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923B1 -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923B1
KR100950923B1 KR1020080032430A KR20080032430A KR100950923B1 KR 100950923 B1 KR100950923 B1 KR 100950923B1 KR 1020080032430 A KR1020080032430 A KR 1020080032430A KR 20080032430 A KR20080032430 A KR 20080032430A KR 100950923 B1 KR100950923 B1 KR 100950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infrared light
signal
sensor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106A (ko
Inventor
이화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전자
Priority to KR102008003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9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07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와 열감지 센서를 함께 사용하여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침입신호 및 오작동신호를 발생하여 침입 감지장치의 오작동을 줄이고,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여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감지기에 적외선 센서와 열감지 센서를 함께 설치하여 제1 및 제2 감지기 사이로 이동되는 물체에 의하여 차단되는 적외선 차단 및 물체의 열을 동시에 감지 할 수 있으므로, 침입 감지장치의 오작동율이 줄어들게 되고,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침입, 감지기, 열감지, 센서

Description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NTRUDER}
본 발명은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센서와 열감지센서를 함께 사용하여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침입신호 및 오작동신호를 발생하여 침입 감지장치의 오작동을 줄이고, 적외선 수발광 센서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살인, 절도, 방화 등과 같은 강력범죄들이 점차 증가함으로 인하여 일반가정, 산업현장 등에는 인적 물적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외부에서 내부로 침입하는 침입자를 막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보안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보안업체의 수도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보안 및 방범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보안장치로는 무인 감시 카메라와 무인 감지 센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 은행, 박물관, 중요한 산업기 관 및 연구기관 등이 입주해 있는 건물에서는 무인 감시 카메라와 무인 감지 센서 등을 함께 사용함은 물론 경비자가 항시 순찰을 하고 경계를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보안을 위하여 2중 3중의 보안시설 및 인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일반 가정이나 규모가 작은 사업장이나 공장 등에서는 통상 무인 감지 센서만을 이용하여 경비를 실시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무인 감지 센서로는 침입자의 출몰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동작감지)나 침입자의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등이 있으며, 특히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무인 감지 센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무인감지 장치는 통상 적외선 발광 센서를 가지는 제1 감지기와,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는 적외선 수광 센서를 가지는 제2 감지기를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지기 사이로 침입자가 지나가면서 적외선을 차단하여 제2 감지기에 적외선이 수광되지 않으면 침입경보를 울리게 된다.
이처럼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무인 감지 장치는 물체의 움직임만을 감지하게 되므로, 침입자 이외에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과 같은 물건에도 작동을 하게 되어 감지장치의 오보율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내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열선센서와 무인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한 무인 감시 장치가 사용되고는 있으나, 이는 무인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저장 장치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게 되어 무인 감시 장치의 설치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인 감시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센서(동작감지)와 열감지센서(열감지)를 동시에 사용하여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조합하여 침입신호를 출력하게 하게 함으로써 오작동율을 줄이고, 적외선 수발광 센서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발광 센서와 적외선 수광 센서를 가지는 제1 감지기와; 상기 제1 감지기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도록 적외선 수광 센서와 상기 적외선 수광 센서로 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적외선 발광 센서를 가지는 제2 감지기와; 상기 제1 및 제2 감지기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감지기와 제2 감지기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열감지 센서; 및 상기 열감지 센서로부터 물체의 열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열감지 신호의 입력을 통하여 일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판단부와, 상기 제1감지기나 제2 감지기의 적외선 수광 센서로 적외선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적외선 수광 센서로부터 적외선 차단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적외선 차단신호의 입력을 통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판단부와, 상기 열감지판단부 또는 적외선 판단부 중 어느 하나의 판단부의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안에 다른 하나의 판단부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조합하여 침입감지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체감지신호 또는 적외선 차단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해서 감지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침입판단부를 포함하는 감지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입 감지방법은, 적외선이 발광되는 제1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수광되는 제1 적외선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적외선 발광 센서 및 제1 적외선 수광 센서 사이로 물체가 움직일 때 제1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적외선이 발광되는 제2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수광되는 제2 적외선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적외선 발광 센서 및 상기 제2 적외선 수광 센서 사이로 물체가 움직일 때 제2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적외선 차단 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차단 신호 출력 단계; 상기 제1 적외선 발광 센서와 상기 제1 적외선 수광 센서나 상기 제2 적외선 발광 센서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와;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발생 단계 및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에서 발생된 적외선 차단 신호 및 열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침입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침입자 경보 신호 발생 단계;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열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및 열감지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각각 출력되는 상기 물체 감지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안에 다른 하나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조합하여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또는 열 감지 신호에 의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해서 출력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감지기에 적외선센서와 열감지센서를 함께 설치되어 있어서 각각의 센서에서 동시에 물체를 감지하여야만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침입 감지장치의 오작동율을 줄어들게 되며, 제1 및 제2 감지기 각각에 적외선 수발광 센서가 모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감지기의 위치에 관계없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 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감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 센서 및 적외선 수광 센서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침입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장치는, 침입자의 침입을 방지하고자 하는 지역에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를 포함한다.
