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465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65B1
KR101859465B1 KR1020177007595A KR20177007595A KR101859465B1 KR 101859465 B1 KR101859465 B1 KR 101859465B1 KR 1020177007595 A KR1020177007595 A KR 1020177007595A KR 20177007595 A KR20177007595 A KR 20177007595A KR 101859465 B1 KR101859465 B1 KR 101859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us bar
extending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632A (ko
Inventor
히데히로 하가
류스케 사토
요스케 야마다
야스아키 나카하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656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52240A1/ja
Publication of KR2017004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K29/06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 H02K29/08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position sensing devices using 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plates, magneto-re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버스바 어셈블리는 버스바와, 배선부재와, 버스바 및 배선부재를 유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확장되는 저부와, 저부로부터 제 2 측으로 연장되어 회로기판을 제 1 측에서 지지하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는다. 배선부재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를 갖는다.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를 갖고, 또한 접촉부를 통해서 회로기판에 제 2 측에서 제 1 측으로 힘을 가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으로 되는 저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와 접촉부는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모터의 회로기판에는,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고착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4794667호 공보).
일본 특허 제4794667호 공보
상기 문헌에 있어서의 회로기판은, 중간도체와의 고착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회로본체와 고정된다. 그 때문에, 모터에 충격이 가하여졌을 경우 고착부에 있어서의 회로기판의 위치가 크게 변화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의해, 고착부가 손상되어 회로기판과 중간도체의 접속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접속단자의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모터의 하나의 형태는, 로터와, 스테이터와,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과, 하우징과, 버스바 어셈블리와, 커버와,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로터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다. 스테이터는 로터를 둘러싸고, 로터를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킨다. 제 1 베어링은 스테이터의 일방향의 제 1 측에 배치되어, 샤프트를 지지한다. 제 2 베어링은 제 1 베어링과, 스테이터의 제 1 측과 반대인 제 2 측에 배치되어, 샤프트를 지지한다. 하우징은 통 형상이며, 스테이터와 상기 제 1 베어링을 유지한다. 버스바 어셈블리는 제 2 베어링을 유지하고, 제 1 측의 단부가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한다. 커버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버스바 어셈블리의 제 2 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회로기판은 일방향에 있어서 제 2 베어링과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측의 면이 일방향과 교차한다. 버스바 어셈블리는 버스바와, 배선부재와, 버스바 홀더를 갖는다. 버스바는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부재는 외부전원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버스바 홀더는 버스바 및 상기 배선부재를 유지한다. 버스바 홀더는 본체부와, 커넥터부와, 저부와,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는다. 본체부는 통 형상이며, 제 2 측에 개구부를 갖는다. 커넥터부는 본체부로부터 중심축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저부는 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확장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저부로부터 제 2 측으로 연장되고, 회로기판을 제 1 측에서 지지한다. 커버는 개구부의 제 2 측을 덮는다. 배선부재는 커넥터부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전원 접속단자와,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를 갖는다.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를 갖는다. 또한,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접촉부를 통해서 회로기판에 제 2 측에서 제 1 측으로 힘을 가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으로 되는 저부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접촉부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모터에 의하면,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접속단자의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모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버스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버스바 어셈블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7은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버스바 어셈블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의 모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 있어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할 경우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는, 적당하게 3차원 직교 좌표계로서 XYZ 좌표계를 나타낸다. XYZ 좌표계에 있어서 Z축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중심축(J)의 축 방향(일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한다. X축 방향은, 도 1에 나타내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한다. Y축 방향은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폭 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X축 방향과 Z축 방향의 양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Z축 방향의 정의 측(+Z측, 제 2 측)을 「리어측」이라고 부르고, Z축 방향의 부의 측(-Z측, 제 1 측)을 「프론트측」이라고 부른다. 또한, 리어측 및 프론트측이란 단지 설명을 위해서 사용되는 명칭이며, 실제의 모터나 부재 등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한정하지 않는다.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중심축(J)에 평행한 방향(Z축 방향)을 단지 「축 방향」이라고 부르고,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 방향을 단지 「지름 방향」이라고 부르며,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 즉 중심축(J)의 축 둘레(θZ 방향)를 단지 「둘레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라고 하는 것은, 엄밀하게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축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라고 하는 것은, 엄밀하게 지름 방향, 즉 축 방향(Z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에 추가해서, 지름 방향에 대하여 45°미만의 범위에서 기운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모터(1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모터(10)의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모터(10)의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XY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커버(2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10)는 브러시리스 모터이다. 모터(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1)과, 커버(22)와, 샤프트(31)를 갖는 로터(30)와, 스테이터(40)와,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과, 제어장치(70)와, 버스바 어셈블리(60)와, 복수의 O링을 구비한다. 복수의 O링은 프론트측 O링(81)과 리어측 O링(82)을 포함한다.
로터(30)와 스테이터(40)와 제 1 베어링(51)과 오일시일(80)은 하우징(21)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21)은 리어측(+Z측)으로 개구된다. 하우징(21)의 개구부에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가 삽입된다. 버스바 어셈블리(60)는 제 2 베어링(52)을 유지한다.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은 샤프트(31)의 축 방향(Z축 방향)의 양측을 지지한다.
커버(22)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리어측(+Z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커버(22)는 하우징(21)에 고정된다. 커버(22)는 통형상부(22a)와, 뚜껑부(22b)와, 커버 프론트면(22c)과, 리어측 플랜지부(24)를 갖는다. 제어장치(70)는 제 2 베어링(52)과 커버(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프론트측 O링(81)은 버스바 어셈블리(60)와 하우징(21)의 사이에 배치된다. 리어측 O링(82)은 버스바 어셈블리(60)와 커버(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 각 부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
하우징(21)은 통 형상의 부재이며, 스테이터(40)와 제 1 베어링(51)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21)은 양단이 개구된 다단의 원통 형상이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우징(21)의 재료는 예를 들면 금속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2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철 합금 등이 바람직하다.
하우징(21)은 프론트측 플랜지부(23)와,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와, 스테이터 유지부(21b)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와, 오일시일 유지부(21d)를 갖는다. 프론트측 플랜지부(23)와,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와, 스테이터 유지부(21b)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와, 오일시일 유지부(21d)는 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서 리어측(+Z측)으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배치된다. 즉, 하우징(21)에 있어서 프론트측 플랜지부(23)가 가장 리어측에 배치되고, 오일시일 유지부(21d)가 가장 프론트측에 배치된다.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와, 스테이터 유지부(21b)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와, 오일시일 유지부(21d)는 각각 동심의 원통 형상이다. 이들 부재의 직경은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 스테이터 유지부(21b),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순서로 작아진다.
프론트측 플랜지부(23)는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의 리어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다. 즉, 하우징(21)은 리어측의 단부에 하우징 플랜지부(23)를 갖는다.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는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를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바꿔 말하면,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 내에 배치된다. 즉, 버스바 어셈블리(60)의 프론트측의 단부는 하우징(21)의 내측에 위치한다.
