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753Y1 - 주차공간확보기 - Google Patents
주차공간확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3753Y1 KR200163753Y1 KR2019990013528U KR19990013528U KR200163753Y1 KR 200163753 Y1 KR200163753 Y1 KR 200163753Y1 KR 2019990013528 U KR2019990013528 U KR 2019990013528U KR 19990013528 U KR19990013528 U KR 19990013528U KR 200163753 Y1 KR200163753 Y1 KR 2001637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king space
- parking
- bar
- lock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가 이면도로에 구획된 주차구역에 주차료를 내고 주차공간을 확보한 사람들이 주차료를 내지않은 타인에 의해 주차공간을 빼앗기게 되는 일이 없도록 주차시에는 절첩하였다가 차량을 운행할 때에는 펼쳐서 다른 차량이 주차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이 주차공간을 벗어나게 되면 다른 차량이 무단으로 주차를 해놓게 되어 유료로 주차장을 확보한 상태에서도 주차를 할 수 없는 일이 많아 불편하였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차량이 주차공간을 벗어난 후에는 그 자리에 큰 물통, 돌, 시멘트덩어리, 화분, 폐가구 등과 같은 장애물을 바리케이트용으로 놓아두어 다른 차량이 무단으로 주차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애물들은 도심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폐가구나 시멘트덩어리 등과 같은 것들은 행인들의 보행에 지장을 주게 되고, 특히 노약자 및 어린이들이 다치게 될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차라인이 그려진 벽면에 일정간격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주차시에는 절첩하여 벽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주차공간을 벗어날 때에는 주차공간으로 펼쳐서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하는 공간확보장치와; 상기 회동부재가 주차공간으로 회동되었을 때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주차공간확보기를 고안하여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할 경우에는 펼쳐서 자물쇠를 잠그어 타인이 차량을 주차할 수 없도록 하므로써 주차료를 지불하고 주차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택가 이면도로에 구획된 주차구역에 주차료를 내고 주차공간을 확보한 사람들이 주차료를 내지않은 타인에 의해 주차공간을 빼앗기게 되는 일이 없도록 주차시에는 절첩하였다가 차량을 운행할 때에는 펼쳐서 다른 차량이 주차하지 못하도록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급증에 따른 주차공간의 부족에 따라 주차문제로 인해 분쟁이 발생되는 일들을 쉽게 볼 수가 있다. 이러한 주차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각 구청에서는 주택의 이면도로와 같은 곳에 주차선을 구획하고 거주자가 우선적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도를 시행함에도 불구하고 차량이 주차공간을 벗어나게 되면 다른 차량이 무단으로 주차를 해놓게 되어 유료로 주차장을 확보한 상태에서도 주차를 할 수 없는 일이 많아 불편하였다.
사람들은 이러한 일들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이 주차공간을 벗어난 후에는 그 자리에 큰 물통, 돌, 시멘트덩어리, 화분, 폐가구 등과 같은 장애물을 바리케이트용으로 놓아두어 다른 차량이 무단으로 주차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애물들은 도심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폐가구나 시멘트덩어리 등과 같은 것들은 행인들의 보행에 지장을 주게 되고, 특히 노약자 및 어린이들이 다치게 될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일들을 방지하기 위해 본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주차공간확보기가 특허등록번호 제156906호로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번호 제156906호로 선등록된 주차공간 확보기의 기능을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기를 의자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실용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기를 원격조정으로 자동작동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실시예 1의 회동바에 판부재를 부착하여 의자를 구성한 상태도,
