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460B1 - 가상 진로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진로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460B1
KR101862460B1 KR1020160079880A KR20160079880A KR101862460B1 KR 101862460 B1 KR101862460 B1 KR 101862460B1 KR 1020160079880 A KR1020160079880 A KR 1020160079880A KR 20160079880 A KR20160079880 A KR 20160079880A KR 101862460 B1 KR101862460 B1 KR 101862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er
virtual
image
op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130A (ko
Inventor
이현종
이인근
Original Assignee
대구도시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도시철도공사 filed Critical 대구도시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6007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4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02Manual systems
    • B61L27/00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60Testing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진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과 연동하는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을 이용한 가상 진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신호기(L) 중 하나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켜 진로옵션메뉴(112)를 표시하는 메뉴표시단계(S10)와; 진로옵션메뉴(112)에서 해당 신호기(L)에서부터 특정 선로(111)에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진로옵션(113)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최종 확인을 위한 확인팝업창(122)을 표시하는 진로옵션선택단계(S20)와; 영상처리모듈을 통해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한 진로옵션(113) 및 확인팝업창(122)의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단계(S30)와; 영상처리단계(S30)에서 추출한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으로부터 특징점추출모듈을 통해 특징점(A~Z)을 추출하여 진로인식자(i)를 생성하는 특징점추출단계(S40)와; 특징점추출단계(S40)에서 생성한 진로인식자(i)에 매칭되는 진로이미지(121)를 식별하고,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선로(111) 위에 진로이미지(121)를 현시함에 따라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한 차량진로를 실제로 설정 또는 취소하기 전에 화면상에 미리 표시하는 이벤트발생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기존 시스템의 구조적 변경 없이 차량진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가상 진로 표시 방법{VIRTUAL ROUTE DISPLAYING METHOD}
본 발명은 가상 진로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차의 차량기지 구내에서 입·출고하는 열차의 운전 취급을 수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기존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운전 취급자가 차량진로의 설정 및 취소를 인가하기 전에 해당 차량진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 취급행위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증진하도록 하는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의 차량기지 구내에는 본선 운행을 종료하고 기지로 입고한열차를 시운전, 유치 또는 점검하기 위한 각종 선로가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차량의 입출고를 위해 설치되는 인입선, 차량의 유치를 위한 유치선, 세척 또는 청소를 취한 세척선 및 청소선, 각종 경수선을 위한 검사선 등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차량의 입환에 관한 사항은 운전취급내규에서 정한 바에 따라 열차운행종합제어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특히, 인입선을 통해 구내로 입고한 차량을 목적하는 바의 선로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취급하는 작업은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Local Control Console Program)에 의해 수행된다.
종래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기지의 구내에 설치된 각종 선로를 선로 명과 함께 선형으로 표시하고 각 선로 상에는 차량진로를 제어하도록 위치하는 신호기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운전 취급자는 인입선을 통해 구내로 입·출고하는 차량을 운행계획에 따라 목적하는 바의 선로로 입환하도록 신호기를 제어하여 차량진로를 설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을 비롯한 장시간의 운영을 통해 안정성이 검증된 기존의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가 지속적으로 유지 운영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능의 추가가 불가피하나 이미 구축되어 안정화된 시스템으로부터 일부 기능을 추가, 개선하는 것은 사실상 쉽지 않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의 경우 복잡하게 설치된 선로마다 목적한 바의 차량진로를 설정하는 작업을 보다 효율화하면서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의 구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상 진로 표시 기능(Virtual Route Displaying)은 운전 취급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차량진로를 미리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을 이용하면 운전 취급자는 차량진로를 설정하는 취급행위를 더욱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더욱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에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자체에서 관련 기능 전반을 수정하는 것이 불가피하며, 수정이 된 후에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오류 검증 작업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여전히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이 미탑재된 상태로 운영되고 있어 작업효율이 낮고 운전 취급자의 업무 고충 역시 심각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 10 - 0757081 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에서는 운전 취급자가 차량진로를 설정하는 작업 시 해당 차량진로를 선택하는 진로선택메뉴를 텍스트 형태로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 취급자는 진로선택메뉴에 텍스트로 표시된 신호기 및 선로 명만을 확인하고 실제 차량진로를 설정하게 되므로, 자신이 진로선택메뉴에서 선택한 차량진로가 목적하는 바의 차량진로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택한 메뉴에 표시되는 텍스트와 선로 상에 표시된 신호기 및 선로 명을 일일이 비교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결국, 운전 취급 작업속도가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이고 운전 취급자의 업무 피로도가 증대되어 작업상의 실수가 쉽게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에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전반의 수정이 불가피하여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증 과정에도 상당 기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내 선로(111) 및 선로(111) 상에 위치한 다수의 신호기(L)를 표시하여 차량기지 구내에서 입·출고하는 열차의 운전취급을 수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과 연동하는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을 이용한 가상 진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기(L) 중 하나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켜 진로옵션메뉴(112)를 표시하는 메뉴표시단계(S10)와;
