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803B1 -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803B1
KR101882803B1 KR1020180031834A KR20180031834A KR101882803B1 KR 101882803 B1 KR101882803 B1 KR 101882803B1 KR 1020180031834 A KR1020180031834 A KR 1020180031834A KR 20180031834 A KR20180031834 A KR 20180031834A KR 101882803 B1 KR101882803 B1 KR 101882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liquid
cleaning
washing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에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3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9/00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 G01N9/26Investigat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material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density or specific gravity by measuring pressure differe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약액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에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폐수 저류조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와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1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설치하고,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분사관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와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종 세정액 내로의 염 용해도를 크게 저감할 수 있어 세정액의 교체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고, 또 세정액 교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으며, 세정액 용해도 저감을 통해 수용성 악취가스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하여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약액식 탈취장치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A chemical solution type deodorizing device having a salt and impurity removing function}
본 발명은 염(salt, 鹽)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단 세정부와 제2단 세정부가 본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 탈취 탑(즉,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분사관 사이에 각각 복수의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오염진단수단 등을 설치하여, 제1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를 통해 제1 및 제2세정 약액(예를 들어 산 세정액 및 알카리 세정액)을 탈취 탑 내로 공급시킬 때에는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통해 각각의 세정 약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장기간 구동으로 인해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의 내부가 오염될 경우에는 탈취 탑 내로 공급하던 각 세정 약액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를 통해 임펠러를 작동시키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시켜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들에 달라붙어 있는 염과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불순물을 세척하되, 역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폐 약액은 폐수 저류조로 이송시켜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세정액 내로의 염 용해도를 저감하여 세정액의 교체주기를 연장할 수 있고, 또 세정액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세정액 용해도 저감을 통해 수용성 악취가스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하여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음식물 처리시설, 축산시설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각종 유기 또는 무기가스가 발생되어 복합 악취가 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한 악취는 그 성상이 알카리성, 산성, 중성 등으로 복합적이어서 반응속도가 느린 산화제와 같은 단일 약액 세정액으로는 악취가스의 효과적인 처리가 어려워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복합성상의 악취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탈취 탑 내에 다수의 노즐을 설치하고, 이로부터 탈취 탑 내로 도입된 악취를 함유하는 가스에 물을 접촉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수세법)이 있으며, 이외에 탈취 탑 내에 활성탄, 실리카겔 및 지올라이트(Zelite) 등과 같은 흡착제 층을 배치하여 악취 물질을 흡착하도록 하는 방법(흡착법)이나 상기 흡착제 대신 특정 미생물 층을 배치하여 상기 미생물이 악취 발생물질들을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미생물 접촉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복합가스로 이루어진 악취 가스는 통상 '산과 알칼리' 약액에 의해 중화반응을 일으켜 정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통상의 탈취 탑은 반응속도가 느려 효율이 떨어지나 복합적으로 반응하는 산화제(차아염소산소다 등)를 사용하는 단일 탈취 탑이나, 2개의 탈취 탑을 직렬로 연결하는 직렬식으로 각각 구성되는 산, 알칼리 세정 탑으로 이루어진 바, 이는 복합가스의 탈취효율이 저하하거나, 시공 제작 등의 복잡하고 장치의 대형화로 설치공간과 설치비가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한국특허등록 제10-0820845호(발명의 명칭: 2액 동시세정 탈취 탑)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산, 알칼리 세정탑을 일체형 탈취 탑으로 구비함으로써 각 세정액이 별도로 순환하며 복합가스의 세정을 도모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한편, 산이나 알칼리 단독 세정 시에도 제트노즐과 팩배드 2단 세정을 수행함으로써 탁월한 세정력을 확보함은 물론 산, 알칼리의 동시 중화반응으로 하여금 탈취력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복합가스의 세정 시에 제트노즐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제트노즐은 다수개의 공급관을 갖는 가스분배실과, 상기 가스분배실의 공급관에 대응되되 결합 시 외측단과 설정된 간격을 두고 씌어지도록 형성되어 공급공을 이루고 악취가스가 공급 공을 통하여 기포 상으로 액 중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캡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제트노즐은 본체 내부에 다수개로 고르게 분포되어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트노즐은 본체 내부에 다수개로 고르게 분포되어 배치된다 하더라도 배치 상 개공율을 크게 할 수 없어 압력손실이 크게 된다.
또한, 구조상 단위노즐의 분사구 폭이 커서 미세기포를 만들기 어렵고, 수중으로 분사되는 기포가 커서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팩배드을 통과하고 하부로 떨어지는 산 세정액을 팩배드 하부에서 포집하도록 형성되는 포집디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포집디치는 단순히 V자형으로 되어 있어 알칼리 세정액 미스트가 악취가스 흐름과 동반하여 2단 세정부인 산 세정부로 케리오버(Carry over)되게 되고, 포집디치에 포집되는 산 세정액에 혼합됨으로써 산 세정액을 중화시키게 되어 약품의 과다소요와 함께 산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을 출원하여 한국특허등록 제10-1203420호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 한국특허등록 제10-1203420호에 제시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상방에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11)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에 가스분배실(13)과 상기 가스분배실(13) 외부 일측에 구비된 배기팬(14)으로부터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세정액 공급관(23)과, 상기 가스분배실(13)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여 악취가스 정화와 함께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Dust)을 동시에 제거하는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와, 상기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25)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2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에 의해 이송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 공을 갖는 제2세정액 분사관(33)과,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 팩배드부(34)와,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 팩배드부(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 포집부(35)와,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순환부(36)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3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한국특허등록 제10-0820845호를 포함한 한국특허등록 제10-1203420호 등에서 제시되고 있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제1단 세정부(20)와 제2단 세정부(30)가 상부에 정화가스 배출구(12)를 구비하고 원통 또는 사각통 탑 형태를 갖는 본체(10)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상기 본체(10)의 저부에는 저류조인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가 일체로 구비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한편,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을 포함하는 각종 약액 세정 탈취장치 등은 주변에 많은 악취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어 혐오시설로 분리되어 있는 관계로, 육상보다는 건물의 내부(대부분 지하)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종래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체적을 갖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 상면에 제1단 세정부와 제2단 세정부가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설치된 본체가 설치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자체의 높이가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을 건물 내부 등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탈취 탑 전체 높이에 대하여 설치 공간 및 높이에 대한 제한(특히 높이 제한)을 많이 받아 설치 자체가 곤란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렬 연결된 제1단 세정부와 제2단 세정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세정액 분사용 노즐 등이 고장이 난 경우, 작업자가 본체 내로 들어가 수리해야 하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어려움 있음은 물론 인건비 및 수리시간 등이 많이 들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평방향 다단 약액 세정 탈취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특허출원 10-2015-0180726호 제시함은 물론 오존 탈취기능을 갖는 수평방향 다단 약액 세정 탈취장치를 개발하여 10-2015-0180763호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은 두 선행기술은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 내에 제1단 세정부 및 제2단 세정부 등을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한 구성을 가지므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던 종래와 달리 탈취 및 정화 길이가 길어 악취가스의 포집 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또 약액 세정 탈취장치 자체의 전체 높이를 크게 낮출 수 있어 높이가 비교적 낮은 건물 내에도 높이에 한계를 받지 않고 쉽게 설치할 수 있었다.
