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734A -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 Google Patents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734A
KR20050110734A KR1020040035538A KR20040035538A KR20050110734A KR 20050110734 A KR20050110734 A KR 20050110734A KR 1020040035538 A KR1020040035538 A KR 1020040035538A KR 20040035538 A KR20040035538 A KR 20040035538A KR 20050110734 A KR20050110734 A KR 2005011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ation tank
water
pipe
aeration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900B1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2004003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900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축산폐수 등의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면서 특히, 폭기시 발생되는 수면상의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폭기조가 제공된다.
상기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는,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폭기조 본체;와, 상기 폭기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관;과, 상기 폭기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폭기 및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산기노즐; 및, 상기 폭기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물의 분사를 통하여 수면상의 거품을 제거시키는 거품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오폐수를 순환 및 폭기작용으로 처리하는 때에 발생되는 수면상의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함으로서, 정화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한편, 처리조 수면상의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거품이 조에서 오버플로우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Areation Tank having Bubble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유기물이 다량 포함된 축산폐수 등의 오폐수를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폭기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오폐수를 순환 및 폭기작용으로 처리하는 때에 발생되는 수면상의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정화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한편, 처리조 수면상의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거품이 조에서 오버플로우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키도록 하는 한편, 구동력을 제공하여 분사영역을 확대 또는 겹치도록 함으로서, 거품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킨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에 관한 것이다.
폭기는 처리하고자 하는 물속에 공기를 불어넣어 산소를 증가시킴으로서 물속의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키어 이 미생물 즉, 호기성세균이나 원생동물의 활동으로 유기물을 분해하여 축산 오수등의 오폐수를 처리하는 활성오니법에서 사용되는 오폐수 처리방법인데, 이와 같은 폭기를 통하여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폭기조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폭기조에 침전조등을 거쳐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하고, 산기관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시킴으로서, 물속에 산소공급을 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폭기를 수행하였다.
한편, 이와 같이 폭기조에 단순히 산기관을 통하여 공기를 불어놓는 지금까지의 폭기처리에 더하여, 폭기를 위한 고압의 공기분사력을 이용하여 물의 순환도 이루어 지도록 하여 정화효율을 높이는 산기노즐이 내부에 배치된 폭기관을 사용하는 폭기조는 알려져 있다.
즉, 폭기조의 내부에 별도의 폭기관을 배치하고, 이 내부에서 고압에 공기를 산기노즐 등을 통하여 분사시킴으로서, 폭기관의 하부에 유입되는 오폐수는 폭기관내에서 산기에 의한 보다 집중적인 폭기작용이 이루어 지면서, 분사압력에 의하여 폭기관의 상부를 통하여 폭기조상의 수면위로 배출되는 물의 순환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폭기조 보다는 폭기조에서의 오폐수 정화가 보다 원활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선된 폭기조에서는 폭기관에서의 집중적인 산기와 물의 강제적인 순환에 의하여 그 정화효과는 향상되지만, 산기된 물이 폭기관의 상부 배출공들을 통하여 수면상에 배출될 때에는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폭기조보다는 보다 많은 거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폭기조의 수면상에 과다하게 발생되는 거품은 폭기조의 외곽으로 오버플로우 되거나 거품이 증발되면서 주변에 악취를 발생시키어 전체적으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새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폭기관을 구비한 종래 폭기조에서는 발생되는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거품제거기능이 필요하였으나, 이에 대한 효과적인 기술이 제안된 바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오폐수를 순환 및 폭기작용으로 처리하는 때에 발생되는 수면상의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정화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한편, 폭기조 수면상의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하여 거품이 폭기조에서 오버플로우되거나 증발에 의한 악취발생 등의 환경문제를 예방하도록 한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시 물을 분사하여 수면상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관의 구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물 분사영역의 겹침이나 확대를 통하여 거품제거기능을 보다 향상시킨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폭기조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의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관;
