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6135A -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6135A
KR20100106135A KR1020090024612A KR20090024612A KR20100106135A KR 20100106135 A KR20100106135 A KR 20100106135A KR 1020090024612 A KR1020090024612 A KR 1020090024612A KR 20090024612 A KR20090024612 A KR 20090024612A KR 20100106135 A KR20100106135 A KR 20100106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sion
infrared beam
window
infrar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363B1 (ko
Inventor
문경섭
최문석
반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9002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36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창을 갖는 창호 시스템의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새시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외선 감지 센서부가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듀얼 적외선 빔--여기서 듀얼 적외선 빔은 상기 외측창에 인접한 외측 적외선 빔과 상기 내측창에 인접한 내측 적외선 빔을 의미함--을 통한 적외선 빔 차단신호를 감시한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차단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상기 적외선 차단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외선 빔 차단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차단방향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한다.
이로써, 듀얼 적외선 빔을 통해 감지되는 적외선 차단신호를 토대로 차단방향(침입방향)을 인식하여 사용자 부주의 혹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오보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의 침입 사실을 정확히 판단하여 현장출동과 같은 인적 물적 비용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창호, 침입, 감지, 센서, 차단방향

Description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WINDOW AND DOOR SYSTEM AND METHOD FOR HAVING SENSING FUNCTION OF INVASION}
본 발명은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상가, 창고, 주택, 저층 아파트 및 회사에서는 각종 범죄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설 보안회사에서 제공하는 무인경비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무인경비시스템은 출입문, 베란다, 창문, 담장 등과 같은 감시 영역내의 소정 위치에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설치하고, 이들 센서의 신호를 검출하여 자체 경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센서의 신호를 통해 감지되는 침입정보를 유선 혹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보안회사)에 있는 중앙관제장치에 전송하고, 중앙관제장치(보안회사)는 침입자 발생에 신속히 대응하여 현장출동 등과 같은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감시영역에서의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보호한다.
한편, 상기 센서는 감시 영역내의 설치장소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적외선 감지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적외선 감지 장치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적외선 감지 장치(10)는 투광기(11)와 수광기(12)가 1개 조로 구성되어 창문(20) 양측 외벽에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된다.
투광기(11)는 적외선 신호를 발생시켜 수광기(12)로 방사하고, 수광기(12)는 투광기(11)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외선 신호가 차단된 경우 침입정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침입정보는 중앙관제장치에 알림으로써 침입자 감지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적외선 감지 장치(10)는 옥외에 노출되어 동물이나 낙엽 및 짙은 안개 등의 외부환경으로 인해 적외선 신호가 차광되어 오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현장출동과 같은 인적 물적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적외선 감지 장치(10)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허가되지 않은 공격자로부터 임의의 파손이나 변경의 위험이 있으며, 고급 주택의 외부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의 차단방향에 기초하여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은,
이중창의 창틀 결합구조를 가지는 새시부; 상기 새시부의 외측 창틀에 결합되어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는 외측창; 상기 외측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내측 창틀에 결합되는 내측창; 및 상기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상기 새시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적어도 하나의 듀얼 적외선 빔--여기서 듀얼 적외선 빔은 상기 외측창에 인접한 외측 적외선 빔과 상기 내측창에 인접한 내측 적외선 빔을 의미함--을 통해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창을 갖는 창호 시스템의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새시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외선 감지 센서부가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방법은,
