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615B1 -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615B1
KR102104615B1 KR1020180087708A KR20180087708A KR102104615B1 KR 102104615 B1 KR102104615 B1 KR 102104615B1 KR 1020180087708 A KR1020180087708 A KR 1020180087708A KR 20180087708 A KR20180087708 A KR 20180087708A KR 102104615 B1 KR102104615 B1 KR 10210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ver
spring
rive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420A (ko
Inventor
김병관
강석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발레오
Priority to KR102018008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615B1/ko
Priority to PCT/KR2019/009269 priority patent/WO2020022812A1/ko
Publication of KR2020001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00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 F16D21/02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 F16D21/06Systems comprising a plurality of actuated clutches for interconnecting three or more shafts or other transmission members in different ways at least two driving shafts or two driven shafts being concentric
    • F16D2021/0607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 F16D2021/0623Double clutch with torque input plate in-between the two clutches, i.e. having a central input plate the central input plate having a damper in-between the two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커버의 모든 스프링커버부에 대응하여 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체결 토크가 증대되고, 커넥터커버의 양측면에 탄성와셔와 커버와셔에 의해 원주 방향 전 둘레에 걸쳐 동일한 면접촉력이 작용함으로써 커넥터커버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damper and clutch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 출력축에 연결된 댐퍼와 변속기 입력축에 연결된 클러치 사이를 연결하여 댐퍼로 전달된 엔진 동력을 클러치로 전달하는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는 변속기의 변속 작동 중 변속기로 입력되는 동력을 끊어주어 원활한 변속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변속기의 기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댐퍼는 내부에 토션스프링을 구비하여 입력측과 출력측 간의 상대 회전 변동을 흡수함으로써 엔진과 변속기 상호 간에 회전속도 차이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여 이들을 보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00)는 외주에 시동을 위한 링기어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 연결장치(300)가 구비된다. 클러치(200)는 DCT에 적용되는 듀얼클러치로서 일측의 연결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연결장치(300)와의 연결을 위한 스플라인홀이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홀은 홀의 내주면에 스플라인 치형(211)이 형성된 것이다.
댐퍼(100)는 클러치(200)의 내부에 구비된 또 다른 댐퍼에 대응하여 외부댐퍼(External damper)라고도 지칭된다. 댐퍼(100)의 내부에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드라이브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며, 그 드라이브플레이트에 상기 연결장치(30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연결장치(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커넥터(310)를 포함하는데, 커넥터(310)는 상기 드라이브플레이트에 리벳으로 고정되고(고정홀(312); 도 2 참조) 외주면에 스플라인 치형(3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클러치(200)의 연결플레이트(210)에 형성된 스플라인홀에 삽입 결합된다. 즉, 댐퍼(100)와 클러치(200)는 상호 스플라인 구조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과 클러치(200)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 사이에는 백래쉬가 존재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 과정에서 댐퍼(100)측과 클러치(200)측의 회전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양측 치형이 충돌하면서 소음 및 스플라인 치형(211,311)의 손상이 발생한다.
이의 방지를 위해 커넥터(310)에 스프링(330)으로 탄성 지지되는 커넥터커버(320)가 설치된다. 커넥터커버(320)는 커넥터(310)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소량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330)은 커넥터(310)에 고정된 리벳(340)에 일측 단부가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커넥터커버(320)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부(320a)를 밀어주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330)의 양단에는 스프링시트(331,332)가 구비되어 리벳(340) 및 돌기부(320a)와의 접촉 상태가 견고해짐으로써 스프링(330)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커버(320)에는 스프링커버부(321)가 형성되어 커넥터(310)에 설치된 스프링(330)의 일측부를 덮어주도록 되어 있고, 스프링커버부(321)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후 하방으로 절곡된 치형접촉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커버(320)는 사각리벳(350)에 의해 커넥터(310)에 축 방향으로 구속된다. 사각리벳(350)은 하단이 커넥터(310)에 고정되고 헤드가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서 헤드가 커넥터커버(320)의 축 방향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310)와 커넥터커버(320)의 사이에는 탄성와셔(360)가 개재되어 커넥터커버(320)의 축방향 유동을 감소시켜 커넥터커버(320)의 원주 방향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댐퍼(100)와 클러치(200)의 스플라인 결합 시, 상기 커넥터커버(320)의 치형접촉부(322)가 클러치(200)측 스플라인 치형(211)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이에 그 지지면의 반대 방향으로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과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이 밀착되어 백래쉬에 의한 치형 충돌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장치(3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커넥터(310)와 연결플레이트(210)의 체결토크는 상기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커넥터(310)를 댐퍼(100)의 드라이브플레이트에 리벳(미도시)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312)은 커넥터(310)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다(총 8개소).