도 5a,5b는 실시예 1에 전동모터를 장착하여 작동하는 자동 주차공간확보기의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
도 8은 도 6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주차공간확보기의 사시도,
도 14a,14b는 도 12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따른 주차공간 확보기의 분리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예 6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21은 본 고안의 실시예 7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a,22b는 실시예 7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도 21의 주차공간확보기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a,23b,23c는 주차공간확보기의 작동상태도,
도 24는 본 고안의 실시예 8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측단면도,
도 26은 실시예 8의 자동 주차공간확보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9의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 사시도,
도 28은 실시예 9의 주차공간확보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9는 실시예 9의 주차공간확보기의 양쪽 회동아암이 펼쳐진 상태도,
도 30은 실시예 9의 주차공간확보기의 양쪽 회동아암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 1∼도 5)
1 - 전동모터 2 - 감속기 3,4 - 스프로킷
5 - 체인 10a,10b - 프레임 11a,11b - 브래킷
12 - 볼트구멍 13 - 수납부 14 - 슬라이딩구멍
15 - 회동바 16a,16b - 잠금고리 17 - 지지바
171 - 스프링 18 - 자물쇠 19 - 판부재
(도 6∼도 8)
20a,20b - 프레임 21 - 브래킷 22 - 볼트구멍
23 - 브래킷 25 - 회동바 26a,26b - 잠금고리
27 - 쇠사슬 29 - 롤러
(도 9∼도 11)
30 - 프레임 31 - 브래킷 32a,32b - 수납실
33 - 이동프레임 34a,34b - 링크 35a,35b - 관절
36 - 고정바 37a,37b - 잠금고리 38 - 쇠사슬
39 - 롤러
(도 12∼도 14a,14b)
40 - 베이스판이 41 -수납통이 42a,42b - 고리
43 - 회동축 44 - 수납홈 45 - 탄성날개
46 - 쇠사슬 47 - 자물쇠
(도 15∼도 17)
50 - 베이스판 51 - 브래킷 52 - 지지턱
53a,53b - 회동바홈 54a,54b - 회동바 55 - 연결바
56 - 잠금고리 57 - 구멍
(도 18,∼도 20)
60 - 지주 61 - 슬라이딩홈 62 - 수평바
63 - 회전링 64a,64b - 잠금고리
(도 21,도 22,도 23)
70 - 평판 71a,71b - 다리 72 - 수납부
73 - 가이드 74 - 요홈 75 - 슬라이더가
76 - 회동바
(도 24, 도 25, 도 26)
80 - 수납부 81 - 회동판 82 - 지지바
83 - 가이드 84 - 고리 85 - 전동모터
(도 27, 도 28, 도 29, 도 30)
90 - 몸통 91 - 수납홈 92 - 받침판
93 - 나사부 94 - 힌지구멍 95 - 힌지볼트
96a,96b - 회동아암 97 - 절곡단부 98 - 캡너트
99 - 스프링받이 100 - 스프링 101 - 푸쉬
102 - 가압부 103 - 단턱 104a,104b - 잠금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주차라인이 그려진 벽면에 일정간격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주차시에는 절첩하여 벽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주차공간을 벗어날 때에는 주차공간으로 펼쳐서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하는 공간확보장치와; 상기 회동부재가 주차공간으로 회동되었을 때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특히 공간확보장치에 전동기에 의해 공간확보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주차공간이 그려진 벽면의 양측에 두 개의 프레임(10a)(10b)을 고정설치하고, 이 프레임(10a)(10b)에 상하로 회동되는 회동바(15)를 설치하고, 회동바(15)의 하부에는 프레임(10a)(10b)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지지바(17)가 힌지결합된 구조이다.
프레임(10a)(10b)은 두 개로 구성된 수직 기둥으로서 주차공간의 측부에 형성된 벽면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배면부에 볼트구멍(12)이 형성된 브래킷(11a)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도 바닥에 밀착되어 볼트 결합되는 브래킷(11b)이 형성되어 있어 벽면 및 바닥면에 볼트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10a)(10b)의 내측면에는 상하로 회동바(15)의 수납부(13)가 형성되어 있고, 또 이들 양측 프레임(10a)(10b)의 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관통 절결된 슬라이딩구멍(14)이 길게 형성되어 이에 회동바(15)가 설치된다.
