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146B1 -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146B1
KR102508146B1 KR1020220042155A KR20220042155A KR102508146B1 KR 102508146 B1 KR102508146 B1 KR 102508146B1 KR 1020220042155 A KR1020220042155 A KR 1020220042155A KR 20220042155 A KR20220042155 A KR 20220042155A KR 102508146 B1 KR102508146 B1 KR 10250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guide pipe
aeration tank
sewag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은
한상윤
왕영준
백승환
이해원
노태우
박정숙
김경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
Priority to KR102022004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가 채워진 접촉폭기조 내에 세워지며, 측벽 하측과 중단과 상측에 각각 하부관통공과 상부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하측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기포분사유닛; 상기 기포분사유닛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를 이용하면, 용존산소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중으로 충분한 양의 기포를 공급할 수 있으며, 기포가 고압으로 분사되더라도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이 분리되지 아니하며, 접촉폭기조 내의 수위 변경에 따라 상부관통공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유기물질을 제거효율이 높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Air diffuser for treating wastewater}
본 발명은 생물학적 방법으로 오수를 처리하기 위해 수중에 거치된 여재에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포가 고압으로 분사되더라도 여재에 붙어 있는 미생물이 탈리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이나 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오수 및 분뇨는 토양에 그대로 매립 처리하면 토양에 침투되어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고 자연환경을 파괴하게 되므로 오수처리시설로 상기 오수 등을 처리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오수처리시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오수처리시설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수처리시설은 하나의 본체 내에 다수의 격판으로 구분되는 조들로 이루어지는데, 유량조정조(10), 접촉폭기조(20), 침전조(30), 방류조(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량조정조(10)의 유입구(12)를 통해 오폐수가 유입되면 유량조정조(10)는 오폐수의 유량을 조정한다. 접촉폭기조(20)는 제1 접촉폭기조(21)와 제2 접촉폭기조(22)와 제3 접촉폭기조(23)와 제4 접촉폭기조(24) 등으로 구성되며, 접촉폭기조(20)에서는 유량조정조(10)를 통과한 오폐수 중의 유기물질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도록 적정량의 산소와 접촉된다.
침전조(30)에서는 접촉폭기조(20)를 통과한 오폐수가 함유한 침전물이 단계적으로 침전된다. 침전조(30)는 접촉폭기조(20)에서 분해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상등수만 유출구로 배출하는 동시에 슬러지를 상류측의 유량조정조(10)로 보낸다. 침전조(30)에서 배출된 오폐수는 소포조(미도시)로 보내져서 접촉폭기조(20)의 거품이 제거되고 소포조(미도시)를 지난 오·폐수는 방류조(40)의 유출관(42)을 통해 오수처리시설을 빠져나간다.
한편, 상기 접촉폭기조(20) 내부에는 미생물이 부착되는 여재(50)가 설치되여 오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용존산소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상기 여재(50)의 하측에는 산소 공급을 위한 별도의 기포분사유닛(60)이 장착된다.
상기 기포분사유닛(60)은 직경 1~5㎜의 기포를 다량으로 분사하여 상기 여재(50)에 붙어 있는 미생물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기포분사유닛(60)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기준치 이상의 압력으로 상향 분사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포분사유닛(60)에서 발생된 기포가 기준치 이상의 압력으로 상향 분사되면, 분사된 기포가 여재(50)를 직접 타격할 뿐만 아니라, 분사된 기포가 고속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수류 전단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여재(50)에 부착된 미생물이 탈리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물론, 상기 기포분사유닛(60)이 기포를 저속으로 분사하면 미생물 탈리 문제가 감소되지만, 이와 같이 기포를 저속으로 분사하면 용존산소량이 감소하므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질 제거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KR 10-0824809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용존산소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중으로 충분한 양의 기포를 공급하되, 기포 분사압력이 높더라도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이 분리되지 아니하여 오수 내의 유기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가 채워진 접촉폭기조 내에 세워지며, 측벽 하측과 상측에 각각 하부관통공과 상부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하측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기포분사유닛; 상기 기포분사유닛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관통공과 상부관통공은 각각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측벽 중단에는 복수 개의 중단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관통공은 상기 상부관통공보다 면적이 크고, 상기 중단관통공은 상기 상부관통공보다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관통공의 높이는 상기 접촉폭기조 내의 수면 높이와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기포분사유닛은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에 위치되어 상측으로 기포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접촉폭기조의 내부공간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측파이프와, 상기 하측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한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관통공이 형성되는 상측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파이프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폭기조 내의 오수에 부상되는 부상블록을 더 포함한다.
