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468B1 - 유압 척 - Google Patents

유압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68B1
KR101859468B1 KR1020157031105A KR20157031105A KR101859468B1 KR 101859468 B1 KR101859468 B1 KR 101859468B1 KR 1020157031105 A KR1020157031105 A KR 1020157031105A KR 20157031105 A KR20157031105 A KR 20157031105A KR 101859468 B1 KR101859468 B1 KR 101859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eceiving portion
sleeve
coolant
press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852A (ko
Inventor
마사유키 도이
Original Assignee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빅 다이쇼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23B31/305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the gripping means is a deformable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4Cooling or lubr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2Chucks or sockets with fluid-pressure actuator
    • Y10T279/1241Socke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111Fluid-conduit drill h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좁은 영역에 대한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인 절삭 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압입 부재(8b)에 의해 가압된 가압용 유체가 가압로(8)를 통해 가압실(6)로 공급되어 탄성 변형부(2b)를 축경시키는 유압 척에 있어서, 선단의 세경부로 개구하는 플랜지 수용부(5a) 및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으로 개구하는 슬리브 수용부(5b)를 갖는 보다(1)와, 피파지체가 삽입되는 구멍(2a)을 구비하여 플랜지 수용부(5a)의 선단측으로부터 슬리브 수용부(5b)로 끼워맞춤 삽입 가능하고, 슬리브 수용부(5b)와의 사이에 가압용 유체를 저류하는 가압실(6)을 형성하고, 플랜지 수용부(5a)에 끼워맞추는 플랜지(7)를 구비하는 슬리브(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압 척{HYDRAULIC CHUCK}
본 발명은 압입 부재에 의해 가압된 가압용 유체가 가압로를 통해 가압실로 공급되어 탄성 변형부를 축경시키는 유압 척에 관한 것이다.
피가공물의 오목한 좁은 영역을 절삭 가공 할 경우에는 외경 사이즈가 작은 공구 척을 사용할 필요가 있고, 종래 그러한 척으로서 유압을 이용하여 절삭 공구를 파지하는 소위 유압 척이 사용되고 있다. 이 형식의 척에서는 가압실 등 필요한 기구의 설치 영역이 작고, 파지 기구 전체의 사이즈가 콤팩트해진다. 따라서, 안쪽의 가늘고 좁은 영역의 절삭 가공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단, 절삭 개소에는 쿨런트를 공급 할 필요가 있어서, 척 기구에 추가하여 각종 형식의 쿨런트 공급 기구가 사용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유압 척은 삽입된 절삭 공구를 직접적으로 파지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유지하는 보디 사이에 가압실이 형성되고, 이 안에 저장한 작동유를 가압함으로써 슬리브의 일부에 형성한 탄성 변형부를 축경 변형시켜서 절삭 공구를 파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유압 척은 절삭유제 등의 쿨런트를 절삭 공구에 공급하는 구조를 구비하지 않아서, 피가공물을 절삭 가공함에 있어서 유압 척과는 별도로 설치한 쿨런트 공급장치에 의해 쿨런트를 절삭 공구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유압 척에서는 절삭 공구를 파지하는 보디의 선단부에 절삭 공구 중 보디로부터 돌출한 축 부분이 삽입통과되는 구멍부를 구비한 커버패널이 고정되어 있다. 이 커버패널은 절삭 공구를 파지하는 것은 아니고, 구멍부의 내주면에 축 부분 길이 방향을 따라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와 보디로부터 돌출된 절삭 공구의 축 부분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쿨런트가 분출된다.
일본 특허공개 소 61-9084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 6-6320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유압 척에서는 유압 척과는 별도로 장비한 쿨런트 공급장치에 의해 유압 척에 파지된 절삭 공구로 쿨런트를 공급한다.
