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21B1 -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 - Google Patents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21B1
KR101860821B1 KR1020160174898A KR20160174898A KR101860821B1 KR 101860821 B1 KR101860821 B1 KR 101860821B1 KR 1020160174898 A KR1020160174898 A KR 1020160174898A KR 20160174898 A KR20160174898 A KR 20160174898A KR 101860821 B1 KR101860821 B1 KR 101860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ross
bearing
electrode unit
g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진
정광래
전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벧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7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23K11/115Spot welding by means of two electrodes placed opposite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the weld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8Manufacturing of metallic grids or mats by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009Pressur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그레이팅 용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의 빈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바들(bearing-bars) 및 서로 이웃하는 베어링-바들의 각각의 사이 또는, 프레임과 베어링-바 사이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크로스-바들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을 용접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되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부재에 올려진 제1 크로스-바를 베어링-바의 일측면에 용접하는 제1 전극유닛; 및 제1 전극유닛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2 크로스-바를 베어링-바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다른 측면에 용접하는 제2 전극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GRATING WELDING APPARATUS AND GRATING WELDING METHOD}
본 발명은,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바들 사이에 설치된 크로스-바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레이팅은 도로, 주거단지, 지하철 등에 설치되는 빗물 집배수로(集排水路)의 덮개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복수의 직사각형 격자 구조를 하고 있다.
최근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그레이팅은 화학 공장, 조선소, 원자력 발전소 등의 플랜트 공장, 선박 등과 같은 구조물의 바닥 또는 계단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직사각형 격자 구조의 그레이팅은 프레임, 베어링-바(bearing-bar), 크로스-바(cross-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어링-바와 크로스-바는 그레이팅의 사각 테두리를 서로 직각으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베어링-바들의 설치 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완성된 격자는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바들 사이에 배치되는 크로스-바는 용접에 의해 베어링-바 또는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베어링-바들 각각의 사이 또는 프레임과 베어링-바 사이에 설치된 크로스-바의 용접을 자동화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자가 수동으로 용접 작업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작업 효율 감소, 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1993-0007558호(공개일자:1993년05월20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베어링-바들 각각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설치된 크로스-바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접 장치의 자동화에 의해 작용 효율 상승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빈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바들(bearing-bars) 및 서로 이웃하는 베어링-바들의 각각의 사이 또는, 상기 프레임과 베어링-바 사이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크로스-바들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을 용접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올려진 제1 크로스-바를 상기 베어링-바의 일측면에 용접하는 제1 전극유닛; 및 상기 제1 전극유닛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2 크로스-바를 상기 베어링-바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다른 측면에 용접하는 제2 전극유닛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유닛은 가상의 수평선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극유닛은, 상기 제1 크로스-바에 접촉되어 가열하는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전극부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크로스-바는 돌출부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제1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크로스-바는 복수의 돌출부들과 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홈부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유닛은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전극유닛은, 상기 제2 크로스-바에 접촉되어 가열하는 제2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전극부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크로스-바는 돌출부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2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크로스-바는 복수의 돌출부들과 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홈부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바에 접촉되어 상기 베어링-바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슬라이드; 및 상기 이동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바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접을 위해 상기 지지부재측으로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유닛에 놓여진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지지부재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공급유닛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송암; 및 상기 