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544B1 - 소포체 - Google Patents
소포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0544B1 KR101700544B1 KR1020157006396A KR20157006396A KR101700544B1 KR 101700544 B1 KR101700544 B1 KR 101700544B1 KR 1020157006396 A KR1020157006396 A KR 1020157006396A KR 20157006396 A KR20157006396 A KR 20157006396A KR 101700544 B1 KR101700544 B1 KR 1017005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k
- compartment
- foam
- hole
- lower dis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21—Degasification of liquids by bringing the liquid in a thin layer
- B01D19/0026—Degasification of liquids by bringing the liquid in a thin layer in rotating vessels or in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2—Prevention of foam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이 소포체는, 회전하는 상디스크(21)와 하디스크(22)와의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23)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24)를 마련한 소포체(20)로서, 상디스크(21)에는, 파포실(23)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21A)이 형성되고, 하디스크(22)에는, 파포실(23)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22A)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포(消泡)장치의 회전축의 선단에 장착하는 소포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회전축을 구동함으로써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피처리액 상의 거품을 파포(破泡)시키는 소포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9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211677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용기 내의 용액 상에 존재하여, 수송펌프로의 혼입에 의하여 수송량을 불안정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거품을 소실 또는 파괴시키기 위한 소포장치가, 특허문헌 1 및 2에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소포장치는, 액면 상부의 수평면 내에서 회전하는 로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터는, 서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하판 사이에 있어서 회전 중심부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배치한 복수의 핀을 가지고 있다. 이 소포장치는, 상기 로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측에 있어서 거품을 흡인한 후, 핀 사이를 경유하여 상기 로터의 외주측에서 배출하고, 이로써 소포 처리를 행한다.
특허문헌 2에 나타나는 소포장치는, 거품의 흡인 공간을 가지고, 그 주위에 회전축 방향으로 다수의 수직 블레이드가 방사 형상으로 배열된 다익 팬과 같은 흡인 블레이드를 가진다. 이 흡인 블레이드는, 그 회전 동작에 의하여 흡인된 거품을 반경방향 외방으로 고속 배출하고, 벽면에 충돌시켜, 이 때의 거품의 흐름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거품을 파괴 또는 파열시킨다.
그런데, 특허문헌 1 및 2에 나타나는 소포장치는, 모두 회전체의 중심부로부터 흡입한 거품을, 상기 회전체의 원심력에 의하여 외방으로 고속 배출하여 소포 처리하는 압축형 블레이드를 가지는 구조이다.
그러나, 용액에 계면활성제가 혼입되어 있어 막 두께가 얇은 "가벼운 거품"이 발생하는 경우, 거품을 원심력에 의하여 외방으로 날려버린 것만으로는, 거품이 터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품이 복수 개로 분할되어 작은 거품으로서 잔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즉, 압축형 블레이드에 의한 소포 처리로는, "가벼운 거품"을 충분히 파포할 수 없어, 소포를 위한 첨가물을 더하거나, 또는 살수를 행하는 등의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용액에 계면활성제가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가벼운 거품을 확실히 파포시킬 수 있는 소포장치의 소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소포를 위한 첨가물을 더하거나, 혹은, 살수를 행하는 등의 추가적인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경제적인 소포장치의 소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소포체는, 회전하는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마련한 소포체로서, 상기 상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회전하는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마련한 소포체에 있어서, 상디스크에,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하디스크에,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했다. 이로써, 예를 들면, 하디스크를 피처리액의 액면 상의 거품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를 공기 중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상하디스크를 회전시킨 경우에,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는 거품이 흡인되고, 또한 상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는 공기가 흡인된다. 이 때,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취합이 가능해져, 이 상태에서, 상기 거품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취합된 공기에 의하여 거품을 부풀려, 그 표면적이 증대하고, 또한, 막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거품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여 파포되기 쉬워진다.