회동바(15)는 'U'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양단부가 바깥쪽으로 절곡되어 양측 프레임(10a)(10b)의 슬라이딩구멍(14)에 각각 조립된다. 이때 일측 회동바(15)의 단부는 프레임(10a)(10b)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연장되고, 그 단부에는 회동바(15)가 수평으로 펼쳐졌을 때 잠금고리(16a)가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프레임(10a)(10b)의 슬라이딩구멍(14) 상단부에 잠금고리(16a)(16b)가 형성되어 회동바(15)의 단부가 상승했을 때 두 개의 잠금고리(16a)(16b) 구멍이 일치하므로 이에 자물쇠(18)를 채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0a)(10b)의 내측면 하단부와 회동바(15)의 양측 선단부 사이에는 회동바(15)를 지지하는 지지바(17)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또 이 지지바(17)의 하단 힌지결합부에는 스프링(171)이 설치되어 스프링(171)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프레임(10a)(10b)쪽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할 경우에는 회동바(15)의 양단을 프레임(10a)(10b)의 슬라이딩구멍(14)의 상단으로 끌어올리고, 그 선단을 수평하게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하부의 지지바(17)는 전방으로 회동되어 회동바(15)의 선단을 떠받쳐 하중이 가하여지더라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런다음 회동바(15)의 일측단에 형성된 잠금고리(16a)(16b)와 프레임(10a)(10b)의 슬라이딩구멍(14)에 형성된 잠금고리(16a)(16b)를 일치시켜 자물쇠(18)로 채운다. 이와 같이하면 회동바(15)는 주차공간내에 놓여지기 때문에 주차공간내에는 다른 차량이 주차를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자물쇠(18)로 채워져 회동바(15)를 마음대로 절첩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자물쇠(18)의 열쇠 또는 자물쇠번호를 모르는 사람들은 절대로 주차공간을 이용할 수가 없게 된다.
한편 주차공간에 주차를 시킬 경우에는 열쇠 또는 비밀번호를 눌러 자물쇠(18)를 해정한 후 회동바(15)의 일단을 프레임(10a)(10b)의 슬라이딩구멍(14)의 하부로 하강시키게 되면 회동바(15)는 지지바(17)의 선단에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지지바(17)는 프레임(10a)(10b)쪽으로 회동하게 되어 결국 회동바(15)와 지지바(17)는 양측 프레임(10a)(10b)의 사이에서 수직상태로 접혀져 보관되게 된다. 특히 지지바(17)의 하단부에 설치된 스프링(171)에 의해 프레임(10a)(10b)의 사이에서 절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주차공간내에 위치해 있던 회동바(15)가 완전히 제거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주차를 시킬 수가 있다.
이때, 회동바(15)의 상부에 판부재(19)를 부착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의자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회동바(15)를 펼첬을 사람들이 앉아서 쉴 수 있는 의자가 되도록 하여 주차공간 확보기능을 겸하면서 의자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a,5b는 실시예 1에 전동모터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는 주차공간확보기의 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공간확보기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프레임(10a)의 측면 상하부에 스프로킷(3)(4)을 설치하고, 이 스프로킷(3)(4)에 체인(5)을 권취한 다음 슬라이딩구멍(14)을 통해 노출된 회동바(15)의 단부를 체인(5)의 측부에 연결시켜 체인(5)에 의해 회동바(15)가 회동작동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하부의 스프로킷축을 감속기(2)를 통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1)와 연결시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조작 또는 리모콘에 의해 주차공간확보기가 자동 작동되도록 하였다. 이때 스위치조작을 원격조정에 작동되게 하면 더더욱 편리하다. 참조번호 6은 커버이다.
한편, 회동바(15)의 작동을 위해 스프로킷(3)(4) 또는 체인(5)의 회전을 정역회전시켜야 하는 작동을 동력을 전달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기어의 배열을 변환하여 회전력이 정역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사용상태도이다.
양측 프레임(20a)(20b)의 측면중 동일방향에 위치한 측면 상부에 수평한 브래킷(21)이 형성되어 있고,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단부는 롤러(29)지면에 지지되고 상단부는 회동바(25)의 상측 후단부는 프레임(10a)(10b)의 측면에 수평으로 형성된 브래킷(23)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각 프레임(20a)(20b)은 힌지결합된 프레임(20a)(20b)의 측면방향에서 벽면과 측면이 이루는 각도 즉, 90。내에서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바(25)의 하단은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지면에 슬라이딩되도록 롤러(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회동바(25)가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쇠사슬(27)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동바(25)가 회동하지 못하는 쪽의 프레임(20a)(20b)에는 잠금고리(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회동바(25)에도 잠금고리(2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차공간을 확보할 때에는 회동하지 못하는 쪽의 회동바(25)를 주차공간쪽으로 회동시키면 타측 회동바(25)는 쇠사슬(28)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히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측 회동바(25)가 회동하면 주차공간이 좁아져 다른 차량은 이 회동바(25)에 의해 간섭을 받아 주차를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고리(26a)(26b)에 자물쇠(28)를 채워놓게 되면 자물쇠(28)를 제거하지 않는 이상 절대 회동바(25)를 절첩시킬 수 없으므로 다른 차량들이 절대 주차를 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자물쇠(28)를 해정하고 회동가능한 쪽에 위치한 회동바(25)를 벽쪽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타측의 회동바(25)는 쇠사슬(28)에 의해 자연히 회동하게 되어 결국 벽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되면 주차공간내에 차량을 안전하게 주차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사용상태도이다.
