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980B1 -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980B1
KR101838980B1 KR1020170078315A KR20170078315A KR101838980B1 KR 101838980 B1 KR101838980 B1 KR 101838980B1 KR 1020170078315 A KR1020170078315 A KR 1020170078315A KR 20170078315 A KR20170078315 A KR 20170078315A KR 101838980 B1 KR101838980 B1 KR 10183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storage tank
foam
auxiliary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진
임주한
고금녀
이춘만
우완식
하재현
Original Assignee
아이엔테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엔테코(주) filed Critical 아이엔테코(주)
Priority to KR102017007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동오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내측에서 작동오일의 상부에 부유하는 거품과 유격되게 배치되고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케이싱, 및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회전에 따른 압력 차이로 거품을 흡입구로 흡입 유도하고 흡입된 거품을 부딪혀서 소포하며 물방울로 변화 후 배출구 측으로 배출 유도함으로써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팬부재를 포함하고, 케이싱의 둘레면 상측과 하측에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여 물방울의 배출 영역을 확대하여 저장탱크 내측의 거품 제거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절삭유 등 작동오일을 순환 저장시에 발생되는 거품을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인해 케이싱으로 흡입 후 액체로 변환한 상태로 케이싱의 둘레면 상측과 하측에서 동시에 방사상으로 분출 유도함에 따라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작동오일의 수면높이에 따라 케이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수면 위의 거품제거를 위한 최적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회전에 연동되는 보조 거품제거장치를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저장탱크 내부의 넓은 범위에서 거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FOAM REMO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유 등 작동오일을 순환 저장시에 발생되는 거품을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인해 케이싱으로 흡입 후 액체로 변환한 상태로 케이싱의 둘레면 상측과 하측에서 동시에 방사상으로 분출 유도함에 따라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작동오일의 수면높이에 따라 케이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수면 위의 거품제거를 위한 최적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 회전에 연동되는 보조 거품제거장치를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저장탱크 내부의 넓은 범위에서 거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이나 절삭장치 등 공작기계는 절삭유나 작동유 등 작동오일을 사용한다.
이 작동오일은 저장탱크에 보관된 상태로 공작기계에 공급되며 순환된다. 특히, 저장탱크 내부의 작동오일은 거품이 발생됨으로써 공작기계로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며 점도가 낮은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장탱크의 작동오일로부터 소포(消泡)하는 설비가 제안된 바 있다.
특히, 기존의 소포설비는 케이싱 및 날개를 구비한다. 그래서, 날개가 회전 구동되면, 흡입관으로부터 공기를 케이싱으로 흡인하고, 배출구를 거쳐 배출한다. 이에 따라, 저장탱크 내의 거품은 흡인관을 통하여 케이싱으로 흡입된다. 이 후, 흡입된 거품은 날개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케이싱의 내주면에 충돌되어 소포된다. 이 소포로 생겨난 물방울은 배출구로부터 저장탱크 내측으로 낙하한다.
저장탱크 내부의 작동오일에서 발생되는 거품의 소포장치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2045호(2004.01.01.공개, 발명의 명칭: 소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작동오일의 소포장치는 날개의 회전시 발생되는 바람으로 인해 케이싱으로 유입되는 거품 양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작동오일의 소포장치는 저장탱크 내측의 작동오일의 수위에 따라 날개와 거품의 거리가 상이해짐에 따라, 거품이 케이싱 내측으로 흡입되지 못하거나 또는 거품 하측의 작동오일이 케이싱 내측으로 흡입됨으로써 날개가 큰 충격력으로 파손이나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작동오일의 소포장치에서 제거되지 못한 거품은 작업장 내에 심한 악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넘쳐흐를 시, 작업장 바닥 등에 흘러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삭유 등 작동오일을 순환 저장시에 발생되는 거품을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인해 케이싱으로 흡입 후 액체로 변환한 상태로 케이싱의 둘레면 상측과 하측에서 동시에 방사상으로 분출 유도함에 따라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동오일의 수면높이에 따라 케이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수면 위의 거품제거를 위한 최적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동오일과 함께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블레이드 파손을 방지하고자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블레이드 회전에 연동되는 보조 거품제거장치를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저장탱크 내부의 넓은 범위에서 거품을 신속히 제거 가능한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는: 작동오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내측에서 상기 작동오일의 상부에 부유하는 거품과 유격되게 배치되고,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회전에 따른 압력 차이로 상기 거품을 상기 흡입구로 흡입 유도하고, 흡입된 상기 거품을 부딪혀서 소포하며 물방울로 변화 후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 유도함으로써 상기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둘레면 상측과 하측에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여 물방울의 배출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저장탱크 내측의 상기 거품 