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6829B1 -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6829B1
KR101756829B1 KR1020160181006A KR20160181006A KR101756829B1 KR 101756829 B1 KR101756829 B1 KR 101756829B1 KR 1020160181006 A KR1020160181006 A KR 1020160181006A KR 20160181006 A KR20160181006 A KR 20160181006A KR 101756829 B1 KR101756829 B1 KR 10175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te
waste liquid
washing
liqu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에스더
Original Assignee
엔씨티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씨티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씨티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05Degasification of liquids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제, 액적 분리기, 세정액 분사장치, 여재 및 세정폐액 집수장치가 단일 공간 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형상의 단면과 높이를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 소정 높이에 장착되는 흡착제, 상기 흡착제 아래에 장착되는 액적 분리기, 상기 액적 분리기 아래에 위치하는 세정액 분사장치,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 아래에 장착되는 여재, 상기 여재 아래에 위치하는 세정폐액 집수장치 및 상기 세정폐액 집수장치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폐액을 집수하는 상기 본체부 외부에 위치하는 세정폐액 집수조를 포함하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취장치 {Deodorization device}
본 발명은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착제, 액적 분리기, 세정액 분사장치, 여재 및 세정폐액 집수장치가 단일 공간 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취란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상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악취물질은 미생물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 도시하수의 혐기성 분해 등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도살장, 양돈양계장, 피혁공장, 사료공장, 비료공장, 수산물 가공공장, 식품공장, 펄프공장, 석유화학공장, 인쇄공장, 분뇨, 하폐수 처리장, 매립장 등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한편, 현대인들은 물질적 풍요 외에도 쾌적한 삶에 대한 관심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주변환경으로부터 악취가 발생하는 경우 불쾌감, 혐오감 등을 이유로 빈번한 민원을 제기하고 있으며, 특히 유해성 악취물질이 그대로 배출될 경우 이로 인해 심각한 대기환경 오염을 초래하기도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6506호에는 음식물쓰레기 또는 가축분뇨 등에서 발생되는 복합성분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악취가스가 유입되고 이산화염소 수용액 또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분사하여 악취를 1차 제거하는 반응실과, 상기 반응실과 연통되고 세척수를 살수하여 악취가 1차 제거된 악취가스를 세척하여 악취를 2차 제거하는 세척실과, 상기 세척실과 연통되고 악취가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도실과, 상기 반응실내에 설치되어 이산화염소 수용액 또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분사하는 이산화염소 분무기와, 상기 이산화염소 분무기로 이산화염소 수용액 또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공급하는 이산화염소발생부와, 상기 세척실 및 연도실내에서 설치되어 세척수를 살수하는 살수기와, 상기 살수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를 포함하는 이중 살수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이산화염소 수용액 또는 이산화염소 가스와 세척수에 의해 다단으로 악취가스를 세척하기 때문에 복합성분 악취를 효과적으로 탈취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산화염소 분무기, 살수기 등 다수개의 분무 또는 살수 장치를 필요로 하여 장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65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콤팩트한 구조를 갖는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리한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취장치는, 4개의 벽면과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벽면 소정 위치에는 2개 이상의 세정폐액 배출구(104)가 형성된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내부 소정 높이에 장착되는 흡착제(130);
상기 흡착제(130) 아래에 장착되는 액적 분리기(140);
상기 액적 분리기(140) 아래에 위치하는 세정액 분사장치(150);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 아래에 장착되는 여재(160);
상기 여재(160)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초음파 진동계(163);
상기 여재(160)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가 폐쇄되어 있는 상협하광 구조의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 상부 중앙부에는 가스 유도공(173)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세정폐액 배출구(104) 아래에 위치하여 본체부(100) 벽면에 고정되는 상기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 아래에 위치하는 상협하광 구조의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 상기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을 상기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에 고정하는 지지봉(174) 및 상기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의 가스 유도공(173) 주연부의 초음파 연무발생기(175)를 포함하는 세정폐액 집수장치(170); 및
상기 세정폐액 배출구(104)로부터 배출되는 세정폐액을 집수하는 상기 본체부(100)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는 개방되고 세정폐액 배출관(184)이 바닥면에 구비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세정폐액 집수조(180)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로 상기 세정폐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상기 세정폐액 집수조(18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하는 세정폐액 반송라인(181), 및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라인(182)이 구비되고,
