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021Y1 -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021Y1
KR200331021Y1 KR20-2003-0024701U KR20030024701U KR200331021Y1 KR 200331021 Y1 KR200331021 Y1 KR 200331021Y1 KR 20030024701 U KR20030024701 U KR 20030024701U KR 200331021 Y1 KR200331021 Y1 KR 200331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age pipe
reaction tank
water
cont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희
송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송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송종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Priority to KR20-2003-0024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는 오염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1개 또는 2개의 반응조본체과, 상기 각 반응조본체의 하방에 배치되며 오염수가 유입되며 하방에 다수의 통수공이 천공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오염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관과, 상기 교반관의 분사노즐에 토출부에 연통되게 분사노즐을 둘러싸는 다수의 분사관이 배치된 통기관과, 일단은 상기 저수조내에서 부유하는 부레가 부착된 배수부가 연결되고 타단은 저수조밖으로 연장된 유출단을 가지며 중간에는 굴곡가능한 가변만곡부가 형성된 경사배수관으로 구성되어, 1차 및 2차 침전지가 불필요하므로 부지가 적게 소요되며 장치의 수요가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A wastewater disposal plant }
본 고안은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의 침전조가 필요없이 1개 또는 2개의 반응조본체로 구성되며 오염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반응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반응조본체내의 유량에 따라서 그 위치가 자동으로 가변되면서 정화된 처리수가 배출되게 작동되며 좌우로의 위치변동이 없이 상하로만 작동되게 되어 장치의 안정성이 보장되며 내구성이 향상된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에 대한 처리는 저수조, 폭기조, 침전조 등의 여러종류의 탱크를 오폐수가 통과되면서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인 오폐수처리방식이고 이러한 방식은 장소를 많이 차지하고 설비가 방대하여 배관공사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유지보수가 다수의 인력이 소요되며 설비투자가 크게 되므로 소요비용이 천문학적 수준이며 수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변경이 어려우므로 그 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단일 탱크 또는 2개의 탱크와 같이 간단한 구조에서 이러한 무산소상태의 오염수유입, 호기상태의 유입, 탈질화, 침전, 처리수배출, 슬러지배출 등의 순환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1차 및 2차 침전지가 불필요하므로 부지가 적게 소요되며 장치의 수요가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한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오염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1개 또는 2개의 반응조본체과, 상기 각 반응조본체의 하방에 배치되며 오염수가 유입되며 하방에 다수의 통수공이 천공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오염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관과, 상기 교반관의 분사노즐에 토출부에 연통되게 분사노즐을 둘러싸는 다수의 분사관이 배치된 통기관과, 일단은 상기 저수조내에서 부유하는 부레가 부착된 배수부가 연결되고 타단은 저수조밖으로 연장된 유출단을 가지며 중간에는 굴곡가능한 가변만곡부가 형성된 경사배수관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a,2b,2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경사배수관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배수관의 평면도
도5는 경사배수관의 가변만곡부의 개략적인 부분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경사배수관의 배수부에 설치된 물막이체크밸브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반응조본체 2. 분기관 3. 교반관
4. 통기관 5. 경사배수관 6a,6b,6c,6d. 조절밸브
21. 통수공 31. 분사노즐 41. 분사관
52. 배수부 53. 가변만곡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A)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1개의 반응조본체(1)와, 상기 각 반응조본체(1)의 하방에 배치되며 오염수가 유입되며 하방에 다수의 통수공(21)이 천공된 분기관(2)과, 상기 분기관(2)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노즐(31)이 설치되어 오염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관(3)과, 상기 교반관(3)의 분사노즐(31)의 토출부(311)에 연통되게 분사노즐(31)을 둘러싸는 다수의 분사관(41)이 배치된 통기관(4)과, 일단은 상기 반응조본체(1)내에서 부유하는 부레(51)가 부착된 배수부(52)가 연결되고 타단은 반응조본체(1)밖으로 연장된 유출단을 가지며 중간에는 굴곡가능한 가변만곡부(53)가 형성된 경사배수관(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2)과 교반관(3)은 서로 연결되는 결합단부에 설치된 수개의 조절밸브(6a,6b,6c,6d)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연통되고 중간에는 구동모터(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기관(2)의 통수공(21)에는 오염수가 유입 또는 유출되거나 저추조본체(1)상에 침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공으로 사용된다.
