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853B1 - 소포 장치 - Google Patents

소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853B1
KR101859853B1 KR1020167000288A KR20167000288A KR101859853B1 KR 101859853 B1 KR101859853 B1 KR 101859853B1 KR 1020167000288 A KR1020167000288 A KR 1020167000288A KR 20167000288 A KR20167000288 A KR 20167000288A KR 101859853 B1 KR101859853 B1 KR 10185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blade
axial
shaft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687A (ko
Inventor
히로후미 시로타
마사토 오다
도시키 하기모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코 칸쿄 카가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8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01F7/24
    • B01F2215/0052

Abstract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2)과, 회전축(2)에 장착되어 있는 중공 구조의 소포 블레이드(4)와, 소포 블레이드(4)의 하방에 장착되어, 소포 블레이드(4)에 대하여 회전축(2)의 축 방향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축 방향 안내 장치(16)를 갖는 소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포 장치{DEFOAMING DEVICE}
본 발명은, 소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8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175045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여,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용기 내의 피처리수 상에 발생하는 다량의 거품을 처리하여, 거품 누출이나 작업 환경의 악화를 억제하기 위한 소포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소포 장치는, 상판과 하판과,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있어서 회전 중심부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핀과, 하판의 회전 중심부에 개구한 거품 흡인구를 갖는 로터(소포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핀 사이에는, 거품 흡인구에 연통하여 로터의 외주측에 있어서 배출구를 갖는 소포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거품은 상판과 하판과 핀에 충돌하여 파괴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16113호
그런데, 소포 장치에는 소포 장치에 의하여 야기되는 피처리수 상의 거품에 대한 소포 작용의 효과의 범위를 넓게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포 장치에는, 단순한 소포뿐만 아니라, 소포 블레이드에 대하여 이간하는 거품에 대하여 소포 작용을 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또, 소포 장치에는, 거품을 침강시킴으로써 액 중에 거품이 농축한 것을 용해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즉, 소포 장치에는, 처리 가능한 거품의 높이의 확대나, 용해 작용의 촉진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소포 블레이드만의 형상 변경으로는, 처리 가능한 거품의 높이에는 한계가 있어, 소포 작용의 효과의 범위를 넓게 할 수 없었다.
이 발명은, 소포 장치에 의하여 야기되는 소포 작용의 효과의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는 소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소포 장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어 있는 중공 구조의 소포 블레이드와, 상기 소포 블레이드의 하방에 장착되어, 상기 소포 블레이드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축 방향 안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축 방향 안내 장치를 거품부에 삽입함으로써 거품부에 상방을 향하는 유동성, 또는 하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된다. 이로써, 소포 장치에 의하여 야기되는 소포 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소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안내 장치는, 상기 회전축과 동심에 마련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마련된 볼록 조부(條部)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축 방향 안내 장치의 축부의 회전을 반전시킴으로써, 유동성이 부여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축 방향 안내 장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소포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거품부를 침강시킬 수 있다.
상기 소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안내 장치는, 상기 회전축과 동심에 마련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패임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소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안내 장치는, 상기 회전축과 동심에 마련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소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 안내 장치는, 상기 회전축과 동심에 마련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 방향 안내 장치를 거품부에 삽입함으로써 거품부에 상방을 향하는 유동성, 또는 하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된다. 이로써, 소포 장치에 의하여 야기되는 소포 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일부 단면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체 및 축 방향 안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측방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측방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체 및 축 방향 안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체 및 축 방향 안내 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체 및 축 방향 안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체 및 축 방향 안내 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의 소포체 및 축 방향 안내 장치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축 방향 안내 장치의 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내부에 피처리액(W)이 저장되는 통 형상의 처리조(50)에, 소포 장치(1)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처리조(50)는, 배수를 농축하여 반고체 형상으로 하여, 마지막에는 소각하는 설비의 일부에 마련되는 것이다. 처리조(50)에는, 급배수 장치(51)를 통하여 피처리액(W)이 되는 배수가 공급 또는 배출된다.