상기 부상블록은 상기 상측파이프의 상단이 삽입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측파이프의 내경은 상기 상측파이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상측파이프의 하부 측벽에는 상기 하측파이프의 외측면을 타고 상하로 구르는 복수 개의 구름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상측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를 이용하면, 용존산소량이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수중으로 충분한 양의 기포를 공급할 수 있으며, 기포가 고압으로 분사되더라도 여재에 부착된 미생물이 분리되지 아니하며, 접촉폭기조 내의 수위 변경에 따라 상부관통공의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유기물질을 제거효율이 높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수처리시설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가 설치된 오수처리시설의 내부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오수처리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된 오수처리시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기포분사유닛이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상부관통공의 높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가이드파이프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가이드파이프의 분해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가이드파이프의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가 설치된 오수처리시설의 내부구성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오수처리시설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된 오수처리시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기포분사유닛이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접촉폭기조 내부에 기포를 분사함으로써 접촉폭기조 내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이에 따라 여재에 붙어 있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수처리장치의 일종으로서, 여재에 붙어 있는 미생물이 상승하는 기포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에 의해 탈리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오수가 채워진 접촉폭기조(20) 내에 세워지며 측벽 하측과 중단과 상측에 각각 하부관통공(310)과 중단관통공(320)과 상부관통공(330)이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300)와, 상기 가이드파이프(300)의 하측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기포분사유닛(400)과,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500)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을 공급되는 기체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펌프(600)에 의해 제공되는 압축공기로 설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산소발생기(미도시)에 의해 제공되는 고압산소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으로 공급되는 기체의 종류는 접촉폭기조(20) 내의 유기물 종류나 여재(200)에 붙어 있는 미생물의 종류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체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미생물이 부착되는 여재(200)는 상기 접촉폭기조(20) 내부에 설치된 거치프레임(100)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300)는 여재(200) 사이에 세워지도록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여재(200)가 거치프레임(100)에 걸쳐지는 현수여재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여재(200)는 다량의 미생물이 부착될 수 있다면 현수 구조의 여재로만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의 여재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포를 분사하는 기포분사유닛(400)이 가이드파이프(300) 내부에 설치되면,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에서 분사된 기포가 상기 가이드파이프(300) 내부를 따라 상승하다가 수면 근처에서 상부관통공(330)을 통해 측방으로 배출된 후 상기 접촉폭기조(20) 내벽을 타고 아래로 내려가다가 중단관통공(320) 및 하부관통공(310)으로 유입되므로, 오수와의 접촉 시간이 증대되어 접촉폭기조(20) 내의 용존산소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포분사유닛(400)에서 분사된 기포가 여재(200)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여재(200)와 미생물 사이에 전단력이 발생하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여재(200)에 붙어 있는 미생물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관통공(330)을 통해 배출된 기포가 하부관통공(310)으로만 유입되더라도 접촉폭기조(20) 내의 용존산소량을 충분히 상승시킬 수 있다면 상기 중단관통공(32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단관통공(320)이 가이드파이프(300) 중 어느 한 높이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중단관통공(320)은 가이드파이프(300) 중 여러 높이에 즉,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파이프(30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한 기포가 접촉폭기조(20) 내의 오수 전체에 걸쳐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기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파이프(300)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이 기포를 하향이나 측방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면, 분사된 기포가 어느 일측으로 집중 배출되어 접촉폭기조 내의 용존산소량 상승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분사된 기포가 접촉폭기조(20)의 바닥면이나 가이드파이프(300)의 내벽에 부딪혀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은 상기 가이드파이프(300)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에 위치되어 상측으로 기포를 분사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상부관통공(330)은 가이드파이프(300)의 상측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으로 압축공기를 전달하는 기체공급관(500)은 기포분사유닛(400)에서 분사된 기포의 상승 흐름에 최대한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가이드파이프(30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상부관통공(330)의 높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접촉폭기조(20) 내에 오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에어펌프(600)가 작동하여 기포분사유닛(400)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다수 개의 작은 기포로 변형되어 상측으로 분사된다.
