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703A -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6703A KR20160126703A KR1020150058126A KR20150058126A KR20160126703A KR 20160126703 A KR20160126703 A KR 20160126703A KR 1020150058126 A KR1020150058126 A KR 1020150058126A KR 20150058126 A KR20150058126 A KR 20150058126A KR 20160126703 A KR20160126703 A KR 201601267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ust
- space
- disposed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impinging the gas to be cleaned essentially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onto the liquid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축분이나 음식물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 건조하거나,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대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축분이나 음식물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 건조하거나, 축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대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 과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분, 음식물쓰레기, 오 폐수 등의 각종 유기성 폐기물은 자체 또는 처리 과정에서 자연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축분 및 음식물쓰레기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퇴비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발효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자연발효 및 인공발효 과정에서 각종 부패성 세균들이 왕성하게 번식하면서 악취와 함께 분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대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 및 분진을 갖는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정화시키는 탈취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상태이다.
도 1은 종래의 탈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러한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종래의 탈취장치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112079호 등이 게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염공기 탈취장치는, 축사나 발효건조실(10)의 내부 상단에 설치된 오염공기포집관(11)을 통해 포집되는 오염공기를 세정 및 공급하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축사나 발효건조실(10) 일측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투입된 세정수가 내부 바닥에 일정 깊이로 채워지는 세정탑(20)을 구비하고, 세정탑(20) 내부 상단에는 세정탑(20)의 세정수를 공급받는 급수관(21)을 길게 설치하며, 급수관(21)에는 세정수를 살포하여 세정탑(20)으로 유입된 오염공기의 수중기와 분진 및 악취가스가 세정되게 하는 분사노즐(23)을 다수 설치되고, 세정탑(20)의 내부 일측에는 세정된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여과망(29) 및 여과된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어 공급하는 배기구(24)를 설치하며, 세정탑(20)의 공기이송관(25)을 연결하여 세정탑(20)에서 세정된 공기가 바이오필터층을 통과하게 하여 2차로 악취 및 분진을 제거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탈취장치는, 세정탑(20)으로 유입된 오염공기에 세정수를 살포하여 오염공기와 세정수가 접촉하면서 수중기와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도록 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오염공기와 세정수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효율적으로 오염공기의 수중기와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여과망(29) 및 바오필터층에 많은 분진이 걸러지면서 수시로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고압으로 오염공기를 세정수에 기포형태로 분사되게 하여 오염공기와 세정수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고, 다시 오염공기를 흡착수의 수면에 고압으로 접촉시켜 오염공기와 흡착수의 접촉을 강제로 유도하여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는, 오염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장치부와; 상기 분진제거장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오염공기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장치부와; 상기 분진제거장치부에서 분진이 제거된 오염공기를 상기 악취제거장치부로 이동시키는 부스터팬;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진제거장치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바닥면에 세정수가 일정한 깊이로 채워지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를 좌우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의 상단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고압의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오염공기의 분진을 제거하여 상기 부스터팬으로 이동시키는 분지제거공간을 형성하는 제1격벽과; 상기 제1격벽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유입공간으로 고압으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공기방울형태로 상기 세정수로 배출하는 다공판과; 상기 분지제거공간의 일측벽과 타측벽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동하는 오염공기가 충돌하면서 분진을 제거하는 복수개의 충돌판;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취제거장치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바닥면에 흡착수가 일정한 깊이로 채워지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내부의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면서 하부 끝단이 상기 흡착수의 수면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부스터팬으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오염공기를 상기 흡착수에 접촉시키는 제2유입공간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배출구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공간을 형성하는 제2격벽과; 상기 연결공간에 배치되어 오염공기의 분진 및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판은, 고압의 오염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제1분사공이 형성된 제1판재와; 상기 제1판재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분사공에서 분사된 오염공기를 재분사하는 복수개의 제2분사공이 형성된 제2판재;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분사공은 상기 