상기 교반관(31)에 설치된 분사노즐(31)은 반응조본체(1)내에 유입된 오염수가 분사되어 오염된 오염수를 교반시키도록 저수조의 바닥에 대하여 45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기관(4)의 일단부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송풍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중간에 외부의 공기유입 및 차단들 위하여 공기조절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배수관(5)은,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반응조본체(1)의 외측에 배치되어 배수밸브(55)에 의해 개폐되고 타단부는 반응조본체(1)의 내부에 저수조의 정화된 상등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레(51)의 하단에 연결된 배수부(52)상에는 다수의 물막이체크밸브(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레(51)와 배수부(52)의 이격거리는 약 30cm정도로 이격되어 수면에 부상한 부유물이 배수부(52)를 통하여 배출되지 못하도록 이격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배수부(52)상의 물막이체크밸브(54)는 배수부(52)상에 다수가 배치되며, 상기 물막이체크밸브(54)는 경사배수관(5)내의 압력이 변화되면 작동되도록 스프링(541)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작동되는 구조이다. 상기 경사배수관(5)의 가변만곡부(53)는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게 만곡변형되어 경사배수관(5)의 배수부(52)의 가변되는 높이에 따라 가변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만곡부(53)는 가늘은 스테인레스제 와이어가 여러층으로 직조된 스테인레스직조층(531)이 외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테인레스직조층(531)의 하방에는 가변가능한 파상형 합성수지층(5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변만곡부(53)는 상기 배수부(52)에서 수직으로 2개의 가변만곡부(53)가 평행하게 하향연장된 구조를 가지므로 1개의 가변만곡부(53)의 설치시 배수부(52)의 기울어짐이나 좌우로의 흔들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경사배수관(5)을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A)의 작용효과를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조절밸브(6a,6b,6c)는 폐쇄되고 조절밸브(6d)가 열린상태에서 오염수가 분기관(2)의 유입구(2a)를 통하여오염된 오염수가 분기관(2)의 통수공(21)을 지나 반응조본체(1)내로 유입되면서 반응조본체(1)내에 잔류하는 미생물과의 혼합되면서 영양염류가 제거되고 반응조본체(1)의 저수용량의 약80%정도가 오염수가 차게 되면, 조절밸브(6a,6d)가 개방되고 조절밸브(6b,6c)가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모터(7)가 가동되어 유입되는 오염수를 교반관(3)의 분사노즐(31)을 통하여 반응조본체(1)내로 분사시키면 분사노즐(31)은 저수조의 바닥면에 대하여 약 45도정도로 경사자게 배출되므로 분사노즐(31)을 통하여 분사되는 오염수는반응조본체(1)의 바닥을 향하게 되므로 오염된 오염수를 충분히 교반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충분히 반응조본체(1)내의 오염수가 교반되면 공기조절밸브(42)를 개방시켜 공기가 통시관을 통하면서 분사관(41)을 통하여 분사노즐(31)을 오염수와 함께 반응조본체(1)내로 미세공기방울의 형태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는 분사노즐(31)의 분사력에 의하여 같이 분사되므로 매우 높은 산소전달효율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즉, 분사노즐(31)에의하여 수평적으로 분사되므로 오염수내에서 체류시간이 연정되고 공기접촉면적을 늘임으로서 호기반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반 및 폭기과정이 종료된 후, 반응조본체(1)에 침전공정을 수행시키면 슬러지는 반응조본체(1)의 하방으로 침전되고, 이와 같이 슬러지가 침전된 상태에서 조절밸브(6d)는 개방하고 조절밸브(6a,6b,6c)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7)를 구동시키면, 침전된 슬러지는 분기관(2)의 통수공(21)을 통하여 소각이나 압축을 위하여 외부로 유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슬러지의 침전이 종료되면, 오염된 오염수는 혐기와 폭기과정을 통하여 대부분이 정화되어 슬러지의 상부에는 정화된 상등수가 존재하게 되고 경사배수관(5)의 일단부인 배수부(52)는 부레(51)에 의하여 수면에서 약 30cm하방에 위치되므로 배수부(52)근처에는 정화된 상등수만이 존재하게 되고, 경사배수관(5)의 일단에 설치된 배수밸브(55)를 개방시키면 경사배수관(5)내의 물은 배수밸브(5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경사배수관(5)내의 수압은 낮아지게 되므로 반응조본체(1)내의 물막이체크밸브(54)정도에 위치하는 수압과 수압의 차이가 발생되므로 물막이체크밸브(54)의 스프링(541)힘을 극복하고 전진하므로 물막이체크밸브(54)는 개방되어 정화된 상등수는 개방된 물막이체크밸브(54)를 통하여 경사배수관(5)으로 유입되고 배수밸브(5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화된 상등수가 배수밸브(5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반응조본체(1)의 수위는 계속해서 낮아지게 되고, 경사배수관(5)의 부레(51)는 낮아진 수위에 대응하여 낮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경사배수관(5)의 가변만곡부(53)는 휘어지면서 그 형태가 변형되고 가변만곡부(53)는 