상기 기포분사유닛(400)으로부터 분사된 기포는 가이드파이프(300)의 내부를 따라 상승하다가 수면 근처에 이르러 상부관통공(330)을 통해 가이드파이프(300) 외부로 배출되고, 가이드파이프(300) 외부로 배출된 기포는 수면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하다가 접촉폭기조(20)의 내벽에 이르러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파이프(300) 내부에서 기포의 상승 기류가 발생하면 상기 가이드파이프(300) 내부는 상기 가이드파이프(300) 외부보다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가이드파이프(300) 외부의 오수 중 일부가 하부관통공(310) 및 중단관통공(320)을 통해 가이드파이프(3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접촉폭기조(20) 내벽을 따라 하강하던 기포들도 상기 하부관통공(310)과 중단관통공(320)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는바, 상기 접촉폭기조(20) 내부 전체에 걸쳐 기포가 고르게 분산되고, 이에 따라 접촉폭기조(20) 내의 용존산소량은 현저히 상승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파이프(300) 내부를 통과한 기포는 수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였다가 접촉폭기조(20) 내벽을 따라 하강하는 동안 유속이 감소하므로, 상기 기포가 여재(200)와 접촉될 때에는 유동압력이 현지히 떨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기포가 여재(200)에 접촉되더라도 여재(200)와 미생물 사이에는 전단력이 크게 발생하지 아니하는바, 상기 미생물이 여재(200)로부터 탈리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촉폭기조(20) 내의 오수가 전체적으로는 상기 접촉폭기조(20)의 측벽과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되 일부의 오수는 접촉폭기조(20)의 중단을 가로질러 중단관통공(3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관통공(310)은 상기 상부관통공(330)보다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중단관통공(320)은 상기 상부관통공(330)보다 면적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관통공(310)과 중단관통공(320)과 상부관통공(330)의 규격은 오수의 유동특성 및 기포분사유닛(400)의 기포분사압력, 여재(200)의 밀도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부관통공(330)의 높이가 접촉폭기조(20)의 수면보다 현저히 낮으면 상부관통공(330)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배출되는 기포가 수면 부근에 설치된 여재(200)를 직접적으로 타격하여 미생물이 탈리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상부관통공(330)의 높이가 접촉폭기조(20)의 수면보다 과도하게 높으면, 상부관통공(330)을 통해 배출되어 낙하되는 기포 및 오수가 수면에 큰 타격력을 발생시키므로 가이드파이프(300) 주변에 위치하는 여재(200)의 미생물이 탈리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관통공(330)의 높이는 상기 접촉폭기조(20) 내의 수면 높이와 동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오수의 물리적 특성이나 기포의 분사압력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상기 접촉폭기조(20)의 수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관통공(330)의 상단 높이와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접촉폭기조의 수위가 상부관통공(330)의 중심부 높이와 일치하거나 상기 상부관통공(330)의 하단 높이와 일치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접촉폭기조(20)의 수위는 상부관통공(330)이 형성된 지점을 벗어나지는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가이드파이프(300)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제3 실시예에 포함되는 가이드파이프(300)의 분해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접촉폭기조(20)의 수위가 변경됨에 따라 상부관통공(330)의 높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파이프(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폭기조(20)의 내부공간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관통공(310)이 형성되는 하측파이프(301)와, 상기 하측파이프(301)에 슬라이딩 가능한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상부관통공(330)이 형성되는 상측파이프(30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파이프(300)가 낚시대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면, 사용자는 상측파이프(302)를 위로 끌어 올리거나 밀어 내림으로써 상부관통공(3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상측파이프(302)의 높이가 수면 승강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상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폭기조(20) 내의 오수에 부상되는 부상블록(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파이프(302)의 외측면에 부상블록(340)이 구비되면, 접촉폭기조(20)의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부상블록(340)이 수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부상블록(340)과 일체로 결합된 상측파이프(302) 역시 수면을 따라 상승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접촉폭기조(20)의 수위가 하강하면 상기 상승파이프는 부상블록(340)이 수면에 안착될 