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96Y1 -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96Y1
KR200319196Y1 KR20-2003-0010496U KR20030010496U KR200319196Y1 KR 200319196 Y1 KR200319196 Y1 KR 200319196Y1 KR 20030010496 U KR20030010496 U KR 20030010496U KR 200319196 Y1 KR200319196 Y1 KR 200319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ir
aeration
aeration tank
superna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경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경건설
Priority to KR20-2003-0010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저장되는 유량조정조(10)와, 유량조정조(10)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제1폭기조(31)와, 제1폭기조(31)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유량조정조(10)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슬러지를 폭기시켜 제1폭기조(31)내의 폐수를 정화시키는 제1폭기관(33)과, 제1폭기조(31)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1처리조(40)와, 제1처리조(40)내에 마련되며 제1폭기조(31)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액의 낙하위치에 마련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어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 중에 포함된 슬러지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제1처리조(40)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1격자망(50)과, 제1처리조(40)에 인접설치된 제2폭기조(41)와, 제2폭기조(41)에 침수되며 제2폭기조(41)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2폭기관(44)과, 제2폭기조(41)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2처리조(42)와, 제2처리조(42)내에 마련되어 제2처리조(42)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2격자망(70)과, 각각의 제1,2폭기관(33)(44)들이 연결관(25)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25)을 통하여 이동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장하는 침전조(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폐수처리장치는 복수의 폭기관을 구비함으로써 축산폐수와 같은 오수의 처리시간이 대폭 단축되며,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는 격자망에 에어공급관 및 상등액의 낙하에 따른 용존산소의 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로 인한 유기물질의 분해를 원할히 하여 정화효율을 높인다.

Description

폐수처리장치{wastewater disposal plant}
본 고안은 유기/무기성 폐수의 전처리 또는 방류, 재이용을 위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용존산소의 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로 인한 유기물질의 분해를 원할히 하고 장치의 가동중단시 에어 공급을 위한 에어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축산폐수처리방법에는 액비화 및 퇴비화등 자원화 처리법과 정화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정화처리장치의 일예가 한국특허등록 제 0242777호에 개시되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유기질 폐액의 폭기조의 일례로서, 외조(1)는 하부가 역원추 꼴로 좁혀진 내식성의 탱크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하단이 닫히고 상단 개구부가 타의 부재에 연결된 폭기관(2)이 설치되어 있다.
폭기관(2)의 하부 관주벽에는 복수의 흡입공(3)을 형성하여 피처리액(9)이 외조(1)로부터 폭기관(2)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고 있다. 폭기관(2)의 상부 관주벽에는 복수의 산포공(4)이 형성되어 외조(1)로 순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폭기조는 축산폐수와 같은 피처리액(9)이 펌프(8)를 통하여 공급관(7)을 통해 외조(1)에 공급되고, 동시에 송기관(5)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산기두(6)을 통하여 폭기관(2)내에서 폭기된다.
이 특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폭기조가 연속하여 설치된 폭기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처리장치는 최초의 폭기조로부터 인접하는 폭기조로 연속하여피처리액(9)을 이동시키면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폭기조가 병렬적으로 연속하여 설치되고 피처리액이 이들 각 폭기조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정화처리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피처리액의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일정시간동안 피처리액의 처리량이 제한된다.