이송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베어링-바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크로스-바의 접촉 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폿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빈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바들(bearing-bars) 및 서로 이웃하는 베어링-바들의 각각의 사이 또는, 상기 프레임과 베어링-바 사이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크로스-바들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을 용접산는 그레이팅 용접 방법에 있어서, (a) 제2 전극유닛이 지지부재에 지지된 제2 크로스-바측에 위치하는 단계; 및 (b) 제1 전극유닛이 상기 제2 크로스-바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1 크로스-바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크로스-바와 상기 제2 크로스-바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바에 상기 제1 크로스-바와 상기 제2 크로스-바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용접 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2 전극유닛이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크로스-바측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유닛이 가상의 수평선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크로스-바 및 상기 제2 크로스-바는 돌출부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유닛은 상기 제1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은 상기 제2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1 전극유닛과 제2 전극유닛이 베어링-바의 양측면에서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각각의 크로스-바를 가압하면서 용접하므로 베어링-바들 각각의 사이에 지그재그로 설치된 크로스-바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또한, 용접 장치의 자동화에 의해 작용 효율 상승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서 그레이팅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서 그레이팅의 베어링-바와 크로스-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에서 용접된 베어링-바와 크로스-바가 후방으로 이동 후 새로운 베어링-바와 크로스-바가 용접을 위해 지지부재에 올려진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서 제1 전극유닛과 제2 전극유닛에 의한 용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이동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공급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서 그레이팅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서 그레이팅의 베어링-바와 크로스-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서 용접 대상인 그레이팅(100)은, 프레임(110)과,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폿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0)은 빈 공간이 마련되도록 대략 정사각형 내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원형, 타원형, 마름모꼴, 삼각형 등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프레임(110)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110)의 길이와 폭은 설치될 장소 또는 사용처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프레임(110)은 예컨대, 편평한 형태의 강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프레임(110)은 2개의 단변 프레임(112)과 2개의 장변 프레임(111)을 구비할 수 있고, 장, 단변 프레임(111, 112)들의 모서리들은 용접 등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프레임(110)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110)은 그레이팅(100)의 용도 또는 설치 장소에 따라 다른 사이즈로 변경될 수 있다.
다수의 베어링-바들(bearing bars, 120)은 프레임(110)의 빈 공간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베어링-바(120)들이 미리 결정된 간격, 예를 들어, 등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베어링-바(120)는 프레임(110)의 장변 프레임(111)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프레임(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은 물론 그레이팅(100)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베어링-바(120)들은 프레임(110)과 동일한 기준면에 위치되도록, 예를 들어, 베어링-바(120)는 그 상단이 프레임(110)의 상단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그 양단부가 프레임(11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바(120)의 양단부 용접에 의해 프레임(110)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한 경우 돌기 내지 홈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바(130)가 베어링-바(120)에 용접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크로스-바(130)와 베어링-바(120)가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바(120) 각각은 프레임(110)의 4각 형상의 빈 공간에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프레임(110)과 동일한 기준면, 예를 들어, 도 1의 프레임(110)의 상면에 베어링-바(120)의 상면이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바(120)들 사이의 간격 또는 피치는 일정하지만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베어링-바(120)의 재질은 프레임(110)과 동일할 수도 있고, 그 보다 더 약한 재질의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다. 베어링-바(120)의 두께는 필요한 하중 조건에 맞게 설계될 수 있다.
크로스-바(130)들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베어링-바(120)들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프레임(110)과 베어링-바(120)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크로스-바(130)는 베어링-바(120)들 사이, 또는, 베이링 바아와 프레임(110)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크로스-바(130)는 장변 프레임(111)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삼각형 등과 같이 각지게 또는 반원 형태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크로스-바(130)는 이웃하는 베어링-바(120)들 사이, 또는, 베어링-바(120)와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며, 크로스-바(130)의 각진 부분 또는 라운드진 부분이 베어링-바(120)와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크로스-바(130)의 길이 방향 양단은 단변 프레임(112)의 내벽에 결합되고, 크로스-바(130)의 면접촉부는 프레임(110)의 내측면 또는 베어링-바(120)의 내벽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바(130)의 면접촉부는 크로스-바(130)의 돌출부(150)에 마련될 수 있다.
