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013B1 -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 Google Patents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013B1
KR102338013B1 KR1020200110027A KR20200110027A KR102338013B1 KR 102338013 B1 KR102338013 B1 KR 102338013B1 KR 1020200110027 A KR1020200110027 A KR 1020200110027A KR 20200110027 A KR20200110027 A KR 20200110027A KR 102338013 B1 KR102338013 B1 KR 10233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impeller
pump
ai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춘상
Original Assignee
아륭기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륭기공(주) filed Critical 아륭기공(주)
Priority to KR102020011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6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5886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cooling by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06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의 유입구에 쿨런트가 유입될 시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시켜 주어 공급유로 내부에 공기압이 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압에 의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도 설정된 양과 압력으로 쿨런트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프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쿨런트 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상부 외측에 형성된 토출구(12)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공급유로(13)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쿨런트를 유입구(11) 측으로 유도해주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유체유로(14)가 형성된 펌프본체(1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게 구비되어 모터(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유입시켜 주기 위한 주 임펠러(20);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고, 쿨런트 탱크에 저장된 쿨런트를 상기 주 임펠러(20)로 이동시켜 줌과 아울러 쿨런트 중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 또는 파쇄시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주는 서브임펠러(3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흡입구(45)가 형성된 케이싱(40); 상기 케이싱(40)의 내측면에 외측과 소통되게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서브임펠러(30)에 의해 분리 또는 파쇄되어 가장자리로 이동된 기포를 쿨런트 탱크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에어벤트(5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Coolant pump with defoaming function}
본 발명은 펌프의 유입구로 쿨런트가 유입될 시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시키거나 큰기포는 파쇄하여 쿨런트를 공급하는 공급유로 내부에 공기압이 차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압에 의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도 설정된 유량과 압력으로 쿨런트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프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쿨런프 펌프는 공작기계의 절삭, 보링 및 그라인딩 작업시 가공물을 냉각시키고, 절삭된 칩을 분산시켜 흘러내리게 하거나 세척하기 위한 목적으로 냉각유 즉 쿨런트(Coolant)를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쿨런프 펌프는 침수형과 자흡형으로 분류되며, 침수형의 경우에는 쿨런트가 채워진 탱크의 유면에 유입구가 잠기고 모터는 탱크의 상판위에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자흡형은 탱크와 같거나 낮은 위치에 설치하여 흡입배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침수형 펌프의 경우 별도의 오일 마중이 필요치 않고, 흡입력이 좋으며, 메카니컬실(Mechanical-seal)이 적용되지 않아 공회전에 의한 고장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콤팩트한 크기로 인해 범용 공작기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침수형 펌프를 구동시에는 유입구 측으로 탱크 내의 쿨런트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와 함께 칩 및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이 함께 유입되게 되며, 이로 인해 설정된 유량과 압력으로 쿨런트가 토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쿨런트로서 오일을 사용하여 고압으로 공급할 경우에 기포발생이 심하여 이러한 문제가 뚜렷하게 발생된다.
이를 위해, 탱크 내부에는 펌프의 토출구 측과 유입구 사이에 격판을 설치하여, 쿨런트에 포함된 칩 및 슬러지가 펌프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쿨런트 내에 포함된 기포는 여전히 쿨런트와 함께 유입구에 유입됨에 따라, 쿨런트 공급유로의 내부에는 공기압이 찰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쿨런트의 유량과 압력이 설정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6059호와 같이, 토출구 내부의 관통홀에 에어벤트를 설치하여 냉각유 공급배관 사이에 채워져 있던 공기가 에어벤트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급배관 내부의 공기압을 제거함은 물론이고, 냉각유의 공급이 지체됨에 따라 발생하는 데드타임(Dead Time)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은 유입구에 쿨런트가 유입될 때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가 유입구에 유입될 때마다, 공급배관 내부에 공기압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는 없었으며, 이로 인해 토출구에서는 여전히 펌프 스펙에 맞는 압력과 유량으로 쿨런트가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유체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탈포(脫泡)장치가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탈포장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너무 큰 부피로 이루어져 기존의 침수형 쿨런트 펌프에 쉽게 적용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가 공급유로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펌프의 성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는 침수형 쿨런트 펌프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9343호(2015.08.05.