절삭 공구가 피가공물에 접근할 경우, 쿨런트 공급로와 피가공물의 간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피가공물의 좁고 오목한 영역에 대하여 절삭을 행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유압 척을 장착할 때마다 쿨런트의 분출 방향을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어 절삭작업이 매우 번잡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유압 척에서는 소정 위치에 세트한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서 필요한 절삭 공구의 보디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절삭 공구를 파지하지 않는 커버패널의 두께만큼 길어진다. 또한, 유압실(유체압실)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가공시에 절삭 공구의 진동이 커져서 절삭 정밀도가 손상되게 된다.
피가공물의 좁고 오목한 영역에 대하여 절삭을 행할 경우에는, 슬리브를 유지하는 보디를 가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디를 가늘게 형성할 경우에는 보디 및 슬리브의 두께가 직경 방향으로 얇아진다. 따라서, 보디와 슬리브의 접촉 면적도 축소된다. 이 때문에, 쌍방을, 예를 들면 납땜할 경우에는 양자의 접합 강도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단, 그 경우에서도 공구를 파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파지력을 발휘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좁은 영역에 대한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인 절삭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유압 척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척의 특징 구성은, 압입 부재에 의해 가압된 가압용 유체가 가압로를 통해 가압실로 공급되어 탄성 변형부를 축경시키는 유압 척에 있어서, 선단의 세경부로 개구하는 플랜지 수용부 및 상기 플랜지 수용부의 저면으로 상기 플랜지 수용부보다 소경으로 개구하는 슬리브 수용부를 갖는 보디와, 피파지체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 수용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슬리브 수용부로 끼워맞춤 삽입가능하고, 상기 슬리브 수용부와의 사이에 가압용 유체를 저류하는 가압실을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 수용부에 끼워맞추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슬리브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서는, 보디 선단의 세경부로 개구하는 플랜지 수용부에 끼워맞추는 플랜지를 슬리브에 형성함으로써 보디에 대한 슬리브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보디와 슬리브의 납땜 면적을 증가시켜 슬리브의 고정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선단이 세경이면서 파지력이 높아서, 좁은 영역에 대한 정확하고 또한 효율적인 절삭작업이 가능한 유압 척이 얻어졌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보디의 내부를 관통하는 쿨런트 공급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쿨런트 공급로가 상기 보디의 선단부에 형성한 쿨런트 분출구에 연통하고, 상기 쿨런트 분출구의 둘레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플랜지의 최대 외경을 규정하는 원호를 따라, 또는 그 원호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쿨런트 분출구를 유압 척의 중심측에 편중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 척의 대경화를 억제하여 좁은 절삭 영역이어도 유압 척이 피가공물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플랜지의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외경 치수를 작게 구성하고 있고, 상기 쿨런트 분출구를 상기 플랜지 중 상기 소경 부분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플랜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개구시키고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쿨런트 분출구의 둘레 가장자리의 모든 부분을 플랜지와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하면서, 쿨런트 분출구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플랜지의 최대 외경을 규정하는 원호보다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쿨런트 분출구로부터 분출하는 쿨런트가 플랜지와 간섭하는 일이 없이, 쿨런트를 소정 방향을 향해서 확실하게 분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상기 플랜지 수용부의 저면과 상기 플랜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실이 상기 공간에 연통함과 아울러, 상기 가압로가 상기 저면으로 개구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구성이면, 가압로의 가압용 유체가 플랜지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유출하고, 이 저면과 플랜지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가압실의 내부의 가압용 유체를 가압한다. 이렇게, 가압용 유체는 유압 척의 선단측을 경유하는 구성이지만, 본 구성이면 탄성 변형부를 축경시키는 가압 기구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즉, 본 구성과 같이, 가압로를 플랜지 수용부의 저면과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연통시킬 경우에는 보디의 내부에 가압로를 적어도 1개 형성하기만 하면 된다. 이 가압로가 연통하는 플랜지 수용부의 저면과 플랜지 사이의 공간 및 가압실은 플랜지 수용부의 형상과 플랜지의 형상을 적절하게 설정해 두고, 보디에 슬리브를 삽입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이면 보디 외주로부터 가압로를 설치하지 않아서 외관도 잘 누설을 일으키는 일이 없는 가압로의 형성이 매우 용이해서, 가압 기구를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유압 척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유압 척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유압 척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유압 척의 축심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슬리브를 제거한 보디 선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쿨런트 분사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유체압실의 가압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유압 척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3에 관한 슬리브를 제거한 보디 선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유체압실의 가압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슬리브를 제거한 보디 선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슬리브를 제거한 보디 선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유체압실의 가압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슬리브를 제거한 보디 선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5에 관한 유체압실의 가압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유압 척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5에 관한 유압 척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6에 관한 유압 척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6에 관한 유압 척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압 척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척의 실시형태 1을 나타낸다.