벽면에 고정된 프레임(30)의 전방에 이동프레임(33)이 설치되고, 이 이동프레임(33)과 프레임(30) 사이에 복수개의 링크(34a)(34b)가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30)과 이동프레임(33)의 대향면에는 링크(34a)(34b)가 수납되는 수납실(3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이동프레임(33)은 하단이 롤러(39)가 장착되어 지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링크(34a)(34b)는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서로 힌지결합되어 절첩되는 관절부(35a)(35b)를 갖는 구조로서, 일측단은 프레임(30)의 수납실(32) 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은 이동프레임(33)의 수납실(34b)내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하부의 링크(34a)(34b)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설치되어 있어 이동프레임(33)이 전후진될 때 수직상태로 유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상부 링크(34a)(34b)의 관절부(35a)(35b)에는 고정바(36)의 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바(36)의 하단은 고리구멍(3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하부링크(34b)절부에는 잠금고리(34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30) 이동프레임(33)의 상단에는 로프 또는 쇠사슬(38)가 연결되어 있어 이동프레임(33)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차공간을 확보할 때에는 이동프레임(33)을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링크(34a)(34b)는 관절부(35a)(35b)가 펴지게 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단부에 연결된 쇠사슬(38)의 길이만큼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는 고정바(36)의 하단에 형성된 고리구멍(361)에 하부링크(34b)의 잠금고리(341)를 삽입시킨다음 자물쇠(18)를 잠그게 되면 상하부 링크(34a)(34b)는 절대 절첩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절대 이동프레임(33)을 후퇴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누구도 주차를 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차량의 자물쇠(18)를 해정시키고 이동프레임(33)을 프레임(30)쪽으로 밀게 되면 링크(34a)(34b)는 관절부(35a)(35b)를 중심으로 절첩되게 되므로 결국 도 9와 같이 이동프레임(33)은 프레임(30)에 밀착된다. 이때 상하부 링크(34a)(34b)와 쇠사슬(38)은 프레임(30)과 이동프레임(33)의 수납실(32a)(32b)에 수납되므로 벽면에는 프레임(30)과 이동프레임(33)만 남게 된다. 따라서 주차장에 차량을 용이하게 주차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4.)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주차공간확보기의 사시도이며, 도 14a,14b는 도 12의 사용상태도이다.
주차구역의 중앙부에 원판형 베이스판(40)이 수평하게 볼트고정되고,이 베이스판(40)의 일측에는 상부가 개구된 수납통(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통(41)은 직사각통으로써 상단이 주차장표면과 나란하도록 매립설치된다. 또한 베이스판(40)에는 일측에 수납통(41)쪽으로 절결되어 이에 회동축(43)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 회동축(43)은 눕혀지면 수납통(41)에 수납되고 세워지면 일면이 베이스판(40) 상단에 지지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는 쪽의 회동축(43)면에는 고리(42b)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판(40)의 상면에도 고리(42a)가 형성되어 회동축(43)이 직립했을 때 이 고리(42a)(42b)에 로프나 쇠사슬(46)을 걸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쇠사슬(46)을 연결할 때에는 자물쇠(47)를 사용하여 열쇠 또는 자물쇠 번호를 모르는 사람들은 회동축(43)을 인위적으로 절첩시킬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43)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납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납홈(44)에는 탄성날개(45)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 탄성날개(45)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텐션장치에 의해 항상 수평하게 펼쳐지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수납통(41)에서 회동축(43)을 회동시키면 자동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탄성날개(45)는 힘을 가하면 잘 휘어졌다가 자체탄성력에 의해 신속하게 복귀되는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실시예 4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납통(41)에 수납된 회동축(43)을 직립상태가 되도록 회동시킨다. 회동축(43)이 직립되면 양측면 수납홈(44)에 설치된 탄성날개(45)가 자동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주차공간의 면적을 최대한 방어한다. 그다음으로는 베이스판(40)의 고리(42a)(42b)와 회동축(43)의 고리(42a)(42b)에 쇠사슬(46)을 걸어 자물쇠(47)로 쇄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회동축(43)은 인위적인 힘을가하여 회동시키더라도 쇠사슬(46) 또는 로프에 의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다른 차량이 절대 주차를 할 수 없게 되므로 주차공간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쇠사슬(46)의 자물쇠(47)를 해정시키고 고리(42a)(42b)로부터 쇠사슬(46)을 풀게 되면 회동축(43)은 회동이 자유로우므로 수납통(41)에 수납시킬 수 있다. 수납시킬 때 양측 탄성날개(45)를 수납홈(44)쪽으로 접으면 탄성날개(45)는 수납홈(44)에 삽입되어 회동축(43)를 수납통(41)에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회동축(43)이 수납통(41)에 수납되면 주차장표면과 주차공간확보기의 표면이 수평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차량을 주차하는데 전혀 지장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 5.)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 5에 따른 주차공간 확보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사용상태도이다.