둘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폭기되는 산기두(6)가 상면 및 측면부에 복수 형성됨으로써, 장치의 정지시 폭기관(2)내에 부상되었던 이물질이 산기두(6)에 퇴적되어 산기두를 폐쇄시키게 되므로 사용시 세척작업이 요구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치의 고장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축산폐수와 같은 오수의 처리시간이 대폭 단축되도록 그 구성이 개선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용존산소의 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로 인한 유기물질의 분해를 원할히 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피처리액 중에 외부공기의 공급을 위한 에어토출공의 막힘이 방지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폭기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폐수처리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폐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에어노즐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폭기관 및 에어공급관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제1폭기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유량조정조 20...침전조
11,21...월류관 31...제1폭기조
32...제3폭기조 33...제1폭기관
34...제3폭기관 40...제1처리조
41...제2폭기조 42...제2처리조
50,70...격자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는 폐수가 유입저장되는 유량조정조; 유량조정조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제1폭기조; 제1폭기조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유량조정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슬러지를 폭기시켜 제1폭기조 내의 폐수를 정화시키는 복수의 제1폭기관; 제1폭기조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1처리조; 제1처리조 내에 마련되며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액의 낙하위치에 마련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어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 중에 포함된 슬러지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제1처리조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1격자망; 제1처리조에 인접설치되며 제1처리조로부터 상등액이 유입되는 제2폭기조; 제2폭기조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제1처리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폭기시켜 상기 제2폭기조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복수의 제2폭기관; 제2폭기조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2처리조; 제2처리조 내에 마련되며 제2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액의 낙하위치에 마련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어 제2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 중에 포함된 슬러지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제2처리조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2격자망; 및 각각의 복수의 제1,2폭기관들이 연결관에 연결되며, 연결관을 통하여 이동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장하는 침전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는 제1폭기조와 제1처리조 사이에 마련되고, 제1폭기조로부터 상등액이 유입되고, 제1격자망으로 상등액을 배출시키는 제3폭기조; 및 제3폭기조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폭기시켜 제3폭기조의 오수를 정화시키고, 연결관과 연결되는 제3폭기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는 상기 제1,2,3폭기관의 각 하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이 마련되고, 상기 각 에어공급관의 에어 출구측에는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공이 형성된 에어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은 에어노즐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토출되는 에어를 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향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격자망의 각 하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이 마련되고, 상기 각 에어공급관의 에어 출구측에는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공이 형성된 에어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은 에어노즐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토출되는 에어를 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향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폭기관 및 에어공급관은 두부분으로 분할 형성되고, 클램프에 의해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폐수처리장치는 복수의 폭기관을 구비함으로써 축산폐수와 같은 오수의 처리시간이 대폭 단축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는 격자망에 용존산소의 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로 인한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원할히 분해시켜 오수의 정화처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외부공기의 공급을 위한 에어공을 측면에 형성하고 상향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폐수 중의 고상의 이물질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원할히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폐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폐수가 유입저장되는 유량조정조(10)와, 상기 유량조정조(10)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제1폭기조(31)와, 상기 제1폭기조(31)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유량조정조(10)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슬러지를 폭기시켜 제1폭기조(31)내의 폐수를 정화시키는 제1폭기관(33)과, 상기 제1폭기조(31)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1처리조(40)와, 상기 제1처리조(40)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폭기조(31)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액의 낙하위치에 마련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어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 중에 포함된 슬러지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제1처리조(40)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1격자망(50)과, 상기 제1처리조(40)에 인접설치되며 상기 제1처리조(40)로부터 상등액이 유입되는 제2폭기조(41)와, 제2폭기조(41)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제1처리조(40)로부터 유입된 상등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폭기시켜 제2폭기조(41)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2폭기관(44)과, 제2폭기조(41)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2처리조(42)와, 제2처리조(42)내에 마련되며 제2폭기조(41)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액의 낙하위치에 마련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어 제2폭기조(41)로부터 유입된 상등액 중에 포함된 슬러지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제2처리조(42)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2격자망(70)과, 각각의 제1,2폭기관(33)(44)들이 연결관(25)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25)을 통하여 이동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장하는 침전조(20)로 구성된다.
본 고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제1폭기조(31)와 제1처리조(40)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폭기조(31)로부터 상등액이 유입되고 또한 상기 제1격자망(50)으로 상등액을 배출시키는 제3폭기조(32)와 상기 제3폭기조(32)에는 그 하단부가 침수되고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제1폭기조(31)로부터 유입된 상등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폭기시켜 제3폭기조(32)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고, 상기 연결관(25)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3폭기관(34)이 구비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2,3폭기관(33)(44)(34)의 각 하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60)이 마련되고, 상기 각 에어공급관(60)의 에어 출구측에는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공(61a)이 형성된 에어노즐(61)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61a)은 에어노즐(6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토출되는 에어를 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40도에서 70도로 경사진 상향경사면(61b)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의 운전정지 후 침전되는 고상의 슬러지에 의해서 에어공(61a)의 막힘을 방지한다.
