된 세정수를 무산소처리부(140)로 배출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무산소처리부(140)는 폭기반응조(131)를 통해서 일차로 생물막 반응에 의해 여과한 세정수를 이차로 생물막 반응에 의해 여과하는 무산소반응조(141), 무산소여재(143), 무산소배출관(144), 반송관(145), 및 반송펌프(146)를 포함한다.
무산소반응조(141)는 폭기반응조(1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폭기반응조(131)와 연결되어 내부에 폭기여재(134)를 거쳐 정화된 세정수를 공급받아 무산소 상태에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하는 무산소반응공간(14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무산소여재(143)는 무산소반응조(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무산소반응공간(142)의 내부에 위치하여 세정수가 무산소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무산소 상태에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되는 생물막을 가지도록 폐타이어, 폴리에틸렌수지, 합성수지, 링레이스, 자갈, 맥반석, 패각류, 황토볼, 모래, 세라믹,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무산소여재(143)는 폭기여재(134)에서 일차적으로 탄소량을 저감시키도록 생물막 여과에 의해 질소와 인을 제거한 세정수를 이차적으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무산소 상태에서 생물막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2차로 생물막 여과를 실시하여 질소와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정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무산소배출관(144)은 무산소반응조(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무산소여재(143)를 통과하여 여과된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반송관(145)은 무산소반응조(141)와 폭기반응조(131)를 연결하고 있으며, 무산소반응조(141)에서 반응에 의한 여과 시에 유실된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세정수를 재여과하기 위해서 반송하도록 폭기처리부(130)에 연결되는 관형태로 구비된다.
반송펌프(146)는 반송관(14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무산소반응조(141)에서 반송되는 세정수가 폭기반응조(131)로 이동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여과조(150)는 무산소반응조(141)의 무산소배출관(144)과 연결된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무산소처리부(140)에서 이차로 생물막 여과된 세정수의 고형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내부에 충진된 직물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여과하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여과조(150)의 충진되는 직물섬유 또는 합성섬유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예를 들어, 모래, 자갈, 목탄, 또는 글라스울로 내부가 채워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견직물, 모직물, 마직물, 면직물, 나일론 섬유, 비닐론 섬유, 모래, 자갈, 목판 및 글래스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부직포 일 수 있다.
상술된 여과조(150)에 포함되어 있는 직물섬유 또는 합성섬유는 이차로 여과된 세정수에 남아있는 고형물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차 침전조(160)는 여과조(15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여과조(150)에서 여과된 세정수를 공급받아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면서 침전을 실시하고, 침전 후에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2차 침전조(160)는 여과조(150)에서 여과된 세정수를 기설정된 수위까지 공급받아 기설정된 시간동안 침전에 의해 남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상부에 위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바람직하기로는 2차 침전조(160)의 내부에는 파쇄석을 투입하여 여과조(150)를 통과하는 세정수를 수위차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하부로부터 유입하면 파쇄석을 통과한 후에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상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파쇄석을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여과한 상태에서 침전에 의해 이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정화장치 110 : 침전부
111 : 침전조 111a : 제1 침전공간
111b : 제2 침전공간 111c : 제3 침전공간
111d : 제4 침전공간 112 : 구획격벽
112a : 제1 연통구 112b : 제2 연통구
113 : 필터공급관 114 : 필터공급펌프
115 : 필터공급밸브 116 : 여과공급관
117 : 여과공급펌프 120 : 필터부
121 : 필터몸체 122 : 필터공간
122a : 유입구 123 : 상부개폐체
123a : 개폐통공 124 : 필터배출관
125 : 필터체 125a : 필터커버체
125b : 충진흡수필터 126 : 하부지지체
126a : 하부지지통공 127 : 상부지지체
127a : 상부지지통공 130 : 폭기처리부
131 : 폭기반응조 132 : 폭기반응공간
133 : 산소공급장치 134 : 폭기여재
135 : 폭기배출관 140 : 무산소처리부
141 : 무산소반응조 142 : 무산소반응공간
143 : 무산소여재 144 : 무산소배출관
145 : 반송관 146 : 반송펌프
150 : 여과조 160 : 2차 침전조

Claims (7)

  1. 젓소를 사육하면서 우유를 생산하도록 착유를 실시하는 시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를 정화하는 세정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아 침전에 의해 정화를 실시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공간에 유입되는 상기 세정수가 침전되면서 오버플로우 방법으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침전에 의해 상기 세정수를 정화하는 침전부;
    상기 침전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에서 복수회 침전에 의해 정수된 상태에서 펌프의 압력으로 공급되어 흡수에 의해 필터링한 후에 다시 상기 침전부의 다른 공간으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필터부;
    상기 침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침전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해서 일차로 정화된 상기 세정수가 내부에 산소가 공급된 분위기에서 폭기여재를 통과하면서 유기물과 질소의 산화 반응을 유도하여 여과하는 폭기처리부; 및