제1분사공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돌판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세정수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분진제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충돌판에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재와; 상기 제2유입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입공간에 상기 흡착수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재와; 상기 연결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데미스터필터에 상기 흡착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워싱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분사부재는, 상기 세정수의 수중에 배치되는 제1수중펌프와; 상기 충돌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노즐과; 상기 제1수중펌프에 의해 상기 제1노즐로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분사부재는, 상기 흡착수의 수중에 배치되는 제2수중펌프와; 상기 제2유입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노즐과; 상기 제2수중펌프에 의해 상기 제2노즐로 상기 흡착수를 공급하는 제2급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워싱부재는, 상기 흡착수의 수중에 배치되는 제3수중펌프와; 상기 데미스터필터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3노즐과; 상기 제3수중펌프에 의해 상기 제3노즐로 상기 흡착수를 공급하는 제3급수관과; 상기 제3수중펌프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흡착수가 상기 데미스터필터에 분사되게 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수는 생분해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상기 제2분사공이 상기 제1분사공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분사공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세정수에 큰 공기방울 형태로 분사된 것을 다시 제2분사공을 통해 분사되면서 미세하게 분사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세정수와 오염공기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효율적으로 오염공기 내의 분진을 1차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판은 탈취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세정수에 잠기게 되면서 오염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충돌판을 상기 분진제거공간에 형성하여 오염공기의 통로를 지그재그로 형성함으로써, 오염공기중의 분진이 충돌판에 부착되게 하고 분진이 충돌판에 가라앉게 하여 분진을 2차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제1분사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노즐로 분사되는 상기 세정수에 의해 상기 분진제거공간 내에 상기 충돌판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오염공기의 분진을 3차로 제거하면서, 상기 충돌판에 가라앉은 분진을 씻어내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제2분사부재에 의해 상기 제2유입공간에 상기 흡착수를 분사함로써, 상기 제2유입공간을 이동하는 오염공기에서 분사된 상기 흡착수에 의해 악취가 흡착되면서 1차적으로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다섯째, 상기 제2격벽의 끝단이 상기 흡착수의 수면에 잠기도록 형성됨으로써, 탈취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흡착수에 잠기면서 오염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작업시에는 고압의 오염공기에 의해 상기 제2유입공간의 상기 흡착수를 상기 연결공간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흡착수와 상기 제2격벽의 끝단 사이에 미세한 공간으로 오염공기가 상기 연결공간으로 이동하게 하여 강제로 오염공기를 상기 흡착수에 접촉시켜 오염공기의 악취를 흡착하여 2차로 제거하게 된다.
여섯째, 상기 데미스터필터를 사용함으로써, 고도의 내식성을 가지며 청소가 쉽고,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탈취장치의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워싱부재에 의해 상기 데미스터필터에 상기 흡착수를 분사함으로써, 오염공기에서 수분 및 분진을 제거하면서 상기 데미스터필터의 표면에 묻어 있는 분진을 세척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상기 흡착수가 생분해제로 이루어짐으로써, 오염공기에서 흡착한 악취를 분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하는 탈취장치에서 분진제거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서 악취제거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하는 탈취장치에서 분진제거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에서 악취제거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는, 오염공기와 세정수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고, 오염공기를 흡착수에 강제로 접촉하게 하여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는, 분진제거장치부(100), 악취제거장치부(200), 부스터팬(300), 제1분사부재(400), 제2분사부재(500) 및 워싱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는 오염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에는 고압의 오염공기 즉, 축사나 발효건조실 등에서 포집진 오염공기가 고압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봐와 같이, 제1몸체(110), 제1격벽(120), 다공판(130) 및 충돌판(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1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의 바닥면에는 세정수(W1)가 일정한 깊이로 채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제1몸체(1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1유입공간(S1)으로 고압의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몸체(1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세정수(W1)는 오염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격벽(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몸체(110)를 좌우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제1유입공간(S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분진제거공간(S2)을 형성한다.
상기 제1유입공간(S1)은 상기 제1몸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111)를 통해 고압의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그리고 상기 분진제거공간(S2)은 오염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공간이며, 상기 분진제거공간(S2)에서 분진이 제거된 오염공기는 후술하는 상기 부스터팬(300)에 의해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다공판(130)은 상기 제1격벽(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다공판(130)은 상기 세정수(W1)에 잠기도록 상기 제1격벽(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다공판(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고압의 오염공기가 상기 세정수(W1)를 상기 분진제거공간(S2)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다공판(130)을 통과하여 공기방울형태로 상기 세정수(W1)에 배출된다.