그런데 종래 모든 약액 세정 탈취기에서는 악취가스와 각각의 세정액이 접촉되며 화학반응을 일으킬 때 중화 및 산화에 의한 거품 형태 염 발생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거품 및 염은 안정된 미세 고형화물로 생성 세정액 중에 용해되어 세정액들을 오염시키게 된다.
여기서 염이라 함은 황화수소와 가성소다의 중화 반응시 발생하는 Na2S와 메칠메르탑탄과 가성소다의 중화 반응시 발생하는 (CH3)2SNa를 포함하여, 암모니아와 차아염소산소다, 트리메칠 아민과 차아염소산소다 및 이황화메칠과 차아염소산소다 사이에서 각각 산화 반응시 각각 발생하는 3NaCl, NaCl 및 5NaCl 등 안정화된 화합물질을 말한다.
이와 같이 세정액을 이용한 악취가스의 탈취과정에서 발생하는 초기 염은 거품형태로 생성되며, 이와 같은 거품을 각종 세정액 저장탱크 내부 샤워 시스템에 의해 제거되는데 제거된 거품 중에 포함된 염은 급속으로 세정액에 용해되어 세정액을 오염시키는 오염 원인이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세정액을 이용한 악취가스의 탈취과정에서 발생되는 초기 거품과 염을 제거하지 못해 일정 주기별 세정액 전량을 교체하여야 하며, 세정액 교체로 인한 약품과 물의 소모량 증가하고, 탈취장치의 내부가 오염되어 탈취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세정액 저장탱크 내에서 과다하게 발생하는 염 성분의 거품은 거품제거 샤워(폼 킬러)에 의해 제거되는데, 이때 염 성분의 거품은 미세 염으로 세정액에 의해 용해되어 세정액의 탁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음이온의 염이 양이온을 띄는 탈취장치의 내부에서 각 부위에 점착되는 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염 및 거품 등의 제거를 위한 방안으로 "다단 탈취기의 알칼리 세정부 거품 제거 및 2차 세정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32603호로 제시하고, 또 "약액 세정식 탈취기의 무동력 폼 제거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90761호로 제시함은 물론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장치"를 개발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08195호 및 10-1638429호로 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모든 약액 세정 탈취장치(편의상 통칭함)에 구비된 거품(폼 포함) 및 염 제거장치가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본체의 내부 또는 세정액 저장장치의 일측면에 별도로 구비된 형태를 가지고 악취가스의 세정과정에서 본체의 내부에서 또는 악취가스를 세정한 후 각각의 세정액 저장탱크 내로 환수되는 과정에서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거품 및 염을 제거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거방식은 세정액들의 분사를 통한 악취가스의 세정시 발생하는 거품 및 염의 일부만 본체의 내부에서 제거하거나, 또는 악취가스를 세정한 후 각각의 세정액 저장탱크 내로 환수되는 과정에서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거품 및 염의 일부만 제거할 수 있을 뿐,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은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장기간동안 약액 세정 탈취장치를 가동할 경우, 계속해서 누적되는 거품이나 염 및 각종 불순물에 의해 각각의 세정액 저장탱크 내에 있는 고가의 세정액 전체가 크게 오염되어 세정액 전량을 교체하여야 하며, 세정액 교체로 인한 약품과 물의 소모량 증가하고, 탈취장치의 내부가 오염되어 탈취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그대로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32603호(2013년 02월 06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90761호(2013년 07월 23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08195호(2016년 03월 2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38429호(2016년 07월 05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1단 세정부와 제2단 세정부가 본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 탈취 탑(즉,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분사관 사이에 각각 복수의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오염진단수단 등을 설치하여, 제1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를 통해 제1 및 제2세정 약액(예를 들어 산 세정액 및 알카리 세정액)을 탈취 탑 내로 공급시키며 악취가스에 대한 탈취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때에는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통해 각각의 세정 약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장기간 구동으로 인해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의 내부가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탈취 탑 내로 공급하던 각 세정 약액 공급을 차단한 다음,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를 통해 임펠러를 작동시키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시켜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들에 달라붙어 있는 염과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불순물을 세척하되, 역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폐 약액은 폐수 저류조로 이송시켜 폐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정액 내로의 염 용해도를 크게 저감할 수 있어 세정액의 교체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고, 또 세정액 교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으며, 세정액 용해도 저감을 통해 수용성 악취가스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하여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약액식 탈취장치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상방에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가 구비되고, 하부에 가스 분배실과 상기 가스 분배실 외부 일측에 구비된 악취가스 공급팬으로부터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세정액 공급관, 상기 가스 분배실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관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여 악취가스 정화와 함께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동시에 제거하는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 상기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 상기 본체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와,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 순환펌프,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에 의해 이송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2세정액 분사관,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 팩배드부,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 팩배드부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 포집부,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 순환부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는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으로 이격되고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단 세정부에서 1차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와,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의 외곽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으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스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분리부 지지판과, 상기 가스이동 가이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로 유입되는 1차 세정된 악취가스와 충돌하여 이에 함유된 제1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여 상향이동을 억제하도록 충돌식 디미스터인 셰브런 타입으로 된 다수의 충돌식 디미스터와, 상기 제2단 세정분리부 지지판의 직상부에 이격되고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팩배드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함과 동시에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로 상향 이동된 악취가스를 양쪽으로 분산 이동시키도록 V자형으로 되고, 상기 팩배드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이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제2단 세정액 수집판과, 하나의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과 이와 인접한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 사이에 입설되고 상기 본체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나의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에 의해 분산 이동된 악취가스와 인접한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에 의해 분산 이동된 악취가스가 서로 간섭 없이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와류 방지판;으로 구성된 약액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에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폐수 저류조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와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1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설치하고,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분사관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와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는, 하부 약액 출입구가 구비된 깔때기 형상의 저면에 복수의 다리가 구비된 상부 개방형 원통체와; 일측에 상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의 상면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원통체 내로 유입되는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되며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을 포집하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저비중 여재와; 상기 원통체 내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하는 상기 저비중 여재들의 누출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 스크린과; 긴 회전축이 뚜껑체를 통해 원통체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뚜껑체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다가 저비중 여재들이 오염되어 제어반으로부터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저비중 여재들의 역 세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교반 모터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중앙부를 뚫고 원통체 내 저부까지 유입된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교반 모터의 작동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원통체 내의 세정액과 저비중 여재들을 혼합 회전시켜 주며 저비중 여재들에 부착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이 세정액에 의해 세척되게 하는 교반 임펠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반 내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상기 제어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들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어 세척이 필요한 시기임을 예상 또는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염진단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반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은, 약액식 탈취장치의 오염방지 구동 한계시간을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은, 압력계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의 상,하부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원통체 내의 