상기 폭기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산기노즐; 및,
상기 폭기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물의 분사를 통하여 수면상의 거품을 제거시키는 거품제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폭기조에 있어서,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폭기조 본체;
상기 폭기조 본체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관;
상기 폭기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폭기 및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산기노즐; 및
상기 폭기조 본체의 내측으로 벽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기포를 발생시키어 수면상의 거품을 이동시키어 상기 폭기관에서 배출 낙하되는 물로 거품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된 기포발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폭기조에 있어서,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폭기조 본체;
상기 폭기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관;
상기 폭기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폭기 및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산기노즐;
상기 폭기조 본체의 상부에 제공되어 물의 분사를 통하여 수면상의 거품을 제거시키는 거품제거수단; 및,
상기 폭기조 본체의 내측으로 벽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기포를 발생시키어 수면상의 거품을 이동시키어 상기 폭기관에서 배출 낙하되는 물로 거품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된 기포발생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 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산폐수 등의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기조(1)는 폭기와 물의 순환에 따라 수면상에서 발생되는 거품(B)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데, 이와 같은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폭기조(1)는, 크게 폭기조 본체(2)와 폭기관(10)과 산기노즐(30) 및, 거품제거수단(50)으로 나누어 질 수 있고, 이들 구성요소(2) (10)(30)(5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는 폭기조(1)의 본체(2)를 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폭기조 본체(2)가 사각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폭기조(1)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 오폐수를 생물학적 활성오니법으로 제거하기 위하여는, 폭기조의 앞뒤로 오폐수 유입조와 침전조 또는 침전된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조등이 하나의 설비로 연계되어 사용될 것이다.
한편, 상기 폭기조 본체(2)에는 폭기조로 물을 공급하는 물 투입관(4a) 및 미생물을 통한 유기물이 분해된 처리수를 폭기조에서 배출시키는 배출관(4b)이 배치될 수 있고,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폭기조 본체(2)에 유입조에서 월류되어 물이 유입되고, 폭기된 처리수가 다시 월류되어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폭기조(1)는 산기 및 물순환이 원활해지면서 그 만큼 거품발생량도 증가될 것이므로, 월류형태 보다는 수면 직하부에 위치되는 배출관(4b)을 통하여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할 것이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상기 폭기관 (1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폭기관(10)은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폭기관(10)은 파이프를 폭기조 본체(2)의 바닥에 수직하게 세워서 고정시킨 것으로 그 상부는 폭기조 본체(2)에 저장된 오폐수의 수위보다 위에서 노출되도록 길이가 조정되어야 한다.
이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폭기관(10)의 상부 즉, 수면에서 부터 노출된 상단부에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산기노즐(30)에서 분사된 고압의 에어에 의하여 폭기되면서 동시에 관내부의 물이 강제로 수면위로 순환되는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공(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폭기관(10)의 하부로 산기노즐 (30)의 아래에 위치한 곳에는 물이 폭기관(10)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유입공(14)들이 폭기관(10)의 원주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기노즐(30)은, 상기 폭기관 (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산기노즐(30)에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폭기조 본체(2)의 바닥을 따라 배치된 산기관(32)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산기관(32)을 통하여 고압의 에어가 공급되어 산기노즐(30)에서 분사되면, 폭기관(10)의 유입공(14)을 통하여 관내부로 유입된 물에는 에어가 분사되어 에어에 포함된 산소가 녹으면서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폭기작용이 가해져, 폭기조(1)에서 활동하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를 통한 생물학적 오폐수 정화효율을 그 만큼 높이고, 동시에 에어의 분사력에 의하여 물은 폭기관(10)의 상부 배출공(12)을 통하여 강제로 순환 배출되면서, 결과적으로 폭기조(1) 내의 물은 강제 순환되면서 또 다시 물의 정화효율을 높이게 한다.
결국, 본 발명의 폭기조(1)는 폭기관(10)과 산기노즐(30)을 통하여 물의 폭기 및 강제순환이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수행됨으로서, 물의 정화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1)에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은, 상기 폭기조 본체(2)의 상부 내측에 본체를 따라 신장되어 제공되고, 물을 분사시키어 수면상의 거품(B)을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은 구체적으로는 폭기조 본체(2)의 상부벽 내측면을 따라 폭기조 본체(2)를 따라 신장되어 배치되어 있고, 공급되는 고압수를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노즐(52)들이 갖추어 져, 수면상의 거품(B)에 고압수를 분사시키어 기포형태의 거품(B)을 제거하는 고압수 분사관이다.