유압 척(A)은 압입 부재로서의 조작 플러그(8b)에 의해 가압된 가압용 유체가 가압로(8)를 통해 가압실(6)로 공급되어서 탄성 변형부(2b)를 축경시켜 피파지체(B)의 피파지축(B1)을 파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압 척(A)은 축심(X) 방향을 따라 설치한 원통형상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슬리브 수용부(5)가 형성되고, 공작 기계 등의 기계 장치에 부착되는 테이퍼 형상의 금속제의 보디(1)를 갖는다. 또한, 이 슬리브 수용부(5)에 선단측으로부터 동심상으로 수용된 금속제의 슬리브(2)를 갖는다. 이 슬리브(2)는 절삭 공구 등의 피파지체(B)의 피파지축(B1)이 삽입되는 축삽입 구멍(2a)을 축심(X)과 동심상으로 구비하고, 보디(1)와의 사이에서 오일 등의 가압용 유체를 저류하는 가압실(6)을 형성한다. 또한, 유압 척(A)은 가압용 유체를 가압실(6)에 공급해서 슬리브(2)에 설치한 탄성 변형부(2b)를 축경시키는 가압 기구를 구비한다. 가압 기구는 가압실(6)로부터 기단부의 측부로 연장하는 가압로(8) 및 상기 가압로(8)의 단부로 이어 설치되어서 가압용 유체를 가압하도록 보디(1)에 설치된 조작 플러그(8b)를 갖는다. 또한, 슬리브(2)는 슬리브 수용부(5)에 대하여 선단측으로부터 삽입가능하고, 보디(1)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플랜지(7)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7)와 보디(1) 사이가 납땜된다.
보디(1)는 축심(X)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보디 선단의 세경부로 개구하는 슬리브 수용부(5)로서 플랜지 수용부(5a) 및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으로 플랜지 수용부(5a)보다 직경이 작게 개구하는 슬리브 수용부(5b)를 동심상으로 갖는다.
슬리브(2)는 보디(1)의 선단부로부터 보디(1)의 내부(슬리브 수용부(5))로 끼워맞춤 삽입되고, 양자의 접합면끼리가 은납 등의 납재로 납땜되어 슬리브(2)와 보디(1)가 일체화되어 있다.
슬리브(2)에는 절삭 공구(B)의 피파지축(B1)이 파지된다. 보디(1)에는 유압 척(A)에 파지된 절삭 공구(B)에 냉각용 쿨런트를 분사하는 쿨런트 분사부(3)를 설치하여 있다. 쿨런트 분사부(3)의 선단은 보디(1)의 선단면으로 개구하는 쿨런트 분출구(3a)로 되어 있다.
보디(1)는 매니퓰레이터에 파지시키도록 외주홈(4)이 형성된 척 본체(1a)와, 척 본체(1a)의 선단측에 일체 형성된 척 실린더(1b)와, 척 본체(1a)의 후단측에 일체 형성되어서 공작 기계의 스핀들에 끼워맞춰지는 생크(1c)와, 슬리브(2)를 수용하는 축심(X)과 동심상의 원형 공간이 형성된 슬리브 수용부(5)를 구비하고 있다. 척 실린더(1b)는 척 본체(1a)로부터 멀어질수록 소경이 되는 원뿔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쿨런트 분사부(3)는, 도 4∼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디(1)의 내부를 관통하는 쿨런트 공급로(3c)를 구비하고, 상기 쿨런트 공급로(3c)는 보디(1)의 선단부에 형성된 쿨런트 분출구(3a)에 연통하여 있다.