하부압력이 상부압력보다 정해진 압력차 이상 높을 경우, 해당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들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반에 "온"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차압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반은 오염진단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의 저비중 여재들이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고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닫아주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의 구동은 차단하여,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 내의 세정액을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 1 또는 제 6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 및 하부 약액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시켜 제1 또는 제2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들어있는 저비중 여재들을 통해 여과시킨 다음 상기 제 2 또는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통해 각각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 또는 제2세정액 분사관으로 공급하여 제1 또는 제2세정액을 제1단 세정부 또는 제2단 세정부로 분사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에서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던 중 상기 오염진단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의 저비중 여재들에 대한 오염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결과 오염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반에서는 불빛 또는 음향 경보장치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거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는 닫아주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는 지속적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 및 교반 임펠러를 구동시켜,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 내의 세정액을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 3 또는 제 8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 및 상부 약액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하여,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 저비중 여재들을 교반 임펠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절하는 제1 또는 제2세정액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된 다음 각각 상기 제 4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통해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로 자동 포집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 내의 일측면에는, 해당 저장탱크 내의 세정액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저하될 경우 해당 세정액을 자동으로 보충시켜 주는 저수위 검지겸 세정액 자동보충밸브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의 내부와 저부 일측면에 각각 만수위 검출센서와 자동배수밸브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반으로 하여금 상기 만수위 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 폐수의 수위가 정해진 만수위 이상일 경우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배수밸브를 개방시켜 외부로 자동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에는 복수의 경사판을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더 설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사판들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 바닥면을 향해 순차적으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비중이 높은 이물질이 바닥면에 가라앉으며 농축된 형태로 쌓이도록 함은 물론 만수위로 인해 상기 제어반에서 자동배수밸브를 개방하였을 때 농축된 폐수만 외부로 자동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에 의하면, 제1단 세정부와 제2단 세정부가 본체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는 탈취 탑(즉, 2액 동시세정 탈취 탑)의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분사관 사이에 각각 복수의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오염진단수단 등을 설치하여, 제1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를 통해 제1 및 제2세정 약액(예를 들어 산 세정액 및 알카리 세정액)을 탈취 탑 내로 공급시키며 악취가스에 대한 탈취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때에는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통해 각각의 세정 약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장기간 구동으로 인해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의 내부가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탈취 탑 내로 공급하던 각 세정 약액 공급을 차단한 다음,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를 통해 임펠러를 작동시키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시켜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들에 달라붙어 있는 염과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불순물을 세척하되, 역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폐 약액은 폐수 저류조로 이송시켜 폐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정액 내로의 염 용해도를 크게 저감할 수 있어 세정액의 교체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고, 또 세정액 교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으며, 세정액 용해도 저감을 통해 수용성 악취가스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하여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약액식 탈취장치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2액 동시 세정 탈취 탑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
도 2는 종래 및 본 발명 중 제2세정액 포집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식 탈취장치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 및 세정액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의 확대 정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종래 및 본 발명 중 제2세정액 포집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식 탈취장치의 개략적인 정 단면도 및 세정액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의 확대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상방에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11)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에 가스 분배실(13)과 상기 가스 분배실(13) 외부 일측에 구비된 악취가스 공급팬(14)으로부터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22),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1세정액 공급관(23), 상기 가스 분배실(13)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수위가 유지되는 알칼리 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여 악취가스 정화와 함께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동시에 제거하는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 상기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25)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2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 순환펌프(32),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에 의해 이송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을 갖는 제2세정액 분사관(33),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 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 팩배드부(34),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 팩배드부(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 포집부(35),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 순환부(36)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는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으로 이격되고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1차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과,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의 외곽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으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스이동 가이드(35b)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분리부 지지판(35c)과, 상기 가스이동 가이드(35b)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로 유입되는 1차 세정된 악취가스와 충돌하여 이에 함유된 제1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여 상향이동을 억제하도록 충돌식 디미스터인 셰브런 타입으로 된 다수의 충돌식 디미스터(35f)와, 상기 제2단 세정분리부 지지판(35c)의 직상부에 이격되고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팩배드(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함과 동시에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로 상향 이동된 악취가스를 양쪽으로 분산 이동시키도록 V자형으로 되고, 상기 팩배드(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이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과, 하나의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과 이와 인접한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 사이에 입설되고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나의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에 의해 분산 이동된 악취가스와 인접한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에 의해 분산 이동된 악취가스가 서로 간섭 없이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는 와류 방지판(35e)으로 구성된 약액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b)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제1세정액 폐수 저류조(70a) 사이에는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d)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b)의 접속부와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d)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611)(621)를 구비하고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1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를 설치하고,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제2세정액 분사관(33) 사이에는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b)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b) 사이에는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d)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b)의 접속부와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d)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611)(621)를 구비하고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는,