a) 적어도 하나의 듀얼 적외선 빔--여기서 듀얼 적외선 빔은 상기 외측창에 인접한 외측 적외선 빔과 상기 내측창에 인접한 내측 적외선 빔을 의미함--을 통해 상기 듀얼 적외선 빔 차단신호를 감시하는 단계; b) 상기 듀얼 적외선 빔 차단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감지된 상기 적외선 빔 차단신호에 기초하여 차단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차단방향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창호 시스템의 내측창과 외측창 사이의 새시 양측면에 매립형태로 적외선 감지 센서의 탑재가 가능하여 기 존의 외벽에 설치시보다 고급주택 및 미려시공이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적외선 감지 센서를 이중창문 사이에 탑재 함으로써 기존의 바람이나 낙엽 등의 환경적, 계절적 요인에 의한 오보 신호 발생 및 외부 공격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듀얼 적외선 빔을 통해 감지되는 적외선 차단신호를 토대로 차단방향(침입방향)을 인식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차단방향을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음으로 사용자 부주의 혹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오보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의 침입 사실을 정확히 판단하여 현장출동과 같은 인적 물적 비용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적외선 신호는 적외선 빔 신호와 동일한 의미로 적외선 빔의 차단은 적외선 신호의 차단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100)은 이중창으로 구성된 시스템 창호라고도 불리 우며, 이중창의 창틀 구조를 가지는 새시부(110), 새시부(110)의 외측 창틀에 결합되어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는 외측창(120), 외측창(12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내측 창틀에 결합되는 내측창(130), 외측창(120)과 내측창(130)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설치되는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 및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를 제어하는 무인경비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새시부(110), 외측창(120) 및 내측창(130)은 일반적인 창호에 비하여 단열성, 기밀성, 내풍압성, 수밀성 등이 향상되고, 동시에 다양한 개폐 방식이 가능한 시스템 창호의 구조를 가지며, 용도에 따라 목재, 철재, PVC, 알루미늄, SUS,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 및 도 3에서는 새시부(110), 외측창(120) 및 내측창(130)을 좌우로 슬라이딩하는 방식인 미닫이 구조로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닫이 등의 다른 창호 구조도 가능하며, 이러한 창호들의 구성은 일반적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는 듀얼 적외선 빔(Infrared Ray Beam)(160)을 투광하는 투광기(141), 이를 수신하는 수광기(142) 및 상기 듀얼 적외선 빔의 차단을 검출하는 신호 감지부(143)를 포함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광기(141)는 이중창(120, 130)사이의 내측공간인 새시부(110)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지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평행(가로방향)한 듀얼 적외선 빔(160)을 투광하는 복수의 투광부(141-1, 141-2, 141-3)를 포함한다. 투광부(141-1, 141-2, 141-3)는 각각 한쌍의 투광소자를 통해 듀얼 적외선 빔(160)을 투광한다.
이 때 투광되는 듀얼 적외선 빔(160)은 각각 외측 적외선 빔(161a, 162a, 163a)과 내측 적외선 빔(161b, 162b, 163b)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적외선 빔(161a, 162a, 163a)은 외측창(120)에 인접한 적외선 빔이고, 내측 적외선 빔(161b, 162b, 163b)은 내측창(130)에 인접한 적외선 빔을 의미한다.
수광기(142)는 투광기(141)와 대향하는 이중창(120, 130)사이의 새시부(110)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투광부(141-1, 141-2, 141-3)에 각각 대응하는 수광부(142-1, 142-2, 142-3)를 포함한다. 수광부(142-1, 142-2, 142-3)는 각각 한쌍의 수광 소자를 통해 대응하는 투광부(141-1, 141-2, 141-3)로부터 투광된 듀얼 적외선 빔(160)을 수광 한다.
이러한, 투광기(141)와 수광기(142)는 각각 해당하는 새시부(110)의 일측면에 매립되는 형태로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사와 같은 별도의 채결부재 혹은 본딩 처리를 통해 간단히 부착될 수 있다.
신호 감지부(143)는 수광부(142-1, 142-2, 142-3)를 통해 연속적으로 수광 되는 듀얼 적외선 빔(160)의 출력신호(이하, '적외선 신호'라 기술함)를 분석하여 적외선 신호의 차단(차광)유무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다음의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감지부(143)는 신호 수집부(1431), 신호 분석부(1432), 침입 판단부(1433), 통신부(1434) 및 운용 설정부(1435)를 포함한다.
신호 수집부(1431)는 수광부(142-1, 142-2, 142-3)의 수광 소자들로부터 수광 되는 적외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신호 분석부(1432)로 전달한다.
신호 분석부(1432) 전달되는 상기 적외선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적외선 빔(적외선 신호)가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무인경비 제어기(150)로 전달한다. 이 때, 신호 분석부(1432)는 수광 소자들의 각각 독립된 위치 에 따른 외측 적외선 빔(161a, 162a, 163a)과 내측 적외선 빔(161b, 162b, 163b)의 차단여부를 차단된 순서(시간)에 따라 전달할 수 있다.