즉, 상기 다공판(130)은 탈취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세정수(W1)에 잠기게 되면서 오염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작업시에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제1유입공간(S1)의 상기 세정수(W1)를 상기 분진제거공간(S2)의 밀어내면서 공기방울형태로 상기 세정수(W1)에 배출되어 오염공기와 상기 세정수(W1)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오염공기의 분진을 1차로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다공판(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판재(131)와 제2판재(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판재(131)는 고압의 오염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제1분사공(1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판재(132)는 상기 제1판재(131)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분사공(131a)에서 분사된 상기 오염공기를 재분사하는 복수개의 제2분사공(13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분사공(132a)은 상기 제1분사공(131a)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분사공(132a)이 상기 제1분사공(131a)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분사공(131a)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세정수(W1)에 큰 공기방울 형태로 분사된 것을 다시 제2분사공(132a)을 통해 분사되면서 미세하게 분사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세정수(W1)와 오염공기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효율적으로 오염공기 내의 분진을 1차로 제거한다.
상기 충돌판(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제거공간(S2)의 일측벽과 타측벽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충돌판(140)은 상기 세정수(W1)를 통과한 오염공기가 충돌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오염공기중의 분진이 충돌판(140)에 부착되거나 무거운 분진이 상기 충돌판(140)의 상면에 가라 않게 하여 분진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충돌판(140)을 상기 분진제거공간(S2)에 형성하여 오염공기의 속도를 늦춤으로써, 오염공기보다 무거운 잔류분진을 가라앉게 하여 분진을 2차로 제거한다.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는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오염공기의 악취를 제거한다.
즉,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는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에서 분진이 제거된 오염공기 내의 악취를 제거한다.
이러한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10), 제2격벽(220) 및 데미스터필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몸체(210)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의 바닥면에는 흡착수(W2)가 일정한 깊이로 채워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제2몸체(210)의 상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2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흡착수(W2)는 오염공기의 악취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격벽(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몸체(210)를 좌우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제2유입공간(S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연결공간(S4)을 형성된다.
상기 제2유입공간(S3)은 후술하는 상기 부스터팬(300)으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오염공기를 상기 흡착수(W2)에 접촉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2격벽(220)의 하단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수(W2)의 수면에 잠기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상기 제2격벽(220)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입공간(S3)을 유입된 고압의 오염공기가 상기 흡착수(W2)를 상기 연결공간(S4)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격벽(220)의 하단과 상기 흡착수(W2)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면서 오염공기가 상기 연결공간(S4)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오염공기가 상기 흡착수(W2)와 강제로 접촉하면서 오염공기 내의 악취를 상기 흡착수(W2)가 흡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격벽(220)의 하단이 상기 흡착수(W2)의 수면에 잠기도록 형성됨으로써, 탈취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흡착수(W2)에 잠기면서 오염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탈취작업시에는 고압의 오염공기에 의해 상기 제2유입공간(S3)의 상기 흡착수(W2)를 상기 연결공간(S4)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흡착수(W2)와 상기 제2격벽(220)의 끝단 사이에 미세한 공간으로 오염공기가 상기 연결공간(S4)으로 이동하게 하여 강제로 오염공기를 상기 흡착수(W2)에 접촉시켜 상기 분진제거장치(100)에서 제거되지 아니한 분진 및 오염공기의 악취를 흡착하여 2차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 데미스터필터(230)는 상기 연결공간(S4)에 배치되어 오염공기에 잔류하는 수증기, 분진 및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데미스터필터(230)는 고도의 내식성을 가지며 청소가 쉽고,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이상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탈취장치의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부스터팬(300)은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에서 분진이 제거된 상기 오염공기를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상기 부스터팬(300)은 오염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로 이동하는 오염공기가 고압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충돌판(14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세정수(W1)배출공(1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충돌판(140)을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전단을 상방향으로 절곡되게하고,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세정수(W1)배출공(141)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상기 제1분사부재(400)에 의해 분사된 상기 세정수(W1)가 분진제거공간(S2)의 분진을 낙하시키게 하고 낙하되는 세정수(W1) 및 분진이 상기 세정수(W1)배출공(141)으로 유입되어 상기 분진제거공간(S2)의 하부로 떨어지게 한다.