때까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측파이프(302)에 부상블록(340)이 추가로 구비되면, 작업자가 일일이 상측파이프(302) 높이를 조절하지 아니하더라도 상부관통공(330)이 접촉폭기조(20)의 수면을 따라 자동으로 승강되는바, 상기 언급한 미생물 탈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부상블록(340)은 부피 대비 높은 부력을 가질 수 있으면서 상기 상측파이프(302)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상단이 삽입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블록(34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타원형판이나 기타 여러 종류의 다각형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파이프(300)가 상측파이프(302)의 하단이 하측파이프(301)의 내부로 삽입되는 이중관 구조로 구성되면, 하측파이프(301) 내부를 따라 상승하던 기포 일부가 하측파이프(301) 내측면과 상측파이프(302) 외측면 사이의 틈새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파이프(300)는 하측파이프(301) 상단이 상측파이프(302)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 즉, 상기 하측파이프(301)의 내경이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외경보다 작은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가이드파이프(300)의 수직단면도이다.
하측파이프(301)의 상단이 상측파이프(302)의 내측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면, 접촉폭기조(20)의 수위가 높아져 부상블록(340)에 큰 부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상측파이프(302)가 원활하게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내경은 하측파이프(301)의 외경보다 일정 수준 크게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상측파이프(302)의 내경과 하측파이프(301)의 외경 차이가 너무 크게 발생하면 상측파이프(302)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승강이 원활해지지 못하게 되거나, 상측파이프(302)가 측방으로 흔들려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내경은 하측파이프(301)의 외경보다 일정 범위 이상으로 크게 제작되되,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하부 측벽에는 상기 하측파이프(301)의 외측면을 타고 상하로 구르는 복수 개의 구름롤러(30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파이프(302)에 구름롤러(303)가 구비되면, 상기 상측파이프(302)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거나 흔들릴 우려 없이 상측파이프(302)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파이프(300)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는데,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물보다 비중이 작아 물 위로 뜨게 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파이프(302)를 합성수지로 제작하면 접촉폭기조(20) 내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상기 상측파이프(302)가 하강하지 아니하고 오수의 수면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상부관통공(330)이 수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오수처리용 산기장치는, 수위가 낮아질 때 상기 상측파이프(302)가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35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추(35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상측파이프(302)가 비중이 작은 재료로 제작되더라도 수위가 하강되었을 때 수위를 따라 아래로 내려오게 되는바, 상부관통공(330)의 높이가 과도하게 높게 위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무게추(350)는 상측파이프(302)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져 하강하지 아니하도록 상기 상측파이프(302)의 하단 외주면 전체에 걸쳐 장착되며, 승강 시 하측파이프(301)와 마찰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하측파이프(301)와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거치프레임 200 : 여재
300 : 가이드파이프 301 : 하측파이프
302 : 상측파이프 303 : 구름롤러
310 : 하부관통공 320 : 중단관통공
330 : 상부관통공 340 : 부상블록
350 : 무게추 400 : 기포분사유닛
500 : 기체공급관 600 : 에어펌프

Claims (12)

  1. 측벽에 하부관통공이 형성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오수가 채워진 접촉폭기조의 내부공간 하측에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하측파이프와, 내경이 상기 하측파이프의 외경보다 큰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측벽에 상부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파이프의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중관 구조로 결합되는 상측파이프로 구성되는 가이드파이프;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하측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기포분사유닛;
    상기 기포분사유닛으로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공급관;
    상기 접촉폭기조 내의 오수에 부상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파이프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부상블록;
