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68B1 -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68B1
KR101849668B1 KR1020170053974A KR20170053974A KR101849668B1 KR 101849668 B1 KR101849668 B1 KR 101849668B1 KR 1020170053974 A KR1020170053974 A KR 1020170053974A KR 20170053974 A KR20170053974 A KR 20170053974A KR 101849668 B1 KR101849668 B1 KR 101849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afety damper
frame
dampe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훈
김현기
Original Assignee
한국승강기블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승강기블루(주) filed Critical 한국승강기블루(주)
Priority to KR102017005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closed position about a transverse axis situated in the road surface, e.g. tiltable sections of the road surface, tiltable park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the barrier being formed by obstructing members situated on, flush with, or below the traffic surface, e.g. with inflatable members on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20)와,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30)와, 상기 연결부(20) 상단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안전댐퍼(40)와, 상기 프레임(10) 타측에 설치되며 외부에 배치된 주차기 제어반(70)으로부터 출입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며, 출입문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전댐퍼(40)가 상기 프레임(1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동력부(30)를 제어하고, 출입문 개방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전댐퍼(40)가 프레임(10)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동력부(30)를 제어하는 신호단자(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Double protective device of parking door}
본 발명은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예기치않은 상황(급발진, 조작미숙)으로 인해 주차기 출입문로 돌진하는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하여 출입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방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보급 및 자동차 활용의 증가에 따라 건물 내의 주차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한정된 공간 내에 많은 주차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타워 형식의 기계식 주차기의 설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주차기 사용 요령 인지 부족 및 주차장 관리인의 부재, 자동차 급발진 문제, 운전자의 자동차 운전 미숙 등의 예기치않은 상황으로 인해 주차기 출입문 폐쇄상태에 정차하지 않고 주차기로 돌진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주차기 출입문은 돌진하는 자동차를 막을 만한 방호 능력이 부족하며, 자동차가 출입문과 충돌시 출입문이 파손되고 자동차가 주차기 내부까지 진입하게 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38657호(공개일자 1999.06.05)에 개시된 주차 장치의 경우, 출입문 폐쇄시 자동차를 승하강 하게 하는 리프트와 자동차를 지지하는 파레트가 출입문에 위치하지 않고 자동차를 입고 또는 출고하기 위해 이동중이기 때문에 돌진하는 자동차를 지지해줄 수 없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 돌진하는 자동차가 주차기 승하강 통로 바닥으로 추락하게 되어 물질적 피해뿐만 아니라 인적 피해가 발생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9-0038657호(공개일자 1999.06.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예기치않은 상황(급발진, 조작미숙)으로 인해 주차기 출입문으로 돌진하는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하여 출입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주차기 내부로 충돌 및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는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안전댐퍼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차량을 정차하도록 시각적으로 경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의 대표적인 구성으로 주차기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20)와,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30)와, 상기 연결부(20) 상단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안전댐퍼(40) 및 상기 프레임(10) 타측에 설치되며 외부에 배치된 주차기 제어반(70)으로부터 출입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며, 출입문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전댐퍼(40)가 상기 프레임(1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동력부(30)를 제어하고, 출입문 개방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전댐퍼(40)가 프레임(10)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동력부(30)를 제어하는 신호단자(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단자(60)에서 수신받은 신호에 의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32)과, 상기 유압유닛(32)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유닛(32)에서 상기 연결부(20)로 공급되는 유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동력부(30)에서 전달받는 동력에 의해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안전댐퍼(40)를 회동시키는 실린더(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댐퍼(40)는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42)와, 상기 충격흡수부(42)의 하면에 결합되며 하면에 슬라이딩 홈(46)이 설치된 지지판(4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슬라이딩 홈(46)에 삽입된 연결러그(24)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안전댐퍼(40)의 회동시, 상기 연결러그(24)는 상기 슬라이딩 홈(46)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는 상기 실린더(22) 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구완료 스위치(52)와, 상기 실린더(22) 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승완료 스위치(50)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안전댐퍼(40)가 돌출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이동시, 상기 실린더(22)가 상기 복구완료 스위치(52)를 누르면, 상기 신호단자(60)는 상기 복구완료 스위치(52)의 ON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력부(30)의 작동을 중단시켜 상기 안전댐퍼(40)를 수평상태로 정지시키고, 상기 안전댐퍼(40)가 수평상태에서 돌출상태로 이동시, 상기 실린더(22)가 상기 상승완료 스위치(50)를 누르면, 상기 신호단자(60)는 상기 상승완료 스위치(50)의 ON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력부(30)의 작동을 중단시켜 상기 안전댐퍼(40)를 돌출상태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는 상기 안전댐퍼(40)의 하단 전방에 결합된 체결러그(82)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안전댐퍼(40)를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80)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는 예기치않은 상황(급발진, 조작미숙)으로 인해 주차기 출입문으로 돌진하는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하여 출입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주차기 내부로 충돌 및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는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안전댐퍼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차량을 정차하도록 시각적으로 경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가 설치된 주차기 출입문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개방시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내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가 설치된 주차기 출입문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개방시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 내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는 프레임(10)과, 연결부(20)와, 동력부(30)와, 안전댐퍼(40) 및 신호단자(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주차기 출입문 전방에 설치되며, 본 발명의 기본 몸체로서, 내부가 중공된 틀이다. 상기 프레임(10)은 전방 하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V자 형태의 홈(11)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실린더(22)와, 연결러그(24)와, 고정러그(26)와, 유압관(27)과, 회동축(28) 및 하우징(29)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22)는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면에 로드(22-1)가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며, 상기 연결러그(24)는 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드(22-1)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러그(26)는 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22)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축(28)은 상기 링형의 고정러그(26)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29)은 한 쌍이 상기 회동축(28)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프레임(10)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관(27)은 일단이 상기 실린더(22)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동력부(3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부(30)는 상기 실린더(22)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압유닛(32)과, 솔레노이드 밸브(34)를 포함한다.