즉, 제1 양태에서는,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한 상태에서, 상기 거품에 원심력을 가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가벼운 거품을 확실히 파포시킬 수 있다. 또, 소포를 위한 첨가물을 더하거나, 또는, 살수를 행하는 등의 추가적인 처리가 불필요한 경제적인 소포 처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소포체는, 상기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부채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파포실을 형성하는 블레이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이자 또한 블레이드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복수의 파포실을 형성하고, 또한 이들 파포실의 각각을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부채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거품을 감압하에 둘 수 있다. 이로써 거품의 표면적을 증대시키고, 거품의 막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소포체는, 상기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되는 경사 형상을 이루는 파포실을 형성하는 블레이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하디스크 사이에 형성된 블레이드 간의 파포실을,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되는 경사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거품에 높은 압력 변동을 주어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소포체는, 상기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된 후, 점차 축소되는 파포실을 복수 형성하는 블레이드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상하디스크 사이에 형성된 블레이드 간의 파포실을,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된 후, 점차 축소되는 경사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에 원심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거품이 감압되어 파포된다. 그 후, 파포에 의하여 형성된 피처리액을 가압하여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품에 압력 변동 및 충격을 주어,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1부터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소포체에 있어서, 상기 하디스크의 구멍은, 피처리액 상의 거품에 접촉시키고, 상기 상디스크의 구멍은, 상기 피처리액의 상방의 공기를 흡입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소포체의 하디스크의 구멍을, 피처리액 상의 거품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의 구멍은, 상기 피처리액의 상방의 공기를 흡입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할 수 있고, 또한 이 상태에서 상기 거품에 원심력을 가할 수 있다. 이로써, 계면활성제가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가벼운 거품도 확실히 파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회전하는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마련한 소포체에 있어서, 상디스크에,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하디스크에,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했다. 이로써, 예를 들면, 하디스크를 피처리액의 액면 상의 거품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를 공기 중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상하디스크를 회전시킨 경우에,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는 거품이 흡인되고, 또한 상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는 공기가 흡인된다. 이 때,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거품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공기가 취합된 거품이 파포실 내에서 부풀어, 거품의 표면적이 증대하고, 이로써 거품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여 파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하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의 구멍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한 상태에서, 상기 거품에 원심력을 가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가벼운 거품도 확실히 파포시킬 수 있다. 또, 소포를 위한 첨가물을 더하거나, 또는 살수를 행하는 등의 추가적인 처리가 불필요한 경제적인 소포 처리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소포체가 장착되는 소포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2a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정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3a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정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4a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정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2a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정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3a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정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4a의 IV-IV선을 따라 절단한 정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부터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내부에 피처리액(W)이 저류되는 통형상의 처리조(1)에, 소포장치(10)(후술함)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처리조(1)는, 배수를 농축하여 반고체 형상으로 하고, 최종적으로는 반고체 형상의 배수를 소각하는 설비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다. 처리조(1)에서는, 급배수장치(2)를 통하여 피처리액(W)이 되는 배수가 공급 또는 배출된다.
다만, 피처리액(W)이 되는 배수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이나 계면활성제, 아크릴아마이드나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의 접착성분 등이 포함되어, 수송, 교반, 원심분리 처리 등으로 발생한 거품(부호 B로 나타냄)이 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되어 있다.
소포장치(10)가 마련되는 처리조(1)는, 주위를 둘러싸는 측벽(3)과 그 상부를 덮는 슬래브(4)를 가진다. 이 슬래브(4)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5)에는, 통형상의 지지부(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지지부(6)의 상부에는 장착 가대(11)가 마련되어 있어, 이 장착 가대(11)에 의하여 상기 소포장치(10)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장착 가대(11)의 중앙부에는, 구동모터(M)가 마련된다. 이 구동모터(M)의 회전축(12)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20)가 장착되어 있다.