크로스-바(130) 각각은 높이 방향의 일단이 기준면과 동일하도록, 예를 들어, 크로스-바(130)의 상면이 프레임(110)과 베어링-바(1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서로 이웃하는 베어링-바(120)들의 각각의 사이, 또는, 프레임(110)과 이웃하는 베어링-바(120)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스폿돌기(140)는 프레임(110) 또는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를 결합시키기 위해, 프레임(110)과 크로스-바(130)의 접촉 부분, 또는,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의 접촉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스폿돌기(140)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개 내지 4개의 스폿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스폿돌기(1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여기서, 스폿돌기(140)는 프레임(11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베어링-바(12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크로스-바(1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스폿돌기(140)가 크로스-바(130)에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스폿돌기(140)는, 도 2를 참조하면, 크로스-바(130)에 구비된 돌출부(15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크로스-바(130)는 프레임(110) 또는 베어링-바(120)의 측면에 면접촉되는 돌출부(150)가 형성될 수 있고, 스폿돌기(140)는 크로스-바(130)의 돌출부(15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크로스-바(130)가 프레임(110) 또는 베어링-바(120)에 접촉될 때 크로스-바(130)에 형성된 스폿돌기(140)가 프레임(110) 또는 베어링-바(120)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폿돌기(140)가 가열되어 크로스-바(130)가 프레임(110) 또는 베어링-바(12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크로스-바(130)가 프레임(110) 또는 베어링-바(120)와 밀착 결합될 수 있으므로, 강성이 향상되고 도금 품질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스폿돌기(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크로스-바(130)의 돌출부(150)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특히,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스폿돌기(140)는 2열 내지 3열 등 복수의 배열로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지그재그 내지 일정한 형상없이 랜덤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스폿돌기(140)는 가열되어 용융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폿돌기(140)가 스폿 용접되어 용융되면서 프레임(110)과 크로스-바(130)가 결합되거나,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폿 용접에 의해 프레임(110) 또는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의 결합이 자동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에서 용접된 베어링-바와 크로스-바가 후방으로 이동 후 새로운 베어링-바와 크로스-바가 용접을 위해 지지부재에 올려진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서 제1 전극유닛과 제2 전극유닛에 의한 용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3의 이동유닛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과,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을 포함하는 그레이팅(100)을 용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이 연속적으로 계속 용접될 수 있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200)에 관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200)는, 베이스(210)와, 지지부재(220)와, 제1 전극유닛(230)과, 제2 전극유닛(240)을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바닥 등에 놓여지며, 그레이팅(100)의 용접을 위해 그레이팅(100)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재(2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크로스-바(131)를 용접하는 제1 전극유닛(230)과, 제2 크로스-바(132)를 용접하는 제2 전극유닛(240)이 결합된다.
지지부재(220)는 베이스(210)에 결합되며, 그레이팅(1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이 용접을 위해 지지부재(220)의 상측에 올려져 지지된다. 그리고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이 지지부재(220)에 올려지면 제1 전극유닛(230)과 제2 전극유닛(240)에 의해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이 용접되어 상호 결합된다.
제1 전극유닛(230)은 베이스(2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극유닛(230)의 제1 전극부(231)는 예를 들어 가상의 수평선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6의 화살표 B 참조). 그리고 제1 전극유닛(230)의 제1 전극부(231)가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220)에 올려진 제1 크로스-바(131)를 제1 베어링-바(121)의 일측면에 용접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극유닛(240)의 제2 전극부(24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극부(231)의 맞은편에서 제2 크로스-바(132)에 접촉되어 있으며, 제1 전극부(231)가 제1 크로스-바(131)를 가압하는 경우 제1 크로스-바(131)의 가압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제2 전극부(241)가 제2 크로스-바(132)를 가압하므로,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41)가 함께 가압과 용접을 진행하여 제1 베어링-바(121)의 양측면에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를 각각 용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41)는 도선(280, 도 3 참조) 등을 통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전술한 스폿돌기(140)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41)에 의해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에 각각 형성된 스폿돌기(140)가 가열되면 각각의 스폿돌기(140)의 용융에 의해 제1 크로스-바(131) 및 제2 크로스-바(132)와 제1 베어링-바(121)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극유닛(230)은 제1 전극부(231)와 제1 이동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제1 전극부(231)는 제1 크로스-바(131)에 접촉되어 제1 크로스-바(131)에 형성된 스폿돌기(14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 전극부(231)는 