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184A -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184A
KR20120033184A KR1020100094811A KR20100094811A KR20120033184A KR 20120033184 A KR20120033184 A KR 20120033184A KR 1020100094811 A KR1020100094811 A KR 1020100094811A KR 20100094811 A KR20100094811 A KR 20100094811A KR 20120033184 A KR20120033184 A KR 20120033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distance
clo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0250B1 (ko
Inventor
황성욱
신윤호
김강식
나환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9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2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창호 감시 장치는 창호에 설치된 감지부와 창호틀에 설치된 센서부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감지 신호에 따라 창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개폐 여부 정보에 따라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경우, 감지부와 센서부간의 거리에 상응하는 창호의 위치에 따라 창호의 열림 거리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OF WINDOW AND DOOR}
본 발명은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창호의 개폐를 감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창호(window and door)의 개폐 여부는 건물의 방범, 그리고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 손실에 큰 영향을 준다.
그런데, 종래에는 회로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창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감시 또는 분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감시할 수 있는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창호 감시 장치는 창호의 개폐를 감시하는 창호 감시 장치로써, 검지부, 센서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검지부는 창호에 설치되며, 창호의 개폐에 따라 위치가 결정된다. 센서부는 검지부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 신호 처리부는 거리 정보에 따라 창호의 개폐 여부 및 개폐 거리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창호 감시 방법은 시스템이 창호의 개폐 여부를 감시하는 창호 감시 방법으로써, 창호에 설치된 감지부와 창호틀에 설치된 센서부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거리 감지 신호에 따라 창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여 개폐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개폐 여부 정보에 따라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경우, 거리에 상응하는 창호의 위치에 따라 창호의 열림 거리를 결정하여 열림 거리를 포함하는 개폐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개폐 여부 정보 및 개폐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센서를 통해 창호의 열림 여부, 열림 거리 및 열림 지속시간을 계측함으로써, 건물의 방범 및 에너지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고, 거주 안전, 창호 열림 상태 알람,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소비 패턴 분석에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서 수행되는 창호 감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150)에서 수행되는 창호 감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창호 감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고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감시 시스템은 창호 감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여 표시하며, 창호 감시 장치(100)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창호 감시 장치(100)는 창호의 개폐 여부, 개폐 시간 및 개폐 거리를 바탕으로 창호 감시 데이터를 생성하며, 검지부(110), 센서부(130) 및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은 창호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창호 감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며, 데이터 처리부(310) 및 표시부(3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310)는 창호 감시 데이터에 포함된 창호의 개폐 여부, 개폐 시간 및 개폐 거리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한다.
표시부(330)는 결정된 에너지 소비량을 표시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 감시 장치(100)는 창호틀(10) 또는 창호(11)에 부착되며, 검지부(110), 센서부(130) 및 신호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검지부(110)는 창호(11)에 설치되며, 창호(11)의 개폐에 따라 위치가 변한다.
센서부(130)는 창호틀(10)에 설치되며, 고정된 위치에서 검지부(110)와 센서부(130)간의 거리를 감지하여 검지부(110)와 센서부(130)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부(150)로 전송한다.
신호 처리부(150)는 센서부(130)로부터 수신된 거리 감지 신호를 바탕으로 창호의 개폐 여부, 개폐 시간 및 개폐 거리를 결정하여 창호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50)는 생성된 창호 감시 데이터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150)는 창호틀(10)에 설치될 수 있고, 센서부(130)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50)는 계측부(151), 타이머(153), 전송부(155) 및 전원부(157)를 포함한다.
계측부(151)는 거리 감지 신호에 포함된 감지부(110)와 센서부(130)간의 거리 정보에 따라 창호의 개폐 여부 및 개폐 거리를 결정하고, 타이머(153)를 이용하여 창호의 개폐 시간을 결정하여 창호 감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타이머(153)는 경과시간을 측정하거나, 특정 시점의 시간을 표시한다.
전송부(15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생성된 창호 감시 데이터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에 전송한다.
전원부(157)는 신호 처리부(150)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은 도 4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호 감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부에서 수행되는 창호 감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센서부(130)는 창호(11)에 설치된 감지부(110)와 창호틀(10)에 설치된 센서부(130)간의 거리를 감지한다(S110).
다음, 센서부(130)는 감지부(110)와 센서부(130)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거리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부(150)로 전송한다(S1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150)에서 수행되는 창호 감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신호 처리부(150)는 센서부(130)로부터 거리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S310).
다음, 신호 처리부(150)의 계측부(151)는 수신된 거리 감지 신호에 포함된 거리 정보 즉, 감지부(110)와 센서부(130)간의 거리 정보에 따라 창호(11)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여 개폐 여부 정보를 생성한다(S330).
이후, 신호 처리부(150)의 계측부(151)는 감지부(110)와 센서부(130)간의 거리 정보에 상응하는 창호(11)의 위치에 따라 창호(11)의 열림 거리를 결정하여 결정된 창호(11)의 열림 거리를 포함하는 개폐 거리 정보를 생성한다(S350). 여기서, 계측부(151)는 감지부(110)와 센서부(130)간의 거리를 창호(11)의 열림 거리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 신호 처리부(150)의 계측부(151)는 타이머(153)를 이용하여 창호(11)가 개폐 거리 정보에 포함된 열림 거리로 열려 있었던 시간을 결정하여 개폐 시간 정보를 생성한다(S370).
이후, 신호 처리부(150)의 전송부(155)는 개폐 여부 정보, 개폐 거리 정보 및 개폐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창호 감시 데이터를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S39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창호 감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은 창호 감시 장치(100)로부터 창호(11)에 대한 개폐 여부 정보, 개폐 거리 정보 및 개폐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창호 감시 데이터를 수신한다(S510).
다음,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의 데이터 처리부(310)는 개폐 여부 정보에 따라 창호(11)가 열려있는 경우에, 창호(11)가 개폐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동안 개폐 거리 정보에 따른 거리로 열림에 따라 소비된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한다(S530).
이후, 홈 네트워크 시스템(300)의 표시부(330)는 결정된 에너지 소비량을 표시한다(S550).
다음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에너지 소비량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310)는 창호(11)의 열림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과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비교하여, 에너지 소비량이 임계치 이상이면 해당 사실을 표시부(330)로 전달한다.
표시부(330)는 경고창 즉, 에너지 현황 경고(331)를 통해 창호(11)의 열림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상태임을 표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사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창호틀 11: 창호
100: 창호 감시 장치 110: 검지부
130: 센서부 150: 신호 처리부
151: 계측부 153: 타이머
155: 전송부 157: 전원부
300: 홈 네트워크 시스템 310: 데이터 처리부
330: 표시부 331: 에너지 현황 경고