이때, 동력은 유압이 될 수 있다.
상기 유압유닛(32)은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압을 공급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4)는 상기 유압관(27)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유닛(32)에서 상기 실린더(22)로 공급되는 유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이때, 방수 커버(36)는 상기 동력부(30)를 덮는 것으로, 상기 동력부의 방수를 위하여 추가로 설치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전댐퍼(40)는 상기 동력부(30)에서 공급되는 동력으로 작동되는 상기 연결부(20)에 의해 회동되는 것으로, 충격흡수부(42)와, 지지판(44)을 포함한다.
상기 충격흡수부(42)는 상기 안전댐퍼(40)의 상부에 고무로 이루어져 자동차와 충돌시 충격을 완화하며, 상기 지지판(44)은 상기 충격 흡수부(42)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충격흡수부(42)를 지지하며 하면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홈(4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안전댐퍼(40)는 상기 슬라이딩 홈(46)에 삽입된 상기 연결러그(24)를 통해 상기 연결부(20)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댐퍼(40)의 후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상측 후방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42)의 전면에는 '정지'와 같은 글자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신호단자(60)는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되며, 주차기 출입문 개방 또는 폐쇄시 외부에 배치된 상기 주차기 제어반(70)으로부터 송신되는 출입문 개방 또는 폐쇄 신호를 수신하며, 출입문 개방 또는 폐쇄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부(30)를 작동시킨다.
상기 신호단자(60)는 출입문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유압유닛(32)을 작동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4)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유압유닛(32)에서 발생된 유압은 상기 실린더(22)로 전달되어 상기 실린더(22)에 내장된 로드(22-1)를 상승시키며, 상기 안전댐퍼(40)는 상승된 상기 로드(22-1)에 의해 상기 연결러그(24) 및 상기 실린더(22)가 각각 후방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하, 주차기 출입문 폐쇄상태를 상기 안전댐퍼(40)의 돌출상태라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신호단자(60)는 주차기 출입문 개방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유압유닛(32)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4)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공급되었던 유압은 상기 실린더(22)에서 상기 유압유닛(32)으로 복귀하여 상기 실린더(22)에 내장된 로드(22-1)를 하강시키며, 상기 안전댐퍼(40)는 하강된 상기 로드(22-1)에 의해 상기 연결러그(24) 및 상기 실린더(22)가 각각 전방으로 슬라이딩 및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10)의 상측에 수평하게 된다.
이하, 주차기 출입문 개방상태를 상기 안전댐퍼(40)의 수평상태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는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예기치않은 상황(급발진, 조작미숙)으로 인해 주차기 출입문로 돌진하는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하여 출입문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주차기 내부로 충돌 및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는 주차기 출입문 폐쇄시 안전댐퍼(40)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차량을 정차하도록 시각적으로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는 인장스프링(8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인장스프링(80)의 일단은 상기 안전댐퍼(40)의 하단 전방 양단에 설치된 링형의 체결러그(82)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면에 형성된 V자 형태의 홈(11)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인장스프링(80)은 상기 안전댐퍼(40)의 수평상태에 늘어나며, 반대로 상기 안전댐퍼(40)의 돌출상태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줄어들어 상기 안전댐퍼(40)를 잡아당긴다.
또한,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는 상기 실린더(22)의 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구완료 스위치(52)와, 상기 실린더(22) 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승완료 스위치(5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구완료 스위치(52)와 상승완료 스위치(50)는 상기 실린더(22)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신호단자(60)는 상기 안전댐퍼(40)가 돌출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이동시, 상기 실린더(22)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구완료 스위치(52)를 누르면, 상기 복구완료 스위치(52)의 ON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력부(30)의 작동을 중단시켜 상기 안전댐퍼(40)를 수평상태로 정지시킨다.