즉, 보디(척 실린더(1b))(1)의 선단면(1d)으로 원형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쿨런트 분출구(3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쿨런트 분출구(3a)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쿨런트 분출구(3a)는 보디의 선단측으로 개구하는 단면이, 예를 들면 원형인 쿨런트 분출로(3b)를 복수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쿨런트 분출로(3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보디(1)의 기단측에서는 보디의 축심과 동심상으로 개구하는 단면 원형의 쿨런트 공급로(3c)를 1개 설치하여 있다. 이들 쿨런트 분출로(3b)와 쿨런트 공급로(3c)는 보디 직경 방향을 따라 설치한 단면 원형의 쿨런트용 연통로(3d)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복수의 쿨런트 분출구(3a)와 쿨런트 분출로(3b), 쿨런트용 연통로(3d)의 각각은 보디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회전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쿨런트를 절삭 공구의 둘레에 균등하게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쿨런트 분출구(3a)를 보디(1)의 선단면, 즉 유압 척(A)의 선단면에 설치함으로써 유압 척(A)과 별도로 쿨런트 분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피가공물의 오목한 좁은 영역을 절삭할 경우에 절삭 가공이 용이해진다.
또한, 쿨런트 분출구(3a)를 보디(1)의 선단면에 설치하여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쿨런트 분출구(3a)의 개구 방향을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절삭부에 대한 쿨런트의 공급이 확실한 것으로 된다. 쿨런트의 분출 방향을 확실하게 설정할 수 있으면, 쿨런트의 분출량을 보다 소량화할 수 있는 등, 쿨런트의 공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디(1)의 기단측에는 보디(1)와 동심상의 쿨런트 공급로(3c)를 1개 설치하고, 보디(1)의 선단측에는 이 쿨런트 공급로(3c)와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쿨런트 분출로(3b)를 설치하여, 쿨런트의 공급로를 합리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중앙의 쿨런트 공급로(3c)는 보디(1)에 대하여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 쿨런트의 공급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쿨런트 공급로(3c) 중 보디(1)의 선단측에는 절삭 공구(B)가 삽입 파지되기 때문에, 쿨런트 공급로(3c)는 절삭 공구(B)에 의해 밀봉된다. 이 때문에, 쿨런트 공급로(3c)와 쿨런트 분출로(3b)를 연락하는 쿨런트용 연락로는 슬리브(2)에 파지된 절삭 공구(B)의 기단부에 대하여 보디(1)의 기단부측에 설치해 둔다. 쿨런트 분출로(3b)는 보디(1)의 사이즈나 두께에 따라 효율 좋은 쿨런트의 공급이 행해지도록 절삭 공구(B)의 주위에 적당하게 형성하면 좋다.
쿨런트 공급로(3c)는 척 실린더(1b)의 측부만큼 단계적으로 축경된 통형상 공간으로 형성되고, 생크(1c)를 공작 기계의 스핀들에 끼워맞춤으로써 공작 기계의 측부의 쿨런트 공급부에 접속된다. 쿨런트 공급로(3c) 중 척 실린더(1b)의 측부는 슬리브 수용부(5)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쿨런트 공급로(3c)는 슬리브 수용부(5)에 연통하지 않아도 좋다.
2개의 쿨런트 분출구(3a)는 축심(X)을 대칭점으로 하는 점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쿨런트용 연통로(3d)의 각각은 척 실린더(1b)의 외주측으로부터 쿨런트 공급로(3c)에 대하여 축심(X)을 통과하지 않는 경사 방향에 교차하는 단면 원형의 절삭구멍을 각 쿨런트 분출로(3b)의 단부에 연통하도록 천공해서 형성하고 있다.
2개의 쿨런트용 연통로(3d)는 축심(X)을 대칭점으로 하는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쿨런트용 연통로(3d)의 척 실린더(1b)의 외주면으로 개구하는 개구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에 의해 액밀하게 폐쇄되어 있다.
