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073B1 -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073B1
KR101859073B1 KR1020180006823A KR20180006823A KR101859073B1 KR 101859073 B1 KR101859073 B1 KR 101859073B1 KR 1020180006823 A KR1020180006823 A KR 1020180006823A KR 20180006823 A KR20180006823 A KR 20180006823A KR 101859073 B1 KR101859073 B1 KR 101859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space
fixing fram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Priority to KR102018000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과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 틀; 다수개의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후방에는 좌·우측 창문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창문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전방에는 슬라이드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창틀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봉 부재가 장착되는 창틀; 상기 창틀의 창문 작동공간에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좌·우측 창문; 상기 고정 틀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과 대응하는 측면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슬라이드 홈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방충망과 상기 랙기어와 회전기어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방충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 슬라이드 홈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방범망과 상기 랙기어와 회전기어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방범기구가 장착되는 방범수단; 상기 고정 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경사판이 장착되고,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레이저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의 하부에는 레이저에 조사되는 광선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의 내부에는 상기 레이저와 수신부의 작동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알리는 경보알림음이 장착되는 보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Window structure of building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이사 또는 긴급상황시 창틀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발코니 창호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벽면와 천장 및 바닥을 따라 사각틀 형태로 설치되어 고정되는 창틀(40)과, 창틀(40) 안쪽에 위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드 되는 창호(50)로 구성된다.
한편, 창틀에는 외부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방범창틀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인 방범창틀은 침입자가 쉽게 파괴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부재를 이용하여 외벽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그러나 화재나 물건의 반출입 등 방범창의 개방을 요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방범창은 분리시키기가 어려워 다른 통로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4786호 (2006.03.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9356호 (2005.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시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틀과 창틀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조립과 분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는 다수개의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고, 측면과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가 형성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고정 틀; 다수개의 프레임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후방에는 좌·우측 창문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창문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전방에는 슬라이드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창틀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봉 부재가 장착되는 창틀; 상기 창틀의 창문 작동공간에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좌·우측 창문; 상기 고정 틀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과 대응하는 측면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슬라이드 홈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방충망과 상기 랙기어와 회전기어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방충기구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 슬라이드 홈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방범망과 상기 랙기어와 회전기어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방범기구가 장착되는 방범수단; 상기 고정 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경사판이 장착되고, 상기 경사판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레이저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의 하부에는 레이저에 조사되는 광선을 수신하는 수신부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의 내부에는 상기 레이저와 수신부의 작동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알리는 경보알림음이 장착되는 보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 틀의 내부에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구비된 냉각수 탱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범수단은 방충망과 방범망의 끝단에 거리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창틀 이동공간의 일 측에는 알람을 장착하여, 상기 방충망과 방범망의 강제 제거시 알람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틀의 내면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창틀은 틀 장착홈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창틀과 고정 틀의 후방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나선이 구비된 고정핀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면서도 필요시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상황시 외부로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틀과 창틀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여 조립시간과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사시 물품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창호구조의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고정 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창틀과 창문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방범수단을 나타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보안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고정 틀과 창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고정 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창틀과 창문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방범수단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보안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고정 틀과 창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는 고정 틀(200), 창틀(300), 좌·우측 창문(400), 방범수단(500), 보안수단(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를 구성하는 방범수단(500)과 보안수단(600)을 작동시키는 전원은 상시전원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는 공지된 제어기를 택일하여 구성되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 틀(200)은 벽면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틀(200)은 다수개의 프레임(210)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결합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22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슬라이드 공간(2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틀(200)은 내부에 창틀(300), 좌·우측 창문(400), 방범수단(5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프레임(210)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고, 일 측에는 방범수단(500)의 작동을 위하여 슬라이드 공간(23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틀(200)의 측면과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250)가 형성된 고정돌기(2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돌기(240)는 고정 틀(200)의 측면과 저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고정 틀(200)을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틀(200)의 내부에는 통로(26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7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구비된 냉각수 탱크(280)가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 틀(200)은 감지센서(270)를 통한 화재 감지시 냉각수 탱크(280)에 수용된 냉각수를 고정 틀(200)의 통로(260)에 전달하여, 상기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100)를 통한 탈출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상기 창틀(300)은 고정 틀(200)의 장착공간(22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창틀(300)은 다수개의 프레임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후방에는 좌·우측 창문(300)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창문 작동공간(310)이 형성되며, 내부 전방에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창틀 이동공간(320)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봉 부재(34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창틀(3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후방에는 좌·우측 창문(300)의 슬라이딩 작동을 통해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창문 작동공간(310)이 장착되며, 내부 전방에는 방범수단(500)의 작동을 위하여 창틀 이동공간(3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창문 작동공간(310)과 창틀 이동공간(320)의 내부에는 좌·우측 창문(300)과 방범수단(500)을 구성하는 방충망과 방범창의 원활한 이동 및 지지를 위하여 가이드 홈(3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340)는 창틀(300)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 틀(200)과 창틀(3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창문(400)은 창틀(300)의 창문 작동공간(310)에 장착되고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된다.
