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092B1 - 미생물 반응교반기 - Google Patents

미생물 반응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092B1
KR100757092B1 KR1020060077333A KR20060077333A KR100757092B1 KR 100757092 B1 KR100757092 B1 KR 100757092B1 KR 1020060077333 A KR1020060077333 A KR 1020060077333A KR 20060077333 A KR20060077333 A KR 20060077333A KR 100757092 B1 KR100757092 B1 KR 10075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aw water
main body
pipe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한기술
주식회사 이레환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한기술, 주식회사 이레환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한기술
Priority to KR1020060077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4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4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gas introduction means
    • C12M1/06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gas introduction means with agitator, e.g. impell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4Filters; Permeable or porous membranes or plates, e.g.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06Nozzles; Sprayers; Spargers; Diff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포함하는 원수를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본체 내부의 오폐수와 혼합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본체 내부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획판 각각에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함몰부를 형성하여 공기를 임시 보관하면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미생물 반응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 반응교반기, 분출가이드, 구획판

Description

미생물 반응교반기{microbe reactor}
도 1은 종래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미생물 반응고반기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구조를 보인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구조을 보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본체 2,102: 탈질반응조
4,104: 활성화조 6,106: 질산화반응조
12,112: 원수유입관 16,116: 공기유입관
108: 유입구 110: 배출구
200a,200b: 분출관 210: 리브
300a,300b: 분출가이드 310:확관부
320: 직관부 400: 구획판
410: 유동홀 420: 함몰부
본 발명은 미생물 반응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포함하는 원수를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본체 내부의 오폐수와 혼합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본체 내부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획판 각각에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함몰부를 형성하여 공기를 임시 보관하면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한 미생물 반응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축산폐수를 축산폐수중의 협잡물 등만 제거하고 원폐수 상태로 미생물 처리조를 이송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거나, 축산폐수 중의 협잡물을 제거한 후 다시 원심분리기에서 원심분리하여 유기물 및 질소성분을 상당량 제거하여 오염부하를 경감시킨 다음에 미생물 처리조에서 처리하였다.
미생물 처리조에서는 미생물의 대사 활동을 이용하여 축산폐수중의 유기물과 질소 등을 제거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미생물 처리조를 일정시간 동안씩 호기성과 혐기성운전기간으로 구분하여 운전하여, 호기성운전기간에는 유기물의 분해와 질산화가 진행되고, 혐기성 운전기간 중에는 탈질소 및 유기물 분해가 진행되어 축산폐수중의 질소성분은 N2 가스가 되어 대기 중으로 환원되어 제거되고 이에 따른 유기물의 일부가 분해된다.
그런데, 원폐수 상태로 미생물 처리조에 이송하여 처리하는 경우에는 축산폐수수질이 슬러지 돈사의 경우 BOD 30,000 내지 35,000mg/ℓ이고, 총질소는 5,000 내지 6,000mg/ℓ,알카리도는 평균 10,000mg/ℓ정도, 오·폐수 또는 폐기물 속에 함유하는 탄소 대 질소의 비율을 지칭하는 C/N비는 6 정도로, 질산화 및 탈질에 필요한 C/N비 보다 높아서 질산화 및 탈질은 가능하나, 유기물 부하 및 질소 부하가 높아서 처리에 적정한 농도의 유지를 위해서는 미생물 처리조의 규모가 커지게 되어 많은 시설비가 소요되고 부지면적도 넓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 등록된 제0415478호에 오폐수 및 고농도 유기폐수 정화용 고율 미생물 반응 교반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상기의 미생물 반응 교반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미생물 반응교반기는 탈질반응조(2)·활성화조(4)·질산화반응조(6)로 구획된 본체(1)로 외형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원수유입관(12)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각 원수유입관(12)은 원수조절밸브(13)를 구비하여 원수의 흐름 단속 및 흐름양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는 내부반송관(14)을 구비하여 원수를 반송시킨다.
이때, 상기 내부반송관(14)은 내부반송액 조절밸브(15)를 구비하여 원수의 반송을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며 본체(1) 내부의 오폐수를 미생물로 활성화시키며 정화하기 위해 공기유입관(16)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관(16)은 공기조절밸브(17)를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 상태 및 흐름량을 단속한다.