상기 제1분사부재(400)는 상기 분진제거공간(S2)에 배치되어 상기 충돌판(140)에 상기 세정수(W1)를 분사한다.
이러한 상기 제1분사부재(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중펌프(410), 제1노즐(420) 및 제1급수관(4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중펌프(410)는 상기 제정수의 수중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노즐(420)은 상기 충돌판(140)의 상부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급수관(430)은 상기 제1수중펌프(410)에 의해 상기 제1노즐(420)로 상기 세정수(W1)를 공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수중펌프(410)에서 상기 세정수(W1)를 상기 제1급수관(430)을 통해 상기 제1노즐(420)로 상기 충돌판(140)에 분사하게 된다.
이렇게 분사된 상기 세정수(W1)는 상기 분진제거공간(S2)에서 이동하는 오염공기중의 분진을 제거하고, 상기 충돌판(140)에 가라앉아 있는 분진을 씻어낸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분사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노즐(420)로 분사되는 상기 세정수(W1)에 의해 상기 분진제거공간(S2) 내에 상기 충돌판(140)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오염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면서, 상기 충돌판(140)에 가라앉은 분진을 씻어낸다.
상기 제2분사부재(500)는 상기 제2유입공간(S3)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입공간(S3)에 상기 흡착수(W2)를 분사한다.
이러한 상기 제2분사부재(5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중펌프(510), 제2노즐(520) 및 제2급수관(5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수중펌프(510)는 상기 흡착수(W2)의 수중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노즐(520)은 상기 제2유입공간(S3)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급수관(530)은 상기 제2수중펌프(510)에 의해 상기 제2노즐(520)로 상기 흡착수(W2)를 공급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수중펌프(510)에서 상기 흡착수(W2)를 상기 제2급수관(530)을 통해 상기 제2노즐(520)로 상기 제2유입공간(S3)에 분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분사부재(500)에 의해 상기 제2유입공간(S3)에 상기 흡착수(W2)를 분사함로써, 상기 제2유입공간(S3)을 이동하는 오염공기에서 분사된 상기 흡착수(W2)에 의해 상기 분진제거장치(100)로부터 미제거된 분진 및 악취가 흡착되면서 1차적으로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워싱부재(600)는 상기 연결공간(S4)에 배치되어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에 상기 흡착수(W2)를 선택적으로 분사한다.
이러한 상기 워싱부재(6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수중펌프(610), 제3노즐(620), 제3급수관(630) 및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수중펌프(610)는 상기 흡착수(W2)의 수중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노즐(620)은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급수관(630)은 상기 제3수중펌프(610)에 의해 상기 제3노즐(620)로 상기 흡착수(W2)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수중펌프(610)를 제어하여 상기 흡착수(W2)가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에 분사되게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수중펌프(610)를 항시 또는 주기적으로 가동시켜, 상기 흡착수(W2)가 상기 제3급수관(630)을 통해 상기 제3노즐(620)로 분사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워싱부재(600)에 의해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에 상기 흡착수(W2)를 분사함으로써, 오염공기에서 수분 및 분진을 제거하면서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의 표면에 묻어 있는 분진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착수(W2)는 생분해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수(W2)가 생분해제로 이루어짐으로써, 오염공기에서 흡착한 악취를 분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W1)는 별도로 처리된 처리수를 사용할 수 있고, 일반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흡착수(W2)와 같이 생분해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공기의 탈취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축사 또는 발효건조실에서 발생하는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상기 입수구를 통해 고압으로 상기 제1유입공간(S1)으로 유입시킨다.