침입 판단부(1433)는 신호 분석부(1432)로부터 전달된 듀얼 적외선 빔(160)의 차단여부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침입발생 조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무단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무단 침입으로 판단될 경우 무단침입 이벤트를 생성하여 통신부(1434)로 전달한다.
특히, 침입 판단부(1433)는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빔 차단정보를 토대로 차단방향(침입방향)을 인식하고, 적외선 빔 차단방향에 따라 침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한쌍)의 듀얼 적외선 빔(161a, 161b)이 차단된 차단 감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외측 적외선 빔(161a)이 내측 적외선 빔(161b)보다 먼저 차단된 경우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차단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내측 적외선 빔(161b)이 먼저 차단된 경우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차단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침입 판단부(1433)는 상기 차단 감지 정보 및 차단 방향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침입 발생 조건에 따라 외부 침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침입 판단부(1433)가 판단하는 상기 침입 발생 조건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하나(한쌍)의 듀얼 적외선 빔(161a, 161b)이 모두 차단되는 경우, 내측에서 외측으로 적외선 빔 차단방향이 인식되면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고, 외측에서 내 측으로의 적외선 빔 차단 방향이 인식되면 침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복수의 듀얼 적외선 빔(161a, 161b), (162a, 162b),…, 이 차단되는 경우, 내측 적외선 빔(161b, 162b)이 2개 이상 차단 시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고, 외측 적외선 빔(161a, 162a)이 2개 이상 차단되는 경우 침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입 판단부(1433)는 다양한 침입 발생 조건에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차단방향을 가지는 적외선 빔 차단 감지정보들에 대하여 침입으로 판단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차단방향을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음으로 사용자 부주의 혹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오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침입 판단부(1433)는 상기 차단 감지 정보 및 차단 방향에 따른 외부 침입으로 판단되면 무단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434)를 통해 외부에 알린다.
통신부(1434)는 유선 혹은 무선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침입 판단부(1433)로부터 수신되는 무단침입 이벤트를 무인경비 제어기(15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운용 설정부(1435)는 상기 적외선 차단을 판단하기 위한 임계치 설정, 무단 침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침입발생 조건 설정등과 같은 신호 감지부(143)의 전체적인 운용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 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무인경비 제어기(150)는 신호 감지부(143)로부터 수신되는 무단 침입 이벤트 신호를 토대로 침입경보를 외부로 표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경보음을 표출하거나 경계영역내의 조명을 발광하여 침입자의 침입사실을 외부로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무인경비 제어기(150)는 신호 감지부(143)로부터 수신되는 무단 침입 이벤트 신호를 토대로 무단침입 사실을 사용자, 이웃, 경찰서, 방범센터, 중앙관제센터 등의 미리 입력된 연락처로 통보(예; SMS 등)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의 침입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은 상술한 창호 시스템(100)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는 것을 가정한다.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는 이중창(120, 130) 사이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투광기(141)의 듀얼 적외선 빔(160) 투광과 이를 수광 하는 수광기(142)를 통해 적외선 차단신호 감지를 모니터링 한다(S601).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는 적외선 차단신호를 감지하면, 듀얼 적외선 빔(160)이 모두 차단되었는지 확인하고(S602), 듀얼 적외선 빔(160)이 모두 차단된 경우 차단방향(침입방향)을 판단한다(S603).
이 때,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차단방향을 가지는 적외선 빔 차단 감지정보들에 대하여 침입으로 판단하고, 무단 침입 이벤트 신호를 생성한다(S605). 그리고, 상기 생성된 무단침입 이벤트 신호를 유/무선통신을 통해 무인경비 제어기(150)로 전송한다(S605).
무인경비 제어기(150)는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로부터 무단침입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외부 스피커 및 조명을 통해 자체 침입경보를 외부로 표출하 고(S606), 무단침입 사실을 사용자, 이웃, 경찰서, 방범센터, 중앙관제센터 등의 미리 입력된 연락처로 통보한다(S607).