직사각형의 넓은 베이스판(50)의 양측에 두 개의 회동바(54a)(54b)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두 개의 회동바(54a)(54b)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며, 바깥쪽으로는 회동하지만 직립된 상태에서 내측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각 회동바(54a)(54b)는 베이스판(5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며, 베이스판(50)의 힌지결합부(51) 내측에는 회동바(54a)(54b)가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턱(52)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바(54a)(54b)는 이 지지턱(52)에 의해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판(50)의 표면에는 회동바(54a)(54b)가 눕혀졌을 때 베이스판(50)의 상면과 나란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회동바(54a)(54b)가 눕혀져 접촉되는 부위로 회동바홈(53a)(5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 회동바(54a)의 중앙부에는 별도의 연결바(55)가 회동이 자유롭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부에는 잠금고리(5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대응되는 일측 회동바(54b)의 중앙부에는 잠금고리(56)가 삽입되는 구멍(5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차공간 확보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차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때에는 양측의 회동바(54a)(54b)를 회동시켜 서로 평행하게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런 다음 일측 회동바에 설치된 연결바(55)를 회동시켜 그 단부의 잠금고리(56)를 타측 회동바(54b)의 구멍(57)에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잠금고리(56)는 구멍(57)을 통하여 삽입되어 그 반대쪽으로 노출된다. 노출된 잠금고리(56)에 자물쇠(58)를 걸어 쇄정하면 열쇠나 자물쇠 번호를 갖지 않은 다른 사람들은 인위적으료 회동바(54a)(54b)를 접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회동바(54a)(54b)의 직립상태에 의하여 다른 차량들은 주차를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자물쇠(58)를 해정하고 연결바(55)의 잠금고리(56)를 타측 회동바(54b)의 구멍(57)에서 분리시킨 후 회동바(54a)(54b)를 양측으로 회동시키면 회동바(54a)(54b)는 베이스판(50)의 회동바홈(53a)(53g)에 삽입되게 되어 베이스판(50)의 표면과 나란한 상태가 되어 차량을 용이하게 주차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6)
도 18은 본 고안의 실시예 6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주차공간확보기는 종열식 또는 횡열식주차공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수직으로 설치된 지주의 상부에 수평바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지주(60)는 상부 둘레에 슬라이딩홈(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홈(61)에는 수평바(6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수평바(62)의 후측에는 회전링(63)이 설치되어 슬라이딩홈(61)을 따라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링(63)은 2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일측몸체의 선단은 수평바(62)와 고정결합되어 있고, 타측 몸체의 선단은 수평바(6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며 지주의 슬라이딩홈(61)에 결합된 후에는 양측 몸체의 후단부를 밀착시킨 후 나사로 견고하게 결합시켰다.
또한 지주(60)의 슬라이딩홈(61)에는 차도경계 주차라인과 나란한 방향으로 잠금고리(64a)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바(62)의 하부에도 이 잠금고리(64a)와 대응되는 잠금고리(6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주차공간확보기는 차도와 인접하면서 주차공간을 구분하는 경계부에 설치되며 차량의 운행에 따른 주차공간이 비어있을 경우에는 수평바(62)를 차도경계 주차라인과 나란하게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바(62)의 하부에 형성된 잠금고리(64a)가 지주(60)의 잠금고리(64b)와 대응결합되기 때문에 이에 자물쇠를 걸어 수평바(62)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수평바(62)가 고정되면 다른 차량이 수평바(62)에 의해 주차공간으로 절대 진입 할 수가 없게 되어 확실하게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잠겨있는 자물쇠를 해정시킨 후 수평바(62)를 각 주차공간을 구획하는 주차라인과 나란하게 직각 회전시킨 후 주차를 시키면 된다.