제거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팬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팬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갖는 로어플레이트;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로어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팬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링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링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유격된 채 연결됨으로써 상부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링바디와 상기 로어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유격된 채 연결됨으로써 하부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팬부재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거품을 물방울로 변환 후 상기 상부배출구로 배출 유도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낙하하는 물방울을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 유도하기 위해 허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팬부재는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에서 삽입되는 메인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샤프트는 회전시 보조거품제거유닛이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보조거품제거유닛은, 상기 메인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샤프트;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보조흡입구와 보조배출구를 갖는 보조케이싱; 및 상기 보조케이싱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압력차를 이용하여 거품을 상기 보조흡입구로 유입 후 물방울로 변환한 상태로 상기 보조배출구로 배출 유도하는 보조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배출구는 상기 보조케이싱의 둘레면에 복수 개 배치되는 슬리브에 형성됨으로써 배출되는 상기 물방울에 직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위치조절부에 의해 상기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과 유격되도록 상기 작동오일의 수위에 따라 높낮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수위센서;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높이 조절을 유도하는 볼스크류; 및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설정 후 회전 작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절삭유 등 작동오일을 순환 저장시에 발생되는 거품을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인해 케이싱으로 흡입 후 액체로 변환한 상태로 케이싱의 둘레면 상측과 하측에서 동시에 방사상으로 분출 유도함에 따라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동오일의 수면높이에 따라 케이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수면 위의 거품제거를 위한 최적의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동오일과 함께 금속칩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에 따른 블레이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블레이드 회전에 연동되는 보조 거품제거장치를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저장탱크 내부의 넓은 범위에서 거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용 거품제거장치(100)는 케이싱(200), 팬부재(300) 및 보조거품제거유닛(500)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거품제거장치(100)는 선반 등의 공작기계에 절삭유나 작동유와 같은 작동오일(2)을 공급하는 저장탱크(10)에 구비된다. 이때, 저장탱크(10)는 순환 유동되는 작동오일(2)에 의해 거품(4)이 발생된다. 거품(4)은 작동오일(2)에 부유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거품(4)에 의해 작동오일(2)이 원활하게 공작기계로 공급, 순환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거품제거장치(100)가 저장탱크(10)에 구비되어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을 소포(消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소포'는 저장탱크(10) 내부에서 거품(4)을 액상인 작동오일(2)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에서는, '소포'를 '거품제거'로 기재한다.
한편, 케이싱(200)은 저장탱크(10) 내측에 구비되는데, 작동오일(2)의 수면에서 부유하는 거품(4)과 유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200)은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과 직접적으로 접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케이싱(200)은 흡입구(210)와 배출구(220)를 구비한다. 이때, 흡입구(210)는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을 케이싱(200) 내부로 유입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거품(4)의 원활한 유입 허용을 위해 케이싱(200)의 하측에 형성된다.
아울러, 배출구(220)는 케이싱(200) 내부에서 유입된 거품(6)을 물방울(8)로 상태 변환 후 변환된 물방울(8)을 배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배출되는 물방울(8)은 저장탱크(10)에서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물방울(8)이 저장탱크(10) 내부의 넓은 범위에 걸쳐 비산되며 거품(4)에 낙하되도록, 배출구(220)는 케이싱(200)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케이싱(200)은 흡입구(210)와 배출구(22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200)은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물방울(8)의 배출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팬부재(300)는 케이싱(2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팬부재(300)가 회전시,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은 압력 차이로 인해 흡입구(210)로 자연 흡입된다.
흡입구(210)를 통해 케이싱(200) 내부로 유입된 거품(6)은 회전되는 팬부재(300), 및 팬부재(300)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공기 흐름으로 케이싱(200)의 내측면에 부딪힘으로써 액체 상태인 물방울(8)로 변환된다. 이 후, 물방울(8)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배출구(220)로 배출되며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에 낙하되어 해당 거품(4)을 제거하게 된다.