이렇게 유입된 고압의 오염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입공간(S1) 내의 상기 세정수(W1)를 상기 분진제거공간(S2)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다공판(130)의 제1판재(131)의 제1분사공(131a)을 통과하여 큰 공기방울 형태로 분사되고, 다시 상기 다공판(130)의 제2판재(132)의 제2분사공(132a)을 통과하면서 미세하게 쪼게 지면서 미세한 공기방울 형태로 상기 세정수(W1)에 분사된다.
이렇게 상기 다공판(130)에 의해 미세한 공기방울 형태로 상기 세정수(W1)에 분사된 오염공기는 상기 세정수(W1)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되면서, 오염공기 내의 분진이 1차로 제거된다.
이렇게 1차로 분진이 제거된 오염공기는 상기 세정수(W1)를 빠져나와 상기 부스터팬(300)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오염공기는 상기 충돌판(140)에 의해 출동하면서 지그재그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염공기의 속도가 늦추어지면서 오염공기보다 무거운 분진이 상기 충돌판(140)의 상면에 가라앉게 되고 또한 충졸판(140)의 저면에 분진이 부착되어 제거되면서 오염공기 내의 분진을 2차로 제거한다.
이때, 상기 제1분사부재(400)에서 분사되는 상기 세정수(W1)가 다시 한 번 상기 분진제거공간(S2)을 이동하는 오염공기와 접촉하면서 오염공기 내의 분진을 3차로 제거하면서, 충돌판(140)에 가라앉은 분진 및 충돌판(140)의 저면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여 낙하시킨다.
이렇게 분진이 제거된 오염공기는 상기 부스터팬(3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의 상기 제2유입공간(S3)의 고압으로 유입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사부재(500)에서 분사되는 상기 흡착수(W2)에 의해 상기 제2유입공간(S3)을 이동하는 오염공기와 접촉하여 오염공기 내의 악취를 1차로 제거한다.
그리고 이렇게 고압으로 상기 제2유입공간(S3)으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입공간(S3) 내의 흡착수(W2)를 상기 연결공간(S4)으로 밀어내면서 수심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격벽(220)의 하단과 상기 흡착수(W2)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고, 미세한 공간으로 오염공기가 통과하면서 강제로 오염공기가 상기 흡착수(W2)에 접촉하여 2차로 악취가 제거되면서 상기 연결공간(S4)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상기 연결공간(S4)으로 이동한 오염공기는 상기 연결공간(S4) 내에 배치된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에서 오염공기에 잔류하는 수분, 분진 및 악취가 제거되어 탈취가 완료되며 탈취가 완료되어 정화된 공기는 상기 제2몸체(210)의 상기 배출구(211)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분진제거장치부 110: 제1몸체 111:유입구
120: 제1격벽 130: 다공판 131: 제1판재
131a: 제1분사공 132: 제2판재 132a: 제2분사공
140: 충돌판 141: 세정수배출공 200: 악취제거장치부
210: 제2몸체 212: 배출구 220: 제2격벽
230: 데미스터필터 300: 부스터팬 400: 제1분사부재
410: 제1수중펌프 420: 제1노즐 430: 제1급수관
500: 제2분사부재 510: 제2수중펌프 520: 제2노즐
530: 제2급수관 600: 워싱부재 610: 제3수중펌프
620: 제3노즐 630: 제3급수관 S1: 제1유입공간
S2: 분진제거공간 S3: 제2유입공간 W1: 세정수
W2: 흡착수
120: 제1격벽 130: 다공판 131: 제1판재
131a: 제1분사공 132: 제2판재 132a: 제2분사공
140: 충돌판 141: 세정수배출공 200: 악취제거장치부
210: 제2몸체 212: 배출구 220: 제2격벽
230: 데미스터필터 300: 부스터팬 400: 제1분사부재
410: 제1수중펌프 420: 제1노즐 430: 제1급수관
500: 제2분사부재 510: 제2수중펌프 520: 제2노즐
530: 제2급수관 600: 워싱부재 610: 제3수중펌프
620: 제3노즐 630: 제3급수관 S1: 제1유입공간
S2: 분진제거공간 S3: 제2유입공간 W1: 세정수
W2: 흡착수
Claims (6)
- 오염공기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장치부(100)와;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로부터 공급된 오염공기의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장치부(200)와;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에서 분진이 제거된 오염공기를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로 이동시키는 부스터팬(30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제거장치부(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바닥면에 세정수(W1)가 일정한 깊이로 채워지는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를 좌우로 구획하여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유입구(111)를 통해 