스테이터 유지부(21b)의 내측면에는 스테이터(40)의 외측면(즉, 후술하는 코어백부(41)의 외측면)이 끼워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하우징(21)에는 스테이터(40)가 유지된다.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는 제 1 베어링(51)을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의 내측면이 제 1 베어링(51)의 외측면과 끼워맞추어진다.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내부에는 오일시일(80)이 유지된다.
[로터]
로터(30)는 샤프트(31)와, 로터 코어(32)와, 로터 마그넷(33)을 갖는다. 샤프트(31)는 일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J)을 중심으로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샤프트(31)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샤프트(31)는 중실이어도 좋고, 중공의 원통 형상의 부재라도 좋다. 샤프트(31)는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에 의하여 축 둘레(±θZ 방향)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31)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는 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한다. 오일시일 유지부(21d)에 있어서 샤프트(31)의 축 둘레에는 오일시일(80)이 배치된다.
로터 코어는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로터 코어(32)는 샤프트(31)를 축 둘레(θZ 방향)로 둘러싸서 샤프트(31)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터 코어(32)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샤프트(31)의 적어도 일부는 로터 코어(32)의 관통구멍 내에 배치된다. 샤프트(31)는 로터 코어(32)와, 예를 들면 압입이나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로터 마그넷(33)은 로터 코어(32)의 축 둘레를 따르는 외측면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터 마그넷(33)은 대략 원환 형상이다. 로터 코어(32)의 외측면은 로터 마그넷(33)의 내측면과 대향한다. 로터 마그넷(33)은 로터 코어(32)와, 예를 들면 접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로터 마그넷(33)의 형상은 반드시 원환 형상일 필요는 없다. 로터 마그넷(33)은 로터 코어(32)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자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로터 코어(32) 및 로터 마그넷(33)은 샤프트(31)와 일체로 되어서 회전한다.
[스테이터]
스테이터(40)의 외형은 대략 통 형상이다. 로터(30)는 스테이터(4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스테이터(40)는 로터(30)를 축 둘레(θZ 방향)로 둘러싼다. 로터(30)는 중심축(J) 둘레로 스테이터(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테이터(40)는 코어백부(41)와, 복수의 티스부(42)와, 복수의 코일(43)과, 복수의 보빈(44)을 갖는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어백부(41)와 티스부(42)는 복수의 전자강판이 적층되어서 구성되는 적층강판이다.
코어백부(41)의 형상은 원통 형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백부(41)의 형상은 샤프트(31)와 동심이다. 코어백부(41)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티스부(42)가 배치된다. 각 티스부(42)는 코어백부(41)의 내측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즉, 샤프트(31)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티스부(42)는 코어백부(41)의 내측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보빈(44)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통 형상의 부재이다. 보빈(44)은 각 티스부(42)에 각각 장착된다. 보빈(44)은, 바람직하게는 축 방향으로부터 맞물리는 2 이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각 코일(43)은 각 보빈(44)에 각각 배치된다. 각 코일(43)은 도전선(43a)이 권회되어서 구성된다. 또한, 도전선(43a)은 둥근선 또는 평각선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베어링 및 제 2 베어링]
제 1 베어링(51)은 스테이터(40)의 프론트측(-Z측)에 배치된다. 제 1 베어링(51)은 프론트 베어링 유지부(21c)에 유지된다. 제 2 베어링(52)은 스테이터(40)의 프론트측(-Z측)과 반대인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제 2 베어링(52)은, 후술하는 버스바 홀더(61)의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유지된다.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은 샤프트(31)를 지지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베어링(51)과 제 2 베어링(52)은 볼베어링이다. 그러나, 제 1 베어링(51) 및 제 2 베어링(52)은 상기 종류의 베어링에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슬리브 베어링이나 유체 동압 베어링 등의 다른 종류의 베어링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제 1 베어링(51)의 베어링의 종류가 제 2 베어링(52)의 베어링의 종류와 달라도 좋다.
[오일시일]
오일시일(80)은 대략 원환 형상의 부재이다.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내부에 샤프트(31)의 축 둘레(θZ 방향)로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의 내부에 배치된다. 샤프트(31)의 축 방향 하측의 단부는 오일시일(80)의 관통구멍을 지난다.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와 샤프트(31)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오일시일(80)은 오일시일 유지부(21d)와 샤프트(31)의 사이로부터 하우징부(20) 내에 물이나 기름 등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오일시일(80)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오일시일(80)의 구성 및 재료는 상술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구성 및 재료의 오일시일이 사용되어도 좋다.
[제어장치]
제어장치(70)는 모터(1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장치(70)는 회로기판(71)과,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와, 센서 마그넷(73b)을 구비한다. 즉, 모터(10)는 회로기판(71)과,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와, 센서 마그넷(73b)을 구비한다.
회로기판(71)은 샤프트(31)의 리어측(+Z측)의 연장 상에 배치된다. 회로기판(71)은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베어링(52)과 커버(22)의 사이에 배치된다. 회로기판(71)은 리어측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프론트측(-Z측)에 위치하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을 갖는다.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은 회로기판(71)의 주면이다. 즉, 회로기판 프론트면(71b) 및 회로기판 리어면(71a)은 중심축(Z축)과 교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로기판(71)의 주면은 중심축(J)(또는 Z축)과 직교한다. 회로기판 리어면(71a)은 커버 프론트면(22c)과 대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71)은 후술하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 및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에 의해, 프론트측(-Z측)으로부터 지지된다. 회로기판(71)의 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프린트 배선(도시생략)이 배치된다. 회로기판 리어면(71a)에는 후술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접속된다. 회로기판(71)은, 예를 들면 모터 구동신호 등을 출력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원환 형상이다.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의 중앙의 구멍에는 샤프트(31)의 리어측(+Z측)의 단부의 소경 부분이 끼워맞추어진다. 이것에 의해,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샤프트(3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바람직하게는 압입이나 접착 등에 의해 샤프트(31)에 고정된다.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는 샤프트(31)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센서 마그넷(73b)은 원환 형상이다. 센서 마그넷(73b)의 N극과 S극은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센서 마그넷(73b)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의 외주면에 끼워맞추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마그넷(73b)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의 외주면과 접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 마그넷(73b)은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에 유지된다. 그 결과, 센서 마그넷(73b)은 제 2 베어링(52)의 리어측(+Z측)에 있어서 샤프트(31)의 둘레(±θZ 방향)로 샤프트(31)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적어도 1개의 회전 센서(72)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에 부착된다. 회전 센서(72)는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센서 마그넷(73b)과 대향한다. 회전 센서(72)는 센서 마그넷(73b)의 자속의 변화에 의해 로터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개의 회전 센서(72)가, 예를 들면 회로기판 프론트면(71b)에 배치된다. 또한, 회전 센서(72)로서는, 예를 들면 홀소자 등이 사용된다.
