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907B1 - 폐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907B1
KR102442907B1 KR1020220024452A KR20220024452A KR102442907B1 KR 102442907 B1 KR102442907 B1 KR 102442907B1 KR 1020220024452 A KR1020220024452 A KR 1020220024452A KR 20220024452 A KR20220024452 A KR 20220024452A KR 102442907 B1 KR102442907 B1 KR 10244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iltration tank
filtration
uni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Priority to KR1020220024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3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hollow discs side by side on, or around, one or more tubes, e.g. of the leaf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여과공간이 형성되고,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여부과부로 미리 설정된 양의 폐수를 공급하는 폐수 공급부와, 상기 여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탱크 내 일정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부와, 상기 여과공간과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라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여과공간 내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슬러지 배출라인을 자동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실수 또는 숙련도와 관계없이 여과탱크 내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폐수의 정화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수 처리 장치{Treatment apparatus for wastewater}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실수 또는 숙련도와 관계없이 여과탱크 내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폐수의 정화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축산농가가 대형화, 단지화되어 많은 가축을 정형화된 축사내부에서 밀집사육 함에 따라 대량의 축분뇨와 같은 폐수가 발생된다. 이러한 폐수는 가축의 대변과 오줌이 함께 혼합되어 배출되는 것이 보통이며, 또한, 많은 양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 유기물의 분해로 인한 악취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폐수는 미생물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방법과 필터를 이용한 기계적 처리방법을 통해 정화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계적 처리방법은 초기 설치비용이 높은 대신 화학적 처리방법에 비해 정화시간이 짧고 정화효율이 높다는 장점 덕분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폐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폐수 처리 장치(100)는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탱크(110)와, 여과탱크(110)로 세정액를 공급하는 세정액 공급부(120)와, 여과 탱크로 폐수를 공급하는 폐수 공급부(130) 및 여과탱크(110)와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라인(S) 일측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40)로 구성되되, 여과탱크(110)는 내부에 필터와 필터를 통과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배출파이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폐수 처리 장치(100)는 폐수 정화를 위해 폐수 공급부(130)에서 여과탱크(110) 내부로 폐수를 공급하고, 외부로부터 여과탱크(110) 내부에 에어를 공급한다. 이에 여과 탱크 내 압력이 상승하고, 상승한 압력에 의해 폐수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이물질등이 필터링된 후 배출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여과탱크(110) 내부에 일정시간 간격에 따라 세정액 공급부(120)에서 세정액 공급액을 공급하여 여과탱크(110) 내부를 세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터 내 슬러지가 누적되면서 여과탱크(110) 내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작업자가 개폐밸브(140)를 개방하여 여과탱크(110) 내 폐수 일부가 슬러지 배출라인(S)을 통해 폭기조 또는 폐수 공급부(130)로 재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여과탱크(110) 내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여과탱크(110) 내 압력의 조절작업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바 그 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실수로 인해 적정한 때에 개폐밸브(140)를 개방하지 못하는 경우 폐수의 정화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탱크 내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 제어 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슬러지 배출라인을 통해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하여 여과탱크 내 압력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실수 또는 숙련도와 관계없이 여과탱크 내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폐수의 정화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크 내 돌기유닛이 디스크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필터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이웃하는 필터부재와 필터부재 사이공간이 좁아지도록 함과 아울러 세척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필터부재의 세척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여과공간이 형성되고,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여부과부로 미리 설정된 양의 폐수를 공급하는 폐수 공급부와, 상기 여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탱크 내 일정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여과공간과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라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여과공간 내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슬러지 배출라인을 자동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탱크는 내부에 여과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한 쌍이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면에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며, 타단부가 외부의 폐수배출공간과 연결되는 중공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외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인입공과 연통되는 인입로가 형성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 표면에 배치되는 메쉬부재와, 상기 디스크 및 상기 메쉬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파이프에 설치된 여과부는 서로 교차로 어긋나게 배치됨과 아울러 일부영역이 겹쳐지게 설치되며,상기 디스크는 상기 파이프 외면에 결합되고, 대부에 정화된 폐수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폐수유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폐수유입로가 상기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상기 몸체의 내외측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돌기유닛과, 상기 몸체의 내면과 상기 돌기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기유닛에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돌기유닛과 상기 돌기유닛 사이에 정화된 폐수가 유입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홀은 상기 폐수이동로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실수 또는 숙련도와 관계없이 여과탱크 내 압력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폐수의 정화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웃하는 필터부재와 필터부재 사이공간이 좁아지도록 함과 아울러 세척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필터부재의 세척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폐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탱크의 평단면도,
도4는 도3에 표시된 'A'의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탱크 내부로 폐수 및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파이프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가 필터부재를 통과하여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의 여과부재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유닛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탱크의 평단면도이며, 도4는 도3에 표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는 여과탱크(10)와, 세정액 공급부(20)와, 폐수 공급부(30)와, 에어 공급부(40)와, 밸브유닛(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과탱크(10)는 내부에 여과공간(11a)이 형성된 본체(11)와, 본체(11) 내부에 한 쌍이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12a)의 파이프(12)와, 파이프(12) 외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여과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1)는 일반적인 저장탱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부에 여과공간(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에는 내부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압력센서가 구비된다.