Claims (10)

  1. 창호의 개폐를 감시하는 창호 감시 장치에 있어서,
    창호에 설치되며, 상기 창호의 개폐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검지부;
    상기 검지부까지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거리 정보에 따라 상기 창호의 개폐 여부 및 개폐 거리를 결정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창호 감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창호틀에 고정되는 창호 감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정보는
    상기 검지부와 상기 센서부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창호 감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검지부와 상기 센서부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창호와 상기 창호틀간의 이격 거리에 해당하는 개폐 거리를 결정하는 창호 감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경과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창호가 상기 개폐 거리로 열려 있는 시간을 결정하는 창호 감시 장치.
  6. 시스템이 창호의 개폐 여부를 감시하는 창호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창호에 설치된 감지부와 창호틀에 설치된 센서부간의 거리를 포함하는 거리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리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창호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여 개폐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개폐 여부 정보에 따라 상기 창호가 열림 상태인 경우, 상기 거리에 상응하는 상기 창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창호의 열림 거리를 결정하여 상기 열림 거리를 포함하는 개폐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개폐 여부 정보 및 상기 개폐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창호 감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비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창호 감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소비량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창호의 열림에 따라 에너지가 유출됨을 알리는 경고창을 표시하는 창호 감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창호가 상기 열림 거리로 열려 있는 시간을 결정하여 개폐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창호 감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개폐 여부 정보, 상기 개폐 거리 정보 및 상기 개폐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호의 개폐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는 창호 감시 방법.
KR1020100094811A 2010-09-29 2010-09-29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17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11A KR101170250B1 (ko) 2010-09-29 2010-09-29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11A KR101170250B1 (ko) 2010-09-29 2010-09-29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184A true KR20120033184A (ko) 2012-04-06
KR101170250B1 KR101170250B1 (ko) 2012-07-31

Family

ID=4613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811A KR101170250B1 (ko) 2010-09-29 2010-09-29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2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741B1 (ko) * 2010-10-07 2012-05-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개폐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창호조립체
KR101495204B1 (ko) * 2012-10-19 2015-02-24 채일수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WO2015106766A1 (en) * 2014-01-16 2015-07-23 Sl Holding, Kolding Aps System and un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window and door
KR101859073B1 (ko) * 2018-01-19 2018-05-17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8Y1 (ko)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100670608B1 (ko) * 2005-01-24 2007-01-17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창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741B1 (ko) * 2010-10-07 2012-05-1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개폐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창호조립체
KR101495204B1 (ko) * 2012-10-19 2015-02-24 채일수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WO2015106766A1 (en) * 2014-01-16 2015-07-23 Sl Holding, Kolding Aps System and unit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window and door
KR101859073B1 (ko) * 2018-01-19 2018-05-17 주식회사 성진건설기술단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창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250B1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6250B2 (ja) スマートバリア警報装置
US20190025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 leak detection
US9218732B2 (en) Integrated flood and temperature sensor for use in a home network environment
KR101170250B1 (ko) 창호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14145539A3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ve distribution system (pds) and infrastructure protection and management
US10107849B2 (en) Diagnostic system for a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 home appliance
US201601165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energy consumption
JP2012075481A (ja) トンネル消火器装置及び消火器管理システム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KR101264591B1 (ko) 화재 감지 장치 및 시스템
KR100632445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화재 지점 및 대피 경로 모니터링시스템
KR101180010B1 (ko) 자외선 센서와 전자파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절연 진단 장치
KR20100106135A (ko) 침입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창호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JP2009301482A (ja) 無線タグおよび無線タグ・システム
MX2013014091A (es) Sistema y metodo para deteccion y notificacion de manipulacion indebida de sistema de alarma.
JP5856275B2 (ja) トンネル消火器装置及び消火器管理システム
CN202904833U (zh) 小室门未关闭自动报警装置
JP4508181B2 (ja) 計測メータ装置
CN101963034A (zh) 一种防火门窗在线实时监测系统
JP6319613B1 (ja) データ収集解析システム、データ収集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97964A1 (en) Monitoring system
JP2005339099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204789882U (zh) 基于双阀值的配网故障诊断系统
CN103140071A (zh) 一种室外弱电设备箱
TW201426667A (zh) 具省電功能之感知裝置之保全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