크로스-바(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크로스-바(130)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50)와 홈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전극부(231)는 제1 크로스-바(131)의 홈부(1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1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크로스-바(131)의 홈부(160)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면 제1 전극부(231)도 삼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1 크로스-바(131)의 홈부(160)의 형상과 제1 전극부(23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크로스-바(131)가 복수의 돌출부(150)들과 홈부(160)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전극부(231)는 복수의 홈부(160)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160)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부(231)가 가로방향(도 6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제1 전극부(231)가 제1 크로스-바(131)의 복수의 홈부(160)에 각각 삽입되어 가열하며 이에 의해 제1 전극부(231)의 한 번의 이동으로 제1 크로스-바(131)의 모든 돌출부(150)가 제1 베어링-바(12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이동부재(232)는 제1 전극부(231)에 결합되어 제1 전극부(231)를 이동시킨다. 제1 이동부재(232)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전극부(231)가 용접을 위해 제1 크로스-바(131)를 향해 이동하거나, 용접 완료 후 제1 크로스-바(131)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유닛(230)은 제1 전극부(231)를 지지하는 제1 받침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부(233)에는 제1 전극부(231)가 결합되며 또한 피스톤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스톤의 구동력이 제1 받침부(233)를 통해 제1 전극부(231)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전극유닛(240)은 제1 전극유닛(230)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베이스(210)에 결합된다. 제2 전극유닛(240)은 제2 크로스-바(132)를 제1 베어링-바(121)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다른 측면, 예를 들어 제1 크로스-바(131)의 맞은 편에 용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극유닛(240)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2 전극유닛(240)이 고정되고 제1 전극유닛(230)만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베어링-바(121)의 양측면에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를 함께 용접할 수는 있지만, 제1 크로스-바(131)에 다른 베어링-바(120)들을 연속적으로 용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용접된 크로스-바(130)와 베어링-바(120)를 수작업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장치의 자동화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 전극유닛(240)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한정 설명에 의해 제2 전극유닛(240)이 고정된 경우의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전극유닛(240)은 베이스(2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6을 참조하면, 제2 전극유닛(240)의 제2 전극부(241)는 예를 들어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6의 화살표 C 참조). 제2 전극유닛(240)의 제2 전극부(241)는 제1 전극부(231)의 맞은편에서 제2 크로스-바(132)에 접촉되어 있으며, 제1 전극부(231)가 제1 크로스-바(131)를 가압하는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을 향해 제2 크로스-바(132)를 가압하면서 용접을 진행한다.
제2 전극유닛(240)은 제2 전극부(241)와 제2 이동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제2 전극부(241)는 제2 크로스-바(132)에 접촉되어 제2 크로스-바(132)에 형성된 스폿돌기(140)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2 전극부(241)는 제1 전극부(231)와 마찬가지로 크로스-바(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유닛(230)의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크로스-바(130)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50)와 홈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전극부(241)는 제2 크로스-바(132)의 홈부(16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1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크로스-바(132)의 홈부(160)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진다면 제2 전극부(241)도 삼각형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제2 크로스-바(132)의 홈부(160)의 형상과 제2 전극부(241)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크로스-바(132)가 복수의 돌출부(150)들과 홈부(160)들을 포함하는 경우 제2 전극부(241)는 복수의 홈부(160)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160)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부(241)가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제2 전극부(241)가 제2 크로스-바(132)의 복수의 홈부(160)에 각각 삽입되어 가열하며 이에 의해 제2 전극부(241)의 한 번의 이동으로 제2 크로스-바(132)의 모든 돌출부(150)가 제1 베어링-바(12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부(241)는 세로방향, 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지지부재(220)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220)에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부(241)는 지지부재(22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부(241)가 복수이면 지지부재(220)에 형성된 구멍 역시 제2 전극부(241)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이동부재(242)는 제2 전극부(241)에 결합되어 제2 전극부(241)를 이동시킨다. 제2 이동부재(242)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에 결합되어 있는 제2 전극부(241)가 용접을 위해 제2 크로스-바(132)를 향해 이동하거나, 용접 완료 후 제2 크로스-바(132)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극유닛(240)은 제2 전극부(241)를 지지하는 제2 받침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받침부(미도시)에는 제2 전극부(241)가 결합되며 또한 피스톤에 결합될수 있다. 즉, 피스톤의 구동력이 제2 받침부(미도시)를 통해 제2 전극부(241)에 전달될 수 있다.