반면, S601 단계에서 적외선 차단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S602 단계에서 외측 적외선 빔(161a) 혹은 내측 적외선 빔(161b) 중 어느 하나만 차단 된 경우 및 S603 단계에서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차단방향을 갖는 경우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고 모니터링을 반복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은 상기 도 6의 제1 실시 예와 유사하며, 다만, 적외선 빔이 2개 이상 차단될 경우 내측 적외선 빔이 2개 이상 차단 시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고(S702, 아니오), 외측 적외선 빔이 2개 이상 차단시(S702, 예), 차단방향(침입방향)을 고려하여 침입으로 판단하는(S703) 경우만 다르다.
따라서, 내측 적외선 빔이 차단되거나 하나의 외측 적외선 빔이 차단되더라고 이를 침입으로 인식하지 않고, 2이상의 외측 적외선 빔이 차단되었을 경우 차단방향을 고려하여 침입으로 판단하므로 외부 환경에 대한 오보를 최소화하고 침입사실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중창문의 내측창(130)과 외측창(120) 사이에 매립형태로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의 탑재가 가능하여 기존의 외벽에 설치시보다 고급주택 및 미려시공이 필요한 경우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 과가 있다.
그리고, 적외선 감지 센서부(140)를 이중창문 사이에 탑재 함으로써 기존의 바람이나 낙엽 등의 환경적, 계절적 요인에 의한 오보 신호 발생 및 외부 공격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듀얼 적외선 빔을 통해 감지되는 적외선 차단신호를 토대로 차단방향(침입방향)을 인식하여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차단방향을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음으로 사용자 부주의 혹은 외부 환경에 의한 오보를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의 침입 사실을 정확히 판단하여 현장출동과 같은 인적 물적 비용을 최소화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적외선 감지 장치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시스템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2)

  1. 이중창의 창틀 결합구조를 가지는 새시부;
    상기 새시부의 외측 창틀에 결합되어 실외와 실내의 경계를 이루는 외측창;
    상기 외측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내측 창틀에 결합되는 내측창; 및
    상기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상기 새시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적어도 하나의 듀얼 적외선 빔--여기서 듀얼 적외선 빔은 상기 외측창에 인접한 외측 적외선 빔과 상기 내측창에 인접한 내측 적외선 빔을 의미함--을 통해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부
    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감지 센서부는,
    상기 새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듀얼 적외선 빔을 투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갖는 투광기;
    상기 투광기와 대향하는 상기 새시부의 다른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듀얼 적외선 빔을 수광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를 갖는 수광기; 및
    상기 수광부를 통해 연속적으로 수광되는 상기 듀얼 적외선 빔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적외선 빔 신호의 차단(차광) 유무를 검출하는 신호 감지부
    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감지 센서부는,
    상기 새시부 양측면의 일부를 개방하여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 감지 센서부에 연결되며, 상기 감지 센서부로부터 외부 침입 발생 정보를 수신하면 침입경보를 외부로 표출하고, 상기 침입 발생 정보를 유선 혹은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통보하는 무인경비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감지부는,
    상기 수광부의 수광 소자들로부터 수광 되는 상기 적외선 빔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신호 수집부;
    상기 신호 수집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적외선 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빔 신호가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적외선 빔 신호의 차단정보를 토대로 상기 듀얼 적외선 빔의 차단방향 을 인식하고, 상기 적외선 빔 신호의 차단방향에 따라 침입여부를 판단하는 침입 판단부; 및
    상기 침입 판단부의 판단에 따른 상기 침입 발생 정보를 상기 무인경비 제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외측 적외선 빔이 상기 내측 적외선 빔보다 먼저 차단된 경우 외측에서 내측으로 차단방향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침입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판단부는,
    상기 내측 적외선 빔이 상기 외측 적외선 빔보다 먼저 차단된 경우 내측에서 외측으로 차단방향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여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시스템.