특히, 케이싱(200)은 둘레면의 상측과 하측에 배출구(222,224)를 각각 형성하여 물방울(8)의 배출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저장탱크(10) 내측의 거품(6) 제거율이 증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케이싱(200)은 어퍼플레이트(232), 로어플레이트(234) 및 링바디(236)를 포함한다.
어퍼플레이트(232)는 팬부재(3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임의적으로 낙하 방지된다. 물론, 어퍼플레이트(2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로어플레이트(234)는 팬부재(3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210)를 형성한다. 로어플레이트(23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링바디(236)는 어퍼플레이트(232)와 로어플레이트(234) 사이에 배치되고, 팬부재(3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어퍼플레이트(232), 링바디(236) 및 로어플레이트(234)는 체결부재(238)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그리고, 어퍼플레이트(232)가 저장탱크(10)에 연결됨에 따라, 케이싱(200)은 임의적으로 낙하되지 않게 된다.
이때, 어퍼플레이트(232)와 로어플레이트(234) 사이 간격(L1)은 링바디(236)의 높이(L2)보다 크게 된다.(L1>L2)
아울러, 링바디(236)는 상하 방향으로 어퍼플레이트(232)와 로어플레이트(234)와 유격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어퍼플레이트(232)와 링바디(236)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유격된 채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을 따라 상부배출구(222)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링바디(236)와 로어플레이트(234)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유격된 채 연결됨으로써 원주 방향을 따라 하부배출구(224)를 형성한다.
그래서, 팬부재(300)에 의해 상변화된 물방울(8)이 상부배출구(222)와 하부배출구(224)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출됨으로써,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은 단시간에 제거될 수 있다.
특히, 팬부재(300)는 작동오일(2)의 수면과 나란한 평면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는 블레이드(310)를 포함한다.
이때, 블레이드(310) 각각은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서서히 상향되도록 경사지는 각도(θ)로 배치된다.
그래서, 블레이드(310)는 흡입구(210)로 유입되는 거품(6)과 부딪히며 물방울(8)로 액상 처리 후, 물방울(8)을 퍼올려 상부배출구(222)로 배출 유도한다. 물론, 블레이드(310)는 기울어짐 각도(θ)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로어플레이트(234)는 흡입구(210) 측에 허브(235)를 구비한다. 허브(235)는 흡입구(210)와 일치되도록 유동안내홀(237)을 통공한다. 아울러, 허브(235)는 가장자리에서 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310)에 부딪히며 상변화된 후 낙하하거나, 링바디(236)에 부딪히며 상변화된 후 낙하하는 물방울(8)이 허브(235)의 표면을 따라 하부배출구(224)를 통해 배출되며 비산된다. 이때, 물방울(8)은 바람의 유동에 의해 상부배출구(222)와 하부배출구(224) 측으로 유동된다.
물론, 허브(2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저장탱크(10)는 상측면에 메인샤프트(400)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다. 그리고, 메인샤프트(400)는 하측에 팬부재(300)를 고정 연결한다.
아울러, 저장탱크(10)는 상측면에 구동부재(410)를 고정 설치한다. 구동부재(410)는 메인샤프트(4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인 것으로 한다. 팬부재(300)는 메인샤프트(40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저장탱크(10)는 보충되는 작동오일(2) 또는 거품(4)의 양 차이로 인해 수면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그래서, 케이싱(200)은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과 일정거리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즉, 케이싱(200)은 위치조절부(600)에 의해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과 설정 거리만큼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작동오일(2)의 수위에 따라 높낮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조절부(600)는 수위센서(610), 볼스크류(620) 및 모터(630)를 포함한다.
수위센서(610)는 저장탱크(10) 또는 케이싱(200)에 구비되어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의 수위를 실시간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수위센서(610)는 저장탱크(10)의 내부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수위센서(6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탱크(10) 또는 케이싱(2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볼스크류(620)는 저장탱크(10)를 통해 케이싱(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물론, 볼스크류(6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싱(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볼스크류(620)는 직접적으로 케이싱(200)을 거치하는 역할을 한다.