슬리브 수용부(5)는 보디(1)의 선단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환상의 플랜지 수용부(5a)와, 플랜지 수용부(5a)의 내측에 동심상으로 연통하는 단면 원형의 슬리브 수용부(5b)를 일련으로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2)와 보디(1) 사이에 환상의 가압실(6)을 형성하고 있다. 슬리브(2)는, 도 6,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절삭 공구(B)의 피파지축(B1)이 삽입되는 단면 원형의 축삽입 구멍(2a)과, 가압실(6)을 가압함으로써 축삽입 구멍(2a)에 삽입된 피파지축(B1)을 압압해서 파지하도록 축경가능한 얇은 환상의 탄성 변형부(2b)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2)는 축삽입 구멍(2a)을 슬리브 수용부(5b)와 동심상으로 구비하고, 플랜지 수용부(5a)의 선단측으로부터 슬리브 수용부(5b)로 끼워맞춤 삽입되어서, 슬리브 수용부(5b)와의 사이에 가압실(6)을 형성한다.
탄성 변형부(2b)는 가압실(6)을 형성하는 폭광 원주홈(6a)을 슬리브(2)의 외주측에 설치하고, 그 폭광 원주홈(6a)의 홈바닥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2)의 선단부에는 슬리브 직경 방향으로 확경하는 플랜지(7)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7)는 플랜지 수용부(5a)에 끼워맞춰져 있다. 따라서, 플랜지(7)가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에 접촉할 때까지 슬리브(2)를 플랜지 수용부(5a)로부터 슬리브 수용부(5b)로 내삽 수용함으로써, 슬리브(2)의 외주면과 슬리브 수용부(5b)의 내주면 사이에 단일의 가압실(6)을 형성하고 있다.
즉, 플랜지(7)를 끼워맞추는 플랜지 수용부(5a)가 보디(1)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슬리브(2)의 선단면과 보디(1)의 선단면이 축심(X) 방향을 따라 동일한 위치에서 연속하도록 구성하여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 수용부(5a)를 구성함으로써 보디(1)와 슬리브(2)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7)의 이면과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이 접촉 가능해서 플랜지(7)의 측면과 플랜지 수용부(5a)의 내벽면이 접촉 가능해진다. 이들 부위를 납땜함으로써 보디(1)와 슬리브(2)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랜지(7)가 플랜지 수용부(5a)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슬리브(2)를 보디(1)의 선단측의 개구부로부터 내삽 수용함으로써 슬리브(2)의 외주면과 보디(1)의 내주면 사이의 가압실(6)이나, 가압로(8)와 가압실(6)을 연통하는 가압용 연통로(11)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5,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가압실(6)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로(8, 9)를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으로 개구하도록 보디(1)에 대칭하게 설치하여 있다. 일방의 가압로(8)는 척 본체(1a)의 외주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천공 하여 형성한 조작로(8a)에 연통하여 있고, 조작로(8a)에는 조작 플러그(8b)를 액밀하게 나사결합하여 있다. 타방의 가압로(9)는 보디(1)의 회전 밸런스를 고려한 더미로서 형성되어 있고, 조작로(8a)에는 직접 연통하여 있지 않다.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과 플랜지(7)의 이면 사이의 공간(15)이 각 가압로(8, 9)와 가압실(6)을 연통하는 가압용 연통로(11)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과 플랜지(7)의 이면 사이의 공간에 가압실(6)이 연통하여 있다.
슬리브 수용부(5b)에 수용된 슬리브(2)는 은납 등을 이용하여 납땜하여 보디(1)에 대해서 액밀하게 일체 고정되어 있다. 조작로(8a), 각 가압로(8, 9), 가압용 연통로(11) 및 가압실(6)에 걸쳐서 오일 등의 가압용 유체를 액밀하게 봉입하고 있다.