[버스바 어셈블리]
도 4 및 도 5는 버스바 어셈블리(6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평면도이다. 버스바 어셈블리(60)는 외부전원 등으로부터 스테이터(40)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유닛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어셈블리(60)는 버스바 홀더(61)와, 적어도 1개의 버스바(91)와, 배선부재(92)를 갖는다. 또한,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스바 어셈블리(60)는 복수의 버스바(9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
버스바 홀더(61)는 수지제의 홀더이다. 바람직하게는, 버스바 홀더를 구성하는 재료는 절연성을 갖는 수지이다. 버스바 홀더(61)는 버스바(91) 및 배선부재(92)를 유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61)의 리어측(+Z측)은 통형상부(22a)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스바 홀더(61)는 통형상부(22a)에 압입된다. 버스바 홀더(61)의 프론트측(-Z측)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1)의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에 수용된다.
버스바 홀더(61)를 구성하는 재료는 절연성을 갖는 수지이면 특별히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버스바 홀더(61)는, 예를 들면 사출성형에 의해 단일의 부재로서 제조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61)는 본체부(62)와, 커넥터부(63)와, 접속단자 유지부(64)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연결부(66a, 66b, 66c, 66d)를 갖는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62)는 중심축(J)을 둘레 방향(θZ 방향)으로 둘러싸는 통 형상이다. 본체부(62)는 리어측(+Z측)에 개구부(62a)를 갖는다. 본체부(62)는 로터(30)의 리어측의 단부 및 스테이터(40)의 리어측의 단부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싼다. 즉, 본체부(62)의 프론트측(-Z측)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로터(30) 및 스테이터(40)의 리어측의 일부가 위치한다.
본체부 리어면(62c)에는 홈부(62f)가 배치된다. 홈부(62f)는 개구부(62a)를 둘러싸는 본체부(62)의 외형을 따른다. 홈부(62f)에는 리어측 O링(82)이 끼워넣어진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외측면(62d)의 프론트측(-Z측)에는 O링 유지부(62e)가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링 유지부(62e)에는 프론트측 O링(81)이 끼워넣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62)는 원호부(68a)와 커넥터 연결부(68b)를 갖는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부(68a)의 중심축(J)에 수직인 단면(XY 단면)의 형상, 및 평면으로 본(XY면으로 본) 형상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동심이고 원호 형상이다. 그 원호 형상의 중심각은, 바람직하게는 φ240°이상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호부(68a)는 커버(22)의 통형상부(22a)에 압입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연결부(68b)는 커넥터부(63)와 연결된다. 커넥터 연결부(68b)는 원호부(68a)의 양단부에 접속된다. 커넥터 연결부(68b)는 커넥터부(63)측(+X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형상이다.
커넥터부(63)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부분이다. 커넥터부(63)는 통형상이다. 커넥터부(63)의 외형은 개략 직육면체이다. 커넥터부(63)는 커넥터 연결부(68b)의 외측면의 일부로부터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X측)을 향해서 연장된다. 커넥터부(63)는 지름 방향 외측(+X측)에 개구를 갖는다. 즉, 커넥터부(63)는 본체부(62)로부터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63)의 전체는 커버(22)의 외부에 노출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63)는 버스바 홀더(61)의 길이 방향의 일방측(+X측)으로 개구되는 전원용 개구부(63a)를 갖는다. 전원용 개구부(63a)의 저면에는 버스바(91)와, 후술하는 외부전원 접속단자(94)가 배치된다. 버스바(91)와 외부전원 접속단자(94)는 전원용 개구부(63a)의 저면으로부터 버스바 홀더(61)의 길이 방향의 일방측(+X측)으로 돌출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 유지부(64)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부분이다. 접속단자 유지부(64)는 본체부 내측면(내측면)(62b)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 유지부(64)는 커넥터 연결부(68b)의 내측면으로부터 커넥터부(63)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방향(-X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지부 리어면(64b)은 회로기판 리어면(71a)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또한, 접속단자 유지부(64)의 유지부 리어면(64b)은 본체부(62)의 리어측의 본체부 리어면(62c)보다 프론트측에 위치한다.
리어 베어링 유지부(65)는 본체부(62)의 지름 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베어링 유지부(65)는 제 2 베어링(52)을 유지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66a, 66b, 66c, 66d)는 본체부(62)와 본체부(62)의 내측에 설치된 리어 베어링 유지부(65)를 연결한다. 연결부(66a∼66d)는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의 둘레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다.
둘레 방향으로 이웃하는 연결부(66a∼66d)끼리의 사이에는 간극(66e, 66f, 66g, 66h)이 배치된다. 즉,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본체부(62)의 사이에는 간극(66e, 66f, 66g, 66h)이 배치된다. 간극(66e)은 연결부(66a)와, 연결부(66b)와, 본체부(62)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의해서 구성된다. 간극(66f)은 연결부(66b)와, 연결부(66c)와, 본체부(62)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의해서 구성된다. 간극(66g)은 연결부(66c)와, 연결부(66d)와, 본체부(62)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의해서 구성된다. 간극(66h)은 연결부(66d)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연결부(66a)와, 접속단자 유지부(64)와, 본체부(62)에 의해서 구성된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e)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코일 접속부(91a, 91b)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f)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코일 접속부(91c, 91d)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g)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코일 접속부(91e, 91f)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h)이 배치되는 위치는 후술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를 포함하는 위치이다.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간극(66h)의 외형은 대략 직사각형상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61a)는 접속단자 유지부(64)와,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와, 연결부(66a∼66d)로 구성된다. 즉, 버스바 홀더(61)는 저부(61a)를 갖는다. 저부(61a)는 본체부 내측면(62b)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확장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분선 C1에 의해 저부(61a)를 2개의 영역으로 나눈다. 구분선 C1은 커넥터부(63)가 돌출하는 방향(X축 방향) 및 축 방향(Z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중심축(J)과 교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구분선 C1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단지 구분선 방향(Y축 방향)이라고 부를 경우가 있다.
저부(61a)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XY면으로 볼 때)에 구분선 C1의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설치되는 측(+X측)으로 되는 영역을, 제 1 영역(AR1)이라고 한다. 즉, 제 1 영역(AR1)은 저부(61a)에 있어서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심축(J)을 기준으로 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설치되는 측(+X측)으로 되는 영역이다.
저부(61a)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XY면으로 볼 때)에 구분선 C1의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X측)의 영역을, 제 2 영역(AR2)이라고 한다. 즉, 제 2 영역(AR2)은 저부(61a)에 있어서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중심축(J)을 기준으로 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X측)측으로 되는 영역이다.