상기 여재(160)는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여재 본체(161)와 상기 여재 본체(161) 내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볼(16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재(160)는 제3 상부지지수단(107-1)과 제3 하부지지수단(107-2)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3 지지수단(107)에 의해 형성되는 제3 공간부(S3)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폐액 반송라인(181)으로 반송되는 세정폐액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메쉬망(185)이 상기 세정폐액 반송라인(181) 소정 위치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제1 개폐도어 및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공간부(S1)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제는 상기 제1 공간부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에는 제2 개폐도어 및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공간부(S2)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지지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액적분리기는 상기 제2 공간부(S2)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정액 분사장치(150)로 반송하는 세정폐액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센서(183)가 상기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본체부 상부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기체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기체 배출구가 형성된 기체 배출관 및 상기 기체 배출관 상부에 위치하는 지붕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취장치에 의하면, 흡착제, 액적 분리기, 세정액 분사장치, 여재 및 세정폐액 집수장치를 단일 공간 내에 수직으로 배치하고 있어 콤팩트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탈취장치는 여재에 진동을 줄 수 있는 초음파 진동계와 가스 유도공 주변에 초음파 연무발생기를 구비하고 있어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탈취장치는 별도의 공간부와 개폐도어를 구비하고 있어 흡착제, 액적 분리기 및 여재를 쉽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외형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취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세정폐액 집수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세정폐액 집수조의 확대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탈취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세정폐액 집수장치의 확대도 그리고 도 6은 세정폐액 집수조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취장치는 본체부(100), 기체 배출관(110), 지붕(120), 다수개의 공간부(S1, S2, S3), 흡착제(130), 액적 분리기(140), 세정액 분사장치(150), 여재(160), 세정폐액 집수장치(170), 세정폐액 집수조(180), 악취가스 공급관(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탈취장치 본체부(100)는 각종 악취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가스로부터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형상의 단면과 높이를 가지며 내부는 비어 있다. 첨부된 도면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원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본체부(100) 외부 상부에는 후술할 악취물질이 제거된 청정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기체 배출구(111)가 형성된 기체 배출관(110)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기체 배출관(110)은 내부가 빈 수직으로 관통되어 있으며, 벽면에는 청정 가스가 대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기체 배출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 배출관(110) 상부에는 지붕(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붕(120)은 비나 눈, 또는 대기 중에 부유하는 각종 입자상 물질이 본체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부(100) 내부에는 악취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제(13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100) 상부 내주연부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1 상부지지수단(105-1)과 제1 하부지지수단(105-2)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지지수단(105)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한 쌍의 제1 지지수단(105)에 의해 형성되는 제1 공간부(S-1)에 흡착제(130)가 수용된다.
또 상기 제1 공간부(S-1)에 수용된 흡착제(1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1 공간부(S-1)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측면에는 제1 개폐도어(10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착제(130)는 악취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예로 입상활성탄일 수 있다.
상기 흡착제(130) 아래에는 후술할 세정액 분사로 인해 생성된 미세 액적이 흡착제(130)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체흐름으로부터 액적을 분리하기 위한 액적분리기(1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흡착제(13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본체부(100) 내주연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2 상부지지수단(106-1)과 제2 하부지지수단(106-2)으로 이루어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 지지수단(106)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한 쌍의 제2 지지수단(106)에 의해 형성되는 제2 공간부(S-2)에 액적분리기(140)가 수용된다.
또 상기 제2 공간부(S-2)에 수용된 액적분리기(14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2 공간부(S-2)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측면에는 제2 개폐도어(102)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적분리기(140)는 액적을 분리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예로 수분을 잘 흡수하는 통기성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액적분리기(140) 아래에는 악취물질 함유 가스로부터 악취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액 분사장치(150)가 구비된다.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는 상기 액적분리기(14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후술할 세정폐액 집수조(180) 또는 세정액 탱크(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액을 분무시키기 위한 세정액 공급라인(151)과 상기 세정액 공급라인(151)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개의 분사노즐(15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정액은 산성수, 알칼리수 및 물 등 악취물질을 포집, 중화, 용해시킬 수 있는 액상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 아래에는 여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본체부(100) 내주연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3 상부지지수단(107-1)과 제3 하부지지수단(107-2)으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3 지지수단(107)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한 쌍의 제3 지지수단(107)에 의해 형성되는 제3 공간부(S-3)에 여재(160)가 수용된다.