침입 감지장치의 제1 감지기(100)에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사이로 움직이는 물체(침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발광하는 제1 적외선 발광 센서(110-1)가 구비되어 있고, 제2 감지기(200)에는 제1 적외선 발광 센서(110)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도록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사이로 물체 즉 침입자가 통과하게 되면 침입자가 통과하는 동안 제2 감지기(200)의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로 수광되던 적외선이 차단되어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가 침입자의 침입신호인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에는, 제2 적외선 발광 센서(110-2)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2)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태양 빛에 의한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의 오작동을 줄이고, 제1 적외선 발광 및 수광 센서(110-1, 210-1)의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를 보다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감지기(100)에는 제1 적외선 발광 센서(110-1)와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2)가 함께 설치되어 있고, 제2 감지기(200)에는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와 제2 적외선 발광 센서(110-2)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각각에는 적외선을 수발광할 수 있는 적외선 수발광 센서가 모두 설치되어 있으므로, 태양 빛이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를 강하게 비추게 되면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의 적외선 수광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제1 적외선 발광 센서(110-1)에서 적외선이 발광되어도 적외선을 수광하지 못하고 오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2)는 태양 빛의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수광하게 되므로, 태양 빛에 의하여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에서 적외선 차단 신호가 발생되어도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2)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태양 빛에 의한 오작동율이 줄어들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장치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의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 모두에서 적외선이 차단되어야만 적외선 차단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태양 빛에 의하여 제1 또는 제2 감지기(100, 200)가 오작동하여 발생할 수 있는 침입감지신호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각각에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1, 110-2, 210-1, 210-2)가 모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감지기(100)와 제2 감지기(200)를 꼭 마주하게 설치할 필요 없이 제1 감지 기(100) 또는 제2 감지기(200)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마주하게 설치하여도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가 작동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적외선 일측에 적외선 발광 센서를 설치하면 이와 대응되는 반대편에는 반드시 적외선 수광 센서를 설치하여야만 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침입 감지장치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가 적외선을 모두 수발광할 수 있으므로, 적외선 수발광 센서의 구비 여부를 확인할 필요 없이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감지기(100) 또는 제2 감지기(20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에서 발열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열감지 센서(1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의 설치 이격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이면 열감지 센서(120)의 열감지 효과가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열감지 센서(120)를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에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시지역이 비교적 넓은 산업용으로 침입 감지장치를 사용할 때 제1 감지기(100)와 제2 감지기(200)의 설치 이격거리가 통상 25m를 넘게 되는데, 이때 열감지 센서(120)가 제1 감지기(100)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제2 감지기(200) 부근으로 이동하는 침입자에 대한 열을 제1 감지기(100)의 열감지 센서(120)가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감지기(100)와 제2 감지기(200)의 설치 이격거리가 25m가 넘는 즉 침입 감지장치가 산업용으로 사용될 때 열감지 센서(120)를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에 각각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장치는, 제1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로부터 적외선 차단신호, 열감지 센서(110)로부터 물체의 열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각각의 신호 입력에 따라 침입자의 침입여부를 판단하여 침입자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신호 처리부(300)를 더 포함한다.
감지신호 처리부(300)는, 물체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판단부(310)와, 제1 감지기(100)의 열감지 센서(120)로부터 물체의 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 판단부(320)와, 제1 또는 제2 감지기(100, 200)의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로부터 적외선 차단 신호가 입력되면 적외선 판단부(310) 및 열감지 판단부(320)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침입 판단부(330)를 포함한다.