또한, 피처리액(W)이 되는 배수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이나 계면활성제, 아크릴아마이드나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의 접착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배수의 수면에는, 수송, 교반, 원심 분리 처리 등으로 발생한 거품(부호 B로 나타냄)이 부유하고 있다.
소포 장치(1)가 마련되는 처리조(50)는, 주위를 둘러싸는 측벽(52)과 그 상부를 덮는 슬래브(53)를 갖고 있다. 슬래브(53)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54)에는, 통 형상의 지지부(5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부(55)의 상부에는 장착 가대(56)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 가대(56)는, 소포 장치(1)를 지지하고 있다. 장착 가대(56)의 중앙부에는, 구동부인 구동 모터(57)가 마련되어, 이 구동 모터(57)의 회전축(2)에, 본 발명에 관한 소포체(3) 및 축 방향 안내 장치(16)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 모터(57)의 회전축(2)은, 처리조(50)의 중앙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회전축(2)의 하단부에, 소포체(3) 및 축 방향 안내 장치(16)가 장착되어 있다. 또, 회전축(2)은, 회전축(2)의 축선(2A)을 따르도록 장착 가대(56)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소포체(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포체(3)는, 회전축(2)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중공 구조의 소포 블레이드(4)를 갖고 있다. 각각의 소포 블레이드(4)는, 회전축(2)의 회전 방향 R 상류측으로 개구하여 거품(B)이 유입되는 유입구(5)와, 회전축(2)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구하여 거품(B)이 배출되는 배출구(6)를 갖고 있다. 소포체(3)는, 회전축(2)의 회전에 의하여 유입구(5)를 전방으로 하여 회전한다.
소포 블레이드(4)는, 서로 회전축(2)의 축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판 부재인 상 디스크(7) 및 하 디스크(8)와, 상 디스크(7)와 하 디스크(8)를 접속하는 구획판(9)을 갖고 있다. 상 디스크(7) 및 하 디스크(8)는, 회전축(2)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삼각형 형상을 이루는 판 형상 부재이다.
소포 블레이드(4)는, 상 디스크(7)와 하 디스크(8)와 구획판(9)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면에 의하여, 단면 삼각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하 디스크(8)의 주면은, 회전축(2)의 축선(2A)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 디스크(7)는, 회전축(2)의 축선(2A)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구획판(9)은, 하 디스크(8)와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 디스크(7)의 회전 방향(R)의 전방의 변(이하, 상 전방변(11)이라고 부름)과 하 디스크(8)의 회전 방향(R)의 전방의 변(하 전방변(12))의 사이에 유로의 유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5)는, 상 디스크(7)의 상 전방변(11)과, 하 디스크(8)의 하 전방변(12)과, 회전축(2)의 외주면으로 이루어지는 삼각 형상의 개구이다.
하 디스크(8)의 하 전방변(12)은, 회전축(2)보다 방사 방향으로 외방으로 뻗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 디스크(7)의 상 전방변(11)은, 회전축(2)의 직경 방향(이하, 간단히 직경 방향이라고 부름) 내측이 하 디스크(8)의 하 전방변(12)보다 회전 방향(R)의 후방으로 후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디스크(7)의 상 전방변(11)은,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11a)가 하 디스크(8)의 전방변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12a)와 일치하고 있지만,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11b)는, 하 디스크(8)의 직경 방향 내측의 단부(12b)보다 회전 방향(R) 후방으로 이동하고 있다.
상 디스크(7) 및 하 디스크(8)의 회전 방향(R) 후방의 변(이하, 후방변(13)이라고 부름)은, 회전축(2)보다 방사 방향으로 외방으로 뻗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 디스크(7) 및 하 디스크(8)의 측방의 변으로서, 회전축(2)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변(이하, 측방변(14)이라고 부름)은, 하 전방변(12)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 디스크(7) 및 하 디스크(8)의 후방변(13)과 측방변(14)이 교차하는 부분의 근방은, 비스듬하게 잘려 나간 형상을 갖고 있다. 이 부분에는, 유로의 배출구(6)가 형성되어 있다.