공개, 논메커니컬씰형 쿨런트펌프)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059호(2013.03.20.등록, 침수형 쿨런트 펌프의 에어벤트 설치구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3369호(2017.04.24.등록, 탈포 장치 및 탈포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펌프의 유입구 측에 쿨런트가 유입될 시,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가 공급유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의 규격에 맞는 압력과 유량으로 쿨런트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환경에 적합한 조건으로 쿨런트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쿨런트의 원활한 공급을 통한 절삭공구의 파손방지와 수명연장, 피성형물의 열화 등을 방지하고, 이와 함께 쿨런트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는, 쿨런트 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상부 외측에 형성된 토출구(12)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공급유로(13)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쿨런트를 유입구(11) 측으로 유도해주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유체유로(14)가 형성된 펌프본체(1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게 구비되어 모터(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유입시켜 주기 위한 주 임펠러(20);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고, 쿨런트 탱크에 저장된 쿨런트를 상기 주 임펠러(20)로 이동시켜 줌과 아울러 쿨런트 중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 또는 파쇄시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주는 서브임펠러(3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흡입구(45)가 형성된 케이싱(40); 상기 케이싱(40)의 내측면에 외측과 소통되게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서브임펠러(30)에 의해 분리 또는 파쇄되어 가장자리로 이동된 기포를 쿨런트 탱크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에어벤트(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벤트(50)는 상기 케이싱(40)의 내주면에 일정깊이로 하나 이상 형성된 에어배출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40)의 내측에는 조절관 고정볼트(60)로 결합되는 에어벤트 조절관(55)이 구비되어 지되, 상기 에어벤트 조절관(55)은 외주면이 케이싱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에어벤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거나 폐쇄시켜 주도록 구비되며, 상기 에어벤트 조절관(55)의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에어벤트(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로 에어이동홀(56)이 형성된다.
삭제
이때,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면에는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이동시켜 주도록 복수개의 주 날개편(21)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 임펠러(20)의 상면에는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면과 주 임펠러(20)의 사이로 인입되는 쿨런트와 상기 유입구(11)로의 흡입과정에서 발생된 기포를 주 임펠러(20)의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주도록 나선형으로 복수개의 보조 날개편(22)이 형성되며, 상기 주 임펠러(20)의 가장자리로 모여진 기포는 주 날개편(21)에 의해 이동되면서 에어이동홀(56)을 통해 상기 에어밴트(50)를 거쳐 다시 쿨런트 탱크로 배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서브임펠러(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상협하광으로 된 임펠러 몸체(31)와, 상기 임펠러 몸체(31)의 경사진 외면에 상향경사지게 복수개 형성되어 쿨런트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주 임펠러(20)로 공급시켜 주는 쿨런트 유도편(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임펠러 몸체(31)의 경사진 외면은 사용조건이나 규격에 따라 탈포율 및 토출유량을 조절해주도록 경사도가 다르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는 유입구 측으로 펌프의 유입구 측에 쿨런트가 유입될 때, 서브임펠러가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를 잘게 분쇄하고, 분쇄한 기포를 쿨런트와 분리시켜 에어벤트를 통해 다시 탱크 내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쿨런트를 공급하는 공급유로 내부에 공기압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토출구로 토출되는 쿨런트가 펌프의 규격에 맞는 압력과 유량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성형물의 가공조건, 쿨런트의 점도 등 쿨런트 펌프가 사용되는 조건에 따라 에어벤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포를 분리하면서도 쿨런트를 원활하게 공급해주도록 함은 물론 쿨런트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 임펠러와 서브임펠러 및 에어벤트 조절관이 분리된 쿨런트 펌프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가 완전 오픈된 상태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 조절관을 조절하여 에어벤트를 폐쇄한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 임펠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임펠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된 에어벤트 조절관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배출방향을 도시한 단면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는 쿨런트 탱크의 상면에 설치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모터(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주 임펠러(20) 및 그 주 임펠러(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서브임펠러(30)와, 상기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를 감싸도록 펌프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된 케이싱(40)과, 상기 케이싱(40)의 내측면에 외측과 소통되게 형성되어 에어를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에어벤트(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펌프본체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으로 플랜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5)의 상단 일측에서 펌프본체(10)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5)는 쿨런트 탱크의 상면에 고정되어 펌프본체(10)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고, 플랜지부(15)의 상부에는 주 임펠러와 서브임펠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해 모터(25)가 설치된다.