    상기 폭기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폭기처리부에서 인을 제거한 상기 세정수가 무산소여재를 통과하면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면서 상기 폭기처리부로 활성슬러지를 반송하는 무산소처리부;를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부는,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고 4개의 구역으로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각 구역별로 상기 세정수가 공급되는 제1 침전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1 침전공간과 상기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맞닿은 제2 침전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2 침전공간과 상기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맞닿아 상기 필터부로 연결되는 제3 침전공간을 가지고, 상기 제3 침전공간과 상기 구획격벽으로 나뉘어져 맞닿아 상기 폭기처리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4 침전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1 침전공간과 상기 제2 침전공간이 나뉘어진 구획격벽의 상부로 상호 연통되어 상기 제1 침전공간에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침전공간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제1 연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3 침전공간과 상기 제4 침전공간이 나뉘어진 구획격벽의 상부로 상호 연통되어 상기 제3 침전공간에 공급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4 침전공간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제2 연통구를 형성한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침전공간의 상부와 상기 필터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2 침전공간에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필터부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 형태의 필터공급관;
    상기 필터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필터공급펌프;
    상기 필터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필터공급관을 통해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필터공급밸브;
    상기 침전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4 침전공간의 상부와 상기 폭기처리부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제4 침전공간에서 상기 세정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폭기처리부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 형태의 여과공급관; 및
    상기 여과공급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공급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여과공급펌프;를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침전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에서 복수회 침전에 의해 정수된 후에 펌프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로 상기 침전부와 연결되는 유입구와 연통되어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필터링하는 필터공간을 형성한 필터몸체;
    상기 필터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중앙으로 상기 필터몸체에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배출되는 통공 형태의 개폐통공을 가지는 필터개폐체;
    상기 필터개폐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개폐통공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침전부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몸체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침전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필터배출관;
    상기 필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몸체의 내부에 복수 수량으로 적층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상기 세정수가 통과하면서 필터링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정수를 흡수 통과시키면서 상기 세정수 내부에 유분의 단백질과 유지방을 제거하도록 필터링하는 충진흡수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체;
    상기 필터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유입되는 상기 세정수가 통과되도록 복수의 하부지지통공을 가지는 하부지지체; 및
    상기 필터몸체의 내측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판 형태로 상기 필터체를 통과하여 필터링된 상기 세정수가 상기 필터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통과되는 복수의 상부지지통공을 가지는 상부지지체;를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처리부는,
    상기 침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전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침전부와 상기 필터부를 거쳐 정화된 상기 세정수가 펌프의 압력으로 공급받아 유기물과 질소의 산화 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하는 폭기반응공간을 가지는 폭기반응조;
    상기 폭기반응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반응공간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도록 산소를 생성하는 산소공급장치;
    상기 폭기반응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반응공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수가 상기 산소공급장치로 산소가 공급된 상태로 통과하면서 인을 제거하도록 여과되는 생물막을 가지도록 폐타이어, 폴리에틸렌수지, 합성수지, 링레이스, 자갈, 맥반석, 패각류, 황토볼, 모래, 세라믹,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폭기여재; 및
    상기 폭기반응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여재를 통과하여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상기 무산소처리부로 배출하도록 연결 설치된 폭기배출관;을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처리부는,
    상기 폭기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폭기처리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폭기처리부를 거쳐 정화된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아 무산소 상태에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하는 무산소반응공간을 가지는 무산소반응조;