(실시예 7)
도 21은 본 고안의 실시예 7에 따른 주차공간확보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a,22b는 실시예 7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1의 주차공간확보기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된 주차공간의 중앙부에 절첩되는 평상과 같이 설치된 구조로서, 승하강되는 평판(70)과 이 평판(70)의 양측에 절첩되는 두 개의 다리(71a)(71b)와 평판(70) 및 다리(71a)(71b)가 수납되는 수납부(72)로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72)는 주차공간의 중앙부에 평판(70)과 다리(71a)(71b)가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으로 파여져 있고, 이 수납부(72)의 양측에 다리(71a)(71b)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다리의 상단부에는 후술될 평판(70)의 가이드홈내에서 작동하는 슬라이더(75)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양측 두 개의 다리(71a)(71b)는 서로 중심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평판의 중앙부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7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가이드(73)에는 요홈(74)이 형성되어 있고 요홈(74)내에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75)가 가이드(73)의 양단까지만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75)의 저면에는 다리(71a)(71b)의 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다.
또 평판(70)의 양측에는 중앙부로 회동되는 회동바(76)가 설치되며, 이 회동바(76)는 다리(71a)(71b)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있다가 다리(71a)(71b)가 양측으로 완전히 회동되면 그 사이로 회동 개재되어 다리(71a)(71b)가 중앙부로 회동되지 않도록 스토퍼역할을 한다. 그리고 양측 회동바(76)의 중앙부에는 잠금고리가 형성되어 이 고리에 자물쇠를 채우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주차공간확보기가 설치된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이 운행을 하게 되어 주차공간을 비워두어야 할 경우에는 평판을 들어올리게 되면 다리(71a)(71b)는 상부로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양측으로 회동되어 슬라이더(75)가 양측으로 슬라이딩이동되게 되며 대략 수직에 가깝게 회동이 되면 다리(71a)(71b)를 양쪽으로 벌려둔다. 그리고는 양측 회동바(76)를 중앙부로 회동시킨 후 구리의 구멍을 일치시켜 이에 자물쇠를 걸어둔다. 이와 같이 하면 양측 다리는 사이에 개재된 회동바(76)에 의해 중앙부로 회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워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평판(70)이 사람들이 쉴 수 있는 의자기능을 하기 때문에 주차공간확보를 하면서 휴식공간을 제공해주기도 한다.
또 차량이 주차를 하게 될 경우에는 잠금고리에 채워진 자물쇠를 해정하고 회동바(76)를 회동시킨 후 다리(71a)(71b)를 중앙부로 회동시키면 평판(70)은 그대로 하강하게 되어 주차장의 표면 높이와 일치되게 되므로 차량을 주차시키기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8)
도면 24는 본 고안의 실시예 8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중심부에 일정크기로 주차공간확보기를 설치할 수납홈부(8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홈부(80)의 선단 양측에는 수납홈부(80)의 넓이와 일치하는 회동판(81)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그 후측에는 회동판(81)의 후측을 지지하는 지지바(82)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동판(81)의 배면 중앙부에는 가이드(83)가 설치되어 있어 이 가이드(83)에 지지바(82)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지지바(82)가 수평하게 회동되게 되면 회동판(81)또한 수평하게 회동되고 또 지지바(82)가 회동판(81)의 상부로 일정각 회동하게 되면 회동판(81)의 뒷면을 지지하기 때문에 판 또한 일정한 각으로 회동되게 된다.
회동판(81)의 상부에는 잠금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바(82)의 상단에도 잠금고리가 형성되어 회동판(81)과 지지바(82)가 일정한 각으로 세워지게 되면 일치된 잠금고리에 자물쇠를 걸어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할 경우에는 회동판(81)과 지지바(82)를 회동시켜 잠금고리에 자물쇠를 잠그어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자물쇠를 해정하게 되면 회동바(81)와 수평바(82)는 주차장의 노면과 같이 수평하게 회동되므로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납홈부(80)의 하부에 리모콘으로 작동하는 전동모터(85)를 설치하고, 이 전동모터(85)의 회전축을 도면에 도시된 감속기를 통하여 지지바(82)의 회동축과 동력전달되도록 연결시키면 주차공간 확보기를 리모콘으로 자동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 회동판(81)의 전면에 주차금지 또는 진입금지라는 푯말을 표시하면 더욱더 효과적이다.