하부 약액 출입구(611)가 구비된 깔때기 형상의 저면에 복수의 다리(612)가 구비된 상부 개방형 원통체(61)와;
일측에 상부 약액 출입구(621)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61)의 상면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62)와;
상기 원통체(61)의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원통체(61) 내로 유입되는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되며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을 포집하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저비중 여재(63)와;
상기 원통체(61) 내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하는 상기 저비중 여재(63)들의 누출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 스크린(64)과;
긴 회전축(651)이 뚜껑체(62)를 통해 원통체(6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뚜껑체(62)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다가 저비중 여재(63)들이 오염되어 제어반(80)으로부터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저비중 여재(63)들의 역 세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교반 모터(65)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64)의 중앙부를 뚫고 원통체(61) 내 저부까지 유입된 상기 교반 모터(65)의 회전축(651)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교반 모터(65)의 작동시 회전축(651)과 함께 회전되며 원통체(61) 내의 세정액과 저비중 여재(63)들을 혼합 회전시켜 주며 저비중 여재(63)들에 부착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이 세정액에 의해 세척되게 하는 교반 임펠러(6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반(80) 내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상기 제어반(80)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63)들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어 세척이 필요한 시기임을 예상 또는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염진단수단(9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반(80)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90)은,
약액식 탈취장치의 오염방지 구동 한계시간을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90)은,
압력계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61)의 외부에서 상,하부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원통체(61) 내의 하부압력이 상부압력보다 정해진 압력차 이상 높을 경우, 해당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63)들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반(80)에 "온"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차압 스위치(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반(80)은 오염진단수단(90)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의 저비중 여재(63)들이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고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b)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b)를 개방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d)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d)를 닫아주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구비된 교반 모터(65)의 구동은 차단하여,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세정액을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상기 제 1 또는 제 6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50a) 및 하부 약액 출입구(611)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로 공급시켜 제1 또는 제2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에 들어있는 저비중 여재(63)들을 통해 여과시킨 다음 상기 제 2 또는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b)(50b)를 통해 각각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또는 제2세정액 분사관(33)으로 공급하여 제1 또는 제2세정액을 제1단 세정부(20) 또는 제2단 세정부(30)로 분사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반(80)에서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던 중 상기 오염진단수단(90)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의 저비중 여재(63)들에 대한 오염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결과 오염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반(80)에서는 불빛 또는 음향 경보장치(81)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를 알리거나,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b)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b)는 닫아주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d)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d)를 개방하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는 지속적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구비된 교반 모터(65) 및 교반 임펠러(66)를 구동시켜,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세정액을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상기 제 3 또는 제 8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50c) 및 상부 약액 출입구(621)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로 공급하여,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 저비중 여재(63)들을 교반 임펠러(66)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절하는 제1 또는 제2세정액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된 다음 각각 상기 제 4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d)(50d)를 통해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로 자동 포집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일측면에는,
해당 저장탱크 내의 세정액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저하될 경우 해당 세정액을 자동으로 보충시켜 주는 저수위 검지겸 세정액 자동보충밸브(211)(311)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의 내부와 저부 일측면에 각각 만수위 검출센서(71)와 자동배수밸브(72)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반(80)으로 하여금 상기 만수위 검출센서(71)를 통해 검출되는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폐수의 수위가 정해진 만수위 이상일 경우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배수밸브(72)를 개방시켜 외부로 자동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에는 복수의 경사판(73)을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더 설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사판(73)들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바닥면을 향해 순차적으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비중이 높은 이물질이 바닥면에 가라앉으며 농축된 형태로 쌓이도록 함은 물론 만수위로 인해 상기 제어반(80)에서 자동배수밸브(72)를 개방하였을 때 농축된 폐수만 외부로 자동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스트 포집부(11)와 정화가스배출구(12)가 구비되고, 하부에 가스 분배실(13)과 악취가스 공급팬(14)으로부터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 본체(10)와; 제1세정액을 수용하는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제1세정액을 하향 공급시키도록 하는 제1세정액 공급관(23)과, 하향 공급되고 있는 제1세정액 내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는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와, 제1세정액을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하는 제1세정액 수위조절부(25)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20); 제2세정액을 수용하는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제2세정액을 하향 분사시키도록 하는 제2세정액 분사관(33)과,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제2세정 팩배드부(34)와,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며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제2세정액 포집부(35)와,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제2세정액 순환부(36)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30);를 포함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 구성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를 제1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제1단 세정부(20)에 구비하고, 그 상부에 제2세정액으로 세정하는 팩배드 세정장치인 제2단 세정부(30)를 구비하며, 제2단 세정부(30)에서 순환하는 제2세정액을 별도로 포집할 수 있도록 제2세정액 포집부(35)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1단 세정부(20)의 제1세정액 역시 별도로 순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일의 탈취탑 내에서 복합가스인 악취가 동시에 제1단(산 또는 알카리), 제2단(산 또는 알카리) 및, 알카리 세정단에서 복합 사용되는 산화제(차아염소산 소다)로 중화와 산화작용으로 악취가 정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중공인 몸체의 제2단 세정부(30)에서 세정되어 정화된 공기에 함유된 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는 미스트 포집부(11)와, 세정액 미스트가 포집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정화가스 배출구(12)가 구비된다.
또, 상기 본체(10)는 하부에 가스 분배실(13)과 상기 가스 분배실(13) 외부 일측에 구비된 악취가스 공급팬(14)으로부터 악취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스 유입관(1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단 세정부(20)는 제1세정액이 상기 본체(10) 내외를 순환하며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악취가스 중에 제1세정액과 반응하는 악취 물질들을 세정하도록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1순세정액 순환펌프(22), 제1세정액 공급관(23),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 및 제1세정액 수위조절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단 세정부(2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는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며 1차 세정액인 제1세정액을 수용하고,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는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일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는 상기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의 상부로 제1세정액을 공급하는 제1공급관(23)으로 제1세정액을 이송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세정액 알칼리 공급관(23)은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에 의해 이송된 제1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공급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미도시됨)을 갖는다.