상기 진로옵션메뉴(112)에서 해당 신호기(L)에서부터 특정 선로(111)에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진로옵션(113)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진로옵션(113)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실제로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최종 확인을 위한 확인팝업창(122)을 표시하는 진로옵션선택단계(S20)와;
상기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이, 영상처리모듈을 통해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한 진로옵션(113) 및 확인팝업창(122)의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단계(S30)와;
상기 영상처리단계(S30)에서 추출한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으로부터 특징점추출모듈을 통해 특징점(A~Z)을 추출하여 진로인식자(i)를 생성하는 특징점추출단계(S40)와;
상기 특징점추출단계(S40)에서 생성한 진로인식자(i)에 매칭되는 진로이미지(121)를 식별하고,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선로(111) 위에 진로이미지(121)를 현시함에 따라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한 차량진로를 실제로 설정 또는 취소하기 전에 화면상에 미리 표시하는 이벤트발생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시스템에서도 차량진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기존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의 전방에 가상의 차량진로를 표시할 수 있는 진로이미지를 현시하고 동시에 음성안내멘트를 출력함으로써 운전 취급자가 차량진로의 설정 및 취소를 실제로 인가하기 전에 해당 차량진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 취급자가 자신의 취급이 정확한지를 한눈에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운전 취급행위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증진하고 업무 피로도를 저감하여 안전성을 확고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도 별도로 독립된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기존 프로그램의 운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기존에 구축된 철도신호제어 소프트웨어 및 타기술분야에도 다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이 미구현된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이 미구현된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의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은 기존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과 연동하여 운전 취급자가 차량기지 구내에서 입·출고하는 열차의 차량진로를 실제로 설정 및 취소하기 전에 해당 차량진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 취급 작업의 정확도와 신뢰성 증진을 도모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은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내 선로(111) 및 선로(111) 상에 위치한 다수의 신호기(L)를 표시하여 차량기지 구내에서 입·출고하는 열차의 운전취급을 수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과 연동하는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을 이용해 가상 진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은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인터페이스 화면 전방에 HUD(Head Up Display)방식으로 구현된다. 즉, 각각 독립된 구조의 양 프로그램을 상호 연동하되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이 은닉된 상태로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취급자는 마치 기존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에서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착각할 만큼 안정적인 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은 크게 메뉴표시단계(S10)와, 진로옵션선택단계(S20)와, 영상처리단계(S30)와, 특징점추출단계(S40)와, 이벤트발생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뉴표시단계(S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선로(111) 상에 위치한 다수의 신호기(L) 중 하나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켜 진로옵션메뉴(112)를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진로옵션메뉴(112)에는 마우스로 선택한 신호기(L)를 기점으로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기 위한 다수의 선로(111)를 진로옵션(113)으로 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진로의 설정은 선택한 신호기(L)를 기점으로 특정 선로(111)에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이 해당 선로(111)로 진입하여 입·출고하도록 유도하며, 반대로 차량진로의 취소는 설정된 차량진로를 해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진로옵션선택단계(S20)는 진로옵션메뉴(112)에서 해당 신호기(L)에서부터 특정 선로(111)에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기 위하여 다수의 진로옵션(113) 중 하나를 선택하고, 진로옵션(113) 중 하나를 선택 시 실제로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최종 확인을 위한 확인팝업창(122)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상기 영상처리단계(S30)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이 영상처리모듈을 통해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한 진로옵션(113) 및 확인팝업창(122)의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특징점추출단계(S40)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단계(S30)에서 추출한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으로부터 특징점추출모듈을 통해 특징점(A~Z)을 추출하여 진로인식자(i)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된 진로옵션(113) 및 확인팝업창(122)에서의 선택에 따라 실제 차량진로가 설정 또는 취소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처리단계(S30) 및 특징점추출단계(S40)를 거쳐 이벤트발생단계(S50)를 통해 실제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기 전에 미리 가상의 차량 진로를 화면상에 현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단계(S30)에서는 화면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진로옵션(113) 및 확인팝업창(122) 각각의 텍스트이미지영역(a1~an) 중에서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된 진로옵션(113) 및 확인팝업창(122)에 해당하는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을 추출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26L' 신호기(111)를 선택하여 진로옵션메뉴(112)가 표시되면 선택할 수 있는 진로옵션(113)에는 도 4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D2' 'D3' 'D4' 등 각 선로(111)별로 '[진로 설정]' 또는 '[진로 취소]'로 구분하여 '26L -> D2' '26L -> D3'와 같은 텍스트이미지 형태로 표시되며, 각각의 진로옵션(113) 별로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이 부여된다.