구동모터(M)의 회전축(12)은, 처리조(1)의 중앙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축(12)의 하단부에, 수평이 되도록 소포체(20)가 장착되어 있다. 또, 회전축(12)은, 그 축선(12A)을 따르도록 장착 가대(1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어,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방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방의 소포 처리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의 평면도, 도 2b의 정단면도를 참조하여, 소포장치(10)의 모터회전축(12) 선단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소포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소포체(20)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한 위치 관계에 마련된 상디스크(21)와 하디스크(22)와의 사이에,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파포실(23)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24)를 마련한 구조이다. 이들 블레이드(24)는, 상하디스크(21·22) 사이를 연결하도록 도면 중 상하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도록 일정한 피치로 배치되며, 이로써 상기 블레이드(24) 사이에, 파포실(23)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24) 사이이자 또한 상디스크(21)와 하디스크(22)와의 사이에, 반경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져,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부채형을 이루는 형상의 파포실(23)이,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복수 형성된다.
이 소포체(20)에 있어서, 상디스크(21)에는, 블레이드(24) 사이에 위치하는 파포실(23)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21A)이 형성되고, 또, 하디스크(22)에는, 상기 구멍(21A)과 대향하도록 파포실(23)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24) 사이이자 또한 상하디스크(21·22) 사이에 있어서의 파포실(23)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파포 처리한 거품(B)의 액체를 처리조(1)로 되돌리기 위한 개구부(23A)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소포체(20)에서는, 하디스크(22)의 구멍(22A)을, 피처리액(W) 상의 거품(B)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21)의 구멍(21A)을, 상기 피처리액(W)의 상방의 공기를 흡입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이로써,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소포체(20)가 그 내부의 블레이드(24)와 함께 수평면 내에서 회전한 경우에,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는 거품(B)이 흡인되고, 또한 상디스크(21)의 구멍(21A)으로부터는 공기가 흡인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소포체(2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모터회전축(12)의 축선(12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소포체(20)의 하디스크(22)를 피처리액(W)의 액면 상의 거품(B)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21)를 공기 중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다만, 상디스크(21)의 대략 전부가 거품(B)에 잠기도록 깊게 배치해도 된다.
그 후, 도 2a에 화살표(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M)의 회전축(12)을 구동함으로써, 상하디스크(21·22)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는, 피처리액(W) 상의 거품(B)이 흡인되고, 또한 상디스크(21)의 구멍(21A)으로부터는, 피처리액(W) 상방의 공기(및 상부의 거품(B), 또는 상부의 거품(B))가 흡인된다.
이 때,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B)의 내부에, 상디스크(21)의 구멍(21A)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취합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도 2b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공기가 취합된 거품(B)이 부풀어 올라, 거품(B)의 표면적이 증대하고, 이로써 거품(B)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여 파포되기 쉬워진다.
또, 상디스크(21)와 하디스크(22)와의 사이이자 또한 블레이드(24)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복수 형성된 파포실(23)의 각각은, 반경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커지도록,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부채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 거품(B)이 외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주위의 압력이 감소한다. 그 결과, 상기 거품(B)을 감압하에 둘 수 있어,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20)에서는, 회전하는 상디스크(21)와 하디스크(22)와의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23)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24)를 마련한 구조에 있어서, 상디스크(21)에, 파포실(23)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21A)을 형성하고, 또한 하디스크(22)에, 파포실(23)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22A)을 형성했다.