상기 고정홀(312)들의 사이 구간마다 커넥터커버(320)의 스프링커버부(321)가 위치되는데, 어떤 고정홀(312) 사이 구간에는 스프링커버부(321) 뿐만 아니라 커넥터커버(320)를 커넥터(310)에 장착하기 위한 상기 사각리벳(350)도 배치되어 있다. 사각리벳(350)은 총 4개소에 설치되며 고정홀(312) 사이 구간들에서 하나 걸러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사각리벳(350)과 스프링커버부(321)가 모두 배치되는 고정홀(312) 사이 구간의 경우에는 사각리벳(350)의 헤드가 차지하는 원주 방향 길이에 의해 스프링커버부(321)의 원주 방향 길이가 축소될 수밖에 없으며, 이에 길이가 축소된 스프링커버부(321)의 하부에는 스프링(330)을 설치할 수 없었다. 즉, 전체 스프링커버부(321) 중 실제로 스프링(330)이 설치되는 것은 반수에 불과했고, 나머지 반수의 스프링커버부(321)는 단지 치형접촉부(322)를 형성하기 위한 연결부의 역할만을 수행하였다.
이에 커넥터커버(320)에 작용하는 스프링 반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댐퍼(100)와 클러치(200)의 체결토크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결장치(300)에서 커넥터커버(320)는 커넥터(310)측 일측면만이 탄성와셔(360)에 접촉 지지되기 때문에 커넥터커버(320)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면접촉력에 차이가 발생하여 그 작동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커넥터커버(320)의 타측면 일부 구간이 사각리벳(350)의 헤드에 접촉되기는 하지만 그 범위는 전체 원주 구간에 비해 매우 작아서 커넥터커버(320)의 원주 방향 작동 안정성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69687호(2011.06.23.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댐퍼와 클러치의 체결토크가 증대되고, 커넥터커버의 작동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댐퍼의 드라이프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클러치의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에 결합되는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된 커넥터와, 리벳을 매개로 커넥터에 원주 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원주 방향 동일 간격으로 스프링커버부가 형성되며 각 스프링커버부에 치형접촉부가 돌출 연장 형성된 커넥터커버와, 상기 커넥터커버의 스프링커버부와 커넥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커넥터커버에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커넥터와 커넥터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커넥터커버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 전둘레에 걸쳐 면접촉되는 탄성와셔와, 상기 커넥터커버의 타측면에 상기 리벳을 매개로 설치되고 커넥터커버의 타측면에 원주 방향 전둘레에 걸쳐 면접촉되는 커버와셔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에 커넥터를 드라이브플레이트에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다수의 고정홀이 원주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고, 모든 고정홀 사이 영역마다 상기 스프링커버부와 상기 리벳이 배치되며, 모든 스프링커버부의 내측에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와셔의 외주에 다수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그 돌출편에 리벳홀이 형성되며, 그 리벳홀로 상기 리벳이 삽입되어 커넥터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버와셔가 커넥터에 장착됨과 더불어 커버와셔의 커넥터에 대한 축방향 위치가 제한된다.
상기 커넥터의 스플라인 치형은 클러치 연결플레이트의 스플라인 치형과 결합되는 방향쪽 단부의 양측 모서리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제1챔퍼와 제2챔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챔퍼는 제2챔퍼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2챔퍼는 제1챔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커버 장착용 리벳 헤드의 크기가 감소되어 모든 스프링커버부의 원주 방향 길이를 스프링 수용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모든 스프링커버부의 내측에 스프링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개수가 증가되어 커넥터커버에 가해지는 스프링력이 크게 증가됨으로써 댐퍼의 커넥터와 클러치의 연결플레이트의 체결토크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댐퍼와 클러치는 보다 견고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스플라인 치형간 백래쉬에 의한 소음 및 치형 내구성 저하 문제가 개선된다.
또한, 커넥터커버의 일측에 탄성와셔에 대응하여 커버와셔가 구비됨으로써 커넥터커버의 양측면 모두가 원주 방향 전 범위에 걸쳐 면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커버의 축방향 유동이 더욱 억제될 뿐만 아니라 커넥터커버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면접촉력이 동일해짐으로써 커넥터커버의 작동 안정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스플라인 치형의 결합방향측 단부모서리가 2단 챔퍼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연결플레이트의 스플라인 치형과 조립할 때 작용하는 조립하중이 감소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체결토크 증가에 의한 조립하중 증가를 상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댐퍼와 클러치의 스플라인 결합은 여전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댐퍼와 클러치의 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의 스프링 설치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의 스프링 설치부 단면도.