열감지 판단부(320)는 열감지 센서(120)로부터 물체의 열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약 1초 정도 물체 감지 신호를 침입 판단부(330)로 출력하며, 적외선 판단부(310)는 제1 적외선 수광 센서(210-1)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2) 모두에서 적외선이 차단되어야만 침입 감지신호를 약 1초 정도 침임 판단부로(3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침입 판단부(330)는, 열감지 판단부(320) 또는 적외선 판단부(31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예를 들어 1초 이내에 다른 하나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어야만 이를 조합하여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침입 판단부(330)에는, 2개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2 개의 신호가 모두 입력되는 경우에만 신호를 출력하는 엔드(AND)게이트(331)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침입 판단부(330)는 엔드 게이트(331)를 이용하여 열감지 판단부(320) 및 적외선 판단부(310)에서 물체 감지 신호가 함께 입력되면 침입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감지 판단부(320) 또는 적외선 판단부(31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조합하기 위하여 엔드 게이트(331)가 사용된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엔드 게이트(331) 이외에 2개의 신호가 모두 입력되어야만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조합이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판단부(330)는, 열감지 판단부(320)의 물체 감지 신호 또는 적외선 판단부(310)의 적외선 차단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해서 감지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마이컴(33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침입 판단부(330)는 엔드 게이트(331)로 열감지 판단부(320)의 물체 감지 신호 또는 적외선 판단부(310)의 적외선 차단 신호가 약 5초 이상 입력될 때 마이컴(333)에 의하여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는 침입 감지장치의 오작동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의 제1 및 제2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1, 110-2, 210-1, 210-2) 사이에 낙엽, 나뭇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막고 있는 경우 적외선 판단부(310)는 지속적으로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이 상태에서 태양 빛 등에 의하여 열감지 센서(120)가 오작동을 하게 되면 침입 판단부(330)는 침입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태양 빛이나 기타 열을 발산하 는 곤충 또는 작은 새, 쥐 등과 같은 동물들이 열감지 센서(120) 앞에 있게 되면 열감지 센서(120)는 이 열을 감지하여 지속적으로 열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때 제1 및 제2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1, 110-2, 210-1, 210-2) 사이로 낙엽, 나뭇가지 등이 떨어지면 침입 판단부(330)는 침입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처럼 침입 감지장치가 침입자가 아닌 동물이나 곤충, 이물질 등에 의하여 침입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정리하면, 위와 같이 예상 하지 못한 상황에 의하여 적외선 차단 신호 또는 열감지 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오작동으로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예상치 못한 상황을 빠른 시간에 정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오작동 및 침입경보를 보다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오작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인원의 이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장치는, 침입 판단부(330)에서 출력되는 침입 신호 및 오작동 신호의 입력에 따라 경비업체 또는 경비원에게 경보를 알리는 경보기(400)를 더 포함한다. 경보기(400)는 침입 경보기(410)와 오작동 경보기(420)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알림은 경보음 또는 경광등 점멸 등을 이용하여 알릴 수 있다. 이처럼 침입 경보기(410)와 오작동 경보기(420)를 각각 구비하는 것은 경보의 위급함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침입 감지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높은 위치까지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를 적층하여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를 2개 이상 적층하여 설치하여, 높이가 낮은 침입 감지장치를 뛰어 넘어 침입하는 외부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층된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가 대응되는 위치의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에 의해서만 작동할 수 있도록 적층되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의 적외선 수발광 수파수대역을 서로 다르게 설치하게 된다. 즉, 최 하측에 위치되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의 적외선 수발광 수파수대역을 90~100Hz로 설정하면, 이 위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의 적외선 수발광 수파수대역을 120~130Hz가 되도록 설정하여 각각의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에서 수발광되는 적외선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가 4개 적층되어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침입을 방지하고자 하는 높이에 따라 4개 이상을 적층하여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침입 감지장치에 따른 침입 감지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침입 감지장치에 따른 침입 감지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은,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차단 신호 발생 단계와,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와, 상기 적외선 차단 신 호 발생 단계 및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에서 발생된 적외선 차단 신호 및 열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침입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침입자 경보 신호 발생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침입자 경보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열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및 열감지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각각 출력되는 상기 물체 감지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안에 다른 하나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조합하여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발생 단계 및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적외선 차단 신호 발생 단계 및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에서는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를 작동하면(S10),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는 열감지 센서(120), 제1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 즉 침입자의 열과 침입자에 의한 적외선 차단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게 된다(S20, S30).