또한, 상기 본체(1)는 배출관(19)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관(12)과 공기유입관(16)이 합쳐지는 부분에 이젝터(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본체(1)는 각 반응조(2,4,6)의 내부에 수중공기펌프(42,44,46)를 구비하고, 각각의 수중공기펌프(42,44,46)와 공기유입관(16)은 공기유입호스(52,54,56)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하부에 슬러지 배출구(60)를 구비하여 오폐수의 정화시 발생되어 가라앉는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탈질반응조(2)·활성화조(4) 및 질산화반응조(6)는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내부에 안내판(10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안내판(100)과 각 반응조(2,4,6) 내측벽 사이에는 상·하층을 연통하여 오폐수 처리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로(102)를 확보한다.
특히, 상기 안내판(100)과 각 반응조(2,4,6) 내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로(10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구비됨으로써 각 안내판(100) 사이에서 오폐수의 체류 시간을 지연시킴에 따라 미생물 활성화도를 증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판(100)은 종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는 순환관(110)을 구비하여 탈질반응조(2)·활성화조(4) 및 질산화반응조(6) 각각의 오폐수 처리액을 순환시킨다.
그러나, 종래 오폐수 및 고농도 유기폐수 정화용 미생물 반응 교반기는 배관을 통해 공기와 혼합된 원수를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공기가 오폐수 내부에서 분출과 동시에 상승함으로써 오폐수와의 혼합력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미생물 활성화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미생물 반응 교반기는 안내판을 판 형상으로 형성하여 본체 내부에 비스듬하게 설치하기 때문에 하나의 안내판의 제한된 구석진 부위에 모이는 공기의 양이 적어 미생물 활성화도가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부에서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수직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공기의 입자를 잘게 부셔 오폐수와의 혼합을 잘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공 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 부위에 분출가이드를 구비하여 분출시 오폐수를 동시에 순환시키도록 하여 혼합력을 향상시키고, 본체 내부에 나란하게 구획판을 다수 개 구비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구비하여 그 하부에 상승하는 공기를 충분히 모아 재순환시킴에 따라 미생물 활성화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구와 배출관을 갖고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하는 원수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원수유입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오폐수 내에서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오폐수 내부에 원수와 공기의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구와 배출관을 갖고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서 하부 방향으로 분출홀을 형성한 원수유입관과, 상기 분출홀의 둘레에 해당하는 상기 원수유입관에 일체로 형성되어 강제 분출되는 공기를 포함한 원수에 분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오폐수 내부에 원수와 공기의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가이드를 포함하여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구와 배출관을 갖고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하는 원수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원수유입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오폐수 내에서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오폐수 내부에 원수와 공기의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의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어 강제 분출되는 공기를 포함한 원수에 분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가이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출가이드를 양단으로 개방된 관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분출관을 통해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시 상기 본체 내부의 오폐수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출가이드를 오폐수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확관부 및 분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부에 형성된 직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출가이드와 분출관을 다수 개의 리브로 연결함으로써 분출가이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서 배출관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잔류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유동홀을 형성한 다수 개의 구획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획판을 서로 나란하게 배치함과 동시에 상승되는 공기의 일부를 모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구조를 보인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구조을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구조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반응교반기는 탈질반응조(102)·활성화조(104)·질산화반응조(106)로 구획된 본체(100)로 외형을 이룬다.
상기 본체(100)는 탈질반응조(102)·활성화조(104)·질산화반응조(106)를 가로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하며, 각 반응조(102,104,106)를 순환관(107)으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탈질반응조(102)는 질산화되어 내부 반송된 질산성 질소를 일정시간 탈질화하는 반응조이다.
그리고, 상기 활성화조(104)는 일정시간 유기물을 분해하고 암모니아성 질소 를 질산화시키는 반응조이며, 상기 질산화반응조(106)는 일정시간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화시키고 활성화조(104)에서 남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반응조이다.