도 8의 (a)는 연결장치의 주요 구성인 커넥터의 부분 확대 사시도, (b)와 (c)는 (a)의 A-A선 단면도로서 댐퍼의 커넥터와 클러치의 연결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플라인 치형부 단면도이고, (c)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인 치형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의 스프링 설치부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는 커넥터(310), 커넥터커버(320), 스프링(330), 탄성와셔(360), 커버와셔(370) 및 스프링(330)의 일단을 지지하는 리벳(340)과, 탄성와셔(360)와 커넥터커버(320)와 커버와셔(370)를 커넥터(310)에 장착하기 위한 리벳(380)을 포함한다.
커넥터(310)는 링 형상 부품으로서 외주면에는 클러치(200)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과 결합되는 스플라인 치형(311)이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310)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홀(312)이 형성되며, 이 고정홀(312)을 통해 삽입되는 리벳(미도시)을 매개로 댐퍼(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라이브플레이트(미도시)에 고정된다.
커넥터(31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스플라인 치형(311)이 형성되지 않은 빈 영역(치형(311)이 하나 빠진 공간)이 존재하며, 이 빈 영역에 이후 설명할 커넥터커버(320)의 치형접촉부(322)가 위치된다.
커넥터커버(320)는 링 형상 부품으로서 다수의 리벳(380)을 매개로 커넥터(310)의 일측면에 장착된다. 단, 상기 리벳(380)은 커넥터커버(320)를 완전히 구속하는 것이 아니라 원주 방향으로 소량 유동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벳(380)은 헤드가 둥근 원판 형상으로서 종래의 사각리벳(350)에 비하여 커넥터커버(320)의 원주 영역에 있어서 차지하는 범위가 작다.
커넥터커버(320)에는 일정 간격마다 스프링커버부(321)가 형성되며, 각 스프링커버부(321)의 단부 일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및 하방으로 절곡되어 치형접촉부(322)가 형성된다.
치형접촉부(322)는 커넥터(310)와 연결플레이트(210)가 스플라인 결합되었을 때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에 접촉 지지된다. 따라서, 그 지지면의 반대 방향으로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과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이 밀착되어 백래쉬에 의한 치형 충돌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스프링(330)에 의해 커넥터커버(320)가 밀려지면 치형접촉부(322)가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을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쪽으로 밀어붙여 양자 사이의 갭을 제거하는 것이다.
스프링(330)은 커넥터(310)와 커넥터커버(320)의 사이에 설치되는데, 커넥터커버(320)에 형성된 모든 스프링커버부(321)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스프링(330)이 설치된다. 즉, 모든 스프링커버부(321)의 내측에 스프링(330)이 설치된다.
스프링(330)의 양단에는 스프링의 단부 지지 상태를 안정시켜주는 스프링시트(331,332)가 설치된다. 스프링(330)의 일측 단부는 커넥터(310)에 고정되는 리벳(340)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커넥터커버(320)에 지지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커버(32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320a)에 지지된다. 스프링(330)은 상기 스프링커버부(321)에 의해 덮여서 커넥터(310) 상의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와셔(360)는 커넥터(310)와 커넥터커버(320) 사이에 개재되는 링 형상의 부품으로서 단면의 절곡 형상에 의해 축 방향으로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커넥터(310)에 대해 커넥터커버(320)를 반대쪽으로 밀어줄 수 있다. 탄성와셔(360)는 커넥터커버(320) 일측면(도 6 기준으로 하면)의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면접촉된다.
상기 탄성와셔(360)에 대응하여 커넥터커버(320)의 타측면(도 6 기준으로 상면)에는 링 형상 부품인 커버와셔(370)가 구비된다.
커버와셔(370)는 단면이 평평한 형상으로서 축방향의 탄성은 가지지 않는다.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돌출편(371)이 형성되고, 각 돌출편(371)에는 리벳홀(372)이 형성된다. 그 리벳홀(372)을 통해 상기 커넥터커버(320) 장착용 리벳(380)이 삽입되어 커넥터(310)에 리벳팅된다. 즉, 커버와셔(370)는 커넥터커버(320)와 동일한 리벳(380)에 의해 커넥터(310)에 축방향 이탈이 불가한 상태로 장착된다. 이는 상기 탄성와셔(360)도 마찬가지로서 탄성와셔(360)의 외주에 형성된 돌기들 사이의 홈으로 상기 리벳(380)이 삽입되어 있다. 탄성와셔(360)와 커버와셔(370)는 모두 리벳(380)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의 유동이 불가한 상태로 장착된다.