그리고,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고압수 분사관에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5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있고, 이 공급관(54)은 원형으로 된 메인 고압수관(54a)과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고압수관(54a)에서 부터 공급관(54)을 통하여 공급된 고압수는 폭기조 본체(2)의 상부 내측벽에 배치된 거품제거수단(50)인 분사관의 분사노즐(52)들을 통하여 수면상의 거품(B)상으로 분사되면서 거품(B)은 제거된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원형의 폭기조 본체를 도시하였지만, 사각조인 경우에는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인 고압수 분사관을 직곽으로 배치시키는데, 이는 다음의 도 6에서 다시 설명하며, 이때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52)들은 다음에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듯이, 관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면서 동시에, 관의 원주방향으로도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폭기조(1')는, 폭기관 (10)과 거품제거수단(50)인 고압수 분사관사이에 분기관(56)을 연결함으로서, 분사관에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고압수 공급관(54)을 연결하지 않고 폭기관(10)에서 에어 분사력으로 강제 순환되는 물을 이용하여 상기 분사관(50)의 분사노즐(52)들을 통하여 분사시키어 수면상의 거품(B)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거품제거수단(50)인 분사관 노즐(52)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의 압력이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공급관(54)이 연결된 것에 비하여는 약해질 수 있으나, 설비를 간소화시키는 면에서 잇점이 있으므로, 폭기조(1')의 크기가 대형이 아닌 소형인 경우에는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1)에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인 분사관(50)에 설치되는 분사노즐(52)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인 고압수 분사관에 설치된 분사노즐(52)의 분사공(52a)이 관의 원주방향으로 가변토록 설치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거품제거수단(50)인 분사관에 설치된 분사노즐(52)중 수면상의 거품 (B)중 가장 멀리있는 즉, 폭기조 본체(2)의 중앙부분에 있는 거품 (B)을 제거시키기 위한 분사노즐(52)의 분사공(52a)은 그 직경을 가장 작게하고, 그 하류측의 분사노즐(52)들은 점진적으로 그 분사공(52a)의 직경을 크게하여 거품위치에 따라 분사되는 물의 분사폭을 조정한 것이다.
따라서, 수면상의 거품위치에 따라 물의 분사거리가 조절되어 전체 수면상에 있는 거품(B) 모두에 물이 분사되도록 됨으로서, 수면상의 거품 제거효과가 그 만큼 향상시키는 것이다.
다음,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또 다른 폭기조(1a)는, 도 1 의 폭기조(1)를 변형한 것으로 실제로는 거품제거수단(50)의 구성을 변형한 것인데, 이때 폭기조 본체(2)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형의 폭기조 본체(2)에 설치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분사관도 이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설치하며,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인 고압수 분사관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제 1 구동수단(70)을 통하여 좌우방향으로 왕복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수단(70)은, 상기 분사관 (50)의 길이방향으로 전체 분사관의 적어도 일지점에 제공된 호형의 랙기어(72) 및, 상기 폭기조 본체(2)상에 배치된 구동모터(74)에 연결되고 상기 호형랙기어 (72)와 맞물리게 배치된 구동기어(7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형 분사관(50)은 폭기조 본체(2)상에 설치된 가이드(58)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이 가이드(58)는 원형 분사관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58)와 접촉하는 분사관에는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분사노즐(52)이 배치되지 않거나, 또는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노즐이 통과하는 부분에 