이동유닛(250)은 적어도 일부의 용접이 완료된 베어링-바(120)들에 각각 접촉되어 지지부재(220)를 따라 베어링-바(120)들을 이동시키도록 베이스(2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동유닛(25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가 제1 베어링-바(121)에 용접으로 결합되면 제1 베어링-바(121)를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전극부(231)는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크로스-바(131)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제2 전극부(241)는 지지부재(220)의 구멍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베어링-바(121)의 이동 시 제2 크로스-바(132)와 제2 전극부(241)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 베어링-바(121)가 이동유닛(25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제1 크로스-바(131)에 근접하게 제2 베어링-바(122)의 어느 일측면이 위치하게 되고 제2 베어링-바(122)의 다른 측면에 제3 크로스-바(133)가 위치하며, 제2 전극유닛(240)의 제2 전극부(241)가 다시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1 전극유닛(230)의 제1 전극부(231)가 가로방향으로 제3 크로스-바(133)를 향해 이동하여 제1 크로스-바(131)와 제3 크로스-바(133)가 제2 베어링-바(122)에 용접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베어링-바(120)들과 복수의 크로스-바(130)들이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그레이팅(100) 용접의 자동화가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크로스-바(130)들과 베어링-바(120)들의 적어도 일부의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이 완료된 크로스-바(130)들과 베어링-바(120)들은 이동유닛(250)에 의해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고 용접이 필요한 새로운 크로스-바(130)와 베어링-바(120)가 제1 전극부(231) 및 제2 전극부(241)측으로 공급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유닛(250)은 이동 슬라이드(251)와, 삽입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슬라이드(251)는 베이스(2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슬라이드(251)의 이동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252)는 이동 슬라이드(251)에 결합되어 이동 슬라이드(251)와 함께 이동하고, 베어링-바(120), 예를 들어 제1 베어링-바(121)에 삽입되는 삽입홈(25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252)의 삽입홈(256)에 베어링-바(120), 예를 들어 제1 베어링-바(121)가 삽입되면 이동 슬라이드(251)가 제1 베어링-바(121)를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베어링-바(121)가 이동하면 제1 베어링-바(121)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동유닛(250)이 상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부의 용접이 완료된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공급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이송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20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2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공급유닛(260)과 이송유닛(27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공급유닛(260)은 용접을 위해 지지부재(220)측으로 그레이팅(1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어링-바(121)의 양측면에서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가 각각 용접되어 결합되면 제2 베어링-바(122)와 제3 크로스-바(133)가 공급유닛(260)을 통해 지지부재(220)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공급유닛(260)은 안착부재(261)와, 회전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재(261)에는 그레이팅(1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이 안착된다. 안착부재(261)에는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가 함께 안착될 수도 있고 또는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가 별개로 안착되어 지지부재(220)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회전부재(262)는 안착부재(261)에 결합되어 안착부재(261)를 회전시킨다. 회전부재(262)의 회전에 연동되어 안착부재(261)가 작동되며 안착부재(261)에 안착된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가 지지부재(220)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유닛(270)은 공급유닛(260)에 놓여진 그레이팅(100)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베어링-바(120)들과 크로스-바(130)들을 지지부재(220)로 이송할 수 있다.