또한, 상기 특징점추출단계(S40)에서는 영상처리단계(S30)에서 추출된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에 부여된 특징점(A~Z)을 추출하여 선택된 진로옵션(113)을 식별하도록 한다.
즉, 상기 특징점(A~Z)은 다수의 진로옵션(113)의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에서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식별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지점을 선정하여 부여한 것이다. 예컨대, 진로옵션(113)마다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할 선로(111)명을 표시하는 텍스트는 모두 상이하므로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에서 이들의 식별 가능성이 높은 지점에 특징점(A~Z)을 부여하여 고유ID와 같은 진로인식자(i)를 생성한다.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50)는 특징점추출단계(S40)에서 생성한 진로인식자(i)에 매칭되는 진로이미지(121)를 식별하고, 도 2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선로(111) 위에 진로이미지(121)를 현시한다. 따라서 상기 진로옵션선택단계(S20)에서 선택한 차량진로를 실제로 설정 또는 취소하기 전에 화면상에 가상으로 차량진로를 미리 표시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50)에서는 특징점추출단계(S40)에서 생성된 진로인식자(i)로부터 해당 신호기(L) 및 선로(111) 명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멘트(123)를 진로이미지(121)와 함께 구현한다.
따라서, 운전 취급자는 상기 진로이미지(121)를 통해 설정 또는 취소할 차량진로를 화면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하고, 또한 음성안내멘트(123)를 통해 청각적으로 재차 확인한 후에 실제 차량진로를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로이미지(121) 및 음성안내멘트(123)는 진로옵션(113)에 의해 설정 또는 취소 가능한 모든 종류의 차량진로에 상응하는 다수의 이미지 및 음성 파일을 구비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특징점추출단계(S40)를 통해 생성한 진로인식자(i)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진로이미지(121) 및 음성안내멘트(123) 파일을 상호 매칭하여 식별함으로써 이벤트발생단계(S50)에서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의 확장 가능성을 증대하고 예컨대 상기 진로이미지(121) 또는 음성안내멘트(123)를 수정하는 등의 유지보수적 측면에서도 용이한 접근성을 가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상 진로 표시 방법은 운전 취급자가 차량진로의 설정 및 취소를 실제로 인가하기 전에 가상의 차량진로를 표시할 수 있는 진로이미지(121)를 현시하고 동시에 음성안내멘트(123)를 구현함으로써 해당 차량진로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 취급행위의 정확도 및 신뢰도와 안전성을 증진하고 업무 피로도를 저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의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구조적인 변경 없이도 별도로 독립된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과 연동하여 가상 진로 표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기존 프로그램의 운용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구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뿐만 아니라 기존에 구축된 철도신호제어 소프트웨어에도 관련 기능의 구현 등에 다각적으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
111: 구내 선로
L: 신호기
112: 진로옵션메뉴
113: 진로옵션
120: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
a1~an: 텍스트이미지영역
A~Z: 특징점
i: 진로인식자
121: 진로이미지
122: 확인팝업창
123: 음성안내멘트
S10: 메뉴표시단계
S20: 진로옵션선택단계
S30: 영상처리단계
S40: 특징점추출단계
S50: 이벤트발생단계

Claims (3)

  1.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구내 선로(111) 및 신호기(L)를 표시하여 차량기지 구내에서 입·출고하는 열차의 운전취급을 수동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는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과, 상기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인터페이스 화면 전방에 HUD방식으로 구현하여 연동하는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을 이용한 가상 진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신호기(L)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켜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진로옵션메뉴(112)를 표시하는 메뉴표시단계(S10)와,
    신호기(L)에서부터 특정 선로(111)에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기 위하여 상기 진로옵션메뉴(112)의 다수의 진로옵션(113)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진로옵션(113)을 선택 후 실제로 차량진로를 설정 또는 취소하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이 확인팝업창(122)을 표시하는 진로옵션선택단계(S20)와,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이, 영상처리모듈을 통해 화면에 표시된 진로옵션(113) 및 확인팝업창(122)의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을 추출하는 영상처리단계(S30)와,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이, 텍스트이미지영역(a1~an)으로부터 특징점추출모듈을 통해 특징점(A~Z)을 추출하여 진로인식자(i)를 생성하는 특징점추출단계(S40)와,