저부(61a)의 리어측(+Z측)의 면에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와,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와, 제 1 돌기부(69a, 69b)와, 제 2 돌기부(69c, 69d)와,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가 배치된다. 즉, 버스바 홀더(61)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와,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와, 제 1 돌기부(69a, 69b)와, 제 2 돌기부(69c, 69d)와,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를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돌기부(69c, 69d)를 제 3 회로기판 지지부(69c, 69d)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저부(61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는 회로기판(71)을 프론트측(-Z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즉,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의 리어측의 단부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과 접촉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에 대해서도 같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제 1 영역(AR1)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와 후술하는 접촉부(95e)는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샤프트(31)와 접촉부(95e)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저부(61a)를 구성하는 부분 중,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의 리어측(+Z측)의 면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간극(66h)의 중심축(J)측(-X측)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와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는 구분선 방향에 있어서 접속단자 유지부(64)의 +Y측의 단부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는 구분선 방향에 있어서 접속단자 유지부(64)의 -Y측의 단부와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의 일부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 즉 후술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접촉부(95e)가 배열되는 방향(소정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부(95e)의 일방측(+Y측)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의 일부는 구분선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부(95e)의 타방측(-Y측)에 배치된다.
도 3에 있어서,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의 평면으로 본 형상은 직사각형상이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의 평면으로 본(XY면으로 본) 형상은 상술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의 평면으로 본(XY면으로 본)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상이여도, 직사각형상이여도, 다각형상이여도 좋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 즉 후술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접촉부(95e)가 배열되는 방향(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는 저부(61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는 회로기판(71)을 프론트측(-Z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즉,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의 리어측의 단부는 회로기판 프론트면(71b)과 접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는 제 2 영역(AR2)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는 저부(61a)를 구성하는 부분 중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의 리어측(+Z측)의 면에 배치된다. 도 3에 있어서,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의 평면으로 본 형상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의 평면으로 본(XY면으로 본) 형상은,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와 마찬가지로 상술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단자 유지부(64)의 중앙부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69a, 69b)는 저부(61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69a, 69b)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 1 돌기부(69a, 69b)는 제 1 영역(AR1)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69a)는 저부(61a)를 구성하는 부분 중 연결부(66a)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돌기부(69b)는 저부(61a)를 구성하는 부분 중 연결부(66d)에 배치된다.
제 1 돌기부(69a)와 중심축(J)의 지름 방향의 거리는, 후술하는 코일 접속부(91a∼91f)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와 중심축(J)의 지름 방향의 거리보다 크다. 즉, 제 1 돌기부(69a)는 코일 접속부(91a∼91f)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보다 지름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축 방향(Z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 1 돌기부(69a)는 코일 접속부(91a∼91f)의 적어도 일부와 둘레 방향으로 겹친다. 제 1 돌기부(69b)에 대해서도 같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69a, 69b)는 회로기판(71)에 형성된 노치에 끼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돌기부(69b)의 리어측(+Z측)의 단부는 회로기판(71)보다 리어측에 배치된다. 제 1 돌기부(69b) 중, 회로기판 리어면(71a)보다 리어측으로 돌출한 부분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용착 된다. 제 1 돌기부(69b)의 용착된 부분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반구 형상이다. 제 1 돌기부(69a)에 대해서도 같다. 이것에 의해, 제 1 돌기부(69a, 69b)가 회로기판(71)에 고정된다. 그 결과, 제 1 돌기부(69a, 69b)는 회로기판(71)을 리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돌기부(69c, 69d)는 저부(61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돌기부(69c, 69d)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 2 돌기부(69c, 69d)는 제 2 영역(AR2)에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돌기부(69c, 69d)는 저부(61a)를 구성하는 부분 중 리어 베어링 유지부(65)에 배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돌기부(69c, 69d)는 회로기판(71)에 형성된 노치에 끼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돌기부(69d)의 리어측(+Z측)의 단부는 회로기판(71)보다 리어측에 배치된다. 제 2 돌기부(69d) 중, 회로기판 리어면(71a)보다 리어측으로 돌출한 부분은 열에 의해 용융되어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용착된다. 즉, 제 2 돌기부(69d)는 회로기판 리어면(71a)에 용착된다. 제 2 돌기부(69d)의 용착된 부분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반구 형상이다. 제 2 돌기부(69c)에 대해서도 같다. 이것에 의해, 제 2 돌기부(69c, 69d)가 회로기판(71)과 고정된다. 그 결과, 제 2 돌기부(69c, 69d)는 회로기판(71)을 리어측에서 지지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는 저부(61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는 구분선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는 제 2 영역(AR2)에 배치된다.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의 리어측의 단부는 회로기판(71)에 형성된 구멍부에 삽입된다.
(버스바)
버스바(91)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금속 등)로 이루어지는 박판 형상의 부재이다. 버스바(91)는 스테이터(4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동전류는 외부전원 등으로부터 버스바(91)를 통해서 스테이터(40)에 공급된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버스바(91)가 스테이터(40)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3상 모터이면 적어도 3매의 버스바(91)가 스테이터(40)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의 결선방법의 차이에 의해, 버스바(91)의 매수는 4매 이상 등으로 적당하게 변경되어도 좋다. 각 버스바(91)는 버스바 홀더(61)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91)의 일단은 전원용 개구부(63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버스바(91)의 일단은 커버(22)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 외부에 노출된 버스바(91)의 일단에는, 예를 들면 외부전원이 접속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91)는 코일 접속부(91a, 91b, 91c, 91d, 91e, 91f)를 갖는다. 코일 접속부(91a∼91f)는 복수의 버스바(91)의 타단에 배치된다. 코일 접속부(91a∼91f)는 본체부 내측면(62b)으로부터 돌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 접속부(91a∼91f)는 본체부 내측면(62b) 중 원호부(68a)의 내측면에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코일 접속부(91c)는 접속부재(도시생략)를 통해서 코일(4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91)가 스테이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점에 있어서 코일 접속부(91a, 91b, 91d∼91f)의 구성은 코일 접속부(91c)의 구성과 같다.
(배선부재)
배선부재(92)는 버스바 홀더(61)에 유지된다. 배선부재(92)의 일부는 버스바 홀더(61)에 매설된다. 배선부재(92)는 외부전원(도시생략)과 회로기판(71)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배선부재(92)는 복수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버스바 어셈블리(60)는 복수의 배선부재(92)를 갖는다. 배선부재(92)은 외부전원 접속단자(94)와 회로기판 접속단자(95)를 갖는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 및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버스바 홀더(61)로부터 노출된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는 커넥터부(63) 내에 배치된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는 전원용 개구부(63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외부전원 접속단자(94)는 외부전원(도시생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유지부 내측면(64a)으로부터 돌출한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제 1 접속부(95a)와, 제 1 연신부(95b)와, 제 2 접속부(95c)와, 제 2 연신부(95d)와, 접촉부(95e)를 갖는다.
제 1 접속부(95a)는 유지부 내측면(64a)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즉, 제 1 접속부(95a)는 접속단자 유지부(64)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접속부(95a)는 회로기판(71)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 1 연신부(95b)는 제 1 접속부(95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연신부(95b)는 제 1 접속부(95a)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리어측으로 연장된다. 제 1 연신부(95b)는 회로기판(71)의 리어측까지 연장된다. 즉, 제 1 연신부(95b)의 리어측의 단부는 회로기판 리어면(71a)보다 리어측에 배치된다.