이때, 상기 탈질반응조(102)의 상부와 활성화조(104)의 하부는 순환관(107)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활성화조(104)의 상부와 질산화조의 하부는 순환관(10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순환관(107)은 활성화조(104)에서 유동하는 오폐수 처리액의 일부를 활성화조(104)로 보내고, 이 활성화조(104)에서 유동하는 오폐수 처리액의 일부를 다시 질산화조로 유동시킴에 따라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둘레 하부에 유입구(108)를 형성하고, 둘레 상부에 배출관(119)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유입구(108)에는 원수유입관(112)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각 반응조(102,104,106)에 해당하는 둘레에 각각 유입구(108)를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유입구(108)에 원수유입관(112)을 삽입한다.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하기 때문에 유입구(108)와 원수유입관(112)에 의해 발생되는 틈새를 밀봉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원수유입관(112)은 탈질반응조(102)·활성화조(104)·질산화반응조(106) 각각에 하나씩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각 반응조(102,104,106)에 원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원수유입관(112)은 원수조절밸브(113)를 구비하여 원수의 흐름 단속 및 흐름량을 조절하게 된다.
특히, 상기 각 원수유입관(112)은 동시에 공기유입관(11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각 원수유입관(112)은 내부에서 원수와 공기유입관(11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본체(100) 내부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본체(100) 내부의 오폐수를 미생물로 활성화시키며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관(116)은 공기조절밸브(117)를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 상태 및 흐름량을 단속한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관(112) 각각은 공기펌프(140a,140b,140c)를 구비하는데, 이 공기펌프(140)는 외부의 공기와 원수를 탈질반응조(102)·활성화조(104) 및 질산화반응조(106) 각각에 펌핑하며 오폐수 처리액의 흐름을 유발시킨다.
이때, 상기 오폐수 처리액은 오폐수와 공기 및 원수가 혼합된 상태에서 미생물 활성화에 따라 정화된 액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탈질반응조(102)에 설치된 공기펌프(140a)는 공기와 원수를 탈질반응조(102) 내부로 펌핑하는 역할을 하고, 활성화조(104)에 설치된 공기펌프(140b)는 탈질반응조(102)와 활성화조(104)를 잇는 순환관(107)에 연결되어 탈질화된 처리수를 펌핑하는 역할을 하며, 질산화반응조(106)에 설치된 공기펌프(140c)는 활성화조(104)와 질산화반응조(106)를 잇는 순환관(107)에 연결되어 유기물을 분해한 처리수를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질산화반응조(106)에 연결된 공기펌프(140c)에서 연장되는 원수 유입관(112)과 탈질반응조(102)에 연결된 공기펌프(140a)에서 연장되는 원수유입관(112)은 내부순환관(122)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상기 질산화반응조(106)에 연결된 공기펌프(140c)에서 연장되는 원수유입관(112)에는 미생물 활성화된 처리수가 유동하기 때문에 이 처리수를 탈질반응조(102)로 이동시킴에 따라 탈질반응조(102) 내부 처리수의 탈질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하부에 드레인관(120)을 구비한다.
이때, 각 반응조(102,104,106) 내부에서 발생하며 액체보다 비중이 낮은 기체 상태의 질소, 탈질화된 질소, 유기물이 분해되어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등을 배출하기 위해 본체(100)에는 최소한 세 개의 배출구(110)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119)은 정화된 오폐수 처리액을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며, 각 반응조(102,104,106)의 둘레에 해당하는 본체(100) 하부에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해 드레인관(120)이 구비된다.
삭제
더욱 상세히, 상기 공기펌프(140a)는 공기유입관(116)과 접속되는 원수유입관(112) 및 분출관(200a)을 각각 연결한다.
이때, 상기 분출관(200a)은 본체(100)의 둘레 하부를 통해 탈질반응조(102)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분출관(200a)은 탈질반응조(102) 내부로 물을 공기펌프(140a)에 의해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탈질반응조(102) 내부의 공기를 부셔 공기와 처리수의 용해도를 향상시킨다.
물론, 상기 분출관(200a)은 각 공기펌프(140a,140b,140c)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관(112)과 공기유입관(116)의 연결부위에는 이젝터(130)가 구비되는데, 이 이젝터(130)는 원수 및 공기를 효율적으로 혼합하여 산소용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탈질반응조(102)·활성화조(104) 및 질산화반응조(106) 각각의 내부에 위치한 원수유입관(112)은 하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분출관(200a)을 연장 형성한다.
상기 분출관(200a)은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오폐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키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공기, 원수 및 오폐수가 충분히 교반되어 미생물 활성화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반응교반기는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원수유입관(112)에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분출홀(114)을 형성한다.