육각 렌치 등에 의한 조작 플러그(8b)의 조작로(8a)에 대한 비틀어 넣음 조작에 의해 상기 조작로(8a)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압용 유체를 가압해서 탄성 변형부(2b)를 축경 변형시키고 축삽입 구멍(2a)에 삽입된 피파지축(B1)을 압압해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보디(1)와 슬리브(2)의 경계(10)를 보디(1)의 선단면(1d)에 설치하여 있다. 이 때문에, 슬리브(2)에 있어서 절삭 공구(B)를 파지하는 영역이 슬리브(2)의 선단에까지 및 보디(1)의 선단부까지의 넓은 영역을 이용하여 절삭 공구(B)를 파지한다. 따라서, 절삭 공구(B)의 파지력이 높은 것이 되어 절삭 공구(B)의 진동을 억제해서 고밀도의 절삭 가공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쿨런트 분출구(3a)의 원형 둘레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을 플랜지(7)의 최대 외경을 규정하는 원호(L)보다 보디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하고 있다.
즉,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7)의 외주면 형상을 축심(X)을 중심으로 하는 한 쌍의 원호 외주면 부분(7a) 및 서로 평행한 한 쌍의 편평 외주면 부분(7b)을 축심(X)을 대칭점으로 하는 점대칭으로 배치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플랜지(7)를 플랜지 둘레 방향으로 다른 이경으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플랜지(7)의 최대 외경을 규정하는 원호(L)는 원호 외주면 부분(7a)의 반경으로 축심(X)을 중심으로 해서 그린 원형의 선분을 의미한다.
플랜지(7)의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의 외경 치수를 나머지 부분보다 작게 구성하고 있고, 쿨런트 분출구(3a)를 플랜지(7) 중 상기 소경 부분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플랜지(7)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간한 상태로 개구시키고 있다.
플랜지 수용부(5a)는, 도 2,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원호 외주면 부분(7a)이 끼워맞춰지는 한 쌍의 원호 내주면 부분(12)과, 각 편평 외주면 부분(7b)이 끼워맞춰지는 한 쌍의 편평면 부분(13)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2]
도 8은 유압 척(A)의 실시형태 2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쿨런트 분출구(3a)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을 플랜지(7)의 최대 외경을 규정하는 원호(L)의 보디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쿨런트 분출구의 외주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보디(1)의 선단 부분에 있어서의 소경화를 도모하면서, 플랜지(7) 및 플랜지 수용부(5a)의 형상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실시형태 3]
도 9∼도 11은 유압 척(A)의 실시형태 3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로(8, 9)가 개구하는 가압용 연통로(11)를 형성하는 공간(15)이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에 슬리브 수용부(5b)의 내경보다 대경이 되는 일련의 원환상의 단차부(16)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실시형태 4]
도 12∼도 14는 유압 척(A)의 실시형태 4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로(8, 9)가 개구하는 가압용 연통로(11)가 플랜지 수용부(5a)의 저면에 슬리브 수용부(5b)에 접속하는 가압로(8, 9)마다 오목부(17)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실시형태 5]
도 15∼도 17은 유압 척(A)의 실시형태 5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용 연통로(11)를 형성하는 공간(15)이 플랜지(7)의 플랜지 수용부(5a)의 안쪽의 끝면측에 탄성 변형부(2b)의 외주면을 따른 부위에 가압로(8, 9)의 개구를 향한 일련의 원환상의 홈부(18)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같다.
[실시형태 6]
도 18, 도 19는 유압 척(A)의 실시형태 6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용 연통로(11)를 형성하는 공간(15)이 플랜지(7)의 플랜지 수용부(5a)의 안쪽의 끝면측에 탄성 변형부(2b)의 외주면을 따른 부위에 가압로(8, 9)마다로 연통하는 오목부(19)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5와 같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절삭 공구를 공작 기계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각종의 유압 척에 적용할 수 있다.