배수부(52)가 지지받침대(56)에 배치될 때까지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정시간 경과되어 상등수의 배출이 종료되고 배수밸브(55)를 폐쇄하면 경사배수관(5)내에 물이 충진되고 경사배수관(5)과 반응조본체(1)내와는 압력차가 줄어들게 되므로 물막이체크밸브(54)는 스프링(541)에 의하여 폐쇄위치로 귀환되고 다시 오염수를 분기관(2)을 통하여 반응조본체(1)내로 유입시키는 공정을 시작하면서 새로운 사이클이 계속적으로 반복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는 오염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1개 또는 2개의 반응조본체과, 상기 각 반응조본체의 하방에 배치되며 오염수가 유입되며 하방에 다수의 통수공이 천공된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오염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관과, 상기 교반관의 분사노즐에 토출부에 연통되게 분사노즐을 둘러싸는 다수의 분사관이 배치된 통기관과, 일단은 상기 저수조내에서 부유하는 부레가 부착된 배수부가 연결되고 타단은 저수조밖으로 연장된 유출단을 가지며 중간에는 굴곡가능한 가변만곡부가 형성된 경사배수관으로 구성되어, 1차 및 2차 침전지가 불필요하므로 부지가 적게 소요되며 장치의 수요가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오염된 오염수가 유입되는 1개 또는 2개의 반응조본체(1)와, 상기 각 반응조본체(1)의 하방에 배치되며 오염수가 유입되며 하방에 다수의 통수공(21)이 천공된 분기관(2)과, 상기 분기관(2)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분사노즐(31)이 설치되어 오염수를 교반시키는 교반관(3)과, 상기 교반관(3)의 분사노즐(31)의 토출부(311)에 연통되게 분사노즐(31)을 둘러싸는 다수의 분사관(41)이 배치된 통기관(4)과, 일단은 상기 반응조본체(1)내에서 부유하는 부레(51)ㅋ가 부착된 배수부(52)가 연결되고 타단은 반응조본체(1)밖으로 연장된 유출단을 가지며 중간에는 굴곡가능한 가변만곡부(53)가 형성된 경사배수관(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배수관은 상기 가변만곡부(53)는 상기 배수부(52)에서 수직으로 2개의 가변만곡부(53)가 평행하게 하향연장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분기관(2)과 교반관(3)은 서로 연결되는 결합단부에 설치된 수개의 조절밸브(6a,6b,6c,6d)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연통되고 중간에는 구동모터(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KR20-2003-0024701U 2003-07-31 2003-07-31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KR200331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701U KR200331021Y1 (ko) 2003-07-31 2003-07-31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701U KR200331021Y1 (ko) 2003-07-31 2003-07-31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021Y1 true KR200331021Y1 (ko) 2003-10-22

Family

ID=49417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701U KR200331021Y1 (ko) 2003-07-31 2003-07-31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0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854A (en) Current and aeration system for wastewater plant
KR100942716B1 (ko)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호기성과 혐기성 소화 장치 및방법
CN102211806A (zh) 连续回分式反应槽用伸缩式滗水器
KR100862367B1 (ko)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CN209081678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108793599B (zh) 一种低浓度有机污水处理系统
KR200331021Y1 (ko) 경사배수관을 구비한 오폐수처리장치
KR100882818B1 (ko) 폭기조
RU1836301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192174B1 (ko) 하폐수고도처리장치
KR100539718B1 (ko) 다공관식 처리수 유출모듈과 이를 이용한 유동상 생물막공법의 처리수 유출장치
CN108892297A (zh) 一种催化氧化设备及其催化氧化方法
CN104609679B (zh) 根据循环式生物学处理的下水、废水处理装置
CN106512912A (zh) 废水处理装置及其系统
KR100407871B1 (ko) 폐타이어 담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장치
KR100540549B1 (ko) 수직형 멤브레인 바이오 리액터를 이용한 오폐수 고도처리 장치
CN215102734U (zh) 一种垃圾渗滤液混凝氧化处理系统
KR100241496B1 (ko) 현수미생물 현탁식 오수정화장치
KR100429465B1 (ko) 연속 회분식 오폐수 처리장치
KR200156938Y1 (ko) 심정 공기 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 수질 개선장치
KR200255025Y1 (ko) 일체형 수처리기
KR101992389B1 (ko)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KR0156437B1 (ko) 하향류식 호기성생물 접촉탑과 침전지를 혼합한 폐수처리장치
CN209338218U (zh) 一种生物脱氮除磷装置
KR101992386B1 (ko) 침전물의 분리 및 부유물과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