펌프본체(10)는 하부가 쿨런트 탱크의 내부에 수용되어 쿨런트에 침수된 상태에서 상기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의 동작에 의해 쿨런트 펌프에 채워진 쿨런트를 흡입하여 토출구(12)를 통해 외부로 공급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는 쿨런트의 유입을 위해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상부 외측에 형성된 토출구(12)를 서로 연결시켜 주어 쿨런트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공급유로(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펌프본체(10)의 하면에는 쿨런트를 유입구(11) 측으로 유도하여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장자리를 따라 유체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토출구(12)에는 쿨런트가 사용되는 기계장치에 쿨런트의 공급을 위해 설치된 공급배관과 연결되어 펌프본체(10)에서 압송되는 쿨런트가 기계장치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주 임펠러(20)는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유입시켜 준다.
이러한 주 임펠러(20)는 공지의 쿨런트 펌프에 사용되는 임펠러와 같이, 원판형으로 형성된 판체의 하면에 나선형으로 주 날개편(21)이 형성되어 서브임펠러(30)에 의해 이동된 쿨런트를 유입구(11)로 이동시켜 준다.
상기 서브임펠러(30)는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있고, 주 임펠러(20)와 같이 상기 펌프구동축(26)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서브임펠러(30)는 회전되면서 쿨런트 탱크에 저장된 쿨런트를 상기 주 임펠러(20)로 이동시켜 주게 되고, 쿨런트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쿨런트 중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 또는 파쇄시켜 주게 되며, 이렇게 분리 또는 파쇄된 기포는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서브임펠러(30)의 가장자리로 이동되어 진다.
상기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는 케이싱(40)에 의해 감싸여져 있음에 따라, 쿨런트 탱크에 수용된 쿨런트는 케이싱의 하부에 개방되어 형성된 흡입구(45)를 통해 흡입되어져 서브임펠러(30)에 의해 주 임펠러(20)로 이동된 후 주 임펠러(20)에 의해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쿨런트에 존재하는 에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유입구(1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에어의 제거를 위해 상기 에어벤트(50)가 구비되어 진다.
이러한 에어벤트(50)는 상기 케이싱(40)의 내측면에 외측과 소통되게 형성되는 것이고, 하나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는 60도 간격으로 6개를 형성하였다.
에어벤트(50)는 상기 서브임펠러(30)에 의해 분리 또는 파쇄되어 가장자리로 이동된 기포를 일정량의 쿨런트와 함께 쿨런트 탱크로 배출시켜 주게 된다. 에어벤트의 크기와 개수에 따라 쿨런트 탱크로 배출되는 쿨런트의 양이 달라질 수 있음에 따라 제작시 이를 고려하여 에어벤트의 크기를 적정한 크기로 형성하고 개수를 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사용환경에 따라 에어벤트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하여 쿨런트의 토출량을 조절해주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쿨런트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터(25)의 작동에 따라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가 회전되면서 쿨런트 탱크에 채워진 쿨런트를 강제 흡입하여 펌프본체(20)의 유입구(11)를 통해 내부 공급유로(13)측으로 유입시켜 일정한 압력상태로 토출구(12)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서브임펠러(30)의 회전동작에서 의해 쿨런트가 주 임펠러(20)가 구비된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쿨런트에 존재하는 기포가 분리되거나 파쇄되어 원심력에 의해 가장자리로 밀려나가 이동되어 지며, 기포가 없는 쿨런트만이 주 임펠러(20)로 이동된 후 주 임펠러(20)에 의해 유입구(11)로 유입되어 진다.
서브임펠러(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나간 기포는 쿨런트 중 일부와 함께 에어벤트(50)로 배출되어 쿨런트 탱크로 다시 유입되어 진다.
따라서, 토출되는 쿨런트에 기포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펌프의 규격에 맞는 압력과 유량으로 쿨런트를 토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쿨런트의 원활한 공급으로 절삭공구의 파손방지는 물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계장치가 가동을 중단하여 모터(25)의 작동이 중단되면, 펌프본체(10)도 쿨런트의 압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정지상태가 되므로, 펌프본체(10)의 공급유로(13) 및 토출구(11)와 연결된 공급배관에 잔류하고 있던 쿨런트는 중력에 의해 하강되어 펌프본체(10)를 통해 쿨런트 탱크로 흘러내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벤트(50)는 케이싱(40)의 측면에 구멍을 천공하여 이 구멍을 통해 기포를 포함한 쿨런트의 일부가 배출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물론, 구멍의 천공시에는 서브임펠러나 주 임펠러의 회전시 천공된 구멍을 통해 역으로 쿨런트가 유입될 수 있음에 따라, 케이싱(40)이 표면에 수평으로 형성하기 보다는 케이싱의 하부 테두리에 수직상방으로 뚫어 상부 내측면과 소통되도록 천공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구조 외에도,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기 케이싱(40)의 내측에 외주면이 케이싱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에어벤트 조절관(55)을 구비하고, 이 에어벤트 조절관(55)과 케이싱(40)의 사이에 에어벤트(50)를 형성시켜 놓을 수 있다.