상 디스크(7)의 후방변(13)과 하 디스크(8)의 후방변(13)은, 구획판(9)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즉, 구획판(9)은, 유입구(5)로부터 유입된 거품(B)에 대향함과 함께, 거품(B)을 배출구(6)로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 디스크(7)와 하 디스크(8)는, 측방변(14)에 직접 단부끼리가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상 디스크(7)와 하 디스크(8)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접근한다. 즉, 상 디스크(7)는, 수평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축 방향 안내 장치(1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 안내 장치(16)는, 회전축(2)이 연장되도록, 회전축(2)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축부(17)와, 축부(17)의 외주면에 마련된 한 쌍의 볼록 조부인 나선 블레이드부(18)를 갖고 있다. 나선 블레이드부(18)는, 이중 나선 구조로 되어 있다.
축부(17)는, 소포체(3)의 하방으로 뻗어 있다. 축부(17)는, 소포체(3)의 축 방향의 치수(두께)보다 충분히 길다(예를 들면 5배). 즉, 축부(17)는, 소포체(3)의 하면이 거품면(SB)(도 1 참조)에 대하여 이간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거품(B)에 접촉 가능한 길이를 갖고 있다.
나선 블레이드부(18)는, 축부(1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축부(17)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마련된 판 형상의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나선 블레이드부(18)의 직경은, 소포체(3)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축부(17)는, 회전축(2)을 하방으로 연장한 것 이어도 된다. 즉, 회전축(2)과 축부(17)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나선 블레이드부(18)는, 소포체(3)의 형상에 대응하여 우측 권취(Z권취)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나선 블레이드부(18) 중 일방은, 일방의 소포 블레이드(4)의 유입구(5)를 구성하는 하 디스크(8)의 하 전방변(12)에 접속되어 있다. 또, 한 쌍의 나선 블레이드부(18) 중 타방은, 타방의 소포 블레이드(4)의 유입구(5)의 하 전방변(1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의 소포 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포체(3)가 거품면(SB)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하단이 액면(SW)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화살표 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57)(도 1 참조)의 회전축(2)을 구동함으로써, 소포체(3) 및 축 방향 안내 장치(16)를 회전시킨다. 회전 속도는 1000rpm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러면, 거품(B)에 상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되어, 거품(B)이 거품면(SB)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소포체(3)에 도입된다. 즉, 통 형상 소포체(3)에 의한 소포에 적합한 거품의 높이(SB1)보다, 거품의 높이가 낮은 경우(SB2)에도 거품(B)을 소포체(3)에 흡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나선 블레이드부(18)에 접촉한 거품(B)이, 나선 블레이드부(18)에 옮겨지도록 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나선 블레이드부(18)와 하 디스크(8)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거품(B)은 소포체(3)에 원활하게 도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소포 효과가 촉진된다.
축 방향 안내 장치(16)에 의하여 소포체(3)에 도입된 거품(B)은, 유입구(5)로부터 유입되어, 배출구(6)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상 디스크(7)와 하 디스크(8)가,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가까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유입구(5)로부터 유입된 거품(B)은 확실히 압축되어 파포(破泡)된다.
또, 상 디스크(7)의 상 전방변(11)이 배출구(6)측으로 오프셋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구(5)의 상방으로부터도 거품(B)이 유입된다.
한편, 유입구(5)가 거품을 흡입할 때에는, 소포 블레이드(4)의 회전에 의하여 전단 파포가 발생한다. 전단 파포가 발생함으로써 유입구(5)의 거품(B)의 흡인력이 더 증가한다.
또, 상 디스크(7)가 하방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파포된 거품(B)은, 하방 및 원방으로 분무되어, 샤워 효과에 의한 소포가 이루어지는이다.