홈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인 분사관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은 메인 고압수관(54a)과 연결되는 플렉시블관(54')으로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인 고압수 분사관이 가이드상에서 좌우로 왕복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구동수단(70)의 구동모터(74)를 일정각도 즉, 구동기어(76)와 맞물리는 호형랙기어(72)의 길이를 감안하는 회전각도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 상기 구동기어(76)는 맞물린 호형랙기어 (72)와 함께 이 호형랙기어(72)가 고정된 원형 분사관(50)을 가이드(58)상에서 좌우로 왕복동하면서 이동시킬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또 다른 폭기조(1a)에서는 거품제거수단(50)인 분사관의 분사노즐(52)에서 분사되는 고압수가 관의 좌우방향 왕복이동에 의하여 그 분사영역이 겹쳐지게 되고, 이는 수면상의 거품(B)에 분사되는 물의 분사폭을 증대시키어 거품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폭기조(1b)에서 폭기조 본체는 사각조(2')로 형성된 경우이고, 이 경우 상기 사각 폭기조 본체(2')에 설치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분사관은 사각 폭기조 본체(2)의 상부 내측벽의 각변에 배치된 직관형태의 분사관(50')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분사관은 분리되어 있는데, 이는 다음의 설명하는 제 2 구동수단(90)을 통하여 아래위로 회동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같은 분사관(50')들의 회동이 없다면 상기 폭기조 본체의 각변에 배치되는 직관의 분사관(50')들은 연결곡관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직관의 분사관(50')은 제 2 구동수단(90)을 통하여 아래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제 2 구동수단(90)은, 상기 직관 분사관 (50')의 일지점에 그 원주면에 반원형태로 제공된 링기어(92) 및 상기 사각 폭기조 본체 (2')상에 배치된 구동모터(94)에 연결되고 상기 링기어(92)와 맞물리게 배치된 구동기어(96)로 구성된다.
이때,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직관의 분사관(50')들은 폭기조 본체 (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호형의 가이드(58)상에서 지지되어 있고, 이 가이드 (58)는 호형의 거품제거수단(50)인 분사관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면 되고, 이 가이드(58)와 접촉하는 분사관에는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분사노즐 (52)이 배치되지 않거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분사관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공급관(54')은 메인 고압수관(54a)에 플렉시블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분사관이 위아래로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구동수단(90)의 구동모터 (94)를 일정회전각도 즉, 구동기어(96)와 맞물리는 반원형 링기어(92)의 길이를 감안하는 회전각도로 정 및 역회전을 반복하면, 상기 구동기어(96)는 맞물린 링기어 (92)와 함께 이 호형랙기어(92)가 고정된 거품제거수단인 분사관(50')을 가이드 (58)상에서 아래위로 회동시킬 것이다.
결국, 사각 폭기조 본체(2')인 경우 원형의 분사관을 설치하는 것이 어렵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폭기조(1b)에서는 폭기조 본체(2)의 각변상에 배치된 거품제거수단(50')인 직관의 분사관을 가이드(58)상에서 위아래로 회동시키기 때문에, 분사관상의 분사노즐(52)들을 통하여 분사되는 고압수의 분사폭이 그 만큼 확대되는데, 이는 폭기조 수면중앙에 있는 거품이나 폭기조 본체 벽에 인접한 거품이나 모두 골고루 제거될 것이고, 결국 거품제거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거품제거수단인 직관 분사관(50')의 회동방향을 조정하면 거품은 분사되는 물의 충돌로 인하여 가능한 폭기조 본체(2)의 수면중앙에 모이면서 제거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는 거품이 비정상적으로 과다하게 발생된 경우 거품이 폭기조 본체(2')를 통하여 외곽으로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것이다.
다음,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폐수를 정화시키면서 특히 거품의 제거기능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폭기조(1c)는, 지금까지 설명한 폭기조 본체(2)와, 폭기관 (10)과, 산기노즐(30) 에 더하여, 거품제거수단(50) 대신에, 기포발생수단(110)을 구비한 것이다.