(실시예 9)
도 2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9의 주차공간확보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8은 실시예 9의 주차공간확보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통과, 몸통(9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아암(96a)(96b)과, 몸통(9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출몰되면서 회동아암(96a)(96b)의 단부를 눌러 회동아암(96a)(96b)을 회동시키는 푸쉬(101)와, 이 푸쉬를 복귀시키는 스프링(100) 및 몸통(9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푸쉬(101)와 스프링(100)을 지지하는 캡너트(98)로 구성되어 있다.
몸통(90)은 원통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상하로 절결된 수납홈(9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 받침판(92)이 형성되어 주차공간에 나사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홈의 상부 내경에는 스프링받이(99)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양측 수납홈의 좌우측에는 힌지구멍(9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외주연에는 나사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양측 회동아암(96a)(96b)은 상단이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단부(97)가 구비되어 있으며 몸통(90)의 수납홈(91) 상부에 절곡된 부위가 힌지볼트(95)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힌지볼트(95)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00)은 몸통(90)의 상부 내경에 돌출형성된 스프링받이(99)의 상부에 탄력설치된다.
푸쉬(101)는 상부 둘레에 단턱(103)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는 회동바(96a)(96b)의 절곡단부(97)의 상부에 위치하여 절곡단부(97)를 가압하는 가압부(102)로 구성되어 몸통(90)의 상부에 삽입설치된다. 이때 스프링(100)의 상단은 단턱(103)의 하부에 탄지된다.
이 상태에서 캡너트(98)가 몸통(100)의 상부 나사부(93)에 나사결합되면 푸쉬(101)의 상단부는 캡너트(98)의 중앙부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며 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몸통(90)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으로 탄력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부로 돌출된 푸쉬(101)의 상부 일측면과 이와 대응되는 몸통(90)의 상부에는 잠금고리(104a)(104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차공간확보기를 이용하여 주차공간을 확보할 때에는 상부에 돌출된 푸쉬(101)를 누르게 되면 푸쉬(101)가 스프링(10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되고 하부의 가압부(102)가 회동아암(96a)(96b)의 절곡단부(97)를 눌러 회동아암(96a)(96b)을 힌지볼트(95)를 축으로 수평하게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아암(96a)(96b)은 도 29, 도 30과 같이 수평한 상태로 펼쳐지게 되고 절곡단부(97)는 수직상태로 있게 되며 양쪽 절곡단부(97)의 사이에 푸쉬(101)의 가압부(102)가 개재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회동아암(96a)(96b)은 가압부(102)가 빠지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수평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아암(96a)(96b)이 펼쳐진 상태에서 푸쉬(101)의 잠금고리(104a)와 몸통(90)의 잠금고리(104b)에 자물쇠를 잠그어 놓게 되면 회동아암(96a)(96b)은 지속적으로 수평하게 펼쳐져 있게 된다.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해 회동아암(96a)(96b)을 접어야 할 경우에는 잠금고리(104a)(104b)에 잠그어진 자물쇠를 해정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100)의 탄성력에 의해 푸쉬(101)가 상부로 복귀하게 되므로 회동아암(96a)(96b)의 절곡단부(97) 사이에 개재되어 있던 가압부(102)가 제거되게 되므로 회동아암(96a)(96b)은 자중에 의해 힌지볼트(95)를 축으로 회동하여 몸통(90)의 수납홈(91)에 수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차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기는 차량을 주차시킬 때에는 절첩시켜 주차가 가능하도록 하고,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할 경우에는 펼쳐서 자물쇠를 잠그어 타인이 차량을 주차할 수 없도록 하므로써 주차료를 지불하고 주차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주차로 인한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 주차라인이 그려진 벽면에 일정간격 떨어져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프레임과;상기 프레임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차량의 주차시에는 절첩하여 벽면에 밀착시키고 차량이 주차공간을 벗어날 때에는 주차공간으로 펼쳐서 다른 차량의 주차를 방지하는 공간확보장치와;상기 회동부재가 주차공간으로 회동되었을 때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확보장치는 