즉, 상기 좌·우측 창문(400) 창틀(300)의 창문 작동공간(310)에 장착되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창문(400)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미닫이 창문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방범수단(500)은 창틀(300)의 고정 틀(20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측면에 장착된다.
즉, 상기 방범수단(500)은 창틀(300)의 고정 틀(20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창틀(300)의 창틀 이동공간(320)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방범수단(50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방충기구(530)와 방범기구(540)를 슬라이딩 작동시켜, 상기 창틀 이동공간(320)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방범수단(500)은 고정 틀(20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측면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 홈(510, 52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슬라이드 홈(510)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532)가 장착된 방충망(531)과 상기 랙기어(532)와 회전기어(534)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533)로 구성되는 방충기구(530)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 슬라이드 홈(520)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542)가 장착된 방범망(541)과 상기 랙기어(542)와 회전기어(544)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543)로 구성되는 방범기구(540)가 장착된다.
즉, 상기 방범수단(500)은 방충기구(53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533)의 작동시 방충망(531)이 슬라이드 공간(230)과 창틀 이동공간(320)을 통해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고, 방범기구(54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543)의 작동시 방범망(541)이 슬라이드 공간(230)과 창틀 이동공간(320)을 통해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방범수단(500)은 상기 방충망(531)과 방범망(541)의 끝단에는 거리센서(552)가 장착되고 상기 창틀 이동공간(320)의 일 측에는 알람음(554)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방범수단(500)은 강제로 방충망(531)과 방범망(541)의 제거나 이동시 거리센서(552)를 통해 이를 인지하여 알람음(554)을 주변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보안수단(600)은 고정 틀(2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보안수단(600)의 외부로부터 침입자의 출입시 이를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안수단(600)은 상기 고정 틀(20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경사판(610)이 장착되고, 상기 경사판(61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레이저(62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200)의 하부에는 레이저(620)에 조사되는 광선을 수신하는 수신부(63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200)의 내부에는 상기 레이저(620)와 수신부(63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알리는 경보알림음(640)이 장착된다.
즉, 상기 보안수단(600)은 레이저(620)에서 조사되는 광선을 수신하는 수신부(630)의 사이에 외부의 침입자가 감지되면, 상기 수신부(630)는 경보알림음(640)에 보안신호를 전달하여, 내부 거주가 외부 침입자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안수단(600)은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부(630)와 경보알림음(640)은 공지된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개의 프레임(210)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22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슬라이드 공간(230)이 형성되고, 측면과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250)가 형성된 고정돌기(240)가 형성되는 고정 틀(20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틀(200)의 장착공간(220)에 다수개의 프레임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후방에는 좌·우측 창문(300)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창문 작동공간(310)이 형성되며, 내부 전방에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창틀 이동공간(320)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봉 부재(340)가 장착되는 창틀(30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창틀(300)의 창문 작동공간(310)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좌·우측 창문(4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창틀(300)의 고정 틀(20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과 대응하는 측면으로 상기 고정 틀(20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측면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 홈(510, 52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슬라이드 홈(510)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532)가 장착된 방충망(531)과 상기 랙기어(532)와 회전기어(534)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533)로 구성되는 방충기구(530)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 슬라이드 홈(520)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542)가 장착된 방범망(541)과 상기 랙기어(542)와 회전기어(544)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543)로 구성되는 방범기구(540)로 구성되는 방범수단(5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틀(20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경사판(610)이 장착되고, 상기 