즉, 상기 기포발생수단(110)은,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측으로 벽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기포(C)를 발생시키어 수면상의 거품(B)을 이동시키어 상기 폭기관(10)에서 배출 낙하되는 순환되는 물로 거품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포발생수단(110)은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부 바닥측으로 벽체를 따라 배치되고 상방의 에어분사공(112)을 갖춘 에어분사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특히 상기 산기노즐(30)과 교대로 에어를 분사시키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기포발생수단(110)의 에어분사관에는 에어공급관이 폭기조 본체(2)를 통하여 연결됨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에어공급관은 폭기조본체(2)의 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조이면 이에 대응하여 가능한 벽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거품(B)을 중앙측의 폭기관 (10)측으로 이동시키는 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포발생수단(110)인 에어분사관의 분사공(112)에서 에어를 분사시키면 기포(C)가 발생되면서 수면상으로 올라가고 이는 수면상에 있는 거품(B)을 벽체에서 중앙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물결을 형성시키게 된다.
다음, 기포발생수단(110)의 작동을 일시 중단시키고 폭기관(10)내의 산기노즐(30)을 작동시키면 기포발생수단(110)의 기포(C)에 의하여 이동하는 거품(B)은 폭기관(10)의 배출공(12)에서 급속하게 배출 낙하되는 순환되는 물이 낙하 충돌하면서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폭기관(10)에서 배출 낙하되는 물은 거품을 벽체쪽으로 이동시키는 물결을 형성시키므로, 상기 기포발생수단(110)은 폭기관(10)내의 산기노즐 (30)을 통하여 에어를 분사시키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산기노즐(30)과는 교대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수단(110)은 폭기조내의 처리수에 별도의 에어를 산기시키는 추가적인 산기관 역활을 하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한 오폐수 처리를 보다 원활하게 하는 다른 효과도 제공할 것이다.
다음,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폭기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또 다른 폭기조(1")는 도 1 및 도 7의 거품제거수단(50)과 기포발생수단(110)을 모두 구비한 경우이다.
따라서, 도 8의 폭기조(1")는 거품의 발생형태에 따라 하나의 폭기조에서 원하는 거품제거작동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어 설비가 복잡해지기는 하지만 폭기조 운융면에서 잇점을 제공할 것이고, 거품을 제거하는 구성수단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 한쪽의 설비고장시에도 거품 제거기능을 그대로 유지되는 면에서도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폭기관(10)과 산기노즐(30) 및 거품제거수단 (50)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여러 예의 폭기조(1)(1') (1a)(1b)(1c)(1")들은 기본적으로 물의 순환 및 폭기증대로 오폐수의 정화력을 높이는 동시에, 특히 수면상에서 기존의 폭기조보다 더 많이 발생될 수 있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거품에 의한 추가적인 환경문제를 예방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에 의하면, 오폐수를 폭기조의 폭기관을 통하여 순환시키면서 폭기관내에서의 집중적인 산기를 통한 폭기작용의 증대로 오폐수의 정화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특히 오폐수의 순환 및 폭기작용시 보다 많이 발생되는 수면상의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정화 처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한편, 처리조 수면상의 거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거품이 조에서 오버플로우되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필요시 물을 분사하여 수면상의 거품을 제거하는 분사관의 구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물 분사영역의 겹침이나 확대를 통하여 거품제거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에서 거품제거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가 원형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 구조도
(b)는 요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가 사각조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평면 구조도
(b)는 요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전체 구성도
(b)는 개략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2.... 폭기조 본체 10.... 폭기관
12.... 배출공 14.... 유입공
30.... 산기노즐 50,50'.... 거품제거수단
52.... 분사노즐 54,54'.... 고압수 공급관
70,90.... 구동수단 72.... 호형랙기어
74,94.... 구동모터 76,96.... 구동기어
92.... 링기어 110.... 기포발생수단

Claims (15)

  1.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폭기조에 있어서,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폭기조 본체(2);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관(10);
    상기 폭기관(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폭기 및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산기노즐(30); 및