상기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는 상기 가스 분배실(13)과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에 의해 공급되어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제1세정액 중으로 악취가스를 분사시켜 악취가스를 세정하며,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Dust)도 동시에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제1세정액 수위조절부(25)는 상기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24) 일측에 구비되어 순환되는 제1세정액의 수위를 조정하며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로 순환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 알칼리 제1세정액(알카리 또는 산)을 사용하고 제2단 세정부(30)에 제1세정액과 대치되는 제2세정액(산 또는 알카리)을 사용하였으나, 복합악취의 성상에 따라 제1단 세정부(20)와 제2단 세정부(30)에 산, 알카리 세정액을 선택 사용하여 탈취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2단 세정부(30)는 제2세정액이 상기 본체(10) 내외를 순환하며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악취가스 중에 제2세정액과 반응하는 악취 물질들을 세정하도록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제2세정액 순환펌프(32), 제2세정액 분사관(33), 제2세정 팩배드부(34), 제2세정액 포집부(35) 및 제2 세정액 순환부(36)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는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인접하여 구비되어 2차 세정액인 제2세정액을 수용한다.
또,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는 상기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일 측에 구비되어 수용된 제2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는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의 상부로 제2세정액을 분사하는 제2세정액 분사관(33)으로 제2세정액을 이송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에 의해 이송된 제2산 세정액을 상기 본체(10) 내에서 하향 분사시키도록 다수개의 공급공(미도시됨)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2단 동시세정 탈취 탑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에 수용된 제2세정액과 동시에 알칼리 세정을 실시하기 위함으로 이러한 제2단 세정부(30)는 제1단 세정부(20)와 독립된 순환구조를 갖되 일체의 본체(10) 내에서 복합 악취가스의 제1세정과 제2세정으로 산, 알칼리 중화반응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는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악취가스와 세정액의 접촉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악취가스를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는 메디아 충진 층으로써 팩베드 층을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팩베드 표면의 보다 많은 세정액과의 접촉을 거치면서 세정 포집되도록 충분한 두께 및 충분한 표면적을 갖도록 충진 형성되어 악취가스를 세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단 세정부(30)에서는 상부로 상승하는 악취가스 중 제2세정액과 반응하는 악취 물질들이 효과적으로 세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세정액 포집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으로 이격되고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1차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과,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의 외곽으로부터 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으로 이동된 악취가스를 상향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스이동 가이드(35b)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분리부 지지판(35c)과, 상기 가스이동 가이드(35b)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로 유입되는 1차 세정된 악취가스와 충돌하여 이에 함유된 제1세정액 미스트를 포집하여 상향이동을 억제하도록 충돌식 디미스터인 셰브런 타입으로 된 다수의 충돌식 디미스터(35f)와, 상기 제2단 세정분리부 지지판(35c)의 직상부에 이격되고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팩배드(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함과 동시에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로 상향 이동된 악취가스를 양쪽으로 분산 이동시키도록 V자형으로 되고, 상기 팩배드(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이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35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과, 하나의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과 이와 인접한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 사이에 입설되고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악취가스 공급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본체(10)의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나의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에 의해 분산 이동된 악취가스와 인접한 상기 제2단 세정액 수집판(35d)에 의해 분산 이동된 악취가스가 서로 간섭 없이 상향 이동시켜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하는 와류 방지판(35e)을 포함하는데 이 역시 공지된 기술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단 세정부(20)에서 세정된 악취가스를 상기 제2세정 팩배드부(34)로 이동되도록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세정액 분사관(33)에 의해 분사되어 제2세정 팩배드부(34)를 통과하고 하부로 낙하되는 제2세정액을 포집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는 하부를 향해 떨어지는 제2세정액이 제1단 세정부(20)로 낙하되지 않도록 포집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 상기 제2세정액 순환부(36)는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35)의 일측에 구비되어 포집된 제2세정액을 제2세정액 저장탱크(31)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의 구성요소 중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제2세정액 분사관(33) 사이에 각각 제 1 내지 제 4 및 제 6 내지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d)(50a~50d)와,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오염진단수단(80) 등을 설치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식 탈취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에는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를 통해 제1 및 제2세정액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을 여과시켜 탈취 탑의 본체(10) 내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장기간 작동으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 저비중 여재(63)들이 오염된 경우에는 역방향으로 공급되는 제1 및 제2세정액과 함께 저비중 여재(63)들을 교반시키며 자동으로 역세척시켜 저비중 여재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제1세정액 공급관(23) 사이에는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b)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제1세정액 폐수 저류조(70a) 사이에는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d)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b)의 접속부와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d)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611)(621)를 구비하고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1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제2세정액 분사관(33) 사이에는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b)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b) 사이에는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d)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b)의 접속부와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d)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611)(621)를 구비하고 제어반(80)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b)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는 도 4와 같이, 상부 개방형 원통체(61)와 뚜껑체(62),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저비중 여재(63), 스트레이너 스크린(64), 교반 모터(65) 및 교반 임펠러(66)로 구성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의 구성요소 중 상기 원통체()는, 소정 용적을 갖는 것으로 상부는 개구되고 저면은 하부 약액 출입구(611)가 구비된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통체()의 저면에는 복수의 다리(612)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뚜껑체(62)는 상기 원통체()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일측에 상부 약액 출입구(621)를 구비하고 복수의 스크류나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원통체(61)의 상면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저비중 여재(63)는 스치로폼 등과 같이 세정액에 비해 비교적 비중이 작을 재질로 성형한 것으로, 상기 원통체(61)의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식 탈취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각각의 원통체(61) 내로 유입되는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되며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을 포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64)은 상기 원통체(6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게 절단된 망 형태를 갖고 상기 원통체(61) 내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하는 상기 저비중 여재(63)들의 부상을 제한함과 동시에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교반 모터(65)는 도시 생략한 감속기 등과 결합된 긴 회전축(651)이 상기 뚜껑체(62)의 중앙에 천공된 축 통과공(도시 생략함)을 통해 원통체(6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한 