이송유닛(270)은 이송암(271)과, 이송암 가이드(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암(271)은 공급유닛(260)측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송암(271)이 공급유닛(260)의 안착부재(261)측으로 이동하여 안착부재(261)에 안착되어 있는 베어링-바(120)와 크로스-바(130)를 지지부재(220)측으로 이송한다. 이송암 가이드(272)는 이송암(271)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이송암 가이드(272)에 의해 이송암(271)은 전후좌우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암 가이드(272)는 LM 가이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00) 용접 방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따른 그레이팅 용접 장치(2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베어링-바(121) 및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가 지지부재(220) 상측에 올려져 있다. 그리고 제2 전극유닛(240)의 제2 전극부(241)가 지지부재(22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세로방향, 예를 들어 상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부재(22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제2 크로스-바(132)에 접촉하거나 또는 제2 크로스-바(132)로부터 미세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전극유닛(240)의 제2 전극부(241)의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전극유닛(230)의 제1 전극부(231)가 제2 크로스-바(13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상의 수평선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크로스-바(131)를 가압하며 이에 의해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 사이에 배치된 제1 베어링-바(121)의 양측면에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가 각각 접촉된다.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41)가 전기 에너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에 각각 형성된 스폿돌기(140)를 가열하면 스폿돌기(140)의 용융에 의해 제1 베어링-바(121)의 양측면에서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가 각각 용접되어 결합된다.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50)와 홈부(1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전극유닛(230)의 제1 전극부(231)는 제1 크로스-바(131)의 홈부(160)에 삽입되고, 제2 전극유닛(240)의 제2 전극부(241)는 상기 제2 크로스-바(132)의 홈부(160)에 삽입되며, 제1 전극부(231)와 제2 전극부(241)가 제1 베어링-바(121)에 대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 각각을 가압하면서 용접한다.
제1 베어링-바(121)의 양측면에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의 용접이 완료되면 제1 전극부(231)는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크로스-바(131)로부터 이격되고 제2 전극부(241)는 세로방향, 예를 들어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2 크로스-바(132)로부터 이격되며, 제1 크로스-바(131)와 제2 크로스-바(132)가 결합된 제1 베어링-바(121)는 이동유닛(25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제1 크로스-바(131)에 근접하게 제2 베어링-바(122)가 위치하고 제2 베어링-바(122)에 근접하게 제3 크로스-바(133)가 위치하며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전극유닛(230)과 제2 전극유닛(240)이 제2 베어링-바(122)에 제1 크로스-바(131)와 제3 크로스-바(133)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레이팅(100) 용접이 연속적으로 계속해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레이팅(100) 용접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그레이팅 110 : 프레임
111 : 장변 프레임 112 : 단변 프레임
120 : 베어링-바 121 : 제1 베어링-바
122 : 제2 베어링-바 130 : 크로스-바
131 : 제1 크로스-바 132 : 제2 크로스-바
133 : 제3 크로스-바 140 : 스폿돌기
150 : 돌출부 160 : 홈부
200 : 그레이팅 용접 장치 210 : 베이스
220 : 지지부재 230 : 제1 전극유닛
231 : 제1 전극부 232 : 제1 이동부재
233 : 제1 받침부 240 : 제2 전극유닛
241 : 제2 전극부 242 : 제2 이동부재
250 : 이동유닛 251 : 이동 슬라이드
252 : 삽입부재 256 : 삽입홈
260 : 공급유닛 261 : 안착부재
262 : 회전부재 270 : 이송유닛
271 : 이송암 272 : 이송암 가이드
280 : 도선

Claims (2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빈 공간에 배치된 다수의 베어링-바들(bearing-bars) 및 서로 이웃하는 베어링-바들의 각각의 사이 또는, 상기 프레임과 베어링-바 사이에 각각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크로스-바들을 포함하는 그레이팅을 용접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되는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올려진 제1 크로스-바를 상기 베어링-바의 일측면에 용접하며 상기 제1 크로스-바에 접촉되어 가열하는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1 전극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전극부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제1 전극유닛; 및
    상기 제1 전극유닛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2 크로스-바를 상기 베어링-바의 일측면과 반대되는 다른 측면에 용접하는 제2 전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크로스-바는 돌출부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제1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그레이팅 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유닛은 가상의 수평선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바는 복수의 돌출부들과 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홈부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유닛은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유닛은,