이로써, 예를 들면, 하디스크(22)를 피처리액(W)의 액면 상의 거품(B)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21)를 공기 중에 위치시킨 상태로, 이들 상하디스크 (21·22)를 회전시킨 경우에,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는 거품(B)이 흡인되고, 또한 상디스크(21)의 구멍(21A)으로부터는 공기가 흡인된다. 이 때,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21)의 구멍(21A)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공기가 취합된 거품(B)이 파포실(23)에서 부풀어 올라, 표면적이 증대하여, 이로써 거품(B)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여 파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20)에서는,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21)의 구멍(21A)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한 상태에서, 상기 거품(B)에 원심력을 가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혼입되어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가벼운 거품도 확실히 파포시킬 수 있다. 또, 소포를 위한 첨가물을 더하거나, 또는 살수를 행하는 등의 추가적인 처리가 불필요한 경제적인 소포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20)에서는, 상디스크(21)와 하디스크(22)와의 사이이자 또한 블레이드(24)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복수의 파포실(23)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파포실(23)의 각각을,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부채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하디스크(22)의 구멍(2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거품(B)을 감압하에 둘 수 있다. 이로써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30)가,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20)와 구성을 달리하는 점은, 구멍(31A·32A)을 가지는 상하디스크(31·32), 및 이들 상하디스크(31·32) 사이에 형성된 블레이드(33)의 형상이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30)에서는, 도 3a의 평면도 및 도 3b의 측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디스크(31)가, 구동모터(M)에 있어서의 회전축(12)의 축선(12A)의 주위에서, 상기 축선(12A)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 관계에 배치된 수평면(31B)을 가지고 있다. 또, 하디스크(32)는, 상디스크(31)의 수평면(31B)에 대하여, 하방을 향하여 선단부가 연속적으로 경사지는 위치 관계에 배치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33)는, 상하디스크(31·32) 사이를 연결하도록 도면 중 상하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도록 일정한 피치로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33)의 사이에, 파포실(34)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블레이드(33)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되는 경사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33) 사이에 형성된 파포실(34)도,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되는 경사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블레이드(33) 사이에 형성된 파포실(34)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직경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커지도록, 부채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실시형태의 파포실(34)에서는,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도 3a 참조), 및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도 3b 참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반경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하디스크(32)의 구멍(3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 거품(B)이 외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주위의 압력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그 결과, 상기 거품(B)에 높은 압력 변동을 주어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30)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디스크(32)를 피처리액(W)의 액면 상의 거품(B)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31)를 공기 중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상하디스크(31·32)를 회전축(12)의 축선(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경우에, 하디스크(32)의 구멍(32A)으로부터는 거품(B)이 흡인되고, 또한 상디스크(31)의 구멍(31A)으로부터는 공기가 흡인된다. 이 때, 하디스크(32)의 구멍(3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31)의 구멍(31A)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공기가 취합된 거품(B)이 파포실(34)에서 부풀어 올라, 거품(B)의 표면적이 증대하고, 이로써 거품(B)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여 파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소포체(30)에서는,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도 3a 참조), 및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도 3b 참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하디스크(31·32)의 블레이드(33) 사이에 형성된 파포실(34)을,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되는 경사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하디스크(32)의 구멍(3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질 때에, 상기 거품(B)을 높은 감압 변동하에 둘 수 있다. 이로써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40)가,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20·30)와 구성을 달리하는 점은, 구멍(41A·42A)을 가지는 상하디스크(41·42), 및 이들 상하디스크(41·42) 사이에 형성된 블레이드(43)의 형상이다.