파이프(12)는 여과공간(11a) 내에 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본체(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는 필터링된 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인입공(12b)이 형성된다.
그리고, 파이프(12)는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고, 내부 빈 중공(12a)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중공(12a)을 통해 이동된 폐수, 즉 정화된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과부(13)는 파이프(12) 외면에 결합되는 디스크(13a)와, 디스크(13a) 표면에 배치되는 메쉬부재(13b) 및 디스크(13a)와 메쉬부재(13b)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필터부재(13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폐수 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크(13a)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영역이 파이프(12) 외면에 결합되어 파이프(12)가 회전하는 경우 동반 회전한다.
메쉬부재(13b)는 샤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의 메쉬부재(13b)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크(13a) 외면에 배치되되, 파이프(12)의 인입공(12b)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메쉬부재(13b)는 후술하는 필터부재(13c)를 통과하여 정화된 폐수 파이프(12)의 인입공(12b)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동로를 제공한다.
필터부재(13c)는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섬유재질로 형성되고, 디스크(13a)와 메쉬부재(13b)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폐수 내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필터부재(13c)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세정액 공급부(20)는 저장탱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여과부(13)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이 수용되며, 일측이 여과탱크(10)와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여과탱크(10) 내부로 미리 설정된 양의 세정액을 공급한다.
폐수 공급부(30)는 세정액 공급부(20)와 같이 저장탱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폐수가 수용되며, 일측이 여과탱크(10)와 연결되어 여과탱크(10) 내부로 정화하고자 하는 폐수를 미리 설정된 양에 따라 공급한다.
에어 공급부(40)는 여과탱크(10)와 연결되어 폐수 정화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밸브유닛(50)은 일단부가 여과탱크(10)의 여과공간(11a)과 연통되며 타단부가 외부의 폭기조 및 폐수 공급부(30)와 분기되어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라인(B) 일측 중 분기영역 전단에 설치되어 슬러지 배출라인(B)을 개폐하는데, 후술하는 제어부(60)에 의해 자동 개방되어 여과탱크(10) 내 압력을 낮춤과 아울러 여과탱크(10)에 누적된 슬러지를 폭기조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폐수 공급부(30)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60)는 여과탱크(10)에 설치된 압력센서로부터 검출된 압력값을 전달받고, 전달된 압력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밸브유닛(50)을 제어하여 슬러지 배출라인(B)이 개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탱크 내부로 폐수 및 공기가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파이프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가 필터부재를 통과하여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폐수 공급부(30) 및 에어 공급부(40)로부터 각각 폐수 및 공기가 여과탱크(10)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여과탱크(10) 내 압력이 상승하며, 도6과 같이 파이프(12)가 회전한다.
상승한 여과탱크(10) 내 압력에 의해 폐수가 필터부재(13c)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메쉬부재(13b)에 의해 생성된 폐수이동로를 통해 파이프(12)의 인입공(12b)으로 유입된다.