볼스크류(620)는 상측이 저장탱크(10)의 상측면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 회전 방향에 따라 케이싱(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모터(630)는 저장탱크(10)에 고정 설치되고, 볼스크류(620)의 상측을 연결한다. 그래서, 수위센서(610)의 신호에 의해, 모터(630)는 볼스크류(620)의 회전 방향을 설정 후 회전 작동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모터(630)는 저장탱크(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케이싱(200)이 상하 이동시, 메인샤프트(400)는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위치 고정될 수도 있다. 물론, 위치조절부(60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메인샤프트(400)는 회전시 보조거품제거유닛(500)이 이에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보조거품제거유닛(500)은 케이싱(200) 둘레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4)을 추가적으로 흡입하여 물방울(8)로 변환 후 배출함으로써 거품(4)의 제거율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조거품제거유닛(500)은 메인샤프트(4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하나의 구동부재(410)만이 구비됨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줄어들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여기서, 보조거품제거유닛(500)은 보조샤프트(510), 보조케이싱(520) 및 보조팬부재(530)를 포함한다.
보조샤프트(510)는 메인샤프트(4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저장탱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보조샤프트(510)는 저장탱크(10)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동력전달부재(512)를 통해 메인샤프트(400)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여기서, 동력전달부재(512)는 체인이나 타이밍벨트 또는 평벨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보조케이싱(520)은 저장탱크(10)에 연결되어 위치 고정되고, 보조흡입구(522)와 보조배출구(524)를 형성한다. 특히, 보조케이싱(520)은 브라켓(526)에 의해 저장탱크(1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브라켓(526)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래서, 보조케이싱(520)은 보조흡입구(522)를 통해 작동오일(2)에 부유하는 거품을 흡입하고, 흡입된 거품(6)이 물방울(8)로 상변화된 상태로 보조배출구(524)를 통해 배출 안내한다.
이때, 보조배출구(524)는 보조케이싱(520)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슬리브(525)에 형성된다. 즉, 물방울(8)은 슬리브(525)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보조배출구(524)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직진 이동성이 증대됨에 따라, 물방울(8)의 비산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저장탱크(10) 내부에서 폭넓은 범위에 걸쳐 거품(4)이 제거될 수 있다.
물론, 슬리브(525)는 개수와 크기 및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보조팬부재(530)는 보조케이싱(52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조샤프트(510)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압력차를 이용하여 거품(4)을 보조흡입구(522)로 유입 후, 흡입된 거품(6)을 물방울(8)로 변환한 상태로 보조배출구(524)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조팬부재(5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저장탱크(10)의 거품(4)은 작동오일(2)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된 상태로 외부로 넘치기 전에 제거됨으로써, 작업장의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310)가 경사진 각도(θ)로 케이싱(200)에 구비됨에 따라 하측의 흡입구(210)에서 유입되는 거품(6)을 상부 방향으로 쓸어 올려줌으로써, 물방울(8)이 상부배출구(222)와 하부배출구(224)를 통해 동시에 배출 유도된다.
또한, 저장탱크(10) 내 작동오일(2)의 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위치조절부(600)가 케이싱(2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거품(4)의 양에 따라, 케이싱(200)과 거품(4)의 거리를 최적화하여, 거품(4)의 제거율을 증대할 수 있기 때문에, 거품(4,6)에서 발생하는 악취도 단시간에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보조거품제거유닛(500)이 별도로 구비되어 블레이드(310)와 메인샤프트(400)에 연동되어 작동됨으로써, 넓은 면적에 분포된 거품(4)이 저비용으로 단시간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저장탱크 100: 거품제거장치
200: 케이싱 220: 배출구
222: 상부배출구 224: 하부배출구
232: 어퍼플레이트 234: 로어플레이트
236: 링바디 300: 팬부재
310: 블레이드 400: 메인샤프트
500: 보조거품제거유닛 510: 보조샤프트
520: 보조케이싱 530: 보조팬부재
600: 위치조절부 610: 수위센서
620: 볼스크류 630: 모터

Claims (8)

  1. 작동오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내측에서 상기 작동오일의 상부에 부유하는 거품과 유격되게 배치되고,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회전에 따른 압력 차이로 상기 거품을 상기 흡입구로 흡입 유도하고, 흡입된 상기 거품을 부딪혀서 소포하며 물방울로 변화 후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 유도함으로써 상기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둘레면의 상측과 하측에 상기 배출구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물방울의 배출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 내측의 상기 거품 제거율을 증대시키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팬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어퍼플레이트; 상기 팬부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갖는 로어플레이트; 및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로어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팬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링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링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유격된 채 연결됨으로써 상부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바디와 상기 로어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유격된 채 연결됨으로써 하부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거품을 물방울로 변환 후 상기 상부배출구로 배출 유도하고,