제 2 접속부(95c)는 제 1 연신부(95b)로부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접속부(95c)는 제 1 연신부(95b)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접속부(95c)는 제 1 연신부(95b)의 리어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 2 연신부(95d)는 제 2 접속부(95c)로부터 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연신부(95d)는 제 2 접속부(95c)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연신부(95d)는 제 2 접속부(95c)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프론트측으로 연장된다. 제 2 연신부(95d)의 프론트측의 단부는 제 1 연신부(95b)의 프론트측의 단부보다 리어측(+Z측)에 배치된다. 제 2 연신부(95d)는 접촉부(95e)와 연결된다.
접촉부(95e)는 제 2 연신부(95d)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접촉부(95e)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접촉부(95e)는 판형상이며, 프론트측에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평행한 접촉면(95f)을 갖는다.
접촉면(95f)은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접촉한다. 접촉부(95e)는,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회로기판(71)과 고정된다(도시생략). 이것에 의해, 접촉부(95e)는 회로기판(71)과 접속된다. 즉,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회로기판(7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배선부재(92)는 회로기판(7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선부재(92)에 있어서의 접촉부(95e)는 회로기판 리어면(71a)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부(95e)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접촉부(95e)를 통해서 회로기판(71)에 리어측(+Z측)으로부터 프론트측(-Z측)으로 힘을 가한다. 즉, 회로기판(71)을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95e)에 있어서의 접촉면(95f)은 축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회로기판 리어면(71a)보다 프론트측에 배치된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회로기판(71)에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축 방향(Z축 방향)으로 탄성변형한다. 일례로서, 제 1 연신부(95b)는 축 방향으로 신장하여 축 방향의 치수가 커진다. 제 2 연신부(95d)는 축 방향으로 수축하여 축 방향의 치수가 작아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J)의 둘레 방향(θZ 방향)에 있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위치는 코일 접속부(91a∼91f)의 위치와 다르다.
[프론트측 O링 및 리어측 O링]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측 O링(81)은 하우징(21)의 내측에 배치된다. 프론트측 O링(81)은 버스바 홀더(61)의 O링 유지부(62e)에 유지된다. 프론트측 O링(81)은 하우징(21)의 내측면과 본체부(62)의 외측면에, 일주에 걸쳐 접촉한다. 즉, 프론트측 O링(81)은 일주에 걸쳐 본체부(62)와 하우징(21)에 접촉한다. 프론트측 O링(81)에는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의 내측면으로부터 응력이 걸린다.
리어측 O링(82)은 커버(22)의 내측에 배치된다. 리어측 O링(82)은 홈부(62f)에 끼워넣어진다. 후술하는 커버(22)는 뚜껑부(22b)의 프론트측(-Z측)에 커버 프론트면(22c)을 갖는다. 리어측 O링(82)의 전체 둘레는 후술하는 커버 프론트면(22c)과 접촉한다. 리어측 O링(82)에는 커버 프론트면(22c)으로부터 응력이 걸린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론트측 O링(81) 및 리어측 O링(82)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하는 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환단면을 갖는 가늘고 긴 실리콘 고무가 링 형상으로 가공되어 프론트측 O링(81) 및 리어측 O링(82)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프론트측 O링(81) 및 리어측 O링(82)의 구조나 재료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커버(22)는 하우징(21)의 리어측(+Z측)에 부착된다. 커버(22)의 재료는, 예를 들면 금속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2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SUS 등의 철 합금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22)는 통형상부(22a)와, 뚜껑부(22b)와, 커버 프론트면(22c)과, 리어측 플랜지부(24)를 갖는다.
통형상부(22a)는 프론트측(-Z측)으로 개구된다. 통형상부(22a)는 버스바 어셈블리(60)를,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형상부(22a)는 본체부(62)의 리어측(+Z측)의 단부를, 중심축(J)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싼다. 바꿔 말하면, 통형상부(22a)의 내부에는 본체부(62)의 리어측(+Z측)의 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다. 통형상부(22a)는 프론트측 플랜지부(23) 및 리어측 플랜지부(24)를 통해서 버스바 어셈블리 삽입부(21a)의 리어측(+Z측)의 단부와 연결된다.
뚜껑부(22b)는 통형상부(22a)의 리어측(+Z측)의 단부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뚜껑부(22b)는 평판 형상이다. 뚜껑부(22b)는 프론트측(-Z측)에 커버 프론트면(22c)을 갖는다. 뚜껑부(22b)는 후술하는 개구부(62a)를 폐색한다. 즉, 커버(22)는 개구부(62a)의 리어측을 덮는다. 커버 프론트면(22c)은 리어측 O링(82)의 전체 둘레와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커버(22)는 개구부(62a) 주위의 일주에 걸쳐서 본체부 리어면(62c)과 리어측 O링(82)을 개재해서 간접적으로 접촉한다.
리어측 플랜지부(24)는 통형상부(22a)의 프론트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확장된다. 프론트측 플랜지부(23)의 적어도 일부가 리어측 플랜지부(24)의 적어도 일부와 겹쳐져서 접합됨으로써 하우징(21)은 커버(22)와 조합된다.
모터(10)에는 커넥터부(63)를 통해서, 예를 들면 외부전원이 접속된다. 버스바(91)는 전원용 개구부(63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접속된 외부전원은 버스바(91) 및 배선부재(9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버스바(91) 및 배선부재(92)를 통해서 코일(43) 및 회전 센서(72)에 외부전원으로부터 구동전류가 공급된다. 회전 센서(72)는 로터 마그넷의 자속을 검지한다. 코일(43)에 공급되는 구동전류는, 예를 들면 검지된 로터 마그넷의 자속을 기초로 산출된 로터(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제어된다. 코일(43)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코일(43)에는 자장이 발생한다. 바꿔 말하면, 코일(43)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로터(30)와 스테이터(40)의 사이에 토크가 발생한다. 이 토크에 의해 샤프트(31)를 갖는 로터(3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터(10)는 회전 구동력을 얻는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접촉부(95e)를 통해서 회로기판(71)에 리어측에서 프론트측으로 힘을 가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와 회로기판(71)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 리어면(71a)의 두께, 즉 축 방향의 치수에 불균일이 있을 경우에도 회로기판(71)과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접촉하지 않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가 제 1 영역(AR1)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71)을 회로기판(71)과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접속 개소, 즉 접촉부(95e)의 부근에 있어서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10)가 충격을 받았을 경우 회로기판(71)에 있어서의 접촉부(95e)가 접속되는 개소에 있어서, 회로기판(71)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71)과 접촉부(95e)를 접속하는 부분이, 예를 들면 납땜된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회로기판(71)과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접속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접촉부(95e)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접촉부(95e)가 회로기판(71)과 접속될 때에, 예를 들면 납땜 등에 의한 열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에 전해지기 어렵다. 따라서,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에 의해 회로기판(71)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가 제 2 영역(AR2)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와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에 의하여 회로기판(71)을, 중심축(J)을 기준으로 한 제 1 영역(AR1)과 제 2 영역(AR2)에 있어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기판(71)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샤프트(31)와 접촉부(95e)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71)을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와 접촉부(95e)의 사이로부터 접촉부(95e)의 프론트측으로,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기판(71)을 부착하기 쉽다.