또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2격자망(50)(60)의 각 하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80)이 마련되고, 상기 각 에어공급관(80)의 에어 출구측에는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공(81a)이 형성된 에어노즐(81)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81a)은 에어노즐(81)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토출되는 에어를 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40도에서 70도로 경사진 하향경사면(81b)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장치의 운전정지 후 침전되는 고상의 슬러지에 의해서 에어공(61a)의 막힘을 방지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폭기관(33)(44)(34) 및 에어공급관(60)은 두부분으로 분할 형성되고, 클램프(35)(65)에 의해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분리/결합이 가능하므로 그 작업을 간편히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폐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축산폐수와 같은 폐수는 유량조정조(10)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이 유량조장조(10)로부터 제1월류관(11)을 통하여 제1폭기조(31)로 공급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폭기조(31)에 수직으로 침수되어 있는 제1대경관(12)의 상부에 폐수를 낙하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1폭기조(31)에 기포가 발생됨으로써 산소공급을 원할히 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원할히 하게 한다.
제1폭기조(31)에 공급된 폐수 중 고상의 슬러지는 저면부에 퇴적되고 상등액은 인접한 제3폭기조(32)로 유입된다.
한편, 제1,3폭기관(33)(34)의 내측에는 에어공급관(60)을 통한 에어가 공급됨으로써 폭기(曝氣)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폐수 중의 고상의 슬러지는 에어와 함께 연결관(25) 및 제2월류관(21)을 통하여 침전조(20)로 이동된다.
동시에 제3폭기조(32)의 상등액은 제1처리조(40)로 낙하되어 공급되는 데, 이때 상등액은 제1격자망(50)으로 낙하됨으로써 산소의 공급을 원할히 한다. 이에 따라서 수용된 폐수 중의 호기성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히 하여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자망(50)의 하측에서는 에어공급관(80)을 통하여 폭기가 이루어짐으로써 용존산소의 양을 증대시켜호기성미생물의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다.
이와 같이 미생물의 분해작용이 진행된 제1처리조(40)내의 폐수 중 상등액은 인접하는 제2폭기조(41)로 이동되고, 제2폭기조(41)로 공급된 폐수는 제2폭기관(44)내에서 폭기가 이루어지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상의 슬러지는 에어와함께 연결관(25) 및 제2월류관(21)을 통하여 침전조(20)로 이동된다.
또한, 제2폭기조(41)내의 상등액은 상기 제2처리조(42)내의 제2격자망(70)으로 낙하 공급되어 용존 산소량을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2처리조(42)내에서는 제2격자망(70)에 부착된 호기성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여 유기물의 분해활동을 촉진시킨다.
이와 같이 유량조정조(10), 제1폭기조(31), 제3폭기조(32), 제1처리조(40), 제2폭기조(41) 및 제2처리조(42)를 순차 경유하면서 폐수가 정화되게 되며, 제2처리조(42)로부터 정화된 폐수를 재활용하거나 방류하도록 배출된다.
상기 침전조(20)에 침전된 고농도의 슬러지는 바로 배출시켜 슬러지의 분해과정시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인(P)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고, 배출된 슬러지는 액비(液肥)로서 활용이 가능하며, 침전조(20)내의 상등액은 유량조정조(10)로 재유입되어 재처리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폐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본 고안 폐수처리장치는 복수의 폭기관을 구비함으로써 축산폐수와 같은 오수의 처리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둘째, 연속하여 인접하는 폭기조 및 처리조로 상등액을 순차적으로 자유낙하 공급함으로써 폐수이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시설비를 대폭 절감한다.
셋째, 미생물이 부착되는 격자망에 에어공급관 및 상등액의 낙하에 따른 용존산소의 공급으로 호기성 미생물로 인한 유기물질의 분해를 원할히 하여 정화효율을 높인다.
넷째, 축산폐수와 같은 피처리액 중에 외부공기의 공급을 위한 에어공을 측면에 형성하고 하향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폐수중의 고상의 이물질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여 장치의 작동을 원할히 한다.