    상기 로어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싱 내측에서 낙하하는 물방울을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 유도하기 위해 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는 상기 저장탱크의 외측에서 삽입되는 메인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메인샤프트는 회전시 보조거품제거유닛이 연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거품제거유닛은,
    상기 메인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상기 저장탱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샤프트;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고, 보조흡입구와 보조배출구를 갖는 보조케이싱; 및
    상기 보조케이싱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조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써, 압력차를 이용하여 거품을 상기 보조흡입구로 유입 후 물방울로 변환한 상태로 상기 보조배출구로 배출 유도하는 보조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출구는 상기 보조케이싱의 둘레면에 복수 개 배치되는 슬리브에 형성됨으로써 배출되는 상기 물방울에 직진성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위치조절부에 의해 상기 작동오일에 부유하는 거품과 유격되도록 상기 작동오일의 수위에 따라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수위센서;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높이 조절을 유도하는 볼스크류; 및
    상기 저장탱크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에 의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설정 후 회전 작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KR1020170078315A 2017-06-21 2017-06-21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KR10183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15A KR101838980B1 (ko) 2017-06-21 2017-06-21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15A KR101838980B1 (ko) 2017-06-21 2017-06-21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980B1 true KR101838980B1 (ko) 2018-03-15

Family

ID=6165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15A KR101838980B1 (ko) 2017-06-21 2017-06-21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9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917B1 (ko) 2020-06-17 2020-12-07 김수남 거품 제거장치
CN113417894A (zh) * 2021-05-28 2021-09-21 重庆望江工业有限公司 一种液压油箱
CN114986246A (zh) * 2022-06-25 2022-09-02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一种大流量增压式涡流分离装置
CN115647960A (zh) * 2022-11-18 2023-01-31 杭州盾源聚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硅环上下表面打磨装置及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52A (ja) 2002-12-25 2004-07-22 Hotani:Kk 消泡装置
JP2007216113A (ja) * 2006-02-15 2007-08-30 Sanshu Densen Kk 消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52A (ja) 2002-12-25 2004-07-22 Hotani:Kk 消泡装置
JP2007216113A (ja) * 2006-02-15 2007-08-30 Sanshu Densen Kk 消泡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917B1 (ko) 2020-06-17 2020-12-07 김수남 거품 제거장치
CN113417894A (zh) * 2021-05-28 2021-09-21 重庆望江工业有限公司 一种液压油箱
CN114986246A (zh) * 2022-06-25 2022-09-02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一种大流量增压式涡流分离装置
CN115647960A (zh) * 2022-11-18 2023-01-31 杭州盾源聚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硅环上下表面打磨装置及加工方法
CN115647960B (zh) * 2022-11-18 2023-11-28 杭州盾源聚芯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硅环上下表面打磨装置及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980B1 (ko)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KR101165660B1 (ko) 수중 폭기장치
JP2004074335A (ja) 工作機械の切粉及び切削液飛散防止装置
JP5021783B2 (ja) 噴霧装置及び噴霧方法
CN102442708A (zh) 消泡机及消泡方法
CN101524853A (zh) 锯断机
RU2005131955A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мешал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100540127C (zh) 通风装置
FI121263B (fi) Vaahdotuskoneen ohjausjärjestelmä
AU2005306515B2 (en) Device to treat liquid and foam
EP2408602B1 (en) Cutting machine with a liquid lubrication delivery system having a controlled liquid level
JP2020199617A (ja) 研磨ヘッド、当該研磨ヘッドを備える研磨装置、および当該研磨装置を用いた研磨方法
KR101664269B1 (ko) 배수펌프
SE535741C2 (sv) Metod och anordning för tillförsel av gas, eller en blandning av gaser, till ett fluidum
CN1275698C (zh) 浮选机构和浮选槽
JP7068036B2 (ja) 気液分離機構
US2492684A (en) Masonry saw
CA2423775A1 (en) Device for separating air from flotation foam
JP4481269B2 (ja) 研削精米機
PT2542333E (pt) Sistema de mistura e bombagem de líquidos, sistema de tratamento de águas residuais que compreende o mesmo e processo relacionado
CN115301414A (zh) 一种自清洁浮选机立轴
JP2006075782A (ja) 曝気槽の泡抑制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生ごみ処理装置
CN109225663B (zh) 一种降低结垢的浮选机
WO1993013297A1 (en) Water column floating pump
KR102338013B1 (ko)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