이와 반대로, 상기 신호단자(60)는 상기 안전댐퍼(40)가 수평상태에서 돌출상태로 이동시, 상기 실린더(22)가 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승완료 스위치(50)를 누르면, 상기 상승완료 스위치(50)의 ON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동력부(30)의 작동을 중단시켜 상기 안전댐퍼(40)를 돌출상태로 정지시킨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프레임
11: V자 형태의 홈
20: 연결부
22: 실린더
22-1: 로드
24: 연결러그
26: 고정러그
27: 유압관
28: 회동축
29: 하우징
30: 동력부
32: 유압유닛
34: 솔레노이드 밸브
36: 방수커버
40: 안전댐퍼
42: 충격흡수부
44: 지지판
46: 슬라이딩 홈
50: 상승완료 스위치
52: 하강완료 스위치
60: 신호단자
70: 주차기 제어반
80: 인장스프링
82: 체결러그
100: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Claims (6)

  1. 전방 하면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V자 형태의 홈(11)을 포함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22)를 포함하는 연결부(20);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며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32)과, 상기 유압유닛(32)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유닛(32)에서 상기 연결부(20)로 공급되는 유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4)를 포함하는 동력부(30);
    상기 연결부(20) 상단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안전댐퍼(40);
    상기 프레임(10) 타측에 설치되며 외부에 배치된 주차기 제어반(70)으로부터 출입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며, 출입문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전댐퍼(40)가 상기 프레임(10)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동력부(30)를 제어하고, 출입문 개방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안전댐퍼(40)가 프레임(10)의 상측에 수평 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동력부(30)를 제어하는 신호단자(60); 및
    상기 안전댐퍼(40)의 하단 전방에 설치된 체결러그(82)를 통해 결합되며, 상기 안전댐퍼(40)를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80); 을 포함하되,
    상기 안전댐퍼(40)는 상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42)와, 상기 충격흡수부(42)의 하면에 결합되며 하면에 슬라이딩 홈(46)이 설치된 지지판(4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슬라이딩 홈(46)에 삽입된 연결러그(24)를 포함하여, 상기 안전댐퍼(40)의 회동 시 상기 연결러그(24)는 상기 슬라이딩 홈(46)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동력부(30)의 방수를 위해 상기 동력부(30)를 덮는 방수커버(36)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22) 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구완료 스위치(52)와,
    상기 실린더(22) 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승완료 스위치(50)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안전댐퍼(40)를 돌출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53974A 2017-04-26 2017-04-26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KR101849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74A KR101849668B1 (ko) 2017-04-26 2017-04-26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974A KR101849668B1 (ko) 2017-04-26 2017-04-26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668B1 true KR101849668B1 (ko) 2018-04-17

Family

ID=6208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974A KR101849668B1 (ko) 2017-04-26 2017-04-26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492A (ko) 2021-04-13 2022-10-20 김원주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KR20230111376A (ko) * 2022-01-18 2023-07-25 엘파킹 주식회사 주차설비의 차량 추락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753Y1 (ko) * 1998-11-12 2000-02-15 정학년 주차공간확보기
KR200385524Y1 (ko) * 2005-02-23 2005-05-30 임효택 차량 차단 게이트
KR100583612B1 (ko) * 2006-03-15 2006-05-26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도로 갓길에 설치되는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0973983B1 (ko) * 2009-12-10 2010-08-05 강문규 카 스토퍼 기능이 구비된 점자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753Y1 (ko) * 1998-11-12 2000-02-15 정학년 주차공간확보기
KR200385524Y1 (ko) * 2005-02-23 2005-05-30 임효택 차량 차단 게이트
KR100583612B1 (ko) * 2006-03-15 2006-05-26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도로 갓길에 설치되는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0973983B1 (ko) * 2009-12-10 2010-08-05 강문규 카 스토퍼 기능이 구비된 점자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492A (ko) 2021-04-13 2022-10-20 김원주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KR20230111376A (ko) * 2022-01-18 2023-07-25 엘파킹 주식회사 주차설비의 차량 추락 방지장치
KR102657923B1 (ko) * 2022-01-18 2024-04-16 엘파킹 주식회사 주차설비의 차량 추락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668B1 (ko)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AU5961700A (en) Front hood assembly
CN104554126A (zh) 用于车辆的主动式发动机罩装置
KR101658797B1 (ko)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EP1615808B1 (en) A safety device
EP1736630B1 (en) Retractable safety edge mechanism, installation method and resultant door system
KR20130043454A (ko) 차량용 후드의 힌지 구조체
KR100383982B1 (ko)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FI128887B (en) Automatic sliding frame arrangement
KR100527116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후드 힌지 충격 흡수구조
CN103950813A (zh) 一种电梯轿门
CN213862443U (zh) 一种带有防撞保护结构的安全型挖掘机驾驶室
KR101608613B1 (ko) 액티브 후드 리프트 시스템
KR101619397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CN220099830U (zh) 一种船闸闸门行程新型限位信号装置
CN205608833U (zh) 停车场出入口控制机
US20150007499A1 (en) Machine guard assembly with electronic disconnect for unobstructed engine hood opening
KR102020884B1 (ko) 보행자 보호용 후드힌지장치
KR100195043B1 (ko) 자동차의 도어체크 보호장치
CN210260758U (zh) 一种带回收装置的双连杆一体化光幕
KR940001670Y1 (ko) 전동열차의 출입구 안전장치
KR20020039175A (ko) 자동차의 엔진후드패널 힌지 조립체
KR100578054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구조
KR100520801B1 (ko) 자동차용 후드 패널의 충격 흡수 장치
KR100501238B1 (ko) 차량도어의 처짐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