1: 보디 2: 슬리브
2a: 구멍 2b: 탄성 변형부
3a: 쿨런트 분출구 3c: 쿨런트 공급로
5: 슬리브 수용부 5a: 플랜지 수용부
5b: 슬리브 수용부 6: 가압실
7: 플랜지 8: 가압로
8b: 압입 부재 15: 공간
B: 피파지체
L: 플랜지의 최대 외경을 규정하는 원호

Claims (2)

  1. 압입 부재에 의해 가압된 가압용 유체가 가압로를 통해 가압실로 공급되어 탄성 변형부를 축경시키는 유압 척에 있어서,
    선단의 세경부로 개구하는 플랜지 수용부 및 상기 플랜지 수용부의 저면으로 상기 플랜지 수용부보다 소경으로 개구하는 슬리브 수용부를 갖는 보디와,
    피파지체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 수용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슬리브 수용부로 끼워맞춤 삽입가능하고, 상기 슬리브 수용부와의 사이에 가압용 유체를 저류하는 가압실을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 수용부에 끼워맞추는 플랜지를 구비하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내부를 관통하는 쿨런트 공급로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쿨런트 공급로가 상기 보디의 선단부에 형성된 쿨런트 분출구에 연통하고,
    상기 쿨런트 분출구의 둘레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플랜지의 최대 외경을 규정하는 원호를 따라 또는 그 원호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의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외경 치수를 작게 구성하고 있고,
    상기 쿨런트 분출구를 상기 플랜지 중 상기 소경 부분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상기 플랜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개구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척.
  2. 삭제
KR1020157031105A 2013-04-10 2013-04-10 유압 척 KR101859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0832 WO2014167669A1 (ja) 2013-04-10 2013-04-10 ハイドロチャッ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52A KR20150133852A (ko) 2015-11-30
KR101859468B1 true KR101859468B1 (ko) 2018-05-21

Family

ID=5168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105A KR101859468B1 (ko) 2013-04-10 2013-04-10 유압 척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76040B2 (ko)
EP (1) EP2985099B1 (ko)
JP (1) JP6005261B2 (ko)
KR (1) KR101859468B1 (ko)
CN (1) CN105121078B (ko)
RU (1) RU2630076C2 (ko)
WO (1) WO2014167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7510B4 (de) 2014-04-17 2021-12-16 Kennametal Inc. Zerspanungswerkzeu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erspanungswerkzeugs
DE102014207507B4 (de) * 2014-04-17 2021-12-16 Kennametal Inc. Zerspanungswerkzeug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erspanungswerkzeugs
CN105634217B (zh) * 2016-03-31 2018-06-26 张家港倍恩特磁塑科技有限公司 用于制造直流电机径向多极塑磁转子的模具
DE102018108306A1 (de) 2018-04-09 2019-10-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ydrodehnspannwerkzeug
EP3670045A1 (de) * 2018-12-19 2020-06-24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Hydrodehnspannfutter sowie bohrvorschubeinheit
EP4032644A4 (en) * 2019-09-20 2023-06-07 Big Daishowa Co., Ltd. HYDRO EXPANSION CHUCK
DE102020209659A1 (de) 2020-07-30 2022-02-03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Dehnspann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13001255A (zh) * 2021-03-15 2021-06-22 四川锐坤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制造用切削液喷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5458A (zh) * 2010-05-04 2013-04-03 赫尔穆特·迪博尔德金戒指工具厂 刀架
US20130292913A1 (en) 2012-04-13 2013-11-07 Guehring Ohg Hydro-expansion chuck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6673U (ko) * 1976-01-30 1977-08-13
SU1073008A1 (ru) 1982-12-23 1984-02-15 Владимир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атрон дл креплени конце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JPS6190843A (ja) 1984-10-09 1986-05-09 Nissan Motor Co Ltd 流体圧による把持装置
JPH0248171Y2 (ko) 1984-10-13 1990-12-18
US5388487A (en) 1990-10-17 1995-02-14 Sandvik Ab Hydraulic tool holder with coolant jets
JPH0663207U (ja) * 1993-02-09 1994-09-06 博充 豊本 チャック
JPH1029106A (ja) * 1996-07-12 1998-02-03 Daishowa Seiki Co Ltd ハイドロリックチャック装置
DE19947941A1 (de) * 1999-10-06 2001-04-12 Glimpel Emuge Werk Hydrodehnspannfutter
DE19961563C1 (de) 1999-12-20 2001-06-13 Schunk Gmbh & Co Kg Spannfutter
DE10007074A1 (de) * 2000-02-16 2001-09-06 Schunk Gmbh & Co Kg Dehnspannwerkzeug
DE10337203A1 (de) * 2003-08-13 2005-03-31 Kennametal Inc. Bohrwerkzeug
ATE337875T1 (de) 2003-11-06 2006-09-15 Schunk Gmbh & Co Kg Zwischenbüchse für ein spannfutt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8039197A1 (de) 2008-08-20 2010-02-25 Röhm Gmbh Spannfutter
EP2177296B1 (de) 2008-10-17 2011-10-05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Dehnspanneinrichtung
DE102009012433A1 (de) * 2009-03-10 2010-09-16 Kennametal Inc. Zerspanungswerkzeug für eine Werkzeugmaschine
CH701915A2 (de) * 2009-09-30 2011-03-31 Swiss Tool Systems Ag Spannvorrichtung für spanende Werkzeuge.