필터부재(13c)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인입공(12b)으로 유입된 폐수는 파이프(12)의 중공(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세정액 공급부(20)에서 세정액을 여과탱크(10) 내부로 공급하여 여과부(13)에 누적된 슬러지를 세정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이웃하는 여과부(13)재와 여과부(13)재가 일부 겹쳐진 상태에서 파이프(12)가 회전하는 경우 겹쳐진 영역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와류에 의해 필터부재(13c) 외면에 누적된 슬러지 일부를 탈락시키는데, 세정액과 와류에 의해 슬러지가 여과부(13)로부터 일부 탈락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정화동작으로 인해 필터부재(13c) 외면에 슬러지가 누적되므로 여과탱크(10) 내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압력센서로부터 전달된 여과탱크(10) 내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60)에서는 밸브유닛(50)을 제어하여 슬러지 배출라인(B)을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여과탱크(10) 내에 누적된 슬러지와, 폐수 일부가 슬러지 배출라인(B)을 통해 폭기조로 배출되거나 폐수 공급부(30)로 회수되도록 함으로써 여과탱크(10)의 압력을 조절한다.
이후,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서 폐수를 정화 처리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의 여과부(13)재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기유닛(13ab)이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 및 도9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6 실시예와 동일하나, 필터부재의 세척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여과부(13)재의 디스크(13a)는 전 실시예와 달리 파이프(12) 외면에 결합되는 몸체(13aa)와, 본체(11)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돌기유닛(13ab)과, 몸체(13aa)의 내면과 돌기유닛(13ab)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3a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13aa)는 대략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정화된 폐수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폐수유입로(13'aa)가 형성되되, 폐수유입로(13'aa)가 파이프(12)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13aa) 외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돌기유닛(13ab)이 설치되는 다수의 통공(13''aa)이 형성되며, 통공(13''aa)과 통공(13''aa) 사이에는 폐수가 폐수유입로(13'aa)로 유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아울러, 폐수이동로와 파이프(12)의 내부를 연통하기 위해 파이프(12) 외면에 형성되는 연통공(13''aa)의 직경은 폐수 이동로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돌기유닛(13ab)은 몸체(13aa)의 일측 중 통공(13''aa) 내에 배치되어 몸체(13aa)의 내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폐수유입로(13'aa)에 폐수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폐수에 의해 몸체(13aa)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필터부재(13c)의 일측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3ac)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13aa)의 내면과 돌기유닛(13ab) 사이에 개재되고, 돌기유닛(13ab)에 몸체(13aa)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폐수유입로(13'aa) 내에 폐수가 유입되지 않은 경우 돌출된 돌기유닛(13ab)이 몸체(13aa) 내측으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는 여과탱크(10) 내 압력에 의해 폐수가 필터부재(13c)를 통과하여 필터부재(13c)와 디스크(13a) 사이로 유입된 폐수 중 일부는 인입공(12b)을 통해 파이프(12) 내부로 인입되며, 다른 일부는 디스크(13a) 몸체(13aa)에 형성된 홀을 통해 폐수이동로로 유입된다.