고압의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S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세정수(W1)를 통과한 오염공기가 수용되며 상기 부스터팬(300)과 연결되는 분진제거공간(S2)을 형성하며 하단부가 제1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세정수(W1)에 침수되는 제1격벽(120)과, 상기 제1격벽(120)의 하부에서 상기 세정수(W1)에 침수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유입공간(S1)으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공기방울형태로 분출시키는 다공판(130)과, 상기 분진제거공간(S2)의 일측벽과 타측벽에서 상하방향으로 상호 교차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서 지그재그로 오염공기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이동하는 오염공기가 충돌하면서 분진을 제거하는 복수개의 충돌판(1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제거장치부(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바닥면에 흡착수(W2)가 일정한 깊이로 채워지는 제2몸체(210)와, 상기 제1몸체(110)의 내부의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면서 하단이 상기 흡착수(W2)의 수면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부스터팬(300)에 의해 공급된 오염공기를 상기 흡착수(W2)에 접촉시키는 제2유입공간(S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는 배출구(211)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연결공간(S4)을 형성하는 제2격벽(220)과, 상기 연결공간(S4)에 배치되어 오염공기의 분진 및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필터(2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130)은 고압의 오염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제1분사공(131a)이 형성된 제1판재(131)와, 상기 제1판재(131)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분사공(131a)에서 분사된 오염공기를 재분사하는 복수개의 제2분사공(132a)이 형성된 제2판재(132) 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분사공(132a)은 상기 제1분사공(131a)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판(140)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전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세정수(W1)배출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분진제거공간(S2)에 배치되어 상기 충돌판(140)에 상기 세정수(W1)를 분사하는 제1분사부재(400)와; 상기 제2유입공간(S3)에 배치되어 상기 제2유입공간(S3)에 상기 흡착수(W2)를 분사하는 제2분사부재(500)와; 상기 연결공간(S4)에 배치되어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에 상기 흡착수(W2)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워싱부재(60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분사부재(400)는 상기 세정수(W1)의 수중에 배치되는 제1수중펌프(410)와, 상기 충돌판(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노즐(420)과, 상기 제1수중펌프(410)에 의해 상기 제1노즐(420)로 상기 세정수(W1)를 공급하는 제1급수관(4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분사부재(500)는 상기 흡착수(W2)의 수중에 배치되는 제2수중펌프(510)와, 상기 제2유입공간(S3)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노즐(520)과, 상기 제2수중펌프(510)에 의해 상기 제2노즐(520)로 상기 흡착수(W2)를 공급하는 제2급수관(5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워싱부재(600)는 상기 흡착수(W2)의 수중에 배치되는 제3수중펌프(610)와,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3노즐(620)과, 상기 제3수중펌프(610)에 의해 상기 제3노즐(620)로 상기 흡착수(W2)를 공급하는 제3급수관(630)과, 상기 제3수중펌프(610)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흡착수(W2)가 상기 데미스터필터(230)에 분사되게 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W2)는 생분해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8126A KR101720749B1 (ko) | 2015-04-24 | 2015-04-24 |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8126A KR101720749B1 (ko) | 2015-04-24 | 2015-04-24 |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6703A true KR20160126703A (ko) | 2016-11-02 |