상태에서, 복수의 스크류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뚜껑체(62)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교반 모터(6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약액식 탈취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통상시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다가, 저비중 여재(63)들이 오염된 것을 감지한 제어반(80)으로부터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저비중 여재(63)들의 역 세척에 필요한 동력을 교반 임펠러(66)에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교반 임펠러(66)는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64)의 중앙부를 뚫고 원통체(61) 내 저부까지 유입된 상기 교반 모터(65)의 회전축(651)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교반 모터(65)의 작동시 회전축(651)과 함께 회전되며 원통체(61) 내로 유입되는 세정액과 저비중 여재(63)들을 혼합 회전시켜 주며, 저비중 여재(63)들에 부착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이 세정액에 의해 세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반(80) 내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오염진단수단(90)을 더 설치하여, 상기 제어반(80)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63)들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어 세척이 필요한 시기임을 예상 또는 검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제어반(80)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90)으로는 타이머(91)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타이머(91)는 약액식 탈취장치의 오염방지 구동 한계시간을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반(80)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90)으로는 타이머(91)가 설치된 상태에서 약액식 탈취장치의 작동시간이 만약 상기 타이머(91)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경우 상기 제어반(80)에서 이를 인식하고 후술하는 불빛 또는 음향 경보장치(81)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 관리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세정액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에 각각 구비된 저비중 여재(63)들에 붙어있는 염 및 불순물을 역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90)은, 압력계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61)의 외부에서 상,하부 사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원통체(61)의 상,하부 공간부 내에 가해지는 압력차에 의해 "온" 또는 "오프"신호를 제어반(80)으로 출력시켜 주는 차압 스위치(9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차압 스위치(92)는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의 저비중 여재(63)들이 염이나 불순물 등에 의해 크게 오염되지 않아 원통체(61)의 하부 약액 출입구(611)를 통해 유입되는 제 1 및 제 2 세정액이 저비중 여재(63)들 및 스트레이너 스크린(64)을 통과한 후 뚜껑체(62)에 구비된 상부 약액 출입구(621)를 통해 정상적으로 배출됨으로 인해 원통체(61) 내의 상,하부 압력차가 크게 발생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원통체(61) 내의 하부압력이 상부압력보다 정해진 압력차 이상 높을 경우, 제어반(80)에 "온"신호를 발생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80)에서는 원통체(61)의 외부에 오염진단수단(90)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차압 스위치(92)에서 발생되는 "온"신호를 입력받는 순간 해당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63)들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인식하고,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들의 개폐방향을 전환시켜 원통체(61) 내로 유입되는 세정액의 유입방향을 이전의 반대방향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교반 모터(65) 및 교반 임펠러(66)를 작동시켜 저비중 여재(63)들에 부착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들을 세정액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역 세척해 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반(80)에서 상기한 오염진단수단(90)들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의 저비중 여재(63)들이 오염되었는지 검출 및 판단한 결과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확인되어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b)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b)를 개방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d)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d)를 닫아주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구비된 교반 모터(65)의 구동은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세정액들이 도 3의 점선 화살표와 같이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개방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1 또는 제 6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50a) 및 하부 약액 출입구(611)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로 공급된 다음, 제1 또는 제2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들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에 들어있는 저비중 여재(63)들을 통해 여과된 후, 뚜껑체(62)에 구비된 상부 약액 출입구(621)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 2 또는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b)(50b)를 통해 각각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23) 또는 제2세정액 분사관(33)으로 공급되어 제1 또는 제2세정액이 제1단 세정부(20) 또는 제2단 세정부(30) 내로 자동 분사되며 악취가스를 중화시켜 주게 된다.
또, 상기 제어반(80)에서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던 중 상기 오염진단수단(90)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의 저비중 여재(63)들에 대한 오염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결과, 만약 오염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a)(40b)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a)(50b)는 닫아주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40d)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50c)(50d)를 개방하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는 지속적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 구비된 교반 모터(65) 및 교반 임펠러(66)를 구동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세정액들이 도 3의 2점 쇄선 화살표와 같이,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22)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32)와 개방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제 3 또는 제 8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c)(50c) 및 상부 약액 출입구(621)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로 공급된 다음, 상기 교반 모터(65)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중인 교반 임펠러(66)의 회전작용에 의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저비중 여재(63)들과 함께회절되며, 저비중 여재(63)들에 붙어있는 염 및 불순물들이 고 있는 제1 또는 제2세정액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되게 한다.
이때,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저비중 여재(63)들을 세척함으로 인해 발생된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는 각각 개방 상태에 있는 상기 제 4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40d)(50d)를 통해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로 자동 포집되어 추후 폐기처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세정액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에서 오염된 저비중 여재(63)들에 대한 역 세척을 진행시키다 보면, 세척에 사용된 량만큼 제1세정액 저장탱크(21)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세정액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일측면에 저수위 검지겸 세정액 자동보충밸브(211)(311)를 각각 더 설치하여, 만약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 내에서 오염된 저비중 여재(63)들에 대한 역 세척을 세정액을 이용하여 진행시킴으로 인해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의 세정액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저하될 경우에는 상기 저수위 검지겸 세정액 자동보충밸브(211)(311)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도시 생략한 제1 및 제2세정액 보관탱크로부터 해당 세정액이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31) 내로 자동으로 보충시켜 줄 수 있어 세정액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 및 약액식 탈취장치의 정지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21)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31)와 별개로 설치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의 내부와 저부 일측면에 각각 만수위 검출센서(71)와 자동배수밸브(72)를 더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80)에서는 통상시 상기 만수위 검출센서(71)를 통해 상기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약 상기 만수위 검출센서(71)를 통해 검출되는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폐수의 수위가 정해진 만수위 이상일 경우에는,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배수밸브(72)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외부로 자동 배수시켜 줄 수 있으므로 폐수 처리에 따른 불편함도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에는 복수의 