본 미생물 반응교반기에서 원수유입관(112)이 분출홀(114)을 형성함이 상기의 구성과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여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이때, 상기 분출홀(114)은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배출량을 원수유입관(112)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로 정한다.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관(112)은 분출홀(114)의 둘레에 해당하는 위치에 분출가이드(300a)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분출가이드(300a)는 상부 일부를 원수유입관(112)과 용접 등의 공법으로 서로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분출가이드(300a)는 상·하부로 개방된 원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상, 개방된 상부를 원수유입관(112)의 양측으로 노출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공기를 포함한 원수가 분출가이드(300a)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분출될 때 본체(100)에 저장된 오폐수도 분출가이드(300a)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 공기를 포함한 원수와 함께 하부 방향으로 분출됨으로써 순환된다.
따라서, 오폐수와 공기를 포함한 원수는 분출가이드(300a) 내부에서 혼합됨에 따라 충분히 교반됨과 동시에 함께 하부 방향으로의 분출됨에 따라 본체(100) 내부에서 동시에 순환작용을 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오폐수의 미생물 활성화도가 향상된다.
특히, 상기 분출가이드(300a)는 상부를 상광하협 형상의 확관부(310)로 형성함과 아울러 하부를 균일한 직경의 원통관 형상인 직관부(320)로 구성한다.
즉, 상기 분출가이드(300a)는 상부에 확관부(310)를 형성하고, 이 확관부(310)의 하단과 동일 직경인 직관부(320)를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분출가이드(300a)는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하부 방향으로 분출시 상부에 위치한 오폐수를 유입시켜 하부 방향으로 함께 분출되는데, 확관부(310) 를 상부에 형성하기 때문에 오폐수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출가이드(300a)는 하부에 직관부(320)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에서 유동되는 오폐수, 공기 및 원수를 하부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안내함에 따라 분출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반응교반기는 본체(100) 내부에 위치한 원수유입관(112)에 하부 방향으로 분출관(200b)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나서 이 분출관(200b)에 분출가이드(300b)를 고정 설치한다.
본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원수유입관(112)에서 분출관(200b)을 연장 형성한 후 이 분출관(200b) 둘레에 분출가이드(300b)를 형성함이 상기 제 1실시예의 구성과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여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 분출관(200b)은 원수유입관(112)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하부 방향으로 배출하여 오폐수와의 교반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 분출관(200b) 둘레에 형성된 분출가이드(300b)는 공기를 포함한 원수의 분출시 확관부(310)를 통해 오폐수를 유입시킴과 아울러 직관부(320)를 통해 오폐수와 공기 및 원수의 분출, 교반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분출가이드(300b)는 오폐수, 공기 및 원수를 본체(100) 내부에서 순환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분출관(200b)과 분출가이드(300b)는 리브(21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리브(210)는 분출관(200b)의 하단부 둘레에 방사상으로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그 끝단을 분출가이드(300b)의 내부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분출가이드(300b)는 분출관(200b)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면서 상부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반응조(102,104,106)는 모두 또는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서로 나란한 구획판(400)을 구비한다.
상기 구획판(400)은 모든 반응조(102,104,106)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400)은 각각의 반응조(102,104,106) 내부를 종방향으로 구획하여 오폐수 처리액의 체류를 위한 층을 다수 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400)은 상·하부를 연통하여 오폐수 처리액이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홀(410)을 다수 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동홀(410)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각 구획판(400)에 형성됨에 따라 본체(10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승하는 공기의 본체(100) 내부 체류시간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 미생물 활성화도가 증진된다.
한편, 상기 구획판(400)은 각각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420)를 연속되게 형성한다.