그리고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사이로 침입자가 이동하여 제1 감지기(100)의 열감지 센서(120)가 침입자의 열을 감지(S21)하게 되면 열감지 센서(120)는 열감지 신호를 열감지 판단부(320)로 출력하고(S23), 제1 및 제2 감지기(200)의 제1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도 침입자에 의하여 적외선이 차단(S31)되면 적외선 차단 신호를 적외선 판단부(310)로 출력한다(S33). 열감 지 신호 출력 단계(S23) 및 적외선 차단 신호 출력 단계(S33)에서는 그 출력 신호를 약 1초 정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는 열감지 센서(120), 제1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가 물체의 침입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열감지 및 적외선 차단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후, 침입자 경보 신호 발생 단계에서는 적외선 판단부(310) 및 열감지 판단부(320)로 열감지 신호 및 적외선 차단 신호가 각각 입력되면 적외선 판단부(310) 및 열감지 판단부(320)는 물체 감지 신호를 침입 판단부(330)로 출력하고, 침입 판단부(330)는 이를 조합하여 침입여부를 판단한다(S40). 이때, 침입 판단부(330)는 열감지 신호 및 적외선 차단 신호가 동시에 입력되거나 또는 어느 한 신호가 입력된 후 다른 한 신호가 설정시간 내에 입력되는지를 판단(S41)하여 설정시간 이내에 열감지 신호 및 적외선 차단 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침입 감지신호를 출력(S42)하게 된다. 그러면 경보기(40)가 경보음 또는 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침입자 경보 신호 발생 단계에서는 침입 판단부(330)로 열감지 신호 또는 적외선 차단 신호가 입력될 때 어느 한 신호만이 설정시간 예를 들어 5초 이상 지속해서 입력되었을 경우에 침입 판단부(330)는 오작동 경보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S45, S47) 사전에 침입 감지장치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침입 감지장치에 따른 침입 감지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침입 감지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침입 감지방법의 일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방법은, 제1 및 제2 감지기(100, 200) 각각에 모두 구비되어 있는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를 통하여 적외선 차단 신호가 모두 발생되면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1, 110-2, 210-1, 210-2) 중 어느 하나의 적외선 수발광 센서 쌍이 제1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1, 210-1)가 되고, 다른 하나의 적외선 수발광 센서 쌍이 제2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2, 210-2)가 된다.
이에 따라 적외선 차단 신호 발생 단계는, 상기 제1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1, 210-1)를 이용하여 제1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0-1 ~ S33-1)와, 상기 제2 적외선 수발광 센서(110-2, 210-2)를 이용하여 제2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0-2 ~ S33-2)와, 상기 제1 및 제2 적외선 차단 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차단 신호 출력 단계(S35~S37)를 더 포함한다.
즉, 적외선 차단 신호 발생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 모두에서 적외선 차단 신호가 발생되어야만 적외선 차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적외선 수광 센서(210-1, 210-2) 중 어느 하나가 태양 빛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할 때 이로 인하여 침입 경보가 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감지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 센서 및 적외선 수광 센서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침입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침입 감지장치에 따른 침입 감지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침입 감지장치에 따른 침입 감지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침입 감지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차단신호 발생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침입 감지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제1 감지기 110-1 : 제1 적외선 발광 센서
110-2 : 제2 적외선 발광 센서 120 : 열감지센서
200 : 제2 감지기 210-1 : 제1 적외선 수광 센서
210-2 : 제2 적외선 수광 센서 300 : 감지신호 처리부
310 : 적외선 판단부 320 : 열감지 판단부
330 : 침입 판단부 400 : 경보기

Claims (9)

  1.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발광 센서와 적외선 수광 센서를 가지는 제1 감지기와;
    상기 제1 감지기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도록 적외선 수광 센서와 상기 적외선 수광 센서로 적외선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적외선 발광 센서를 가지는 제2 감지기와;
    상기 제1 및 제2 감지기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감지기와 제2 감지기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열감지 센서; 및
    상기 열감지 센서로부터 물체의 열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열감지 신호의 입력을 통하여 일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판단부와, 상기 제1감지기나 제2 감지기의 적외선 수광 센서로 적외선이 수광되지 않으면 상기 적외선 수광 센서로부터 적외선 차단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적외선 차단신호의 입력을 통하여 물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판단부와, 상기 열감지판단부 또는 적외선 판단부 중 어느 하나의 판단부의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안에 다른 하나의 판단부로부터 물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조합하여 침입감지신호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물체감지신호 또는 적외선 차단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해서 감지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침입판단부를 포함하는 