즉, 제3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40)에서는, 도 4a의 평면도 및 도 4b의 측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디스크(41)가, 구동모터(M)에 있어서의 회전축(12)의 축선(12A)의 주위에서, 상기 축선(12A)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 관계에 배치된 수평면(41B)과, 상기 수평면(41B)의 선단 위치에서 상기 수평면(41B)과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수평면(41B)에 대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경사면(41C)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하디스크(42)는, 회전축(12)의 축선(12A)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 관계에 배치된 수평면(41B)에 대하여, 하방을 향하여 선단부가 연속적으로 경사지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43)는, 상하디스크(41·42) 사이를 연결하도록 도면 중 상하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도록 일정한 피치로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43) 사이에, 파포실(44)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블레이드(43)는,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된 후, 점차 축소되는 경사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하디스크(41·42) 사이이자 또한 블레이드(43) 사이에 형성된 파포실(44)도,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된 후, 점차 축소되는 경사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소포체(40)에서는, 제1,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디스크(42)를 피처리액(W)의 액면 상의 거품(B)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41)를 공기 중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들 상하디스크(41·42)를 회전축(12)의 축선(12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킨 경우에, 하디스크(42)의 구멍(42A)으로부터는 거품(B)이 흡인되고, 또한 상디스크(41)의 구멍(41A)으로부터는 공기가 흡인된다. 이 때, 하디스크(42)의 구멍(4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 내에, 상디스크(41)의 구멍(41A)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취합 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공기가 취합된 거품(B)이 파포실(44)에서 부풀어 올라, 표면적이 증대하고, 이로써 거품(B)에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여 파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소포체(40)에서는, 상하디스크(41·42)의 블레이드(43) 사이에 형성된 파포실(44)을,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된 후, 점차 축소되는 경사 형상을 이루는 형상으로 했기 때문에, 하디스크(42)의 구멍(42A)으로부터 흡입된 거품(B)에 원심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거품(B)의 표면적이 증대하여, 상기 거품(B)은 파포된다. 그 때, 남은 상기 거품(B)을 피처리액(W)과 동시에 외부로 송출할 때에 가압함으로써, 더욱 파포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품(B)에 압력 변동 및 충격을 주어, 효율적으로 소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변형예 1)
다만,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디스크(21·31·41)의 구멍(21A·31A·41A)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했지만, 거품(B)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를 가변으로 해도 된다. 즉, 거품(B)이 가장 파포되는 공기량이 공급되도록, 상디스크(21·31·41)에 형성된 구멍(21A·31A·41A)의 크기를 조정해도 된다. 또, 거품(B)이 가장 파포되는 공기량이 공급되도록, 상디스크(21·31·41)에 형성된 구멍(21A·31A·41A)의 수도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또,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하디스크(22·32·42)에 형성된 구멍(21B·31B·41B)의 크기 및 수도 동시에 조정해도 된다.
(변형예 2)
또,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소포체(20·30·40)의 상디스크(21·31·41) 및 하디스크(22·32·42)의 둘레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블레이드 (24·33·43)를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거품(B)이 가장 파포되도록, 간접적 또는 부분적으로 블레이드(24·33·43) 및 이들 사이의 파포실(23·34·44)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 파포실(23·34·44)의 용적도 적절히 조정해도 된다.
(변형예 3)
또, 상기 제1~제3 실시형태에서는, 모터회전축(12)의 축선(12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소포체(20·30·40)의 하디스크(22·32·42)를 피처리액(W)의 액면 상의 거품(B)에 접촉시키고, 또한 상디스크(21·31·41)를 공기 중에 위치하도록 했지만, 이 때, 피처리액(W)의 액면의 위치를 검출하는 액면센서를 마련하여, 상기 액면센서의 출력에 따라, 소포체(20·30·40)의 하디스크(22·32·42)가 피처리액(W)의 액면 상의 거품(B)에 상시 접촉하도록, 승강기구에 의하여 상하 위치를 자동 조정해도 된다.
또, 이 때, 피처리액(W) 상의 거품(B)을 검출하는 거품센서를 마련하여, 상기 거품센서의 출력에 따라, 소포체(20·30·40)의 하디스크(22·32·42)가 피처리액(W)의 액면 상의 거품(B)에 상시 접촉하도록, 승강기구에 의하여 상하 위치를 자동조정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서술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소포장치의 회전축의 선단에 장착하는 소포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회전축을 구동함으로써 피처리액 상의 거품을 파포시킨다.