다섯째, 폭기관 및 에어공급관을 클램프에 의해 분리/결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세정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Claims (8)

  1. 폐수가 유입저장되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제1폭기조;
    상기 제1폭기조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슬러지를 폭기시켜 상기 제1폭기조의 폐수를 정화시키는 복수의 제1폭기관;
    상기 제1폭기조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1처리조;
    상기 제1처리조 내에 마련되며 상기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액의 낙하위치에 마련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어 상기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 중에 포함된 슬러지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상기 제1처리조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1격자망;
    상기 제1처리조에 인접설치되며 상기 제1처리조로부터 상등액이 유입되는 제2폭기조;
    상기 제2폭기조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상기 제1처리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폭기시켜 상기 제2폭기조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복수의 제2폭기관;
    상기 제2폭기조로부터 상등액이 낙하되어 유입되는 제2처리조;
    상기 제2처리조 내에 마련되며 상기 제2폭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상등액의 낙하위치에 마련되고 호기성미생물이 부착되어 상기 제2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중에 포함된 슬러지를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분해시켜 상기 제2처리조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는 제2격자망; 및
    상기 각 복수의 제1,2폭기관들이 연결관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이동되는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수를 저장하는 침전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폭기관의 각 하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이 마련되고, 상기 각 에어공급관의 에어 출구측에는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공이 형성된 에어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은 에어노즐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토출되는 에어를 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향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장치는
    상기 제1폭기조와 제1처리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1폭기조로부터 상등액이 유입되고, 상기 제1격자망으로 상등액을 배출시키는 제3폭기조; 및
    상기 제3폭기조에 침수되며 내부에 에어가 공급되어 에어에 의해 상기 제1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상등액에 포함된 슬러지를 폭기시켜 상기 제3폭기조 내의 오수를 정화시키고,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복수의 제3폭기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폭기관의 각 하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이 마련되고, 상기 에어공급관의 에어 출구측에는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공이 형성된 에어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은 에어노즐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토출되는 에어를 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향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격자망의 각 하부에는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관이 마련되고, 상기 각 에어공급관의 에어 출구측에는 에어를 토출시키는 에어공이 형성된 에어노즐이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은 에어노즐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토출되는 에어를 상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상향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경사면은 40도 내지 70도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은 두부분으로 분할 형성되고, 클램프에 의해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관은 두부분으로 분할 형성되고, 클램프에 의해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KR20-2003-0010496U 2003-04-07 2003-04-07 폐수처리장치 KR200319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96U KR200319196Y1 (ko) 2003-04-07 2003-04-07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96U KR200319196Y1 (ko) 2003-04-07 2003-04-07 폐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682 Division 2003-04-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196Y1 true KR200319196Y1 (ko) 2003-07-04

Family

ID=4941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496U KR200319196Y1 (ko) 2003-04-07 2003-04-07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5520A1 (ja) 有機性排水処理装置および有機性排水処理方法
KR101638970B1 (ko)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JP5992807B2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101779492B1 (ko) 폐수 처리 시스템
JP4528828B2 (ja) 流体流動による水処理工程及び装置
JP2006205155A (ja) 嫌気槽とそれを含んだ排水処理システム
WO2018096583A1 (ja) 微生物反応槽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200319196Y1 (ko) 폐수처리장치
US5340484A (en) Air scrubbing system for waste water treatment
US5961826A (en) Biological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a sedimentation tank vertically combined with an aeration tank therein
KR20040064579A (ko) 유체유동에 의한 수처리 공정 및 장치
KR101840791B1 (ko) 고효율 산소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출수 및 고농도폐수 처리 시스템
CN108394996B (zh) 一种活性污泥一体化污水处理装置
KR20220065118A (ko)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
KR200276093Y1 (ko) 고농도 폐수 처리 시스템
KR100757092B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CN117142653B (zh) 一种含硫废水的处理装置及含硫废水的处理方法
JPS5832634B2 (ja) 廃水の酸化処理装置
KR200220344Y1 (ko) 오수 이송수내의 공기 분리/제거 및 이송수 혼합장치
KR100279943B1 (ko) 오폐수 정화장치
KR100511762B1 (ko) 순환식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통한 하수처리 방법
RU5852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и удаления соединений азота и фосфора сточных вод
KR100660097B1 (ko) 하수처리장치
KR101641128B1 (ko) 수처리 방법
KR200255046Y1 (ko) 하폐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