한편, 도 7에 화살표 R2로 나타내는 방향, 즉 도 6의 R1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소포체(3) 및 축 방향 안내 장치(16)를 회전시키면, 거품(B)을 침강시킬 수 있다. 즉, 거품(B)에 하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된다. 구체적으로는,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나선 블레이드부(18)에 접촉한 거품(B)이, 나선 블레이드부(18)에 옮겨지도록 하여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피처리액(W) 중에 거품(B)이 압축된 것을 용해시키는 작용이 촉진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전하는 축 방향 안내 장치(16)를 거품면(SB)에 삽입함으로써 거품면(SB)에 상방을 향하는 유동성, 또는 하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된다. 이로써, 소포 장치(1)에 의하여 피처리수(W) 상의 거품(B)에 야기되는 소포 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축부(17)의 회전을 반전시킴으로써, 유동성이 부여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축 방향 안내 장치(1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소포 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거품(B)을 침강시킬 수 있다.
또, 소포체(3)에 있어서는, 유입구(5)로부터 유입되는 거품(B)이 배출구(6)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 축 방향 간격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상 디스크(7) 및 하 디스크(8)에 의하여 압축된다. 소포 장치(1)는, 상 디스크(7)와 하 디스크(8)의 측방변(14)끼리가 접속되어 거품의 유로의 축 방향의 간격이 보다 좁아지기 때문에, 압축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소포 블레이드(4)가 상 디스크(7), 하 디스크(8), 및 구획판(9)으로만 형성되기 때문에, 소포 블레이드(4)를 구성하는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즉, 보다 용이하게 소포 블레이드(4)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유입구(5)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한 경우와 비교하면, 유입구(5)의 면적을 확보하면서, 보다 직경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즉, 회전할 때의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고, 유입구(5)의 직경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소포 블레이드(4)의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의 주속이 커진다. 이로써, 전단 파포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직사각형 형상의 유입구(5)와 축 방향 길이 및 직경 방향 길이를 동일하게 한 경우, 개구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저동력화가 가능해진다.
또, 유입구(5)가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부터의 거품의 유입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보다 많은 거품(B)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형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나선 블레이드부(18)를 이중 나선 구조로 했지만, 나선 블레이드부(18)를 이중으로 하지 않고 단일의 나선 블레이드부(18)를 축부(17)의 외주면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는, 3개 이상의 나선 블레이드부(18)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나선 블레이드부(18)의 권취의 방향은 우측 권취(Z권취)에 한정되지 않고, 좌측 권취(S권취)로 해도 된다.
또, 나선 블레이드부(18)는, 판 형상 부재로부터 형성할 필요는 없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사각 형상의 봉재(19)를 나선 형상으로 감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봉재(19)의 단면 형상은, 사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환 형상이나, 삼각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17)에 나선 형상의 홈(20)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홈(20)의 단면 형상은, 원호 형상이어도 되고, 직사각형 형상이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축 방향 안내 장치(16B)는, 축부(17)와, 축부(17)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패임부(21)를 갖고 있다.
패임부(21)는, 반구 형상의 오목부이며, 축부(17)의 외주면에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부(17)의 축 방향으로 직선 상에 나열된 복수의 패임부(21)에 의한 열이 축부(17)의 둘레 방향에 복수 열 형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에 인합하는 패임부(21)는, 축 방향으로 오프셋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동일한 위치에 축 방향 안내 장치(16B)를 배치하여 축 방향 안내 장치(16B)를 회전시키면, 피처리액(W)의 점성 등의 성상과 패임부(21)의 형상 등에 따라 거품(B)에 상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되거나, 하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되거나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품(B)의 거동은, 패임부(21)의 형상, 크기, 수량, 간격 등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대상이 되는 피처리액(W)의 성상에 맞추어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임부(21)의 형상은, 상술한 반구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각 형상의 오목부여도 된다. 또, 반구 형상의 오목부와 사각 형상의 오목부가 혼재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가 아닌 반구 형상의 돌기(22)여도 된다. 돌기(22)의 형상은 반구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의 돌기여도 된다.