또 상기 제3 공간부(S-3)에 수용된 여재(16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3 공간부(S-3)가 형성되는 본체부(100) 측면에는 제3 개폐도어(10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재(16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여재 본체(161)와 상기 여재 본체(161) 내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볼(162)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분사되는 세정액은 상기 볼(162)의 표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게 되므로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악취성분과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162)은 여재 본체(161)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며 일예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재 본체(161) 소정 위치에는 초음파 진동계(16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음파 진동계(163)를 더 구비하게 되면, 초당 수천에서 수만 번 여재 본체(161) 내에 수용된 볼(162)을 진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악취성분과 세정액과의 접촉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세정폐액 집수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여재(160) 아래에 위치하는 세정폐액 집수장치(170)는 분사한 세정액으로 인해 악취물질이 함유된 세정폐액을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 지지봉(174) 및 초음파 연무발생기(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집수판(171)은 여재(160) 아래에 위치하며, 우산과 같이 상부가 폐쇄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상협하광 구조이다. 또 상기 제1 집수판(171)의 모서리는 본체부(100) 내부 벽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로부터 낙하되는 세정폐액을 본체부(100) 내부 주연부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후술할 제2 집수판(172)의 가스 유도공(173)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은 상기 제1 집수판(171) 아래에 위치하며, 제1 집수판(171)과 유사한 상협하광 구조이나, 상부 중앙부에는 가스 유도공(173)이 더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는 본체부(100) 벽면의 세정폐액 배출구(104) 아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집수판(171)의 상부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정폐액은 제2 집수판(172)을 경유한 후 본체부(100) 벽면에 형성된 세정폐액 배출구(104)를 통해 본체부(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의 가스 유도공(173) 주연부에는 초음파 연무발생기(17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무발생기(175)는 가습기처럼 초음파를 사용하여 세정액을 미세하게 분무시키기 때문에, 가스 유도공(173)으로 유입되는 악취성분 함유 가스와 세정액이 매우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면부호 174는 제1 집수판(171)을 상기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봉(174)이며, 제1 집수판(171)을 고정할 수 있다면 얼마든지 변형가능함은 자명하다.
본체부(100) 벽면의 세정폐액 배출구(104) 아래에는 벽면을 따라 세정폐액 집수조(180)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집수판(172)의 상부면을 따라 흘러내린 세정폐액은 세정폐액 배출구(104)로 배출되며, 이들 세정폐액은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집수된다.
악취물질이 함유된 가스와 세정액을 접촉시키면 이들 악취물질이 세정액에 포집되거나 용해되지만,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접촉하기 때문에 세정폐액을 재사용하는 것이 폐액의 발생량을 줄이고 또 세정액의 구입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세정폐액 집수조의 확대도이다. 세정폐액 집수조(180)는 세정폐액 배출구(104)로부터 흘러나오는 세정폐액이 자연스럽게 집수될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바닥면과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세정폐액 집수조(180) 측면에는 집수된 세정폐액을 전술한 세정액 분사장치(150)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세정폐액 집수조(180)와 세정액 분사장치(150)를 연결하는 세정폐액 반송라인(181)이 구비된다. 또 세정폐액 집수조(180) 바닥면에는 더 이상 재사용이 불가능한 세정폐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세정폐액 배출관(184)이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세정폐액 반송라인(181)의 소정 위치에는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라인(182)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세정폐액 집수조(180)에는 수위센서(183)와 메쉬망(185)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위센서(183)는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집수되는 세정폐액의 수위를 측정하여,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집수된 세정폐액을 세정액 분사장치(150)로 공급할 것인지 아니면 세정액 공급라인(182)으로 미사용 세정액을 공급할 것인지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적분리기(140)를 통하여 기체흐름으로부터 세정액의 미스트를 분리하지만 완벽하게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세정액의 미스트는 기체와 함께 기체 배출구(1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따라서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집수되는 세정폐액은 점차 줄어든다. 상기 수위센서(183)는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집수되는 세정폐액이 소정 수위 이하에 해당되면,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전송하여 세정액 공급펌프를 가동시켜 세정액 공급라인(182)으로 미사용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수위 이상에 해당되면 세정액 공급펌프의 가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세정폐액 집수조(180) 소정 위치에는 메쉬망(185)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정폐액 반송라인(181)이 연결된 세정폐액 집수조(180) 벽면에 소정의 기공크기를 갖는 메쉬망(185)을 구비시킴으로써 반송되는 세정폐액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메쉬망(185)을 통하여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면, 분사노즐(152)과 여재(160)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정폐액 반송라인(181) 내부 벽면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쉬망(185)은 주기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식으로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190은 악취물질이 함유된 가스를 본체부(1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악취가스 공급관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탈취장치를 이용하여 가스에 포함된 악취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악취가스 공급관(190)을 통하여 악취물질 이 함유된 가스를 본체부(100) 저부로부터 유입시킨다. 가스 공급과 동시에 또는 사전에 세정액 공급펌프를 가동시켜 세정액을 세정액 공급라인(151)으로 공급하고 분사노즐(152)로부터 세정액을 분사한다. 이때 초음파 진동계(163)와 초음파 연무발생기(175)도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악취가스 공급관(190)으로 유입된 가스는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의 가스 유도공(173)을 경유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 상부에 위치하는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 하부면과 다시 부딪힌 후 여재(160)를 통과한다.