즉, 상기 에어벤트(50)는 상기 케이싱(40)의 내주면에 일정 깊이로 하나 이상 형성된 에어배출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벤트 조절관(55)의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에어벤트(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로 에어이동홀(56)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이동홀을 통해 기포가 포함된 쿨런트가 이동되어 에어벤트(5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벤트 조절관(55)은 케이싱(4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에어벤트 조절관(55)을 회전동작시켜 에어벤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거나 폐쇄시켜 줄 수 있다.
에어벤트 조절관(55)을 회전되게 구비하여 에어벤트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쿨런트의 점도나 사용환경에 따라 펌프본체(10)의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유량이나 압력을 조절하여 쿨런트를 효과적으로 토출시켜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벤트 조절관(5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0)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싱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조절관 고정볼트(60)의 헤드부에 지지됨으로써 케이싱(4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서브임펠러(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상협하광으로 된 임펠러 몸체(31)와, 상기 임펠러 몸체(31)의 경사진 외면에 상향경사지게 복수개 형성되어 쿨런트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주 임펠러(20)로 공급시켜 주는 쿨런트 유도편(32)로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 몸체(31)가 상협하광으로 형성됨에 따라 부하발생없이 효과적으로 쿨런트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모터의 과부하를 줄여주어 과부하로 인한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펠러 몸체(31)의 하부에 비해 상부로 갈수록 협소해짐에 따라 주 임펠러(20)로 이동되는 쿨런트의 양이 많아져 토출량 확보에 효과적이며, 쿨런트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중에 쿨런트에 존재하는 기포가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진다.
이때, 상기 임펠러 몸체(31)의 경사진 외면은 사용조건이나 규격 또는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탈포율 및 토출유량을 조절해주도록 경사도가 다르게 제조될 수 있다.
임펠러 몸체(31)의 하측 외경을 크게 형성하여 경사도를 완만하게 하는 경우에는 탈포율이 상승하고 모터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으나, 토출되는 유량이 줄어들게 된다.
반면에, 임펠러 몸체(31)의 하측 외경을 작게 형성한 경우에는 탈포율이 감소되지만 토출되는 유량이 증가되어 진다.
이와 같이, 사용조건이나 요구조건 또는 규격에 따라 서브임펠러(30)의 제작시 크기를 다르게 하여 최상의 조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쿨런트 유도편(32)은 주 임펠러(20)가 구비된 상측방향으로 쿨런트를 이동시켜 줌은 물론 쿨런트를 이동시켜 주는 과정에서 쿨런트에 포함된 기포를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되고, 이때 기포 분리와 함께 큰 직경의 기포를 작게 파쇄시켜 주게 됨으로써 큰 기포로 인해 쿨런트의 이동성이 좋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발생을 해소하여 쿨런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주 임펠러(20)는 회전동작되면서 서브임펠러(30)에 의해 이동된 쿨런트를 유입구(11) 측으로 이동시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면과 주 임펠러(20)의 사이로 쿨런트가 일부 인입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서브임펠러(30)의 회전동작과정에서 쿨런트 중에 포함된 기포가 모두 분리되지 않고 일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주 임펠러(20)의 상면에는 펌프본체(10)의 하면과 주 임펠러(20)의 사이로 인입된 쿨런트와 유입구(11)로 쿨런트가 유입과정에서 발생된 기포를 주 임펠러(20)의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보조 날개편(22)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날개편(22)은 나선형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보조 날개편(22)에 의해 주 임펠러(20)의 가장자리로 이동되어 모여진 기포는 쿨런트와 함께 주 날개편(21)에 의해 이동되어 진 후 에어이동홀(56)을 통해 상기 에어밴트(50)를 거쳐 다시 쿨런트 탱크로 배출되어 진다. 물론 상기 주 임펠러(20)의 가장자리로 이동된 쿨런트 중의 일부만이 상기 에어벤트(50)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쿨런트가 유입구로 유입되기 전에 쿨런트 중에 존재하는 기포를 분리해 주어 쿨런트 탱크로 배출시켜 줌으로써 유입구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쿨런트에는 기포가 존재하지 않아 설정된 수치만큼 유량과 압력으로 쿨런트를 토출시켜 줄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고품질의 절삭성형물을 가공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 펌프본체 11: 유입구
12: 토출구 13: 공급유로
14: 유체유로 15: 플랜지부
20: 주 임펠러 21: 주 날개편
22: 보조 날개편 25: 모터
26: 펌프구동축 30: 서브임펠러