1 처리조
10 소포장치
12 회전축
20 소포체
21 상디스크
21A 구멍
22 하디스크
22A 구멍
23 파포실
24 블레이드
30 소포체
31 상디스크
31A 구멍
31B 수평면
32 하디스크
32A 구멍
33 블레이드
34 파포실
40 소포체
41 상디스크
41A 구멍
41B 수평면
41C 경사면
42 하디스크
42A 구멍
43 블레이드
44 파포실
W 피처리액
B 거품
10 소포장치
12 회전축
20 소포체
21 상디스크
21A 구멍
22 하디스크
22A 구멍
23 파포실
24 블레이드
30 소포체
31 상디스크
31A 구멍
31B 수평면
32 하디스크
32A 구멍
33 블레이드
34 파포실
40 소포체
41 상디스크
41A 구멍
41B 수평면
41C 경사면
42 하디스크
42A 구멍
43 블레이드
44 파포실
W 피처리액
B 거품
Claims (5)
- 회전하는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둘레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마련한 소포체로서,
상기 상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부채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파포실을 형성하고,
상기 상디스크와 상기 하디스크는,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적어도 일부가 서로 평행하거나, 직경 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회전 중심축을 따른 방향의 거리가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소포체. - 회전하는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마련한 소포체로서,
상기 상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되는 경사상을 이루는 파포실을 형성하는 소포체. - 회전하는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파포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마련한 소포체로서,
상기 상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디스크에는, 상기 파포실의 중심측으로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디스크와 하디스크와의 사이에,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내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점차 확대된 후 축소되는 복수의 파포실을 형성하는 소포체.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포실은, 평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부채형을 이루는 형상인 소포체.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디스크의 구멍은, 피처리액 상의 거품에 접촉시키며,
상기 상디스크의 구멍은, 상기 피처리액의 상방의 공기를 흡입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소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11677 | 2012-09-26 | ||
JP2012211677A JP5730257B2 (ja) | 2012-09-26 | 2012-09-26 | 消泡体 |
PCT/JP2013/069615 WO2014050267A1 (ja) | 2012-09-26 | 2013-07-19 | 消泡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2273A KR20150042273A (ko) | 2015-04-20 |
KR101700544B1 true KR101700544B1 (ko) | 2017-01-26 |
Family
ID=5038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6396A KR101700544B1 (ko) | 2012-09-26 | 2013-07-19 | 소포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730257B2 (ko) |
KR (1) | KR101700544B1 (ko) |
CN (1) | CN104619389B (ko) |
IN (1) | IN2015DN01768A (ko) |
WO (1) | WO20140502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5562B1 (ko) | 2014-12-01 | 2016-04-26 | 주식회사아지텍 |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
CN104843857A (zh) * | 2015-04-29 | 2015-08-19 | 四川和鼎环保工程有限责任公司 | 喷气挤压消除泡沫的氧化沟 |
CN108236794B (zh) * | 2017-04-14 | 2023-09-08 | 新兴重工湖北三六一一机械有限公司 | 一种泡沫灭火剂消泡装置 |
CN110237574B (zh) * | 2019-06-12 | 2024-07-26 | 广东省水利水电科学研究院 | 一种用于排水渠道的泡沫消解装置 |
CN110152355B (zh) * | 2019-06-25 | 2021-06-11 | 吉林大学 | 一种肺功能检查仪管道气泡排出设备 |
CN110269619B (zh) * | 2019-06-25 | 2021-04-02 | 吉林大学 | 一种肺功能检查仪管道气泡排出方法 |
JP7315490B2 (ja) * | 2020-01-27 | 2023-07-26 | 株式会社Ihi | 消泡装置 |