또 여재(160) 상부에 위치하는 분사노즐(152)로부터 생성된 미세 액적과 접촉하여 악취물질이 제거되고, 기체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액적은 액적분리기(140)에서 분리된 후 아래로 떨어진다.
게다가 액적분리기(140)를 통과한 기체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악취물질은 흡착제(130)를 통과하면서 완벽하게 제거되고, 청정한 가스는 기체배출구(111)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한편, 세정폐액은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 상부면을 따라 흘러내려가서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집수되고, 세정폐액 내의 입자상 물질은 메쉬망(185)에 의해 제거된 후 다시 세정액 분사장치(150)로 공급되어 재이용된다. 또 세정폐액 집수조(180)의 수위가 낮아지면 세정액 공급펌프가 작동되어 세정액을 공급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본체부
101 : 제1 개폐도어 102 : 제2 개폐도어
103 : 제3 개폐도어 104 : 세정폐액 배출구
105 : 제1 지지수단 106 : 제2 지지수단
107 : 제3 지지수단
110 : 기체 배출관 111 : 기체 배출구
120 : 지붕
130 : 흡착제
140 : 액적 분리기
150 : 세정액 분사장치
151 : 세정액 공급라인 152 : 분사노즐
160 : 여재
161 : 여재 본체 162 : 볼
163 : 초음파 진동계
170 : 세정폐액 집수장치
171 : 세정폐액 제1 집수판 172 : 세정폐액 제2 집수판
173 : 가스 유도공 174 : 지지봉
175 : 초음파 연무발생기
180 : 세정폐액 집수조
181 : 세정폐액 반송라인 182 : 세정액 공급라인
183 : 수위센서 184 : 세정폐액 배출관
185 : 메쉬망
190 : 악취가스 공급관
S1 : 제1 공간부 S2 : 제2 공간부
S3 : 제3 공간부

Claims (12)

  1. 4개의 벽면과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벽면 소정 위치에는 2개 이상의 세정폐액 배출구(104)가 형성된 내부가 비어 있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내부 소정 높이에 장착되는 흡착제(130);
    상기 흡착제(130) 아래에 장착되는 액적 분리기(140);
    상기 액적 분리기(140) 아래에 위치하는 세정액 분사장치(150);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 아래에 장착되는 여재(160);
    상기 여재(160)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초음파 진동계(163);
    상기 여재(160)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가 폐쇄되어 있는 상협하광 구조의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 상부 중앙부에는 가스 유도공(173)이 형성되며 하부는 상기 본체부(100)의 세정폐액 배출구(104) 아래에 위치하여 본체부(100) 벽면에 고정되는 상기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 아래에 위치하는 상협하광 구조의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 상기 세정폐액 제1 집수판(171)을 상기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에 고정하는 지지봉(174) 및 상기 세정폐액 제2 집수판(172)의 가스 유도공(173) 주연부의 초음파 연무발생기(175)를 포함하는 세정폐액 집수장치(170); 및
    상기 세정폐액 배출구(104)로부터 배출되는 세정폐액을 집수하는 상기 본체부(100)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상부는 개방되고 세정폐액 배출관(184)이 바닥면에 구비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세정폐액 집수조(180)를 포함하되,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로 상기 세정폐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상기 세정폐액 집수조(18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하는 세정폐액 반송라인(181), 및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라인(182)이 구비되고,
    상기 여재(160)는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여재 본체(161)와 상기 여재 본체(161) 내에 수용되는 다수개의 볼(16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재(160)는 제3 상부지지수단(107-1)과 제3 하부지지수단(107-2)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3 지지수단(107)에 의해 형성되는 제3 공간부(S3)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폐액 반송라인(181)으로 반송되는 세정폐액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메쉬망(185)이 상기 세정폐액 반송라인(181) 소정 위치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는 제1 개폐도어(101) 및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공간부(S1)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지지수단(105)이 