    상기 무산소반응조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소반응공간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정수가 무산소 상태에서 통과하면서 무산소 상태에서 질산염의 탈질반응을 유도하도록 여과되는 생물막을 가지도록 폐타이어, 폴리에틸렌수지, 합성수지, 링레이스, 자갈, 맥반석, 패각류, 황토볼, 모래, 세라믹, 및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무산소여재;
    상기 무산소반응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소여재를 통과하여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된 무산소배출관;
    상기 무산소반응조와 상기 폭기처리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무산소반응조에서 반응에 의한 여과 시에 유실된 활성슬러지가 포함된 상기 세정수를 재여과하기 위해서 반송하도록 상기 폭기처리부에 연결된 반송관; 및
    상기 반송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소반응조에서 반송되는 상기 세정수가 상기 폭기처리부로 이동되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반송펌프;를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산소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산소처리부에서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내부에 충진된 직물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여과하는 여과조;를 더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여과조에서 여과된 상기 세정수를 공급받아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면서 침전을 실시하고, 침전 후에 배출되도록 설치된 2차 침전조;를 더 포함하는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KR1020170054981A 2017-04-28 2017-04-28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KR101767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81A KR101767032B1 (ko) 2017-04-28 2017-04-28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81A KR101767032B1 (ko) 2017-04-28 2017-04-28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032B1 true KR101767032B1 (ko) 2017-08-23

Family

ID=5975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981A KR101767032B1 (ko) 2017-04-28 2017-04-28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0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138A (ko)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산해 역세척 기능을 가진 슬러지 정화장치
KR20200056158A (ko) * 2018-11-14 2020-05-22 이세연 가압버블을 이용한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 장치
KR20210101643A (ko) 2020-02-10 2021-08-19 박현석 착유세정수 정화장치
KR102305433B1 (ko) 2020-10-27 2021-09-30 주식회사 씨맥 하이브리드 생물반응조, 이것이 적용된 착유 세정수 폐수 처리장치 및 운전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64Y1 (ko) 2003-09-02 2004-01-07 강경범 오ㆍ폐수 고도처리 장치
KR101309775B1 (ko) 2013-04-15 2013-09-23 한붕전 건설용 폐수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564Y1 (ko) 2003-09-02 2004-01-07 강경범 오ㆍ폐수 고도처리 장치
KR101309775B1 (ko) 2013-04-15 2013-09-23 한붕전 건설용 폐수의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138A (ko)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산해 역세척 기능을 가진 슬러지 정화장치
KR20200056158A (ko) * 2018-11-14 2020-05-22 이세연 가압버블을 이용한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 장치
KR102230178B1 (ko) * 2018-11-14 2021-03-19 이세연 가압버블을 이용한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 장치
KR20210101643A (ko) 2020-02-10 2021-08-19 박현석 착유세정수 정화장치
KR102305433B1 (ko) 2020-10-27 2021-09-30 주식회사 씨맥 하이브리드 생물반응조, 이것이 적용된 착유 세정수 폐수 처리장치 및 운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032B1 (ko)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장치
JP5651384B2 (ja) 汚水処理設備、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設備の改築方法
JP4059790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US20130168331A1 (en) Means for Cleaning Packed Media In a Wastewater Filter Treatment System
JP3045478B2 (ja) 養魚用汚水ろ過装置および浄化装置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JP2008283873A (ja) 浄化装置及び浄化装置の運転方法
KR100873052B1 (ko) 개방형 오폐수 및 하수 처리장치
KR100547463B1 (ko) 황 충전 mbr 반응기를 이용한 포기조내 질소제거 장치
JPS61157396A (ja) 曝気式高度廃水処理装置
JPH04367788A (ja) 浄化槽
JP2574649B2 (ja) 好気性畜産廃棄物浄化槽
KR100887760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JP2008212865A (ja) 硝化槽
JP2006055849A (ja) 有機性排水の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30013491A (ko) 바이오 볼 및 바이오 탱크와 락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0171727Y1 (ko) 축산분뇨 처리장치
KR100304404B1 (ko) 고정생물막 및 연속역세척 여과공법에 의한 밀집형 고도 하폐수처리방법
JP4444430B2 (ja) 単独処理浄化槽の合併処理化方法
JP2601391B2 (ja) 生物学的硝化脱窒素装置
JPH07171587A (ja) 有機性汚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3986814B2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装置における洗浄方法
KR100435621B1 (ko) 오수정화 고도처리시스템
JPH0639391A (ja) 汚水の処理方法
JPH11221589A (ja) 汚水浄化槽用好気濾床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