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858B1 -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858B1
KR101851858B1 KR1020160096298A KR20160096298A KR101851858B1 KR 101851858 B1 KR101851858 B1 KR 101851858B1 KR 1020160096298 A KR1020160096298 A KR 1020160096298A KR 20160096298 A KR20160096298 A KR 20160096298A KR 101851858 B1 KR101851858 B1 KR 101851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nector
stopper
connector body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3114A (ko
Inventor
김상인
서동영
강병찬
조윤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6009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858B1/ko
Priority to PCT/KR2017/008154 priority patent/WO2018021868A1/ko
Publication of KR2018001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2013/586Details the cover housing is formed by diaphragm springs
    • F16D2013/588Details the cover housing is formed by diaphragm springs the diaphragm springs are arranged outside the cover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플라이휠 댐퍼와 더블 클러치가 결합되고 상기 플라이휠 댐퍼와 상기 더블 클러치 사이에 구비된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수납되어 진동과 백래시를 감소시키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부, 상기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한쌍의 스프링 스토퍼, 상기 스프링에 상기 스프링 스토퍼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스토퍼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부, 상기 스프링 장착부에 상기 스프링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커넥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한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Separation Prevention Spring Device for Vehicle Power Transmission Connector}
본 발명은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플라이휠 댐퍼와 더블 클러치 사이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에 구비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더블 클러치는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은 플라이휠 댐퍼와 결합되고, 상기 더블 클러치와 플라이휠 댐퍼의 사이에는 커넥터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 기어는 더블 클러치에 형성된 플레이트부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결합의 경우 기어와 기어가 맞물렸을 때, 기어의 치면 사이에는 공차로 인한 백래시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백래시로 충격 및 소음이 발생하여 부품간의 내구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커넥터에는 백래시로 인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한쌍의 스프링 스토퍼가 구비된다.
하지만 제조 상의 공차로 인해, 스프링과 스프링 스토퍼 간의 유격이 발생되고, 스프링과 스프링 스토퍼간의 조립공정 또는 물류 상에 상호 이탈 문제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생산성 저하 및 불용 재고 누적으로 인한 비용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충격 및 진동을 원활하게 흡수하면서도 스프링과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는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KR 2011-0069687(2011.06.2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커넥터 본체에 수납된 스프링에 장착되는 스프링 스토퍼에 스프링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스프링과 스프링 스토퍼 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는, 동력이 전달되는 플라이휠 댐퍼와 더블 클러치가 결합되고 상기 플라이휠 댐퍼와 상기 더블 클러치 사이에 구비된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수납되어 진동과 백래시를 감소시키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부, 상기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한쌍의 스프링 스토퍼, 상기 스프링에 상기 스프링 스토퍼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스토퍼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부, 상기 스프링 장착부에 상기 스프링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커넥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착부에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부는 일면이 막혀있는 중공의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스프링 지지핀이 구비된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핀이 삽입 및 체결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 도면 등을 통해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에 수납된 스프링에 장착되는 스프링 스토퍼에 스프링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스프링과 스프링 스토퍼 간의 이탈을 방지하고 조립공정 시 불량률을 감소시키며 불용 재고 누적을 감소시켜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휠 댐퍼와 더블 클러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스프링 수납부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스프링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이휠 댐퍼와 더블 클러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플라이휠 댐퍼(100)와 더블 클러치(200)는 플라이휠 댐퍼(100) 측에 장착된 커넥터(300)에 의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300)의 측면에는 결합홀(31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홀(312)을 통해 플라이휠 댐퍼(100)의 연결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되며, 커넥터(300)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 기어(3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스플라인 기어(311)를 통해 더블 클러치(200) 내부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이 플라이휠 댐퍼(100)로 전달되고 커넥터(300)의 스플라인 기어(311)를 통해 더블 클러치(200)에 전달되며 변속기로 도달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300)는 중공의 링 형상으로, 더블 클러치(200)에 동력을 전달하고 스플라인 결합되는 커넥터 본체(310), 커넥터 본체(310)에 수납되는 스프링(320), 스프링(32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핀(330), 커넥터(300)를 감싸는 커버(350), 커넥터 본체(310)와 커버(350) 사이의 응력을 분산시키는 탄성 와셔(340), 커버(350)와 커넥터(30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6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본체(310)에는 체결홀(313)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홀(313)에 대응하여 커버(350)에는 체결홈(35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313) 