상기 함몰부(420)는 하부에 오폐수 처리액에 포함된 공기를 충분히 저장하면서 본체(100) 내부에서 행해지는 순환작용에 따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서 미생물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교반기는 배관을 통해 공기와 혼합된 원수를 본체의 바닥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분사시키기 때문에 오폐수 중에 공기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공기, 원수 및 오폐수를 동시에 본체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상호 교반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반응교반기의 본체는 내부에 나란한 구획판을 구비하면서 상부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연속되게 형성하여 상승하는 공기의 포집량을 증대시켜 미생물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유입구와 배출관을 갖고,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하는 원수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원수유입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오폐수 내에서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오폐수 내부에 원수와 공기의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2. 유입구와 배출관을 갖고,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서 하부 방향으로 분출홀을 형성한 원수유입관과;
    상기 분출홀의 둘레에 해당하는 상기 원수유입관 둘레면에 양단을 개방하며 하향하는 관 형상으로 연결되어 오폐수 내부에서 원수와 공기의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가이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3. 유입구와 배출관을 갖고, 내부에 오폐수를 저장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공기유입관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주입하는 원수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원수유입관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공기를 포함한 원수를 오폐수 내에서 하부 방향으로 강제 분출시킴으로써 오폐수 내부에 원수와 공기의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의 끝단부에 양단을 개방하며 하향하는 관 형상으로 연결되어 오폐수 내부에서 원수와 공기의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분출가이드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4. 삭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가이드는 오폐수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에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된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끝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분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균일한 직경의 직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가이드는 상기 분출관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다수개의 리브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관 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의 잔류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유동홀을 형성한 다수 개의 구획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승되는 공기의 일부를 모아 상기 본체 내부에서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 개의 반응조로 구획되고;
    상기 원수유입관은 각각의 상기 반응조에 원수를 공급하며;
    상기 본체의 반응조 중 양쪽 최외측에 해당되는 반응조에 연결되는 원수유입관은 내부순환관으로 연결되어 탈질력이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반응교반기.
  10. 삭제
KR1020060077333A 2006-08-16 2006-08-16 미생물 반응교반기 KR10075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333A KR100757092B1 (ko) 2006-08-16 2006-08-16 미생물 반응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333A KR100757092B1 (ko) 2006-08-16 2006-08-16 미생물 반응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092B1 true KR100757092B1 (ko) 2007-09-10

Family

ID=3873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333A KR100757092B1 (ko) 2006-08-16 2006-08-16 미생물 반응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260B1 (ko) * 2013-11-18 2014-02-20 이동철 밀폐형 생물반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617A (en) 1991-12-17 1993-06-08 Baker Hughes Incorporated Multi-cell transportable bioslurry reactor
KR200364601Y1 (ko) 2004-06-08 2004-10-08 주식회사 무한기술 미생물 반응교반기
KR200415478Y1 (ko) 2006-02-20 2006-05-03 주식회사 이레환경테크 미생물 반응교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617A (en) 1991-12-17 1993-06-08 Baker Hughes Incorporated Multi-cell transportable bioslurry reactor
KR200364601Y1 (ko) 2004-06-08 2004-10-08 주식회사 무한기술 미생물 반응교반기
KR200415478Y1 (ko) 2006-02-20 2006-05-03 주식회사 이레환경테크 미생물 반응교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260B1 (ko) * 2013-11-18 2014-02-20 이동철 밀폐형 생물반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1268B2 (en) Waste gas/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 of treating waste gas/wastewater
KR100703890B1 (ko) 혐기 및 호기성소화에 의한 고농도 오폐수 처리장치 및방법
US20090008311A1 (en) Pure Oxygen Aeration System for Wastewater Treatment
US8372284B2 (en) Plant for aerobic and anaerobic digestion treatment by PFR
JP2011110520A (ja) 有機性排水処理装置および有機性排水処理方法
KR20120005857A (ko) 수처리 장치 및 방법
CN101445298A (zh) 改进的uct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1127077B1 (ko)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KR100757092B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JP3909329B2 (ja) 排水処理装置
KR101304329B1 (ko) 청소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버블 디퓨저를 이용한 폐수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버블 반응기
RU1898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200364601Y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KR20150141406A (ko) 산소공급기능을 갖는 수중 폭기기
KR200439298Y1 (ko) 미생물반응교반기
KR200415478Y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KR100291830B1 (ko) 간헐포기에의해질소및인을제거하기위한하폐수처리방법및장치
KR20020086777A (ko)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회분식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32062A (ko)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KR101334273B1 (ko) 미세 공기방울 및 처리수 순환에 의한 유기성 폐수의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 처리장치
KR200221275Y1 (ko) 오수처리용 제트루프리액터
KR100221850B1 (ko) 하, 폐수처리에서의 영양염류의 제거방법 및 장치
KR200353645Y1 (ko) 오수처리용 제트폭기장치
KR20060005136A (ko) 산소용존이 용이한 폭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폭기조
KR102462959B1 (ko) 바이오가스 개질용 황화수소 제거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