KR101720749B1 KR101720749B1 (ko) | 2017-03-28 |
Family
ID=5751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8126A KR101720749B1 (ko) | 2015-04-24 | 2015-04-24 |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0749B1 (ko)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8915B1 (ko) * | 2017-02-13 | 2018-06-19 | 허준영 | 진공펌프 수분제거 시스템의 트랩장치 |
CN109954346A (zh) * | 2019-03-27 | 2019-07-02 | 深圳市捷佳伟创新能源装备股份有限公司 | 尾气处理装置 |
KR102101457B1 (ko) * | 2019-08-09 | 2020-05-15 | 권승만 | 초미세먼지 제거가 용이한 워터 크린 필터 |
KR102151060B1 (ko) * | 2020-04-23 | 2020-09-02 | (주)에스엠이앤티 | 와류세정기능을 갖는 악취제거용 탈취장치 |
CN111715000A (zh) * | 2020-06-16 | 2020-09-29 |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带粉尘气流的净化方法 |
CN112370901A (zh) * | 2020-11-09 | 2021-02-19 | 史福浪 | 一种煤矿作业用空气处理装置 |
CN112403138A (zh) * | 2020-11-06 | 2021-02-26 | 常宁超喜欢食品有限公司 | 一种食品加工车间用湿式除尘器 |
KR102252558B1 (ko) * | 2020-11-23 | 2021-05-17 |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 격자 경사 스프레이 및 다중 격막 장치를 적용한 약액 탈취장치 |
CN112807902A (zh) * | 2021-01-05 | 2021-05-18 | 雷刚 | 一种绿色建筑施工用喷水除尘设备 |
CN112957857A (zh) * | 2021-03-09 | 2021-06-15 | 安徽顺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除尘功能的脱硫脱硝设备 |
CN113797690A (zh) * | 2021-09-30 | 2021-12-17 | 四川大学 | 一种用于交叉流除尘的级联式降膜柱及装置 |
KR102345746B1 (ko) * | 2021-06-29 | 2021-12-31 | 이명종 | 도료용 집진장치 |
CN114307485A (zh) * | 2021-11-12 | 2022-04-12 | 盐城工学院 | 一种袋式除尘器前置烟气处理装置 |
KR102416745B1 (ko) * | 2022-01-27 | 2022-07-05 | 덕인환경주식회사 | 세정탑을 이용한 악취 제거 시스템 |
CN117482685A (zh) * | 2023-12-29 | 2024-02-02 | 湖南信健科技有限公司 | 一种感光干膜生产车间的废气处理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1851B1 (ko) * | 2018-04-20 | 2020-01-31 | 경세웅 | 비산 분진 제거시스템 |
KR102471191B1 (ko) * | 2021-01-07 | 2022-11-28 | 노창식 | 미세분진 및 악취 처리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6429B1 (ko) * | 2006-06-22 | 2007-01-09 | (주)제이오비앤피 | 배가스의 습식처리장치 |
KR20100106266A (ko) * | 2010-09-02 | 2010-10-01 | 임 갑 차 | 침액식 스크러버 |
KR20110038500A (ko) * | 2009-10-08 | 2011-04-14 | 김태환 |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
KR101482095B1 (ko) * | 2014-07-30 | 2015-01-13 | 정재억 |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설비 |
-
2015
- 2015-04-24 KR KR1020150058126A patent/KR1017207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6429B1 (ko) * | 2006-06-22 | 2007-01-09 | (주)제이오비앤피 | 배가스의 습식처리장치 |
KR20110038500A (ko) * | 2009-10-08 | 2011-04-14 | 김태환 |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
KR101112079B1 (ko) | 2009-10-08 | 2012-02-23 | 김태환 | 세정탑을 이용한 발효건조실과 축사의 오염공기 탈취장치 |
KR20100106266A (ko) * | 2010-09-02 | 2010-10-01 | 임 갑 차 | 침액식 스크러버 |
KR101482095B1 (ko) * | 2014-07-30 | 2015-01-13 | 정재억 |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용 습식 스크러빙 설비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8915B1 (ko) * | 2017-02-13 | 2018-06-19 | 허준영 | 진공펌프 수분제거 시스템의 트랩장치 |
CN109954346A (zh) * | 2019-03-27 | 2019-07-02 | 深圳市捷佳伟创新能源装备股份有限公司 | 尾气处理装置 |
KR102101457B1 (ko) * | 2019-08-09 | 2020-05-15 | 권승만 | 초미세먼지 제거가 용이한 워터 크린 필터 |