CN117701372A (zh) * | 2023-12-12 | 2024-03-15 | 宝鸡阜丰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谷氨酸提取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7443085B (zh) * | 2023-12-25 | 2024-03-08 | 山西美邦致远科技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冷却液加工用的原料分离设备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2328B1 (ko) * | 2005-08-25 | 2007-02-15 | (주) 퓨어나노텍 | 배수펌프용 임펠러 어셈블리 |
JP2007216113A (ja) | 2006-02-15 | 2007-08-30 | Sanshu Densen Kk | 消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25967A (ko) * | 1974-03-25 | 1975-10-03 | ||
JPS5636975B2 (ko) * | 1974-03-25 | 1981-08-27 | ||
JPS5413464A (en) * | 1977-07-01 | 1979-01-31 | Hitachi Ltd | Defoaming apparatus |
JP3243579B2 (ja) * | 1992-09-25 | 2002-01-07 | ジョンソン・プロフェッショナル株式会社 | 消泡装置 |
CN2188986Y (zh) * | 1993-11-29 | 1995-02-08 | 刘先华 | 膨胀式消泡器 |
JP2781751B2 (ja) * | 1995-08-28 | 1998-07-30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消泡装置 |
JPH09323082A (ja) * | 1996-06-04 | 1997-12-16 | Able Kk | 浮遊物及び/又は泡除去装置及び消泡装置並びにこれら を備えた反応装置及び培養装置 |
CN2455330Y (zh) * | 2000-08-24 | 2001-10-24 | 虞乐舜 | 流体消泡器 |
JP3694461B2 (ja) | 2001-01-26 | 2005-09-14 | 日本弗素工業株式会社 | 消泡装置 |
-
2012
- 2012-09-26 JP JP2012211677A patent/JP5730257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7-19 KR KR1020157006396A patent/KR10170054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7-19 CN CN201380047319.3A patent/CN104619389B/zh active Active
- 2013-07-19 IN IN1768DEN2015 patent/IN2015DN01768A/en unknown
- 2013-07-19 WO PCT/JP2013/069615 patent/WO201405026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2328B1 (ko) * | 2005-08-25 | 2007-02-15 | (주) 퓨어나노텍 | 배수펌프용 임펠러 어셈블리 |
JP2007216113A (ja) | 2006-02-15 | 2007-08-30 | Sanshu Densen Kk | 消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2273A (ko) | 2015-04-20 |
WO2014050267A1 (ja) | 2014-04-03 |
IN2015DN01768A (ko) | 2015-05-29 |
JP2014064986A (ja) | 2014-04-17 |
CN104619389B (zh) | 2019-08-16 |
JP5730257B2 (ja) | 2015-06-03 |
CN104619389A (zh) | 2015-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0544B1 (ko) | 소포체 | |
JP2007216113A (ja) | 消泡装置 | |
KR101838980B1 (ko) | 저장탱크용 거품제거장치 | |
CN106693451B (zh) | 消泡回收装置 | |
KR101859853B1 (ko) | 소포 장치 | |
JP5770811B2 (ja) | 孔付リング及びそれを装着したナノバブル生成装置 | |
US20140251539A1 (en) |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 |
JP4974160B2 (ja) | 連続脱気脱泡装置 | |
KR101791365B1 (ko) | 소포 장치 | |
JP7068036B2 (ja) | 気液分離機構 | |
JP2002219306A (ja) | 消泡方法及び装置 | |
JP2008060107A (ja) | スピン洗浄装置 | |
JP2006075782A (ja) | 曝気槽の泡抑制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生ごみ処理装置 | |
JP4141936B2 (ja) | 遠心脱泡機 | |
JP2012112612A (ja) | 液体微細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 |
JP2016155197A (ja) | ワイヤーソー及び切断方法 | |
JP6374150B2 (ja) | 低揚程小型ドレンポンプ | |
KR101437513B1 (ko) | 버블발생기 | |
JP6855291B2 (ja) | 消泡装置 | |
CN211748827U (zh) | 一种压力锅及其压力释放装置 | |
JP5574920B2 (ja) | ウォータジェット切削装置 | |
KR20160034043A (ko) |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한 에어워셔 | |
JP2016036894A (ja) | バリ除去装置 | |
JP2021090972A5 (ko) | ||
RU2480297C1 (ru) | Многодисковый генератор аэрозоле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