커버와셔(370)는 리벳(380)의 헤드에 의해 축방향 위치가 제한되어 있으며, 이에 대하여 탄성와셔(360)에 의해 축 방향 탄성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커버와셔(370)의 일측면은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커넥터커버(320)의 타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커넥터커버(320)는 양측면이 각각 탄성와셔(360)와 커버와셔(370)에 전면 접촉하게 되며, 이에 커넥터커버(320)의 양측면에 동일한 면접촉력(면압)이 작용함으로써 커넥터커버(320)의 원주 방향 작동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커넥터(310)에 대해 정확하게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동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커버(320) 장착용 리벳(380)은 통상적인 원형 헤드를 가진 형태의 리벳으로서 종래의 커넥터커버 장착에 사용되었던 사각리벳(350)에 비하여 커넥터커버(320)의 원주에 있어서 차지하는 범위가 작다. 종래에는 리벳으로 커넥터커버(320)의 보다 넓은 면적을 눌러주기 위해 사각리벳이 필요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커버와셔(370)가 커넥터커버(320)의 원주 전면적을 눌러주므로 일반형 리벳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리벳(380)이 차지하는 원주 영역이 감소됨으로써 커넥터(310)에서 모든 고정홀(312) 사이 영역에 리벳(380)을 설치하면서도, 모든 스프링커버부(321)를 실제로 스프링(330)을 수용할 수 있는 원주 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커버(3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30)의 수가 배로 증가되고, 이에 커넥터커버(320)에 의한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과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의 밀착력이 크게 향상됨으로써 댐퍼(100)와 클러치(200)의 체결토크가 증대된다.
따라서, 댐퍼(100)와 클러치(200)의 연결 상태가 견고해질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적으로 엔진 동력을 변속기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체결토크가 증가할 경우에는 댐퍼(100)와 클러치(200)의 조립이 다소 어려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과 연결플레이트(210)의 스플라인 치형(211)을 상호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증가되는 것이다.
이의 해소를 위해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을 도 8의 (a),(c)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종래 커넥터의 스플라인 치형(311)은 도 8의 (b)와 같이, 하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단일 챔퍼(311a)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스플라인 치형(311)은 결합 방향의 양측 모서리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진 2개의 챔퍼 즉, 제1챔퍼(311b)와 제2챔퍼(311c)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챔퍼(311b)는 제2챔퍼(311c)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2챔퍼(311c)는 제1챔퍼(311c)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챔퍼(311b)는 체결토크가 크게 작용하지 않는 결합초기에 연결플레이트(210)의 치형(211)에 접촉되고, 제2챔퍼(311c)는 체결토크가 강하게 작용하는 결합후기에 연결플레이트(210)의 치형(211)에 접촉된다.
따라서, 결합초기에는 제1챔퍼(311b)의 완만한 경사면에 의해 연결플레이트(210) 치형(211)에 대한 커넥터(310) 치형(311)의 횡방향 유동이 크게 유도되어 커넥터(310)의 치형(311)이 연결플레이트(210)의 치형(211) 사이로 정확하게 삽입되기 용이하며, 결합후기에는 제2챔퍼(311c)의 급격한 경사면에 의해 커넥터(310)의 치형(311)이 연결플레이트(210)의 치형(211) 사이로 큰 저항을 받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310)의 스플라인 치형(311)이 결합 방향을 따라 경사도가 증가하도록 제1챔퍼(311b)와 제2챔퍼(311c)가 연속하여 형성됨으로써 조립 위치 조정이 용이하고, 조립 하중이 감소되어 댐퍼(100)와 클러치(200)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댐퍼 200 : 클러치
210 : 연결플레이트 211 : 스플라인 치형
300 : 연결장치 310 : 커넥터
311 : 스플라인 치형 312 : 고정홀
320 : 커넥터커버 320a : 돌기부
321 : 스프링커버부 322 : 치형접촉부
330 : 스프링 331,332 : 스프링시트
340 : 리벳 350 : 사각리벳
360 : 탄성와셔 370 : 커버와셔
371 : 돌출편 372 : 리벳홀
380 : 리벳

Claims (5)

  1. 댐퍼의 드라이프플레이트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클러치의 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스플라인 치형에 결합되는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된 커넥터와;
    리벳을 매개로 커넥터에 원주 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원주 방향 동일 간격으로 스프링커버부가 형성되며 각 스프링커버부에 치형접촉부가 돌출 연장 형성된 커넥터커버와;
    상기 커넥터커버의 스프링커버부와 커넥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커넥터커버에 원주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커넥터와 커넥터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커넥터커버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 전둘레에 걸쳐 면접촉되는 탄성와셔와;