또, 패임부(21)와 돌기(22)를 혼재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패임부(21), 돌기(22)의 구성은, 대상이 되는 피처리액(W)의 성상에 맞추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 방향 안내 장치(16B)의 상방에 패임부(21)를 형성하고, 축 방향 안내 장치(16B)의 하방에 돌기(2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축 방향 안내 장치(16B)의 하방을 향함에 따라, 거품(B)과 축 방향 안내 장치(16)의 접촉 면적이 커진다.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형태의 소포 장치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축 방향 안내 장치(16C)는, 축부(17)와, 축부(17)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축부(1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복수의 직선 블레이드부(23)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직선 블레이드부(23)는, 축부(17)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형태는 4개) 마련되어 있는 직사각형판 형상의 부재이다. 직선 블레이드부(23)는, 축부(17)의 외주면과 직교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축 방향 안내 장치(16C)도 제2 실시형태의 축 방향 안내 장치(16B)와 마찬가지로, 도 1과 동일한 위치에 축 방향 안내 장치(16C)를 배치하고, 축 방향 안내 장치(16C)를 회전시키면, 피처리액(W)의 점성 등의 성상과 직선 블레이드부(23)의 크기 등에 따라 거품(B)에 상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되거나, 하방을 향하는 유동성이 부여되거나 한다.
또한, 직선 블레이드부(23)의 형상, 수량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삼각 형상의 삼각 블레이드부(24)여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이 됨으로써, 거품(B)과 축 방향 안내 장치(16C)의 접촉 면적이 하방을 향함에 따라 커진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블레이드부(23)의 형상은, 상술한 직사각형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면 원형의 봉 형상 부재(25)를 이용한 형상이어도 된다. 봉 형상 부재(25)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이나, 삼각 형상이어도 된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블레이드부(23)(또는 삼각 블레이드부(24))가 경사져 축부(17)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직선 블레이드부(23)의 직경 방향 외주측이 회전 방향의 하류측을 향하도록 경사시킨 경우, 축 방향 안내 장치(16C)가 회전할 때의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특징을 임의로 조합한 구성이어도 된다.
1 소포 장치
2 회전축
3 소포체
4 소포 블레이드
5 유입구
6 배출구
7 상 디스크(판 부재)
8 하 디스크(판 부재)
9 구획판
11 상 전방변
12 하 전방변
16 축 방향 안내 장치
17 축부
18 나선 블레이드부(볼록 조부)
19 봉재
20 홈
21 패임부
22 돌기
23 직선 블레이드부
24 삼각 블레이드부
25 봉 형상 부재
50 처리조
51 급배수 장치
52 측벽
54 개구부
57 구동 모터(구동부)
B 거품
R1, R2 회전 방향
W 피처리액

Claims (5)

  1.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삼각 형상의 유입구를 가지고 있는 중공 구조의 소포 블레이드와,
    상기 소포 블레이드의 하방에 장착되어, 상기 소포 블레이드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축 방향 안내 장치를 갖고,
    상기 축 방향 안내 장치는, 상기 회전축과 동심에 마련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됨과 함께,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마련된 판형상의 나선 블레이드부를 갖고,
    각각의 상기 나선 블레이드부는, 상기 유입구의 하 전방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7000288A 2013-08-26 2014-07-25 소포 장치 KR101859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5045A JP6148935B2 (ja) 2013-08-26 2013-08-26 消泡装置
JPJP-P-2013-175045 2013-08-26
PCT/JP2014/069714 WO2015029662A1 (ja) 2013-08-26 2014-07-25 消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687A KR20160018687A (ko) 2016-02-17
KR101859853B1 true KR101859853B1 (ko) 2018-05-18

Family

ID=52586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288A KR101859853B1 (ko) 2013-08-26 2014-07-25 소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8935B2 (ko)
KR (1) KR101859853B1 (ko)
CN (1) CN105407996B (ko)