더 구비되고, 상기 흡착제(130)는 상기 제1 공간부(S1)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에는 제2 개폐도어(102) 및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 공간부(S2)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지지수단(106)이 더 구비되고, 상기 액적분리기(140)은 상기 제2 공간부(S2)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분사장치(150)로 반송하는 세정폐액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위센서(183)가 상기 세정폐액 집수조(180)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 상부에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기체가 배출되는 다수개의 기체 배출구(111)가 형성된 기체 배출관(110) 및 상기 기체 배출관(110) 상부에 위치하는 지붕(12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KR1020160181006A 2016-12-28 2016-12-28 탈취장치 KR10175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006A KR101756829B1 (ko) 2016-12-28 2016-12-28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006A KR101756829B1 (ko) 2016-12-28 2016-12-28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829B1 true KR101756829B1 (ko) 2017-07-11

Family

ID=5935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006A KR101756829B1 (ko) 2016-12-28 2016-12-28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704B1 (ko) 2018-04-06 2019-09-27 다음기술 주식회사 적층 순환식 복합탈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30B1 (ko) * 2006-06-09 2007-05-16 진성언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WO2014106984A1 (ko) * 2013-01-02 2014-07-10 주식회사 엠비티 이산화염소와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탈취장치 및 그 방법
KR101513682B1 (ko) * 2014-12-19 2015-04-21 (주)한국테크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30B1 (ko) * 2006-06-09 2007-05-16 진성언 고효율 멀티세정식 집진장치
WO2014106984A1 (ko) * 2013-01-02 2014-07-10 주식회사 엠비티 이산화염소와 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탈취장치 및 그 방법
KR101513682B1 (ko) * 2014-12-19 2015-04-21 (주)한국테크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704B1 (ko) 2018-04-06 2019-09-27 다음기술 주식회사 적층 순환식 복합탈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270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0972921B1 (ko)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0820845B1 (ko) 2액 동시세정 탈취탑
KR101653368B1 (ko) 약액세정 탈취장치
KR101720749B1 (ko) 오염공기의 분진 및 악취 제거장치
KR101513682B1 (ko) 세정식 다단 탈취장치
KR101485320B1 (ko) 기포 미세화 기능을 갖는 탈취장치
KR101874338B1 (ko) 복합형 악취 제거장치
KR101882218B1 (ko) 교체가 용이한 제트노즐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893036B1 (ko) 세정부 내 세정액의 수위설정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396537B1 (ko) 악취가스 액적 분리시스템
KR102093121B1 (ko) 유입 악취가스 내 습식 분진제거 기능을 갖는 약액 세정식 탈취기
KR102032801B1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396227B1 (ko) 격자틀을 이용한 약액세정 및 와류믹서식 탈취장치
KR100966737B1 (ko) 약액 세정식 탈취탑
KR20180005439A (ko) 3단 습식 세정 장치
KR20150116793A (ko) 가축 축사의 배기 정화를 위한 배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1893358B1 (ko) 악취가스 유입저항 감소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874952B1 (ko) 선회식 유로 접촉을 이용한 다단 세정 탈취장치
KR102308434B1 (ko) 고효율 세정식 탈취장치
KR101954358B1 (ko) 복합식 악취제거 시스템
KR102132887B1 (ko) 탈취 장치
KR102429315B1 (ko) 스크러버 악취저감장치
KR101823139B1 (ko) 터널식 오존 세정 악취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