    상기 폭기조 본체(2)의 상부에 제공되어 물의 분사를 통하여 수면상의 거품 (B)을 제거시키는 거품제거수단(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은 상기 폭기조 본체(2)의 상단부 내측벽을 따라 배치되고 고압의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노즐(52)들을 갖추어 수면상의 거품에 물분사로 제거하는 고압수 분사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고압수 분사관에는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고압수 공급관(5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고압수 분사관에는 상기 폭기관 (10)에서 분기된 분기관(56)이 연결되어 고압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고압수 분사분에 설치된 분사노즐(52)은 분사관의 원주방향으로 물의 분사거리를 가변토록 그 분사공(52a)이 가변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 본체(2)가 원형으로 구성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고압수 분사관도 원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원형 분사관은 제 1 구동수단(70)을 통하여 그 분사영역이 겹쳐지면서 거품의 제거효율을 향상토록 좌우로 왕복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수단(70)은,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의 원형 분사관의 적어도 일 지점에 제공된 랙기어 (72); 및
    상기 폭기조 본체(2)상에 배치된 구동모터(74)에 연결되고 상기 호형의 랙기어(72)와 맞물리게 배치된 구동기어(76);
    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의 고압수 분사관은 폭기조 본체(2)상에 설치된 가이드(58)상에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 본체가 사각조(2')로 구성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거품제거수단의 고압수 분사관은 상기 사각 폭기조 본체의 각변에 배치되는 직관의 분사관(50')으로 구성되고,
    상기 직관의 고압수 분사관(50')은 제 2 구동수단(90)을 통하여 분사폭을 확대토록 아래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수단(90)은,
    상기 직관형태의 고압수 분사관(50')의 적어도 일지점에 제공된 링기어(92); 및
    상기 사각 폭기조 본체(2')상에 배치된 구동모터(94)에 연결되고 상기 링기어(92)와 맞물리게 배치된 구동기어(96);
    로 구성되고,
    상기 직관의 고압수 분사관(50')은 폭기조 본체(2)상에 설치된 가이드(98)상에서 아래위로 회동토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10.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인 고압수 분사관에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은 관의 이동을 가능토록 플렉시블관(5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11.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폭기조에 있어서,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폭기조 본체(2);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부 중앙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관 (10);
    상기 폭기관(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폭기 및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산기노즐(30); 및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측으로 벽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기포(C)를 발생시키어 수면상의 거품(B)을 이동시키어 상기 폭기관(10)에서 배출 낙하되는 물로 거품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된 기포발생수단(11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12.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폭기조에 있어서,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하는 폭기조 본체(2);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기관(10);
    상기 폭기관(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산기시키고 물의 폭기 및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산기노즐(30);
    상기 폭기조 본체(2)의 상부에 제공되어 물의 분사를 통하여 수면상의 거품 (B)을 제거시키는 거품제거수단(50); 및,
    상기 폭기조 본체(2)의 내측으로 벽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기포(C)를 발생시키어 수면상의 거품(B)을 이동시키어 상기 폭기관(10)에서 배출 낙하되는 물로 거품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된 기포발생수단(11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110)은 폭기조 본체(2)의 내부 바닥측으로 벽체를 따라 배치되고 상방의 에어분사공(112)을 갖춘 에어분사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산기노즐(30)과 교대로 에어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50)은 상기 폭기조 본체(2)의 상단부 내측벽을 따라 배치되고 고압의 물을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노즐(52)을 갖추고 고압수 공급관(54)이 연결되어 수면상의 거품에 물분사로 제거하는 고압수 분사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노즐(52)은 분사관의 원주방향으로 물의 분사거리를 가변토록 그 분사공(52a)이 가변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15. 제 1항, 제 11항 및, 제 1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10)의 상,하부에는 순환되는 물의 배출 및 산기노즐로의 물 유입을 위한 배출 및 유입공(12)(14)들이 형성되고, 상기 산기노즐(30)은 그 분사공을 통한 에어의 분사방향이 위로 향하여 물순환력을 높이는 원뿔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