이때, 필터부재(13c) 표면에 누적된 슬러지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각 홀을 통해 폐수이동로로 유입되는 폐수의 양이 달라짐에 따라 다수의 돌기유닛(13ab)이 폐수유입로(13'aa)로 유입된 폐수에 의해 별개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되는 돌기유닛(13ab) 중 특정 돌기유닛(13ab)은 폐수의 유입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돌출되면서 필터부재(13c)를 타격할 수 있으며, 돌기유닛(13ab)의 타격력에 의해 필터부재(13c)에 부착된 슬러지가 탈락되어 필터부재(13c)의 세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연통공(13''aa)의 직경이 폐수 이동로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홀을 통해 폐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폐수이동로 내 폐수가 충진되는 바 충진된 폐수에 의해 돌기유닛(13ab)이 몸체(13aa) 외부로 돌출되고 필터부재(13c)를 몸체(13aa)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여과부(13)재와 여과부(13)재가 일부 겹쳐진 영역에서 와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와류에 의해 필터부재(13c) 외면에 누적된 슬러지 일부가 탈락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유닛(13ab)에 의해 필터부재(13c)가 몸체(13aa) 외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이웃하는 필터부재(13c)와 필터부재(13c)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필터부재(13c)와 필터부재(13c)의 사이공간이 협소해지면서 와류의 흐름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필터부재(13c)의 세척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여과탱크 11 : 본체
11a : 여과공간 12 : 파이프
12a : 중공 12b : 인입공
13 : 여과부 13a : 디스크
13aa : 몸체 13'aa : 폐수유입로
13''aa : 통공 13ab : 돌기유닛
13ac : 탄성부재 13b : 메쉬부재
13c : 필터부재 20 : 세정액 공급부
30 : 폐수 공급부 40 : 에어 공급부
50 : 밸브유닛 60 : 제어부

Claims (5)

  1. 내부에 여과공간이 형성되고,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탱크와;
    상기 여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 내부로 미리 설정된 양의 폐수를 공급하는 폐수 공급부와;
    상기 여과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여과탱크 내 일정압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여과공간과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라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밸브유닛; 및
    상기 여과공간 내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슬러지 배출라인을 자동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여과탱크는
    내부에 여과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한 쌍이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면에 다수의 인입공이 형성되며, 타단부가 외부의 폐수배출공간과 연결되는 중공의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외면에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인입공과 연통되는 인입로가 형성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 표면에 배치되는 메쉬부재와, 상기 디스크 및 상기 메쉬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파이프에 설치된 여과부는 서로 교차로 어긋나게 배치됨과 아울러 일부영역이 겹쳐지게 설치되며,
    상기 디스크는
    상기 파이프 외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정화된 폐수가 유입되어 이동되는 폐수유입로가 형성되며, 상기 폐수유입로가 상기 파이프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상기 몸체의 내외측방향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돌기유닛과;
    상기 몸체의 내면과 상기 돌기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돌기유닛에 상기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돌기유닛과 상기 돌기유닛 사이에 정화된 폐수가 유입되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폐수유입로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
KR1020220024452A 2022-02-24 2022-02-24 폐수 처리 장치 KR102442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52A KR102442907B1 (ko) 2022-02-24 2022-02-24 폐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52A KR102442907B1 (ko) 2022-02-24 2022-02-24 폐수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907B1 true KR102442907B1 (ko) 2022-09-14

Family

ID=83279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452A KR102442907B1 (ko) 2022-02-24 2022-02-24 폐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9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627Y1 (ko) * 2006-02-13 2006-06-13 홍경창 공기를 이용한 샤워폐수 여과장치
KR100951075B1 (ko) * 2009-08-17 2010-04-05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자기 세척기능을 가지는 여과장치 및 자기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627Y1 (ko) * 2006-02-13 2006-06-13 홍경창 공기를 이용한 샤워폐수 여과장치
KR100951075B1 (ko) * 2009-08-17 2010-04-05 주식회사 한국환경기술 자기 세척기능을 가지는 여과장치 및 자기 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2161339A1 (ja) 下水処理システム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US5536404A (en) Wastewater effluent management system using a sand filter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US4211655A (en) Upflow filter construction
KR102442907B1 (ko) 폐수 처리 장치
CN108472560B (zh) 纤维过滤设备
CA119179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high rate upflow water filtration with buoyant filter media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KR102250223B1 (ko) 음용수 정수방법
KR20040058088A (ko) 자동 역세 사여과기
KR101756829B1 (ko) 탈취장치
EP0542092B1 (d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Feststoffpartikeln aus dem Schmutzwasser einer zahnärztlichen Einrichtung
JP2600966Y2 (ja) 濾過浄化装置を有する人工河川
KR0138141Y1 (ko) 정수처리장치
JP4299396B2 (ja) 気水分配装置及びその気水分配装置を用いた水処理装置
KR102285971B1 (ko) 탈취수 여과장치
KR102446019B1 (ko)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KR101862516B1 (ko) 낙농업용 세정수 필터 장치
JP2022188978A (ja) ろ過装置、及びろ過装置の運転方法
KR102255972B1 (ko) 우수 처리 장치
JP3453101B2 (ja) 生物濾過装置
US5770071A (en) Sand filter for a wastewater effluent management system
JP2005193161A (ja) ストレーナーの逆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