감지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침입자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적외선이 발광되는 제1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수광되는 제1 적외선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적외선 발광 센서 및 제1 적외선 수광 센서 사이로 물체가 움직일 때 제1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적외선이 발광되는 제2 적외선 발광 센서에서 발광된 적외선이 수광되는 제2 적외선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적외선 발광 센서 및 상기 제2 적외선 수광 센서 사이로 물체가 움직일 때 제2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2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적외선 차단 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적외선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차단 신호 출력 단계;
    상기 제1 적외선 발광 센서와 상기 제1 적외선 수광 센서나 상기 제2 적외선 발광 센서 및 제2 적외선 수광 센서 사이로 이동하는 물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와;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발생 단계 및 열감지 신호 발생 단계에서 발생된 적외선 차단 신호 및 열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침입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침입자 경보 신호 발생 단계;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열감지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시간 동안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및 열감지 신호의 입력에 의하여 각각 출력되는 상기 물체 감지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 안에 다른 하나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조합하여 침입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외선 차단 신호 또는 열 감지 신호에 의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상기 물체 감지 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해서 출력되면 오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032430A 2008-04-08 2008-04-08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95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430A KR100950923B1 (ko) 2008-04-08 2008-04-08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430A KR100950923B1 (ko) 2008-04-08 2008-04-08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106A KR20090107106A (ko) 2009-10-13
KR100950923B1 true KR100950923B1 (ko) 2010-04-01

Family

ID=4153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430A KR100950923B1 (ko) 2008-04-08 2008-04-08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797B1 (ko) * 2016-04-20 2018-12-21 김홍전 무선 동체 출입 감지 장치
KR101770175B1 (ko) * 2017-03-09 2017-08-22 (주)아이엔아이 다수의 감지기를 이용한 침입 감지 제어보드
KR102110277B1 (ko) * 2018-12-10 2020-06-08 주식회사 에스원 적외선 감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939A (ja) * 2002-03-06 2003-09-12 Optex Co Ltd 光源による妨害対策を行った侵入検知センサ
JP2005339065A (ja) *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犯センサ
JP2007183159A (ja) 2006-01-06 2007-07-19 Optex Co Ltd 組合せセンサシステム
KR20070001097U (ko) * 2007-09-19 2007-10-10 (주)두림계전 위험지역 출입인원 확인 및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6939A (ja) * 2002-03-06 2003-09-12 Optex Co Ltd 光源による妨害対策を行った侵入検知センサ
JP2005339065A (ja) *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犯センサ
JP2007183159A (ja) 2006-01-06 2007-07-19 Optex Co Ltd 組合せセンサシステム
KR20070001097U (ko) * 2007-09-19 2007-10-10 (주)두림계전 위험지역 출입인원 확인 및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106A (ko)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9370B2 (en) Intruder detection device and intruder detection method
KR101575011B1 (ko) 영상을 이용한 적외선감지기와 그 동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설물 통합관리시스템
KR100878047B1 (ko)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2001056887A (ja) 侵入検知方法および装置
KR100950923B1 (ko) 옥외용 외곽 경계 침입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042363B1 (ko)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EP3182389A1 (en) Ceiling mounted motion detector with pir signal enhancement
US20140062692A1 (en) Motion Detector with Shock Detection
JP2007183820A (ja) 異常温度検知装置
KR20170030677A (ko)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창문 감시장치
JP2004157102A (ja) マイクロ波感知器
JP2000331251A (ja) 侵入者検出装置
JP2009140413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KR200304229Y1 (ko) 적외선 감지기
JP4120475B2 (ja) 防犯装置
KR20100012506U (ko) 초음파 발생기가 장착된 적외선 감지기 시스템
KR20110116675A (ko) 방범장치가 일체화된 현관등
KR102219405B1 (ko) Cctv연동 재난정보제공 및 대피유도 시스템
JP2802191B2 (ja) 防犯用侵入者検知装置
KR200304230Y1 (ko) 마이크로웨이브 감지기
JP2008190923A (ja) 熱線センサ
KR20160079261A (ko) 사생활보호가 가능한 무인 카메라
KR20010001532A (ko) 무인보안 경보시스템
KR100470203B1 (ko) 마이크로 웨이브(m/w)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JP2005216095A (ja) 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