경사판(73)을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더 설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60a)(60b)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사판(73)들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바닥면을 향해 순차적으로 즉, 계단 형태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비중이 높은 이물질이 바닥면에 가라앉으며 농축된 형태로 쌓이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어반(80)에서 상기 만수위 검출센서(71)를 통해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폐수의 수위를 검출한 결과, 정해진 만수위 이상이어서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배수밸브(72)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폐수를 외부로 자동 배수시킬 때,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바닥면에 쌓인 농축된 폐수만 외부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어 폐수처리에 따른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장기간동안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 내 폐수를 적체시켰을 경우, 대부분의 염과 불순물이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70a)(70b)의 바닥면에 가라앉히고 비교적 깨끗한 세정액은 상부로 부상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량의 세정액을 폐기함에 따른 경제적 손실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세정액 순환펌프를 통해 제1 및 제2세정 약액(예를 들어 산 세정액 및 알카리 세정액)을 탈취 탑 내로 공급시키며 악취가스에 대한 탈취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때에는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통해 각각의 세정 약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장기간 구동으로 인해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의 내부가 오염되었을 경우에는 탈취 탑 내로 공급하던 각 세정 약액 공급을 차단한 다음,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를 통해 임펠러를 작동시키며 세정액을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시켜 상기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들에 달라붙어 있는 염과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불순물을 세척하되, 역 세척으로 인해 발생된 폐 약액은 폐수 저류조로 이송시켜 폐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정액 내로의 염 용해도를 크게 저감할 수 있어 세정액의 교체주기를 대폭 연장할 수 있고, 또 세정액 교체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저감할 수 있으며, 세정액 용해도 저감을 통해 수용성 악취가스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염에 의한 탈취 탑의 폐색을 방지하여 탈취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약액식 탈취장치 자체의 상품성과 탈취성능에 따른 효율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 11: 미스트 포집부
12: 정화가스 배출구 13: 가스 분배실
14: 악취가스 공급팬 15: 가스 유입관
20: 제1단 세정부 21: 제1세정액 저장탱크
211 : 저수위 검지겸 세정액 자동보충밸브
22: 제1세정액 순환펌프 23: 제1세정액 공급관
24: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 25: 제1세정액 수위조절부
30: 제2단 세정부 31: 제2세정액 저장탱크
311 : 저수위 검지겸 세정액 자동보충밸브
32: 제2세정액 순환펌프 33: 제2세정액 분사관
34: 제2세정 팩배드부 35: 제2세정액 포집부
35a: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 35b: 가스이동 가이드
35c: 제2단세정 분리부 지지판 35d: 제2단 세정액 수집판
35e: 와류 방지판 35f: 충돌식디미스터
40a~40d : 제 1 내지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
50a~50d : 제 6 내지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
60a, 60b :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61 : 원통체
611 : 하부 약액 출입구 612 : 다리
62 : 뚜껑체 621 : 상부 약액 출입구
63 : 저비중 여재 64 : 스트레이너 스크린
65 : 교반 모터 651 : 회전축
66 : 교반 임펠러
70a, 70b :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71 : 만수위 검출센서 72 : 자동배수밸브
73 : 경사판
80 : 제어반 81 : 불빛 또는 음향 경보장치
90 : 오염진단수단
91 : 타이머 92 : 차압 스위치

Claims (11)

  1. 내부가 중공인 몸체에 미스트 포집부와 정화가스 배출구, 가스 분배실 및 가스 유입관이 구비된 본체와;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1세정액 순환펌프, 제1세정액 공급관, 미세 제트노즐 세정부 및 제1세정액 수위 조절부가 구비된 제1단 세정부; 제2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순환펌프, 제2세정액 분사관, 제2세정 팩배드부, 제2세정액 포집부 및 제2세정액 순환부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세정액 포집부는 제2단 세정가스 유입구와 가스이동 가이드가 구비된 제2단 세정분리부 지지판, 다수의 충돌식 디미스터, 제2단 세정액 수집판 및 와류 방지판;으로 구성된 약액식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공급관 사이에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제1세정액 폐수 저류조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 3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와 제 1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1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1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설치하고,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분사관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을 제어하는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며,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사이에는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의 공급방향 및 폐 약액의 배출방향을 단속하는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직렬로 설치하고, 상기 제 8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와 제 6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의 접속부 사이에는 상,하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제어반의 제어를 받아 제2세정액을 여과하거나 또는 자체의 내부를 세척하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는,
    하부 약액 출입구가 구비된 깔때기 형상의 저면에 복수의 다리가 구비된 상부 개방형 원통체와;
    일측에 상부 약액 출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체의 상면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원통체 내로 유입되는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되며 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을 포집하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저비중 여재와;
    상기 원통체 내의 상방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의 수위 및 유입압력에 대응하여 부상하는 상기 저비중 여재들의 누출을 방지하는 스트레이너 스크린과;
    회전축이 뚜껑체를 통해 원통체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상기 뚜껑체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다가 저비중 여재들이 오염되어 제어반으로부터 구동신호가 발생되면 저비중 여재들의 역 세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교반 모터와;
    상기 스트레이너 스크린의 중앙부를 뚫고 원통체 내 저부까지 유입된 상기 교반 모터의 회전축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교반 모터의 작동시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며 원통체 내의 세정액과 저비중 여재들을 혼합 회전시켜 주며 저비중 여재들에 부착되어 있는 염 및 각종 불순물이 세정액에 의해 세척되게 하는 교반 임펠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 내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상기 제어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구비된 저비중 여재들이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어 세척이 필요한 시기임을 예상 또는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오염진단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에 설치되는 오염진단수단은,
    약액식 탈취장치의 오염방지 구동 한계시간을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염진단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의 저비중 여재들이 오염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확인하고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때 제어반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닫아주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의 구동은 차단하여,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 내의 세정액을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 1 또는 제 6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 및 하부 약액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시켜 제1 또는 제2세정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염 및 불순물을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에 들어있는 저비중 여재들을 통해 여과시킨 다음 상기 제 2 또는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통해 각각 상기 제1세정액 공급관 또는 제2세정액 분사관으로 공급하여 제1 또는 제2세정액을 제1단 세정부 또는 제2단 세정부로 분사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7. 삭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약액식 탈취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던 중 상기 오염진단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의 저비중 여재들에 대한 오염정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한 결과 오염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반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6 및 제 7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는 닫아주고, 상기 제 3 및 제 4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와 상기 제 8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는 지속적으로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 구비된 교반 모터 및 교반 임펠러를 구동시켜,