WO (1) WO2015029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9735A (zh) * 2018-07-10 2018-12-18 马鞍山市润启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消泡装置
CN109595422B (zh) * 2018-12-10 2020-11-10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基于旋转式扭带的蒸汽冷凝诱导水锤消除装置
CN112811496A (zh) * 2020-12-30 2021-05-18 杨远明 一种气动水处理消泡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812A (ja) * 2003-08-05 2005-03-03 Takeshi Nakajima 消泡方法
JP2006075782A (ja) * 2004-09-13 2006-03-23 Shin Meiwa Ind Co Ltd 曝気槽の泡抑制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生ごみ処理装置
JP2007216113A (ja) 2006-02-15 2007-08-30 Sanshu Densen Kk 消泡装置
JP2008296130A (ja) * 2007-05-31 2008-12-11 Mitsubishi Materials Corp 消泡装置、消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貯留槽
JP2012076029A (ja) * 2010-10-01 2012-04-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消泡機、及び消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845Y2 (ja) * 1981-09-08 1984-06-29 荏原インフイルコ株式会社 消泡装置の消泡羽根
DE3639690C1 (en) * 1986-11-20 1988-06-09 Leonhard Dipl-Ing Fuchs Foam breaker
JPH059601U (ja) * 1991-06-03 1993-02-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泡装置の消泡羽根
US5792246A (en) * 1995-06-30 1998-08-11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Defoaming apparatus
JP2781751B2 (ja) * 1995-08-28 1998-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消泡装置
JP3607828B2 (ja) * 1999-03-12 2005-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処理液の消泡装置、処理液の消泡方法、処理液の循環装置および処理液の循環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812A (ja) * 2003-08-05 2005-03-03 Takeshi Nakajima 消泡方法
JP2006075782A (ja) * 2004-09-13 2006-03-23 Shin Meiwa Ind Co Ltd 曝気槽の泡抑制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生ごみ処理装置
JP2007216113A (ja) 2006-02-15 2007-08-30 Sanshu Densen Kk 消泡装置
JP2008296130A (ja) * 2007-05-31 2008-12-11 Mitsubishi Materials Corp 消泡装置、消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液体貯留槽
JP2012076029A (ja) * 2010-10-01 2012-04-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消泡機、及び消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07996A (zh) 2016-03-16
JP6148935B2 (ja) 2017-06-14
JP2015042400A (ja) 2015-03-05
CN105407996B (zh) 2017-09-19
WO2015029662A1 (ja) 2015-03-05
KR20160018687A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544B1 (ko) 소포체
KR101859853B1 (ko) 소포 장치
JP5028637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CN101943181B (zh) 排水泵
JP5307812B2 (ja) 活性汚泥用撹拌装置
RU2010151447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механической деаэрации
KR20170093297A (ko) 타공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버블 생성장치
KR101571092B1 (ko) 수처리용 폭기장치
JP4875778B1 (ja) 曝気攪拌装置
KR101838980B1 (ko)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KR101791365B1 (ko) 소포 장치
JP5770811B2 (ja) 孔付リング及びそれを装着したナノバブル生成装置
JP6178722B2 (ja) 散気ノズル
JP6345545B2 (ja) 曝気撹拌装置
JP2012239977A (ja) 曝気攪拌装置
JP7068036B2 (ja) 気液分離機構
JP3912683B2 (ja) 水中駆動型気液混合・溶解装置
JP2013013861A (ja) 攪拌装置
EP2233749A1 (en) Pressurizing centrifugal pump
JP2012112612A (ja) 液体微細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JP2017113687A (ja) 気液混合装置
NL2007305C2 (nl) Beluchter en werkwijze voor het beluchten van een vloeistof.
CN103922464A (zh) 一种带磨碎装置的潜水曝气机
KR101437513B1 (ko) 버블발생기
WO2017051405A1 (en) Centrifugal a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