회로기판(71)이 접촉부(95e)를 통해서 프론트측에 힘을 받으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를 지점으로 해서 회로기판(71)에 회전 모멘트가 생긴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71)의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돌기부(69c, 69d)가 제 2 영역(AR2)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샤프트(31)와 접촉부(95e)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제 2 돌기부(69c, 69d)에 의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를 지점으로 해서 회로기판(71)에 접촉부(95e)에 의한 회전 모멘트와 반대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생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기판(71)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2 돌기부(69c, 69d)는 회로기판 리어면(71a)에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71)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리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신부(95b)를 갖는다. 그 때문에, 제 1 연신부(95b)가 축 방향으로 탄성변형함으로써 회로기판(71)에 대하여 리어측에서 프론트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리어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신부(95d)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를 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71)의 두께에 치수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도 리어측에서 프론트측으로, 회로기판(71)에 과도하게 힘이 가하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연신부(95b)는 회로기판(71)의 리어측까지 연장된다. 제 2 접속부(95c)는 제 1 연신부(95b)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제 2 연신부(95d)는 제 2 접속부(95c)로부터 프론트측으로 연장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연신부(95d)는 접촉부(95e)와 접속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를 회로기판 리어면(71a)에 용이하게 접속하기 쉽다.
제 2 연신부(95d)의 프론트측의 단부는 제 1 연신부(95b)의 프론트측의 단부보다 리어측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가 접속단자 유지부(64)에 유지되는 위치보다 리어측에 회로기판(71)을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이하게 회로기판(71)을 설치할 수 있고, 용이하게 회로기판(71)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 접속단자(95)에 의해 회로기판(71)에 리어측에서 프론트측으로 힘을 가하기 쉽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판 형상의 접촉부(95e)를 갖는다. 접촉면(95f)이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접촉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회로기판 접속단자(95)와 회로기판(71)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회로기판 접속단자(95)와 회로기판(71)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접촉부(95e)가 늘어서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즉,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회로기판(71)에 있어서 접촉부(95e)를 통해서 회로기판 접속단자(95)로부터 힘을 받는 부분이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에 의해 회로기판(71)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2개 설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의 일부는 복수의 접촉부(95e)의 구분선 방향의 일방측(-Y측)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의 일부는 복수의 접촉부(95e)의 구분선 방향의 타방측(+Y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2개의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에 의해 회로기판(71)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와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를 구분선 방향으로 떼어서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센서 마그넷(73b)이 배치되는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센서 마그넷(73b)이 커지기 쉬울 경우(회전 센서(72)로서 홀소자가 사용되는 경우 등)라도 센서 마그넷(73b)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 1 돌기부(69a, 69b)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코일 접속부(91a∼91f)의 적어도 일부와 겹친다. 즉, 회로기판(71)이 용착되는 부분의 지름 방향 위치를 보다 외측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71)의 주면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71)을 배치할 때에 회로기판(71)의 노치에 제 1 돌기부(69a, 69b)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의 전체가 구분선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부(95e)의 일방측(-Y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의 전체가 구분선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부(95e)의 타방측(+Y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1개만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어셈블리(160)는 버스바 홀더(16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161)는 1개의 제 1 회로기판 지지부(167)와, 1개의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와, 2개의 제 1 돌기부(69a, 69b)와, 2개의 제 2 돌기부(69c, 69d)와, 2개의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를 갖는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167)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 및 도 5에 있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167)는 예를 들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와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를 구분선 방향으로 연결시킨 형상이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167)의 그 밖의 구성은,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의 구성과 같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회로기판(71)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센서(72)로서 센서 마그넷(73b)을 작게 할 수 있는 자기 저항 소자를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센서(72)의 분해능을 향상할 수 있다.
커넥터부(63)가 돌출하는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의 위치가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b)의 위치와 다르게 배치되어도 좋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접속단자 유지부(64)의 유지부 리어면(64b)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는, 예를 들면 제 1 영역(AR1)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버스바 어셈블리(26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어셈블리(260)는 버스바 홀더(261)를 갖는다. 버스바 홀더(261)는 1개의 제 1 회로기판 지지부(267)와, 1개의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와, 2개의 제 1 돌기부(69a, 69b)와, 2개의 제 2 돌기부(69c, 69d)와, 2개의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를 갖는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267)는 유지부 리어면(64b)에 배치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267)는 구분선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 회로기판 지지부(267)의 그 밖의 구성은, 도 3 및 도 5 등에 있어서 나타낸 제 1 회로기판 지지부(67a, 67b)의 구성과 같다.
도 7에서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267)는 1개만 배치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가 복수 설치되어도 좋다.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는 2개 이상 배치되어도 좋다. 제 2 회로기판 지지부(67c)는 배치되지 않아도 좋다.
제 2 돌기부(69c, 69d)는 어느 한쪽만 형성되어도 좋고, 양쪽 모두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제 1 돌기부(69a, 69b)에 대해서도 같다.
제 2 돌기부(69c, 69d)는 회로기판(71)에 용착되지 않아도 좋다. 제 1 돌기부(69a, 69b)에 대해서도 같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회로기판(71)은 샤프트(31)의 리어측에 배치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기판(71)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샤프트(31)가 삽입되고, 샤프트(31)의 리어측의 단부가 회로기판(71)의 리어측으로 돌출해도 좋다.
회로기판 접속단자(95)는 회로기판(71)에 리어측에서 프론트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구성으로서,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이 사용되어도 좋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다른 일례인 모터(310)의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310)는 버스바 어셈블리(360)를 갖는다. 버스바 어셈블리(360)는 배선부재(392)를 갖는다. 배선부재(392)는 회로기판 접속단자(395)를 갖는다. 회로기판 접속단자(395)는 제 1 접속부(395a)와, 제 1 연신부(395b)와, 접촉부(395c)를 갖는다. 회로기판 접속단자(395)는 회로기판 접속단자(95)에 대하여 접속부, 및 연신부가 각각 1개씩만 설치되는 점에 있어서 다르다.
제 1 접속부(395a)는 유지부 내측면(64a)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제 1 접속부(395a)는 회로기판(71)보다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 1 연신부(395b)는 제 1 접속부(395a)로부터 리어측(+Z측)으로 연장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연신부(395b)는 제 1 접속부(395a)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로부터 리어측으로 연장된다.
접촉부(395c)는 제 1 연신부(395b)의 리어측(+Z측)의 단부로부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접촉부(395c)는 회로기판 접속단자(395)의 지름 방향 내측의 단부에 배치된다. 접촉부(395c)는 판 형상이며, 프론트측(-Z측)에 회로기판 리어면(71a)과 평행한 접촉면(395d)을 갖는다. 접촉면(395d)은, 도 2에 있어서 나타낸 접촉면(95f)과 같다.