경사판(61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레이저(62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200)의 하부에는 레이저 빔(620)에 조사되는 광선을 수신하는 수신부(63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200)의 내부에는 상기 레이저(620)와 수신부(63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알리는 경보알림음(640)이 장착되는 보안수단(600)을 장착하면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100)의 조립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100)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상기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100)는 방범수단(500)과 보안수단(600)을 통해 외부 침입자가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100)는 보안수단(600)을 구성하는 레이저(620)와 수신부(630), 방범수단(500)을 구성하는 방범망(541)과 방충망(531)을 통해 외부 침입자가 출입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비상 상황시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100)는 방범수단(50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533, 543)를 작동시켜 방충망(531)과 방범망(541)을 방범수단(50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고정 틀(200)과 창틀(300)을 고정하는 고정핀(700)을 제거한 후, 상기 창틀(300)을 후방으로 배출한 다음, 상기 고정 틀(200)의 장착공간(220)을 통해 대피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인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는 창호의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이사 또는 긴급 상황시 창틀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200 : 고정 틀 210 : 프레임
220 : 장착공간 230 : 슬라이드 공간
240 : 고정돌기 250 : 미끄럼 방지돌기
260 : 통로 270 : 감지센서
280 : 냉각수 탱크 300 : 창틀
310 : 창문 작동공간 320 : 창틀 이동공간
330 : 가이드 홈 400 : 좌·우측 창문
500 : 방범수단 510 : 전방 슬라이드 홈
520 : 후방 슬라이드 홈 530 : 방충기구
531 : 방충망 532 : 랙기어
533 : 구동모터 534 : 회전기어
540 : 방범기구 541 : 방범망
542 : 랙기어 543 : 구동모터
544 : 회전기어 552 : 거리센서
554 : 알람음 600 : 보안수단
610 : 경사판 620 : 레이저
630 : 수신부 640 : 경보알림음
700 : 고정핀

Claims (4)

  1. 다수개의 프레임(210)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장착공간(220)이 형성되며, 일 측에는 슬라이드 공간(230)이 형성되고, 측면과 저면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250)가 형성된 고정돌기(240)가 형성되는 고정 틀(200);
    다수개의 프레임(310)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후방에는 좌·우측 창문이 슬라이딩 작동하는 창문 작동공간(310)이 형성되며, 내부 전방에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위치에 창틀 이동공간(320)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밀봉 부재(340)가 장착되는 창틀(300);
    상기 창틀(300)의 창문 작동공간(310)에 장착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좌·우측 창문(400);
    상기 고정 틀(200)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공간(230)과 대응하는 측면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전후방에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 홈(510, 52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슬라이드 홈(510)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532)가 장착된 방충망(531)과 상기 랙기어(532)와 회전기어(534)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533)로 구성되는 방충기구(530)가 장착되고, 상기 후방 슬라이드 홈(520)에는 후방의 상·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랙기어(542)가 장착된 방범망(541)과 상기 랙기어(542)와 회전기어(544)가 치합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543)로 구성되는 방범기구(540)가 장착되는 방범수단(500);
    상기 고정 틀(20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경사판(610)이 장착되고, 상기 경사판(61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레이저(62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200)의 하부에는 레이저(620)에 조사되는 광선을 수신하는 수신부(630)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 틀(200)의 내부에는 상기 레이저(620)와 수신부(630)의 작동 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알리는 경보알림음(640)이 장착되는 보안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틀(200)의 내부에는 통로(260)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70)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냉각수가 구비된 냉각수 탱크(28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범수단(500)은 방충망(531)과 방범망(541)의 끝단에 거리센서(552)를 장착하고, 상기 창틀 이동공간(320)의 일 측에는 알람(554)을 장착하여, 상기 방충망(531)과 방범망(541)의 강제 제거시 알람음(554)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틀(200)의 내면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틀 장착홈(290)이 형성되고, 상기 창틀(300)은 틀 장착홈(290)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창틀(300)과 고정 틀(200)의 후방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나선이 구비된 고정핀(7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KR1020180006823A 2018-01-19 2018-01-19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KR101859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23A KR101859073B1 (ko) 2018-01-19 2018-01-19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823A KR101859073B1 (ko) 2018-01-19 2018-01-19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073B1 true KR101859073B1 (ko) 2018-05-17