DE202011004231U1 (de) * 2010-03-19 2011-08-11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Zwischenbüchse
FR2961727B1 (fr) 2010-06-28 2013-03-01 Seco E P B Moyen d'amortissement pour porte-outils, tel que tete a aleser,
US20130001896A1 (en) * 2011-07-02 2013-01-03 Kennametal, Inc. Tool holder for a cutting tool and sleeve for a tool holder
DE202012104969U1 (de) * 2012-12-19 2013-02-28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Zwischenbüchse
DE102014104411A1 (de) * 2013-05-28 2014-12-04 Kennametal Inc. Hydraulik-spannfutter mit reduzierungshülse
US10160042B2 (en) * 2014-04-04 2018-12-25 Kennametal Inc. Reducer sleeve with thru coolant flow and a cutting assembly using such reducer slee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5458A (zh) * 2010-05-04 2013-04-03 赫尔穆特·迪博尔德金戒指工具厂 刀架
US20130292913A1 (en) 2012-04-13 2013-11-07 Guehring Ohg Hydro-expansion ch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121078A (zh) 2015-12-02
JP6005261B2 (ja) 2016-10-12
CN105121078B (zh) 2017-11-28
JPWO2014167669A1 (ja) 2017-02-16
RU2630076C2 (ru) 2017-09-05
EP2985099B1 (en) 2018-02-21
US9676040B2 (en) 2017-06-13
EP2985099A4 (en) 2016-11-30
RU2015147863A (ru) 2017-05-19
EP2985099A1 (en) 2016-02-17
WO2014167669A1 (ja) 2014-10-16
US20160031015A1 (en) 2016-02-04
KR20150133852A (ko) 201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468B1 (ko) 유압 척
KR101828334B1 (ko) 홀더 장치
US10293413B2 (en) Hydraulic expansion chuck
JPH0899245A (ja) 工具ホルダの給液用キャップ
JP4982253B2 (ja) コンビネーションホルダ
JP5790566B2 (ja) 切削ヘッドの締結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KR101535565B1 (ko) 절삭공구 체결용 홀더
JP4177079B2 (ja) コレットチャック用コレット
US9839964B2 (en) Expansion chuck
JP7416363B2 (ja) ハイドロチャック
JP5755363B1 (ja) 小径工具保持用チャック
JP2010094753A (ja) タップコレット用キャップ
JPH07314221A (ja) 治具装置
KR101434353B1 (ko) 미세 전극 척킹장치
JP7360001B2 (ja) 機械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WO2021053810A5 (ko)
JP2572136Y2 (ja) チャック装置
WO2018092663A1 (ja) 工具ホルダ
JPH0115468Y2 (ko)
TW201625368A (zh) 導引式筒夾
EP4183505A1 (fr) Pince de serrage pour machines-outils
CN104625786A (zh) 一种机加工用工件夹持装置
JP2006305668A (ja) コレットチャック装置
JP2007307625A (ja) 工作機械用ワーク保持機構
JPH06312305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ツールホルダ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