및 체결홈(351)은 체결부재(360)에 의해서 고정 및 결합되고, 커버(350)가 커넥터 본체(310)를 감싸며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본체(310)의 측면에는 다수의 결합홀(3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결합홀(312)은 플라이휠 댐퍼(100)의 연결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며, 외주면에는 더블 클러치(200)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스플라인 기어(3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플라인 기어(311)를 통해 상기 더블 클러치(200)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310)의 측면에는 상기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백래시로 인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다수의 스프링(320)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20)은 커넥터 본체(310)의 측면에 원주방향으로 수납되고, 스프링(320)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 스토퍼(321, 322)가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32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320)의 양측 단부는 지지면적이 작아서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이 받는 응력이 증가되고 스프링(320)의 마모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스프링(320)의 양측 단부에 스프링 스토퍼(321, 322)를 장착하여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스프링(320)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320)은 양측 단부에 스프링 스토퍼(321, 322)가 장착되어 있고 제 1 스프링 스토퍼(321)는 스프링 지지핀(330)에 의해 지지되며, 제 2 스프링 스토퍼(322)는 커버(350)에 돌출된 걸림턱(35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310)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홀(31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14)은 제 1 스프링 스토퍼(321)의 끝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관통홀(314)을 통해 원기둥형상의 스프링 지지핀(330)가 상하로 삽입되어 리벳체결되고 상기의 스프링 지지핀(330)는 제 1 스프링 스토퍼(321)를 통해 스프링(32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또한, 커버(350)가 커넥터 본체(310)와 결합되는 커버(350)의 내면에는 커넥터 본체(310)의 측면 방향으로 마주보며 돌출되는 다수의 걸림턱(3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52)은 제 2 스프링 스토퍼(322)를 통해 스프링(320)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스프링(320)은 스프링 지지핀(330)과 걸림턱(352)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의 구조는 플라이휠 댐퍼(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기어와 기어간의 백래시로 인한 소임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의 스프링 지지핀(330)과 걸림턱(352)의 위치는 효과적으로 스프링(320)을 지지할 수 있다면 상기 스프링 지지핀(330)과 걸림턱(352)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커넥터 본체(310)에 구비된 관통홀(314)에는 상부 및 하부로 스프링 지지핀(330)이 삽입되고 리벳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의 스프링 지지핀(330)은 리벳체결, 볼트와 너트의 결합 등으로 체결될 수도 있으며, 안정적으로 스프링(320)을 지지할 수 있다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커넥터 본체(310)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부의 바닥면은 상기 스프링 지지핀(330)과 수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 수납부에 수납된 스프링(320)은 수직으로 커넥터 본체(310)에 체결된 스프링 지지핀(330)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3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좌굴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반복적인 스프링(320)의 반동에도 안정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스프링(320)의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스프링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2 스프링 스토퍼(322)에는 스프링(320)을 고정하도록 스프링 장착부(323)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부(32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 고정부(324)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스프링 스토퍼(322)는 상기 스프링(3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평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평판형상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320) 내부에 삽입되도록 원기둥형상으로 스프링 장착부(3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장착부(323)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320) 내면과 접촉되는 돌기형상의 스프링 고정부(3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 스토퍼(322)가 스프링(3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324)는 스프링(320)의 내면과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탄성있는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스프링 스토퍼(32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명되었으나, 제 1 스프링 스토퍼(321)도 역시 적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스프링 스토퍼(321, 322) 모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 스토퍼(370)는 상기 스프링(3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평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평판형상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320) 내부에 삽입되도록 스프링 장착부(37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장착부(371)에는 중공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373)가 추가로 결합되도록 상기 스프링 장착부(371)의 끝단부에는 결합부(372)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부(371)의 끝단부는 결합된 스프링 고정부(373)를 관통하여 노출된다. 