31: 임펠러 몸체 32: 쿨런트 유도편
40: 케이싱 45: 흡입구
50: 에어벤트 55: 에어벤트 조절관
56: 에어이동홀 60: 조절관 고정볼트

Claims (4)

  1. 삭제
  2. 쿨런트 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상부 외측에 형성된 토출구(12)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공급유로(13)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쿨런트를 유입구(11) 측으로 유도해주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유체유로(14)가 형성된 펌프본체(1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게 구비되어 모터(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유입시켜 주기 위한 주 임펠러(20);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고, 쿨런트 탱크에 저장된 쿨런트를 상기 주 임펠러(20)로 이동시켜 줌과 아울러 쿨런트 중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 또는 파쇄시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주는 서브임펠러(3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흡입구(45)가 형성된 케이싱(40);
    상기 케이싱(40)의 내측면에 외측과 소통되게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서브임펠러(30)에 의해 분리 또는 파쇄되어 가장자리로 이동된 기포를 쿨런트 탱크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에어벤트(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벤트(50)는 상기 케이싱(40)의 내주면에 일정깊이로 하나 이상 형성된 에어배출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40)의 내측에는 조절관 고정볼트(60)로 고정되는 에어벤트 조절관(55)이 구비되어 지되, 상기 에어벤트 조절관(55)은 외주면이 케이싱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에어벤트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거나 폐쇄시켜 주도록 구비되며,
    상기 에어벤트 조절관(55)의 테두리부분에는 상기 에어벤트(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개수로 에어이동홀(5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3. 쿨런트 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상부 외측에 형성된 토출구(12)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공급유로(13)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쿨런트를 유입구(11) 측으로 유도해주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유체유로(14)가 형성된 펌프본체(1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게 구비되어 모터(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유입시켜 주기 위한 주 임펠러(20);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고, 쿨런트 탱크에 저장된 쿨런트를 상기 주 임펠러(20)로 이동시켜 줌과 아울러 쿨런트 중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 또는 파쇄시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주는 서브임펠러(3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흡입구(45)가 형성된 케이싱(40);
    상기 케이싱(40)의 내측면에 외측과 소통되게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서브임펠러(30)에 의해 분리 또는 파쇄되어 가장자리로 이동된 기포를 쿨런트 탱크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에어벤트(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면에는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이동시켜 주도록 복수개의 주 날개편(21)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 임펠러(20)의 상면에는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면과 주 임펠러(20)의 사이로 인입되는 쿨런트와 상기 유입구(11)로 쿨런트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포를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주어 유입구(11)에 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나선형으로 복수개의 보조 날개편(22)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날개편(22)에 의해 주 임펠러(20)의 가장자리로 이동된 기포는 주 날개편(21)에 의해 상기 에어벤트(50)를 통해 다시 쿨런트 탱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4. 쿨런트 탱크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와 상부 외측에 형성된 토출구(12)를 서로 연결시켜 주도록 공급유로(13)가 형성되며, 하면에는 쿨런트를 유입구(11) 측으로 유도해주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유체유로(14)가 형성된 펌프본체(1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게 구비되어 모터(25)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유입구(11)로 쿨런트를 유입시켜 주기 위한 주 임펠러(20);
    상기 주 임펠러(20)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구동축(26)과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고, 쿨런트 탱크에 저장된 쿨런트를 상기 주 임펠러(20)로 이동시켜 줌과 아울러 쿨런트 중에 포함된 기포를 분리 또는 파쇄시켜 가장자리로 이동시켜 주는 서브임펠러(30);