접촉부(395c)의 그 밖의 구성은, 도 2에 있어서 나타낸 접촉부(95e)와 같다. 모터(310)의 그 밖의 구성은, 도 1 등에 있어서 나타낸 모터(10)의 구성과 같다.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하면, 회로기판 접속단자(395)는 접속부, 및 연신부를 각각 1개씩만 갖는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 접속단자(95)의 형상에 비하여 회로기판 접속단자(395)의 형상은 간단하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회로기판 접속단자(395)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73b)의 위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구조가, 회로기판(71)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인 모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적당하게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등에 의해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모터(410)는 회로기판(471)을 갖는다. 회로기판(471)은 회로기판 구멍(471c)을 갖는다. 회로기판 구멍(471c)은 회로기판(471)에 있어서 복수의 회로 센서(72)의 중앙에 배치된다.
모터(410)는 샤프트(431)를 갖는다. 샤프트(431)는 리어측(+Z측)의 단부에 센터 구멍(431A)을 갖는다. 센터 구멍(431A)은 샤프트(431)의 리어측(+Z측)의 단부로부터 프론트측(-Z측)을 향해서 패인다.
제 1 돌기부(69a, 69b) 및 제 2 돌기부(69c, 69d)가 용착되기 전에 회로기판(471)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움직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바 홀더 볼록형상부(69e, 69f)를 회로기판(71)에 배치되는 구멍부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기판(471)이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471)과 샤프트(431)의 위치결정도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회로기판(471)에 부착된 회전 센서(72)와, 샤프트(431)와 회전 가능하게 샤프트(431)에 배치된 센서 마그넷(73b)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하면, 회로기판(471)을 직접 샤프트(431)와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73b)의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의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71)은 버스바 홀더(61)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71)은 센서 마그넷(73b)과의 사이에 복수의 부품을 갖는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471)은 샤프트(431)에 유지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471)은 센서 마그넷(73b)과의 사이에 센서 마그넷 유지부재(73a)만을 갖는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쪽이, 모터(10)을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치수 오차를 보다 억제할 수 있고, 위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로기판 구멍(471c)의 내경은 센터 구멍(431A)의 내경과 대략 같다. 회로기판 구멍(471c)의 내경 및 센터 구멍(431A)의 내경과 대략 같은 외경을 갖는 지그를, 회로기판 구멍(471c)과 센터 구멍(431A)에 삽입한다. 그 결과, 회로기판(471)과 샤프트(431)가 정밀도가 높은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73b)의 위치 정밀도가 향상하고, 회전 센서의 위치검출 정밀도가 향상한다. 센터 구멍(431)은 일반적으로 봉 형상의 부재를 가공할 때에 형성되는 센터 구멍이다. 그 때문에, 특별한 가공을 샤프트(431)에 실시할 필요가 없고, 종래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73b)의 위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구조는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구조에서는 복수의 회전 센서(72)(예를 들면, 홀 센서)가 회로기판 상에 있어서 원형으로 배치되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회전 센서(72)와 센서 마그넷(73b)의 위치 정밀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 센서(73b)(예를 들면 MR 센서)가 회로기판 상의 중심축 상에 배치될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샤프트의 외형을 이용하는 구조나, 베어링을 이용하는 구조 등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한 각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당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10, 110, 310…모터 21…하우징
22…커버 30…로터
31…샤프트 40…스테이터
51…제 1 베어링 52…제 2 베어링
60, 160, 260, 360…버스바 어셈블리 61, 161, 261…버스바 홀더
61a…저부 62…본체부
62a…개구부 62b…본체부 내측면(내측면)
63…커넥터부 64…접속단자 유지부
67a, 67b, 167, 267…제 1 회로기판 지지부
67c…제 2 회로기판 지지부
69c, 69d…제2 돌기부(제 3 회로기판 지지부)
71…회로기판 91…버스바
92, 392…배선부재 94…외부전원 접속단자
95, 395…회로기판 접속단자 95a, 395a…제 1 접속부
95b, 395b…제 1 연신부 95c…제 2 접속부
95d…제 2 연신부 95e, 395c…접촉부
95f, 395d…접촉면 J…중심축

Claims (20)

  1.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를 상기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일방향의 제 1 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 1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제 1 측과 반대인 제 2 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 2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제 1 베어링을 유지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제 2 베어링을 유지하고, 상기 제 1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의 상기 제 2 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의 면이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와,
    외부전원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부재와,
    상기 버스바 및 상기 배선부재를 유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갖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제 2 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 내측으로 확장되는 저부와,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제 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 1 측에서 지지하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2 측을 덮고,
    상기 배선부재는,
    상기 커넥터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전원 접속단자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접촉부를 통해서 상기 회로기판에 상기 제 2 측에서 상기 제 1 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으로 되는 상기 저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제 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 1 측에서 지지하는 제 2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 2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으로 되는 상기 저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접촉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 2 측에서 지지하는 제 3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 3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으로 되는 상기 저부의 영역에 배치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에 용착되어 있는 모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측면에 설치된 접속단자 유지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신부를 갖는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상기 제 1 연신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신부를 갖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신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연신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신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1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신부의 상기 제 1 측의 단부는 상기 제 1 연신부의 상기 제 1 측의 단부보다 상기 제 2 측에 위치하는 모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과 평행한 접촉면을 갖는 판 형상이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과 접촉하는 모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배선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배선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배선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배선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2개의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한쪽의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13.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를 갖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를 상기 중심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일방향의 제 1 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 1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의 상기 제 1 측과 반대인 제 2 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 2 베어링과,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제 1 베어링을 유지하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제 2 베어링을 유지하고, 상기 제 1 측의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는 버스바 어셈블리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의 상기 제 2 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어링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의 면이 상기 일방향과 교차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상기 스테이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버스바와,
    외부전원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부재와,
    상기 버스바 및 상기 배선부재를 유지하는 버스바 홀더를 갖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제 2 측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중심축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 내측으로 확장되는 저부와,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제 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 1 측에서 지지하는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2 측을 덮고,
    상기 배선부재는,
    상기 커넥터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전원 접속단자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기판 접속단자를 갖고,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접촉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접촉부를 통해서 상기 회로기판에 상기 제 2 측에서 상기 제 1 측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으로 되는 상기 저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저부로부터 상기 제 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 1 측에서 지지하는 제 2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 2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으로 되는 상기 저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지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상기접촉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상기 회로기판을 상기 제 2 측에서 지지하는 제 3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상기 제 3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일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가 설치되는 측과 반대측으로 되는 상기 저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에 용착되어 있는 모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측면에 설치된 접속단자 유지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2 측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신부를 갖는 모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는,
    상기 제 1 연신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신부를 갖는 모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신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연신부로부터 상기 지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연신부는 상기 제 2 접속부로부터 상기 제 1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는 모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신부의 상기 제 1 측의 단부는 상기 제 1 연신부의 상기 제 1 측의 단부보다 상기 제 2 측에 위치하는 모터.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과 평행한 접촉면을 갖는 판 형상이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과 접촉하는 모터.