    제1세정액 저장탱크와 제2세정액 저장탱크 내의 세정액을 각각 상기 제1세정액 순환펌프 또는 상기 제2세정액 순환펌프와 상기 제 3 또는 제 8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 및 상부 약액 출입구를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로 공급하여, 염 및 불순물에 의해 오염된 제 1 또는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 내 저비중 여재들을 교반 임펠러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절하는 제1 또는 제2세정액에 의해 자동으로 세척된 다음 각각 상기 제 4 및 제 9 약액 공급방향 단속밸브를 통해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로 자동 포집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세정액 저장탱크 및 제2세정액 저장탱크 내의 일측면에는,
    해당 저장탱크 내의 세정액의 수위가 정해진 수위 이하로 저하될 경우 해당 세정액을 자동으로 보충시켜 주는 저수위 검지겸 세정액 자동보충밸브를 각각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의 내부와 저부 일측면에 각각 만수위 검출센서와 자동배수밸브를 더 설치하고,
    상기 제어반으로 하여금 상기 만수위 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제1 또는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 폐수의 수위가 정해진 만수위 이상일 경우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자동배수밸브를 개방시켜 외부로 자동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에는 복수의 경사판을 정해진 높이 간격을 두고 다단으로 더 설치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세정액 여과 및 세척기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사판들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세정액 폐수 저류조 내 바닥면을 향해 순차적으로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각각의 폐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중 비중이 높은 이물질이 바닥면에 가라앉으며 농축된 형태로 쌓이도록 함은 물론 만수위로 인해 상기 제어반에서 자동배수밸브를 개방하였을 때 농축된 폐수만 외부로 자동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1020180031834A 2018-03-20 2018-03-20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101882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34A KR101882803B1 (ko) 2018-03-20 2018-03-20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834A KR101882803B1 (ko) 2018-03-20 2018-03-20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803B1 true KR101882803B1 (ko) 2018-07-27

Family

ID=6307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834A KR101882803B1 (ko) 2018-03-20 2018-03-20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8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544A (ko) 2019-10-02 2019-12-04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부산물 및 침전물 제거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102146420B1 (ko) 2019-10-01 2020-08-20 정동수 가성소다를 사용하지 않고 황화수소를 포함한 복합악취를 탈취하는 oh라디칼 탈취장치
KR102298918B1 (ko) 2021-04-22 2021-09-06 윤창진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20220058070A (ko) * 2020-10-30 2022-05-09 가나엔텍 주식회사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CN114871195A (zh) * 2022-05-06 2022-08-09 林文旭 一种中药材表面摩擦润洗过滤设备
CN115338213A (zh) * 2022-08-01 2022-11-15 上海科进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细胞培养皿的清洗方法
RU219803U1 (ru) * 2023-05-10 2023-08-0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Туполева - КАИ" Адсорбер с регенерацией сорбента в псевдосжиженном слое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8332A (ja) * 1997-10-24 1999-05-18 Takuma Co Ltd 脱臭装置
KR20050110734A (ko) * 2004-05-19 2005-11-23 주식회사 젠트로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US8128742B1 (en) * 2010-06-08 2012-03-06 Mcguffin Thomas R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ge air treatment system
KR101232603B1 (ko) 2012-11-12 2013-02-28 (주)이화에코시스템 다단 탈취기의 알칼리 세정부 거품 제거 및 2차 세정장치
KR101290761B1 (ko) 2013-02-19 2013-07-3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약액 세정식 탈취기의 무동력 폼 제거장치
KR101303335B1 (ko) * 2013-01-10 2013-09-03 송영숙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101608195B1 (ko) 2016-01-29 2016-04-01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38429B1 (ko) 2016-01-29 2016-07-12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53368B1 (ko) * 2016-04-19 2016-09-09 공명환경기계주식회사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8332A (ja) * 1997-10-24 1999-05-18 Takuma Co Ltd 脱臭装置
KR20050110734A (ko) * 2004-05-19 2005-11-23 주식회사 젠트로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US8128742B1 (en) * 2010-06-08 2012-03-06 Mcguffin Thomas R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ge air treatment system
KR101232603B1 (ko) 2012-11-12 2013-02-28 (주)이화에코시스템 다단 탈취기의 알칼리 세정부 거품 제거 및 2차 세정장치
KR101303335B1 (ko) * 2013-01-10 2013-09-03 송영숙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KR101290761B1 (ko) 2013-02-19 2013-07-30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약액 세정식 탈취기의 무동력 폼 제거장치
KR101608195B1 (ko) 2016-01-29 2016-04-01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38429B1 (ko) 2016-01-29 2016-07-12 (주)이화에코시스템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653368B1 (ko) * 2016-04-19 2016-09-09 공명환경기계주식회사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804117B1 (ko) * 2017-07-04 2017-12-04 차진명 다단식 악취 제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420B1 (ko) 2019-10-01 2020-08-20 정동수 가성소다를 사용하지 않고 황화수소를 포함한 복합악취를 탈취하는 oh라디칼 탈취장치
KR20190134544A (ko) 2019-10-02 2019-12-04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부산물 및 침전물 제거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20220058070A (ko) * 2020-10-30 2022-05-09 가나엔텍 주식회사 자동 수위조절 장치를 겸비한 탈취시스템
KR102504879B1 (ko) * 2020-10-30 2023-02-28 가나엔텍 (주) 탈취시스템
KR102298918B1 (ko) 2021-04-22 2021-09-06 윤창진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CN114871195A (zh) * 2022-05-06 2022-08-09 林文旭 一种中药材表面摩擦润洗过滤设备
CN114871195B (zh) * 2022-05-06 2024-04-05 南阳市新生制药有限公司 一种中药材表面摩擦润洗过滤设备
CN115338213A (zh) * 2022-08-01 2022-11-15 上海科进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细胞培养皿的清洗方法
RU219803U1 (ru) * 2023-05-10 2023-08-0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Н. Туполева - КАИ" Адсорбер с регенерацией сорбента в псевдосжиженном сло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803B1 (ko)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101638429B1 (ko)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2298918B1 (ko) 오염된 약액 자동 교체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 탈취기
KR101485320B1 (ko)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JP4814619B2 (ja) 活性炭吸着装置
JP4632939B2 (ja) 水の浄化装置並びに水の浄化方法、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KR101608195B1 (ko) 거품 및 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893036B1 (ko) 세정부 내 세정액의 수위설정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20140086573A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농산물 세척 및 살균장치
KR101587597B1 (ko)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2032801B1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JPH08132082A (ja) 生物濾過装置用浮上濾材の洗浄方法
KR101587598B1 (ko) 오존 탈취기능을 갖는 수평방향 다단 약액세정 탈취장치
KR20160126703A (ko)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CN105833578A (zh) 水处理设备和系统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US20220339564A1 (en) Multi-structure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separating, and dehydrating foreign substances in water
KR101912617B1 (ko) 무동력 마이크로버블 형성구조를 갖는 탈취장치
JP2007007618A (ja) 高汚濁水用の浄水処理方法及び装置
CN111170575A (zh) 一种银鲑用工厂化循环水养殖尾水处理系统
KR101130950B1 (ko) 작업부스의 오염공기 여과 장치
KR20160000907A (ko) 이중 공기관을 구비한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및 폐수처리 시스템
KR20170115421A (ko) 마이크로 버블링 회절 스크러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