Family

ID=6248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823A KR101859073B1 (ko) 2018-01-19 2018-01-19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07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213B1 (ko) 2018-10-29 2019-06-03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고층 창호 구조물
CN111101825A (zh) * 2019-12-27 2020-05-05 张靖丽 一种智能防盗窗
CN112145063A (zh) * 2020-09-10 2020-12-29 湖北天达宇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门窗固定纱扇的可拆装结构
KR20210020806A (ko) * 2019-08-14 2021-02-24 이병노 일체형 차세대 창문 시스템
KR102346942B1 (ko) * 2021-07-26 2022-01-05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저층부 방범 창호 구조물
CN114809865A (zh) * 2022-03-29 2022-07-29 江苏荣泰门业有限公司 一种粮库专用的保温门窗
KR102628503B1 (ko) * 2023-06-29 2024-01-24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탈거 방지형 방충망 구조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0045A (ja) * 2003-09-24 2005-04-14 Almetax Mfg Co Ltd 防犯装置及び防犯サッシ
KR20100106135A (ko) * 2009-03-23 2010-10-01 주식회사 에스원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KR200459369Y1 (ko) * 2011-07-28 2012-03-23 유귀상 방범 창호장치
KR20120033184A (ko) * 2010-09-29 2012-04-06 한국전력공사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20812B1 (ko) * 2012-07-31 2013-01-10 안혜연 경보수단을 구비한 방범창
KR200478761Y1 (ko) * 2015-05-26 2015-11-17 김하늘 화재경보기와 개폐장치가 연동되는 탈출 안전 방범창
KR20160033809A (ko) * 2014-09-18 2016-03-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힘 감지기반 스마트 방충망 장치를 이용한 위험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방법
KR20170022286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0045A (ja) * 2003-09-24 2005-04-14 Almetax Mfg Co Ltd 防犯装置及び防犯サッシ
KR20100106135A (ko) * 2009-03-23 2010-10-01 주식회사 에스원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KR20120033184A (ko) * 2010-09-29 2012-04-06 한국전력공사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459369Y1 (ko) * 2011-07-28 2012-03-23 유귀상 방범 창호장치
KR101220812B1 (ko) * 2012-07-31 2013-01-10 안혜연 경보수단을 구비한 방범창
KR20160033809A (ko) * 2014-09-18 2016-03-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힘 감지기반 스마트 방충망 장치를 이용한 위험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방법
KR200478761Y1 (ko) * 2015-05-26 2015-11-17 김하늘 화재경보기와 개폐장치가 연동되는 탈출 안전 방범창
KR20170022286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213B1 (ko) 2018-10-29 2019-06-03 (주)한빛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고층 창호 구조물
KR20210020806A (ko) * 2019-08-14 2021-02-24 이병노 일체형 차세대 창문 시스템
KR102454849B1 (ko) * 2019-08-14 2022-10-14 이병노 일체형 차세대 창문 시스템
CN111101825A (zh) * 2019-12-27 2020-05-05 张靖丽 一种智能防盗窗
CN112145063A (zh) * 2020-09-10 2020-12-29 湖北天达宇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门窗固定纱扇的可拆装结构
KR102346942B1 (ko) * 2021-07-26 2022-01-05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저층부 방범 창호 구조물
CN114809865A (zh) * 2022-03-29 2022-07-29 江苏荣泰门业有限公司 一种粮库专用的保温门窗
CN114809865B (zh) * 2022-03-29 2024-01-09 江苏荣泰门业有限公司 一种粮库专用的保温门窗
KR102628503B1 (ko) * 2023-06-29 2024-01-24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탈거 방지형 방충망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073B1 (ko)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US11442146B2 (en) Side looking occupancy sensor
CN104234575B (zh) 自动门控制系统和控制方法
KR20210095154A (ko) 스마트 배리어 경보 장치
US20020196155A1 (en) Alarm system and method
JP5874028B2 (ja) 防犯システム
KR101985213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호 구조물
KR101523475B1 (ko) 출입 감지 장치
US11193314B2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a building
JP2010180592A (ja) 防犯システム
US20030024167A1 (en) Central control for windows
US9105169B2 (en) Alarm system for passageways
JP2010144443A (ja) 開閉体装置
GB2404479A (en) Intruder alarm detecting motion in between a window or door and a blind, curtain or shutter
KR101672409B1 (ko) 롤 방충망을 이용한 복합 창호
JP2010134873A (ja) 警戒システム
KR20180005003A (ko) 스마트 텐트
JP5274273B2 (ja) 建物
JP2010144446A (ja) 開閉体装置
KR102154409B1 (ko) 출입 감지 장치
JP2005076324A (ja) 防犯シャッタ及びこれが用いられる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JP2024029904A (ja) 自動ドアシステム
KR20190143514A (ko) 얼굴인식 도어록과 연동하는 집관리 보안로봇 및 이를 이용한 집관리 보안방법
JP2010265578A (ja) 開閉体装置
JP3102020U (ja) 住宅の二重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