KR20040035538A 2004-05-19 2004-05-19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KR100575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538A KR100575900B1 (ko) 2004-05-19 2004-05-19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5538A KR100575900B1 (ko) 2004-05-19 2004-05-19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734A true KR20050110734A (ko) 2005-11-23
KR100575900B1 KR100575900B1 (ko) 2006-05-03

Family

ID=3728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5538A KR100575900B1 (ko) 2004-05-19 2004-05-19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90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50B1 (ko) * 2009-09-16 2010-03-03 김태관 수족관의 수질 정화장치
KR101069177B1 (ko) * 2009-08-05 2011-09-30 한국가스공사 엘엔지 기화장치의 해수 방류설비
KR101240216B1 (ko) * 2011-09-01 2013-03-07 주식회사 앤써브 폐수처리용 자가 발열 고온 호기성 소화 장치
KR101879671B1 (ko) * 2016-09-08 2018-07-18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KR101882803B1 (ko) * 2018-03-20 2018-07-27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20200117272A (ko) * 2019-04-03 2020-10-14 임홍균 염수제조장치
KR102508146B1 (ko) * 2022-04-05 2023-03-10 주식회사 연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811B1 (ko) 2012-05-30 2012-09-27 대한민국 탈기겸용 다회류 고형물 여과장치
KR101247990B1 (ko) 2012-08-23 2013-04-08 대한민국 고형물 제거기능이 겸비된 생물여과조
KR200470086Y1 (ko) * 2012-09-18 2013-11-29 명형식 오폐수 처리조의 거품제거장치
KR101421179B1 (ko) * 2014-05-22 2014-07-2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슬러지처리용 호기성 산화조
KR101435950B1 (ko) 2014-07-08 2014-09-0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호기성 산화조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시스템
KR101803041B1 (ko) * 2016-12-15 2017-11-30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가스 및 거품 제거식 액비화장치
KR102030971B1 (ko) * 2019-05-27 2019-11-08 고일영 부유물 및 거품제거기능을 갖는 교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440B1 (ko) * 2000-11-06 2002-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양면 발광형 형광표시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177B1 (ko) * 2009-08-05 2011-09-30 한국가스공사 엘엔지 기화장치의 해수 방류설비
KR100944750B1 (ko) * 2009-09-16 2010-03-03 김태관 수족관의 수질 정화장치
KR101240216B1 (ko) * 2011-09-01 2013-03-07 주식회사 앤써브 폐수처리용 자가 발열 고온 호기성 소화 장치
KR101879671B1 (ko) * 2016-09-08 2018-07-18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KR101882803B1 (ko) * 2018-03-20 2018-07-27 (주)이화에코시스템 염 및 불순물 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식 탈취장치
KR20200117272A (ko) * 2019-04-03 2020-10-14 임홍균 염수제조장치
KR102508146B1 (ko) * 2022-04-05 2023-03-10 주식회사 연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900B1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900B1 (ko)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EP2540677B1 (en) Contact reaction tower with internal circulation ozone used in industrial wastewater advanced treatment
US5785854A (en) Current and aeration system for wastewater plant
US20090250396A1 (en) Drainage water-treating method and drainage water-treating apparatus
KR100927673B1 (ko) 용존공기 분사식 가압부상조
JP5848073B2 (ja) 好気性生物処理装置
KR102121352B1 (ko) 살수호기순한장치를 이용한 유청 및 폐수 처리방법
KR100539718B1 (ko)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KR100291830B1 (ko) 간헐포기에의해질소및인을제거하기위한하폐수처리방법및장치
KR20040092843A (ko) 기체의 용해 및 혼합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0592120B1 (ko) 산소용존이 용이한 폭기장치
KR100301521B1 (ko)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KR100786321B1 (ko) 미생물 활성 및 용존산소량이 극대화되게 한 오,폐수처리장치의 폭기조
JP3659672B2 (ja) 循環水路型曝気槽におけるスカムの除去装置
KR100227819B1 (ko) 폐수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6425217B1 (ja) 水処理装置
KR20240069901A (ko) 다기능 수질정화장치
KR200221275Y1 (ko) 오수처리용 제트루프리액터
KR200411209Y1 (ko) 다기능 수질정화장치
KR102091382B1 (ko) 오존산화용 노즐 및 이를 구비한 하폐수 재이용과 산화 소독용 설비
KR100757092B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KR200319196Y1 (ko) 폐수처리장치
KR100660097B1 (ko) 하수처리장치
JP4059754B2 (ja) 無排気型紫外線オゾン併用殺菌浄化装置
KR200331021Y1 (ko)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