  19.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배선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배선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는 상기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터.
  20.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의 상기 배선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배선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로기판 접속단자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제 2 측의 면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 홀더는 2개의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를 갖고,
    한쪽의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상기 제 1 회로기판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모터.
KR1020177007595A 2014-09-30 2015-09-17 모터 KR101859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1411 2014-09-30
JPJP-P-2014-201411 2014-09-30
JPJP-P-2015-109638 2015-05-29
JP2015109638A JP6569306B2 (ja) 2014-09-30 2015-05-29 モータ
PCT/JP2015/076569 WO2016052240A1 (ja) 2014-09-30 2015-09-17 モー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279A Division KR101888890B1 (ko) 2014-09-30 2015-09-17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632A KR20170043632A (ko) 2017-04-21
KR101859465B1 true KR101859465B1 (ko) 2018-05-21

Family

ID=558676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595A KR101859465B1 (ko) 2014-09-30 2015-09-17 모터
KR1020187013279A KR101888890B1 (ko) 2014-09-30 2015-09-17 모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279A KR101888890B1 (ko) 2014-09-30 2015-09-17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43426B2 (ko)
JP (1) JP6569306B2 (ko)
KR (2) KR101859465B1 (ko)
CN (1) CN106716795B (ko)
DE (1) DE112015004466T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5990A1 (ja) * 2016-08-05 2018-02-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US11451115B2 (en) * 2017-07-18 2022-09-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ic motor with a heat transfer component, circuit board and a ventilation fan
WO2019131420A1 (ja) * 2017-12-28 2019-07-04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WO2019181571A1 (ja) * 2018-03-23 2019-09-26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0970207A (zh) * 2018-09-30 2020-04-07 广东德昌电机有限公司 印刷电路板以及使用该印刷电路板的电机
JP7283977B2 (ja) * 2019-05-28 2023-05-30 Kyb株式会社 回転電機
JP7348033B2 (ja) * 2019-11-06 2023-09-2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動力信号が入力されるコネクタを備えた電動機、及び電動機の製造方法
CN111864924B (zh) * 2020-08-19 2022-02-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定子总成及电机
CN216981644U (zh) * 2021-08-25 2022-07-15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电动机和包括电动机的电动工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8094A (ja) * 2008-12-26 2010-07-15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161863A (ja) * 2009-01-07 2010-07-22 Koito Mfg Co Ltd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装置用モータポンプ
JP2014143897A (ja) * 2012-12-28 2014-08-07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2254B2 (ja) 2000-02-29 2010-09-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モータ
JP3799270B2 (ja) 2001-12-21 2006-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の駆動状態を切り換える為の制御装置
DE20302174U1 (de) 2003-02-11 2004-09-09 Minebea Co., Ltd. Wellendichtung für einen Elektromotor und Elektromotor, insbesondere für ein automatisches Schalt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JP4662200B2 (ja) * 2004-09-29 2011-03-30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ブスバー
JP4956923B2 (ja) 2005-06-23 2012-06-20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
JP4894268B2 (ja) 2006-01-10 2012-03-14 日本電産株式会社 コネクタの封止構造およびこの封止構造を用いた密閉型ブラシレスモータ
US7588444B2 (en) 2006-02-01 2009-09-15 Nidec Corporation Busbar unit, electric motor and electro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furnished with the busbar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usbar unit
JP2007221977A (ja) 2006-02-20 2007-08-30 Hitachi Car Eng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7221976A (ja) * 2006-02-20 2007-08-30 Hitachi Car Eng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WO2008102482A1 (ja) * 2007-02-19 2008-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モータの端子構造
JP5386072B2 (ja) 2007-07-26 2014-01-15 株式会社ケーヒン ブラシレスモータ
JP5239413B2 (ja) 2008-03-13 2013-07-17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JP2010172086A (ja) 2009-01-21 2010-08-05 Nippon Densan Corp バスバーユニット、バスバ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
JP2010284007A (ja) * 2009-06-05 2010-12-16 Hitachi Car Eng Co Ltd 駆動回路内蔵型センサ付きブラッシレスモータ
JP5435286B2 (ja) * 2009-06-24 2014-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JP5371149B2 (ja) * 2009-08-07 2013-12-18 愛三工業株式会社 回転検出器付きモータの構造
JP5563315B2 (ja) * 2010-01-08 2014-07-30 アスモ株式会社 電機子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JP5039171B2 (ja) 2010-05-11 2012-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式駆動装置およびその電動式駆動装置を搭載した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692593B2 (ja) 2011-05-11 2015-04-01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装置
JP5811422B2 (ja) * 2011-11-10 2015-11-11 株式会社安川電機 回転電機
JP5700232B2 (ja) * 2011-11-10 2015-04-15 株式会社安川電機 回転電機
JP5962027B2 (ja) 2012-01-26 2016-08-03 日本精工株式会社 回転電機
JP6007579B2 (ja) * 2012-05-10 2016-10-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制御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るモーターユニット
JP2013247761A (ja) 2012-05-25 2013-12-09 Jtekt Corp 電動オイルポンプ装置
JP6009856B2 (ja) * 2012-08-03 2016-10-19 日本電産サーボ株式会社 回転電機
JP2014033541A (ja) * 2012-08-03 2014-02-20 Denso Corp 回転電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A2895591C (en) 2012-12-28 2020-08-25 Masaki Ishizeki Electric motor and electric pump
JP6054754B2 (ja) * 2013-01-15 2016-12-27 ミネベア株式会社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6117577B2 (ja) * 2013-03-15 2017-04-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CN103227537B (zh) * 2013-04-24 2016-04-20 捷和电机制品(深圳)有限公司 印刷电路板及直流电机
US9509196B2 (en) 2013-12-12 2016-11-29 Nidec Corporation Motor
JP6368936B2 (ja) * 2014-09-30 2018-08-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8094A (ja) * 2008-12-26 2010-07-15 Mitsuba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0161863A (ja) * 2009-01-07 2010-07-22 Koito Mfg Co Ltd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装置用モータポンプ
JP2014143897A (ja) * 2012-12-28 2014-08-07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および電動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1151A1 (en) 2017-07-13
CN106716795B (zh) 2019-07-02
KR101888890B1 (ko) 2018-08-16
KR20180055911A (ko) 2018-05-25
JP2016073187A (ja) 2016-05-09
US10243426B2 (en) 2019-03-26
JP6569306B2 (ja) 2019-09-04
KR20170043632A (ko) 2017-04-21
US20190149014A1 (en) 2019-05-16
DE112015004466T5 (de) 2017-06-14
US10637323B2 (en) 2020-04-28
CN106716795A (zh)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465B1 (ko) 모터
KR101854231B1 (ko) 모터
KR101796051B1 (ko) 모터
KR101856555B1 (ko) 모터
KR101906881B1 (ko) 모터
KR101896304B1 (ko) 모터
CN108462333B (zh) 马达
JP6287784B2 (ja) モータ
WO2016052240A1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