    상기 상측파이프의 하부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하측파이프의 외측면을 타고 상하로 구르는 복수 개의 구름롤러; 및
    상기 상측파이프의 하단에 결합되는 무게추;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관통공의 상단은 상기 부상블록의 저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통공과 상부관통공은 각각 복수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측벽 중단에는 복수 개의 중단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통공은 상기 상부관통공보다 면적이 크고, 상기 중단관통공은 상기 상부관통공보다 면적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상부관통공의 높이가 상기 접촉폭기조 내의 수면 높이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포분사유닛은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에 위치되어 상측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042155A 2022-04-05 2022-04-05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KR10250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155A KR102508146B1 (ko) 2022-04-05 2022-04-05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155A KR102508146B1 (ko) 2022-04-05 2022-04-05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146B1 true KR102508146B1 (ko) 2023-03-10

Family

ID=8557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155A KR102508146B1 (ko) 2022-04-05 2022-04-05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1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734A (ko) * 2004-05-19 2005-11-23 주식회사 젠트로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KR100612490B1 (ko) * 2004-05-12 2006-08-14 주식회사 젠트로 저장수 정화장치
KR100824809B1 (ko) 2007-04-25 2008-04-24 브니엘 워터 주식회사 온도조절 섬유강화플라스틱 합병정화조
KR100976127B1 (ko) * 2007-12-11 2010-08-16 한국수자원공사 관 삽입형 유량계측 시스템
KR101566641B1 (ko) * 2014-11-25 2015-11-09 허종형 낙차식 폭기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90B1 (ko) * 2004-05-12 2006-08-14 주식회사 젠트로 저장수 정화장치
KR20050110734A (ko) * 2004-05-19 2005-11-23 주식회사 젠트로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KR100824809B1 (ko) 2007-04-25 2008-04-24 브니엘 워터 주식회사 온도조절 섬유강화플라스틱 합병정화조
KR100976127B1 (ko) * 2007-12-11 2010-08-16 한국수자원공사 관 삽입형 유량계측 시스템
KR101566641B1 (ko) * 2014-11-25 2015-11-09 허종형 낙차식 폭기교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9818A (en) Sewage treatment system
CN102317216B (zh) 多层空气扩散器
US10252190B2 (en) Method for maximizing uniform effluent flow through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1020593B1 (ko) T형 폭기 장치가 구비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소인 제거 오폐수 처리 방법
KR102063317B1 (ko) 워터젯을 이용한 산기관장치
KR101811010B1 (ko) 생물막여재층과 여과막이 설치된 하수처리장치
US5421999A (en) Floating nitrification reactor in a treatment pond
JP2009172577A (ja) 散気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散気装置
AU2014217438A1 (en) Aerated bed biofilm reactor
KR100510878B1 (ko) 호기성 생물 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KR20110058989A (ko) 하이브리드형 산기관 시스템
KR101969768B1 (ko) 유동상 생물반응조에서 담체 순환 및 유실 방지를 위한 장치
KR102508146B1 (ko) 오수처리용 산기장치
KR101782735B1 (ko)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CN111498995A (zh) 一种高效水解生物反应器
EP0112095A1 (en) Aqueous liquid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KR102437837B1 (ko) 고도처리를 위한 살수장치
CN214383722U (zh) 一种高效水解生物反应器
EP32079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uniform effluent flow through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US5133907A (en) Liquid circulating device
KR20110058977A (ko) 산기관
KR102611416B1 (ko) 폭기장치를 구비하는 오폐수 처리시스템
KR200375500Y1 (ko) 유동상의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653895B1 (ko) 유동상의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102456199B1 (ko) 분리막유닛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고도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