KR102151060B1 (ko) * | 2020-04-23 | 2020-09-02 | (주)에스엠이앤티 | 와류세정기능을 갖는 악취제거용 탈취장치 |
CN111715000B (zh) * | 2020-06-16 | 2023-08-08 |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带粉尘气流的净化方法 |
CN111715000A (zh) * | 2020-06-16 | 2020-09-29 |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带粉尘气流的净化方法 |
CN112403138A (zh) * | 2020-11-06 | 2021-02-26 | 常宁超喜欢食品有限公司 | 一种食品加工车间用湿式除尘器 |
CN112370901A (zh) * | 2020-11-09 | 2021-02-19 | 史福浪 | 一种煤矿作业用空气处理装置 |
KR102252558B1 (ko) * | 2020-11-23 | 2021-05-17 | 주식회사 국제기술인증원 | 격자 경사 스프레이 및 다중 격막 장치를 적용한 약액 탈취장치 |
CN112807902A (zh) * | 2021-01-05 | 2021-05-18 | 雷刚 | 一种绿色建筑施工用喷水除尘设备 |
CN112807902B (zh) * | 2021-01-05 | 2023-11-24 | 重庆天舟建筑有限公司 | 一种绿色建筑施工用喷水除尘设备 |
CN112957857A (zh) * | 2021-03-09 | 2021-06-15 | 安徽顺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除尘功能的脱硫脱硝设备 |
KR102345746B1 (ko) * | 2021-06-29 | 2021-12-31 | 이명종 | 도료용 집진장치 |
CN113797690A (zh) * | 2021-09-30 | 2021-12-17 | 四川大学 | 一种用于交叉流除尘的级联式降膜柱及装置 |
CN113797690B (zh) * | 2021-09-30 | 2022-05-06 | 四川大学 | 一种用于交叉流除尘的级联式降膜柱及装置 |
CN114307485A (zh) * | 2021-11-12 | 2022-04-12 | 盐城工学院 | 一种袋式除尘器前置烟气处理装置 |
KR102416745B1 (ko) * | 2022-01-27 | 2022-07-05 | 덕인환경주식회사 | 세정탑을 이용한 악취 제거 시스템 |
CN117482685A (zh) * | 2023-12-29 | 2024-02-02 | 湖南信健科技有限公司 | 一种感光干膜生产车间的废气处理装置 |
CN117482685B (zh) * | 2023-12-29 | 2024-04-02 | 湖南信健科技有限公司 | 一种感光干膜生产车间的废气处理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0749B1 (ko) | 2017-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0749B1 (ko) |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 |
KR101955270B1 (ko) |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 |
KR100820845B1 (ko) | 2액 동시세정 탈취탑 | |
KR102032801B1 (ko) | 3단 습식 세정 장치 | |
KR101203420B1 (ko) | 2액 동시 세정 탈취탑 | |
KR101433071B1 (ko) | 악취가스의 탈취장치 | |
KR101513682B1 (ko) |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 |
WO2010076853A1 (ja) | 汚染ガスの水洗式除塵浄化方法 | |
KR102093121B1 (ko) |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 |
KR20180005439A (ko) | 3단 습식 세정 장치 | |
KR101918005B1 (ko) |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 |
KR101882803B1 (ko) |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 |
KR101912617B1 (ko) | 무동력 마이크로버블 형성구조를 갖는 탈취장치 | |
KR20150116793A (ko) | 가축 축사의 배기 정화를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방법 | |
KR102076856B1 (ko) | 극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극미세기포를 이용한 화학적 탈취제 세정장치 | |
KR101551856B1 (ko) |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 |
KR102308434B1 (ko) | 고효율 세정식 탈취장치 | |
KR101874952B1 (ko) |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 |
KR101782735B1 (ko) |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 |
KR101823139B1 (ko) |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 |
KR101193619B1 (ko) | 이온수의 미적분사와 토네이도기류를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 및 악취 제거 장치 | |
KR102047210B1 (ko) | 복합탈취장치 | |
KR101963765B1 (ko) | 촉매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세정장치를 구비한 약액세정탈취장치 | |
KR101801910B1 (ko) | 밀폐 순환형 고속 유기물 발효장치 | |
KR100844180B1 (ko) | 저음파를 이용한 고도처리 탈취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