    상기 펌프본체(10)의 하부에 주 임펠러(20)와 서브임펠러(30)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흡입구(45)가 형성된 케이싱(40);
    상기 케이싱(40)의 내측면에 외측과 소통되게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서브임펠러(30)에 의해 분리 또는 파쇄되어 가장자리로 이동된 기포를 쿨런트 탱크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에어벤트(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브임펠러(30)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상협하광으로 된 임펠러 몸체(31)와, 상기 임펠러 몸체(31)의 경사진 외면에 상향경사지게 복수개 형성되어 쿨런트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주 임펠러(20)로 공급시켜 주는 쿨런트 유도편(32)으로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 몸체(31)의 경사진 외면은 사용조건이나 규격에 따라 탈포율 및 토출유량을 조절해주도록 경사도가 다르게 제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KR1020200110027A 2020-08-31 2020-08-31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KR102338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27A KR102338013B1 (ko) 2020-08-31 2020-08-31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27A KR102338013B1 (ko) 2020-08-31 2020-08-31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8013B1 true KR102338013B1 (ko) 2021-12-10

Family

ID=7886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027A KR102338013B1 (ko) 2020-08-31 2020-08-31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01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896U (ko) * 1994-04-29 1995-11-20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즐의 회전구조
KR20120041422A (ko) * 2010-10-21 2012-05-02 덕지산업주식회사 기포제거용 이송펌프
KR200466059Y1 (ko) 2012-09-03 2013-04-03 아륭기공(주) 침수형 쿨런트 펌프의 에어벤트 설치구조
KR20150089343A (ko) 2014-01-27 2015-08-05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논메커니컬씰형 쿨런트펌프
CN106762697A (zh) * 2016-12-20 2017-05-31 江门市地尔汉宇电器股份有限公司 降低排气噪音的交流永磁同步水泵
KR20170074065A (ko) * 2015-12-21 2017-06-29 최태천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KR101853369B1 (ko) 2011-12-27 2018-05-02 세메스 주식회사 탈포 장치 및 탈포 방법
JP2020518761A (ja) * 2017-07-03 2020-06-25 ▲広▼▲東▼威▲靈▼▲電▼机制造有限公司 インペラ、ファン及びモー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896U (ko) * 1994-04-29 1995-11-20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즐의 회전구조
KR20120041422A (ko) * 2010-10-21 2012-05-02 덕지산업주식회사 기포제거용 이송펌프
KR101853369B1 (ko) 2011-12-27 2018-05-02 세메스 주식회사 탈포 장치 및 탈포 방법
KR200466059Y1 (ko) 2012-09-03 2013-04-03 아륭기공(주) 침수형 쿨런트 펌프의 에어벤트 설치구조
KR20150089343A (ko) 2014-01-27 2015-08-05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논메커니컬씰형 쿨런트펌프
KR20170074065A (ko) * 2015-12-21 2017-06-29 최태천 믹싱 기능이 구비된 펌프 어셈블리
CN106762697A (zh) * 2016-12-20 2017-05-31 江门市地尔汉宇电器股份有限公司 降低排气噪音的交流永磁同步水泵
JP2020518761A (ja) * 2017-07-03 2020-06-25 ▲広▼▲東▼威▲靈▼▲電▼机制造有限公司 インペラ、ファン及びモー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2243B2 (ja) 水中曝気装置
JP5155113B2 (ja) 水中ポンプ
KR101737420B1 (ko) 수중 슬러지 이송용 펌프 임펠러
JPH07117063B2 (ja) 遠心ポンプ
US9841030B2 (en) Vertical self-priming pump
WO2016178387A1 (ja) 横軸水中ポンプ、及び、横軸水中ポンプに用いられる吸込カバー
JP2007146863A (ja) ポンプ
US7537439B2 (en) Transfer pump
KR102338013B1 (ko) 탈포기능이 구비된 쿨런트 펌프
KR100937338B1 (ko) 수위 가변형 양수장치
CN2881068Y (zh) 离心式真空除气器
US2622537A (en) Pumping mechanism
US3269325A (en) Pump
KR101315358B1 (ko) 다단형 수중펌프
CN208669615U (zh) 一种智能冷热水自吸旋涡泵
KR20190004004A (ko) 수중 분쇄 펌프
CN210106238U (zh) 具有平衡孔的排水叶轮
EP3904633A1 (en) Forced type drilling sludge-fluid separator
CN114017381A (zh) 一种排气装置
JPH08105400A (ja) 先行待機形ポンプの振動防止装置
CN210686337U (zh) 适用于洗衣机中的循环泵
JP2014190220A (ja) ウェスコ型電動ポンプ
CN220593593U (zh) 一种水泥除气泡装置
CN220600028U (zh) 一种流量可调式底吸泵
CN214063305U (zh) 一种立式自吸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