  8. 이중창을 갖는 창호 시스템의 외측창과 내측창 사이의 새시부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외선 감지 센서부가 외부 침입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듀얼 적외선 빔--여기서 듀얼 적외선 빔은 상기 외측창에 인접한 외측 적외선 빔과 상기 내측창에 인접한 내측 적외선 빔을 의미함--을 통한 적외선 빔 차단신호를 감시하는 단계;
    b) 상기 적외선 빔 차단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c) 감지된 상기 적외선 빔 차단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외선 빔의 차단방향을 인식하고, 상기 차단방향에 따라 침입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차단방향이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차단된 경우 상기 침입으로 판단하여 침입 발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혹은
    상기 차단방향이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단된 경우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방향은,
    상기 외측 적외선 빔이 상기 내측 적외선 빔보다 먼저 차단된 경우 상기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차단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내측 적외선 빔이 상기 외측 적외선 빔보다 먼저 차단된 경우 상기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차단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 감지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 사이에,
    복수의 외측 적외선 빔 차단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복수의 외측 적외선 빔이 차단된 경우 상기 c)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혹은
    상기 복수의 외측 적외선 빔이 차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침입으로 판단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판단결과 상기 침입으로 판단되면, 침입 경보를 외부로 표출하거나 미리 설정된 연락처로 통지하는 무인 경비 제어기로 침입 발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
KR1020090024612A 2009-03-23 2009-03-23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KR101042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12A KR101042363B1 (ko) 2009-03-23 2009-03-23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612A KR101042363B1 (ko) 2009-03-23 2009-03-23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135A true KR20100106135A (ko) 2010-10-01
KR101042363B1 KR101042363B1 (ko) 2011-06-17

Family

ID=4312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612A KR101042363B1 (ko) 2009-03-23 2009-03-23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3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77B1 (ko) *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KR101469531B1 (ko) * 2013-07-11 2014-12-05 주식회사 센서프로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방범장치
WO2017030402A1 (ko) * 2015-08-20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KR101859073B1 (ko) * 2018-01-19 2018-05-17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KR102110277B1 (ko) * 2018-12-10 2020-06-08 주식회사 에스원 적외선 감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93B1 (ko) * 1999-12-10 2006-12-22 주식회사 에스원 창문 경비용 감시장치 및 제어방법
KR100467592B1 (ko) * 2002-07-15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600622B1 (ko) * 2004-02-04 2006-07-19 광명통신안전주식회사 다중 빔 적외선 센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0407961Y1 (ko) * 2005-11-14 2006-02-06 (주)조은시스템 외부 침입 감지 및 경보 시스템
JP2008158967A (ja) 2006-12-26 2008-07-10 Atsumi Electric Co Ltd 多段式ビームセン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31B1 (ko) * 2013-07-11 2014-12-05 주식회사 센서프로 적외선 감지를 이용한 방범장치
KR101424077B1 (ko) *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WO2015046784A1 (ko) * 2013-09-27 2015-04-02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WO2017030402A1 (ko) * 2015-08-20 2017-02-23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KR101859073B1 (ko) * 2018-01-19 2018-05-17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KR102110277B1 (ko) * 2018-12-10 2020-06-08 주식회사 에스원 적외선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363B1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6752B1 (ko) 스마트 배리어 경보 장치
KR101042363B1 (ko)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US6317040B1 (en) Intruder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575011B1 (ko) 영상을 이용한 적외선감지기와 그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US20120126978A1 (en) Alarm system having an indicator light that is external to an enclosed space for indicating the specific location of an intrusion into the enclosed space and a method for installing the alarm system
CN206696997U (zh) 居家安全的智能报警控制装置及系统
KR101447528B1 (ko) Cctv를 이용한 화재 경보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1626452B1 (ko) 침입감지를 위한 자기장 신호분리 및 제어 방법
KR101729485B1 (ko)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창문 감시장치
KR101523475B1 (ko) 출입 감지 장치
US10119858B2 (en) Lens for pet rejecting passive infrared sensor
KR20040039661A (ko)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KR102232986B1 (ko) 적외선 온도센서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보안재해안전 시스템
KR100950923B1 (ko)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949838B1 (ko) 창문형 적외선 감지장치
CN107331095A (zh) 一种利用目标移动产生光变量的入侵探测方法
JP6454909B2 (ja) 位置検出部付き監視装置
KR102219405B1 (ko) Cctv연동 재난정보제공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200304229Y1 (ko) 적외선 감지기
JP2019185197A (ja) 火災用無線通信装置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304230Y1 (ko)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KR102154409B1 (ko) 출입 감지 장치
KR102245387B1 (ko) 스마트 창문 경보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다목적 경보 디바이스, 창문 샤시 모듈과 창틀의 구조
KR100976240B1 (ko) 적외선 감지 시스템
TWI645382B (zh) 區域性告警保全系統及其運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