    가상 진로 표시 프로그램(120)이, 진로인식자(i)에 매칭되는 진로이미지(121)를 식별하고, 구내 운전 제어반 프로그램(1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선로(111) 위에 HUD방식으로 진로이미지(121)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이벤트발생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발생단계(S50)에서는, 진로이미지(121)와 함께 신호기(L) 및 선로(111) 명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안내멘트(123)를 구현하고,
    상기 진로이미지(121) 및 음성안내멘트(123)는 진로옵션(113)에 의해 설정 또는 취소 가능한 모든 종류의 차량진로에 상응하는 다수의 파일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진로인식자(i)로 매칭하여 구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진로 표시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79880A 2016-06-27 2016-06-27 가상 진로 표시 방법 KR101862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80A KR101862460B1 (ko) 2016-06-27 2016-06-27 가상 진로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880A KR101862460B1 (ko) 2016-06-27 2016-06-27 가상 진로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30A KR20180001130A (ko) 2018-01-04
KR101862460B1 true KR101862460B1 (ko) 2018-05-30

Family

ID=6099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880A KR101862460B1 (ko) 2016-06-27 2016-06-27 가상 진로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4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37B1 (ko) * 2019-10-14 2020-03-31 대아티아이 (주) 이종신호시스템 혼용운영을 위한 ctc가상진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128B1 (ko) * 2018-02-23 2020-01-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영상처리를 이용한 실시간 열차 상태정보 추출 방법 및 시스템
KR102339511B1 (ko) 2020-12-31 2021-12-14 김동환 미장용 기구를 사용하는 미장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293A (ja) 1998-07-03 2000-01-18 Nippon Signal Co Ltd:The 列車進路設定支援装置、及び列車進路設定支援方法
JP2010048808A (ja) * 2008-07-25 2010-03-04 Navteq North America Llc ガイダンス付き公開エリア地図
KR101068165B1 (ko) 2009-06-15 2011-09-27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금융기관의 문서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107796A (ja) * 2014-12-05 2016-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用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293A (ja) 1998-07-03 2000-01-18 Nippon Signal Co Ltd:The 列車進路設定支援装置、及び列車進路設定支援方法
JP2010048808A (ja) * 2008-07-25 2010-03-04 Navteq North America Llc ガイダンス付き公開エリア地図
KR101068165B1 (ko) 2009-06-15 2011-09-27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금융기관의 문서 이미지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6107796A (ja) * 2014-12-05 2016-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用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37B1 (ko) * 2019-10-14 2020-03-31 대아티아이 (주) 이종신호시스템 혼용운영을 위한 ctc가상진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130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7782B2 (en) Tools for railway traffic control
KR101862460B1 (ko) 가상 진로 표시 방법
CN106500713B (zh) 一种导航方法及装置
CN110427027B (zh) 用于自动驾驶的导航路线生成方法、装置和自动驾驶系统
JP2008146502A5 (ko)
JP2009515797A (ja) 行き先入力付き群式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エレベータ乗場備品の割付け
WO2017022411A1 (ja) 鉄道車両の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CN108519093B (zh) 一种导航路线确定方法及装置
CN102066226B (zh) 电梯的号机配置信息编辑系统、目的地信息输入装置、显示装置以及编辑操作装置
JP4707689B2 (ja) 弁点検支援システム
CN110850838A (zh) 车辆故障提醒方法及系统
JP2014066576A (ja) タクシー運転手案内システム、案内メッセージ提供装置、携帯通信端末、タクシー運転手案内装置およびタクシー運転手案内方法
JP2004330797A (ja) 列車乗車口案内表示システム及び列車乗車口案内表示方法
CN103149548B (zh) 一种基于电能计量装置的信息显示方法和装置
JP2010111309A (ja) 制御予定進路表示機能を有する自動進路制御装置
JP2007276553A (ja) 旅客案内装置に対する表示制御方法
US10074286B2 (en) Traffic control training scenario generation apparatus, traffic control training apparatus, and traffic control training scenario generation program
JP6401919B2 (ja) 車上管理装置及び処置手順表示システム
JP2011136614A (ja) 列車運行指令装置
US20160004755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3593744B2 (ja) 列車運転整理支援装置
JP2018101253A (ja) 情報共有指令卓、及び情報共有指令プログラム
JP6306957B2 (ja) 列車情報取得プログラム、情報提供システム
EP4354412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JPH0858592A (ja) 運転整理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