상기 원기둥형상의 스프링 고정부(373)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320) 내면과의 접촉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스토퍼(370)에 형성된 결합부(372)에는 상기 스프링(320)과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373)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373)가 결합된 스프링 장착부(371)는 상기 스프링(320)의 내경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372)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373)는 나사결합, 코킹결합,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372)와 스프링 고정부(373)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스토퍼의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스프링 스토퍼(380)는 상기 스프링(3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평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평판형상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320) 내부에 삽입되도록 스프링 장착부(38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장착부(381)에는 일측이 막혀있는 중공의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383)가 추가로 결합되도록 상기 스프링 장착부(381)의 끝단부에 결합부(382)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고정부(383)는 상기 스프링 장착부(381)와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장착부(381)의 끝단부 전체를 감싸며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스프링 장착부(381)에 스프링 고정부(383)가 결합되었을때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안정적인 결합을 달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기둥형상의 스프링 고정부(383)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320) 내면과의 접촉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스토퍼(380)에 형성된 결합부(382)에는 상기 스프링(320)과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383)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부(383)가 결합된 스프링 장착부(381)는 상기 스프링(320)의 내경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382)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383)는 나사결합, 코킹결합,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382)와 스프링 고정부(383)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플라이휠 댐퍼
200 : 더블 클러치
300 : 커넥터
310 : 커넥터 본체
311 : 스플라인 기어
312 : 결합홀
313 : 체결홀
314 : 관통홀
320 : 스프링
321 : 제 1 스프링 스토퍼
322 : 제 2 스프링 스토퍼
323 : 스프링 장착부
324 : 스프링 고정부
330 : 스프링 지지핀
340 : 탄성 와셔
350 : 커버
351 : 체결홈
352 : 걸림턱
360 : 체결부재
370, 380 : 스프링 스토퍼
371, 381 : 스프링 장착부
372, 382 : 결합부
373, 383 : 스프링 고정부

Claims (5)

  1. 동력이 전달되는 플라이휠 댐퍼와 더블 클러치가 결합되고 상기 플라이휠 댐퍼와 상기 더블 클러치 사이에 구비된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수납되어 진동과 백래시를 감소시키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이 수납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 수납부;
    상기 스프링의 양측 단부에는 스프링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한쌍의 스프링 스토퍼;
    상기 스프링에 상기 스프링 스토퍼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스프링 스토퍼에 형성된 스프링 장착부;
    상기 스프링 장착부에 상기 스프링 스토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스프링 고정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커넥터 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및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핀;
    을 포함하는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착부에는 상기 스프링 고정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고정부는 일면이 막혀있는 중공의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60096298A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KR101851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298A KR101851858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PCT/KR2017/008154 WO2018021868A1 (ko) 2016-07-28 2017-07-28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298A KR101851858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14A KR20180013114A (ko) 2018-02-07
KR101851858B1 true KR101851858B1 (ko) 2018-04-25

Family

ID=6101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298A KR101851858B1 (ko) 2016-07-28 2016-07-28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1858B1 (ko)
WO (1) WO201802186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16A (ja) 2006-02-28 2007-09-13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連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82A (ja) * 1996-07-10 1998-01-27 Exedy Corp コイルスプリング組立体及びダンパー機構
KR101058573B1 (ko) * 2008-09-10 2011-08-2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플라이휠
KR20100041893A (ko) * 2008-10-15 2010-04-2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플라이휠의 데드스토퍼
CN103842677B (zh) * 2011-08-18 2016-05-11 平和法雷奥有限公司 干式双离合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2216A (ja) 2006-02-28 2007-09-13 Luk Lamellen &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連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114A (ko) 2018-02-07
WO2018021868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739B2 (en) Engine mount and power unit vibration damping support structure
CN104203723B (zh) 带有扭转减震器元件的转向柱装置和安装方法
US10046795B2 (en)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US20120142437A1 (en) Torque limiter device
KR101853543B1 (ko) 자동차의 감속기
US20190054813A1 (en) Torque rod
KR20140120452A (ko)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US9353825B2 (en) Vibration absorbing apparatus
US10100914B2 (en) Gear
KR101851858B1 (ko)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KR20170123544A (ko)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마모개선 장치
CN214661765U (zh) 连接毂组件
CN113557373B (zh) 车辆用减振器及车辆
US10352341B2 (en) Fastening mechanism
KR101549330B1 (ko) 토크 전달 장치의 댐퍼 기구
CN109210144B (zh) 预加载部件,预加载组件,双质量飞轮和机动车辆
KR102104615B1 (ko)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KR100448785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KR101959016B1 (ko) 스프링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토셔널 댐퍼
JP6722162B2 (ja) 端末支持装置および端末支持装置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KR101196341B1 (ko) 앤드 아이 어셈블리의 특성곡선을 만족하는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 변속기용 앤드 아이 어셈블리
US10337565B2 (en) Zero backlash pre-damper to main damper attachment system
CN217130210U (zh) 减振模块和动力传递系统
KR101951109B1 (ko) 건식 더블 클러치
JP6189665B2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