    상기 커넥터커버의 타측면에 상기 리벳을 매개로 설치되고 커넥터커버의 타측면에 원주 방향 전둘레에 걸쳐 면접촉되는 커버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셔의 외주에 다수의 돌출편이 형성되고, 그 돌출편에 리벳홀이 형성되며, 그 리벳홀로 상기 리벳이 삽입되어 커넥터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버와셔가 커넥터에 장착됨과 더불어 커버와셔의 커넥터에 대한 축방향 위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커넥터를 드라이브플레이트에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다수의 고정홀이 원주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고, 모든 고정홀 사이 영역마다 상기 스프링커버부와 상기 리벳이 배치되며, 모든 스프링커버부의 내측에 상기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스플라인 치형은 클러치 연결플레이트의 스플라인 치형과 결합되는 방향쪽 단부의 양측 모서리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제1챔퍼와 제2챔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챔퍼는 제2챔퍼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제2챔퍼는 제1챔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KR1020180087708A 2018-07-27 2018-07-27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KR10210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08A KR102104615B1 (ko) 2018-07-27 2018-07-27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PCT/KR2019/009269 WO2020022812A1 (ko) 2018-07-27 2019-07-25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08A KR102104615B1 (ko) 2018-07-27 2018-07-27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20A KR20200012420A (ko) 2020-02-05
KR102104615B1 true KR102104615B1 (ko) 2020-04-24

Family

ID=6918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08A KR102104615B1 (ko) 2018-07-27 2018-07-27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4615B1 (ko)
WO (1) WO202002281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661B1 (ko) * 2011-08-18 2015-08-0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건식 더블 클러치
KR101593823B1 (ko) 2014-09-15 2016-02-1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 플라이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4423A (ja) * 1996-08-09 1998-02-24 Exedy Corp ストップピン及び動力伝達装置
KR101191528B1 (ko) 2009-12-17 2012-10-15 주식회사평화발레오 건식 더블 클러치
KR20120001514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 플라이휠
US9404554B2 (en) * 2013-07-17 2016-08-0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Transmission clutch damper
KR20170123544A (ko) * 2016-04-29 2017-11-08 주식회사평화발레오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마모개선 장치
CN207015150U (zh) * 2017-05-12 2018-02-16 上海萨克斯动力总成部件系统有限公司 混合动力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661B1 (ko) * 2011-08-18 2015-08-0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건식 더블 클러치
KR101593823B1 (ko) 2014-09-15 2016-02-16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댐퍼 플라이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2812A1 (ko) 2020-01-30
KR20200012420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297B1 (ko) 하우징과 후크형 텅을 갖는 프리댐퍼를 포함하는 토션 댐퍼
KR100231855B1 (ko) 토오크 전달용 플렉서블 플레이트 조립체
JP5277108B2 (ja) 多板式クラッチ
US8257183B2 (en) Torque fluctuation absorber
US20120142437A1 (en) Torque limiter device
US8512153B2 (en) Torsional vibration damper
GB2231124A (en) Torsion dampers
US10436282B2 (en) Damper device
KR20140039328A (ko) 건식 더블 클러치
EP3147525B2 (fr) Disque de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8454446B2 (en) Damper mechanism
US5722895A (en) Torsion predamper, notably for motor vehicles
EP2169248B1 (en) Multiple disc clutch
JP6577105B2 (ja) クラッチユニット
KR102104615B1 (ko) 차량의 댐퍼와 클러치 연결장치
US6520306B2 (en) Torsional damping device, especially for clutches
EP1460302B1 (en) Torsional damper apparatus
CN214661765U (zh) 连接毂组件
JPH0343494B2 (ko)
CN109210144B (zh) 预加载部件,预加载组件,双质量飞轮和机动车辆
KR101202908B1 (ko) 건식 더블클러치
JP6708004B2 (ja) ダンパ装置
FR3068410B1 (fr) Disque d'embrayage avec dispositif de frottement
KR101851858B1 (ko)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이탈방지 장치
KR20170123544A (ko) 차량용 동력전달 커넥터의 스프링 마모개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