    상기 제2 크로스-바에 접촉되어 가열하는 제2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전극부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로스-바는 돌출부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제2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로스-바는 복수의 돌출부들과 홈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복수의 홈부들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홈부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바에 접촉되어 상기 베어링-바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슬라이드; 및
    상기 이동 슬라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바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용접을 위해 상기 지지부재측으로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를 공급하는 공급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은,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에 놓여진 상기 그레이팅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지지부재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공급유닛을 향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송암; 및
    상기 이송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송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6.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프레임 및 상기 베어링-바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크로스-바의 접촉 부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폿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2항 및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용접 장치를 이용하는 그레이팅 용접 방법으로써,
    (a) 제2 전극유닛이 지지부재에 지지된 제2 크로스-바측에 위치하는 단계; 및
    (b) 제1 전극유닛이 상기 제2 크로스-바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제1 크로스-바를 가압하여 상기 제1 크로스-바와 상기 제2 크로스-바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바에 상기 제1 크로스-바와 상기 제2 크로스-바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용접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2 전극유닛이 가상의 수직선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크로스-바측에 위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전극유닛이 가상의 수평선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크로스-바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바 및 상기 제2 크로스-바는 돌출부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유닛은 상기 제1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전극유닛은 상기 제2 크로스-바의 홈부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 용접 방법.

KR1020160174898A 2016-12-20 2016-12-20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 KR101860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98A KR101860821B1 (ko) 2016-12-20 2016-12-20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898A KR101860821B1 (ko) 2016-12-20 2016-12-20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821B1 true KR101860821B1 (ko) 2018-05-25

Family

ID=6229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898A KR101860821B1 (ko) 2016-12-20 2016-12-20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8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879A (ja) * 2001-07-19 2003-02-04 Kaneso Co Ltd グレーチング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用いる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879A (ja) * 2001-07-19 2003-02-04 Kaneso Co Ltd グレーチング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用いる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84182U (zh) 电机轴卡簧装配装置
KR100835574B1 (ko) 금속 팔레트의 제조 장치
KR101402059B1 (ko) 스폿 용접장치
KR101860821B1 (ko) 그레이팅 용접 장치 및 그레이팅 용접 방법
KR20190083911A (ko) 용접성이 향상된 그레이팅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54435B (zh) 电阻焊接系统
KR100596627B1 (ko) 매트리스용 링구 용접장치
KR101494330B1 (ko) 그레이팅
KR20190121425A (ko) 단열재 다열 컷팅장치
CN211136131U (zh) 一种电气自动化焊接设备
CN103433610A (zh) 丝管蒸发器专用焊机与焊接方法
KR20110064186A (ko) 그레이트 용접장치
KR100948410B1 (ko) 콘크리트 배수로용 철구조물 제조장치
JP2009142863A (ja) 網状筋曲げ機
CN103663076B (zh) 乘客传送设备
KR101528296B1 (ko) 드럼 스크린
KR100694226B1 (ko) 콘크리트 수로관용 용접철망의 소켓 제조장치
KR101628080B1 (ko) 평판 스크린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50091617A (ko) 자동차 휠 열처리 바스켓
KR101468464B1 (ko) 롤 레이저 용접기용 스패터 차단장치
KR20170075947A (ko) 금속팔레트의 판재와 격자프레임을 결합하는 점 용접장치를 이용한 점 용접방법
JP3240259U (ja) グレーチング切断送り装置
CN211990343U (zh) 一种校直机
KR102546572B1 (ko) 전기매트용 자동 전선매립 장치
KR102468677B1 (ko) 금속판재의 곡면가공용 벤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