프레임(10a)(10b)의 측면에 상하로 절결형성한 슬라이딩구멍(14)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구멍의 상단에 자물쇠(18)를 걸 수 있도록 한 잠금고리(16a)(16b)와, 'U'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양단이 절곡되어 상하 회동 및 승하강되도록 슬라이딩구멍에 장착한 회동바(15)와, 일단은 상기 프레임(10a)(10b)의 슬라이딩구멍(14)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회동바(15)의 선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바(15)를 지지하는 지지바(17)와,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바(17)가 프레임(10a)(10b)쪽으로 항상 회동하도록 탄력설치된 스프링(17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15)에 판부재(19)를 설치하여 의자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프레임(10a)의 측면 상하부에 스프로킷(3)(4)을 설치하고, 이 스프로킷(3)(4)에 체인(5)을 권취한 다음 슬라이딩구멍(14)을 통해 노출된 회동바(15)의 단부를 체인(5)의 측부에 연결시켜 체인(5)에 의해 회동바(15)가 회동작동되도록 하고, 하부의 스프로킷축을 감속기(2)를 통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1)와 연결시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조작에 의해 주차공간확보기가 자동 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직각으로 절곡된 회동바(25)를 복수개 구비하여 각 프레임(20a)(20b)의 동일 측면에 상단을 힌지결합하여 90。내에서만 회동하도록 하고, 하단은 지면에 슬라이딩 지지되게 하고, 각 회동바(25)를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함께 회동되게 하며, 상기 일측 회동바(25) 및 인접된 프레임(20a)(20b) 전면에는 잠금고리(26a)(26b)를 형성하여 회동바(25)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자물쇠(18)로 걸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의 전방에 이동프레임(33)을 갖고, 상기 프레임(30)과 이동프레임(33)의 대면부에 상하로 긴 수납홈부(32a)(32b)를 형성하고, 중심부가 힌지결합된 복수개의 링크(34a)(34b)를 구비하여 상하 일정간격 이격시켜 일단은 프레임(30)의 수납홈(32a)(32b) 내측에 힌지결합하고 다른 한쪽단은 이동프레임(33)의 수납홈(32a)(32b)에 힌지결합시키고, 상부 또는 하부 링크(34a)(34b)의 중앙부에 고정바(36)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바(36)의 타단에는 고리구멍(36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링크(34b)의 중앙부에는 잠금고리(341)를 형성하여 주차공간을 확보할 때는 이동프레임(33)을 전진시킨 후 고정바(36)의 고리구멍(361)을 잠금고리(341)에 삽입시킨 후 자물쇠(18)로 쇄정시키고 주차할 때에는 자물쇠(18)를 해정한 후 상하부링크(34a)(34b)를 접어 주차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기.
- 주차장표면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판(40)과;상기 베이스판에 90。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축(43)과;상기 회동축의 측면에 수납홈을 갖고 이 수납홈(44)내에 바깥으로 벌어지게 설치된 탄성날개(45)와;상기 회동축(43)이 회동되는 방향과 나란하면서 베이스판(40)과 수평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상기 회동축(43)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통(41)으로 구성되어 주차라인이 그려진 공간의 중앙부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주차라인이 그려진 공간의 중앙부 바닥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베이스판(50)과;양단이 하향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50)상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바깥쪽으로만 회동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회동바(54a)(54b)와;타측 회동바(54a)(54b)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길이를 갖고 그 단부에 잠금고리(56)가 구비되어 상기 일측 회동바(54a)(54b)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바(55)들로 구성되어주차시에는 베이스판(50)에 눕혀 보관하고 주차공간을 확보해야 할 때에는 회동바(54a)(54b)를 세우고 연결부재를 타측회동바(54b)의 중앙부의 고리구멍(57)을 관통한 후 잠금고리(56)에 자물쇠(58)로 쇄정하여 직립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기.
- 주차라인의 경계선 선단부에 상단부에 띠형상의 슬라이딩홈(61)을 포함하는 지주(6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60)의 슬라이딩홈(6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수평바(62)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60)의 슬라이딩홈(61)에는 차도경계 주차라인과 나란한 방향으로 잠금고리(64a)가 형성되어 있고, 수평바(62)의 하부에도 이 잠금고리(64a)와 대응되는 잠금고리(64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주차공간의 중앙부에 수납부(72)를 설치하고, 양측에 회동되는 두 개의 다리(71a)(71b) 및 다리의 상부에 평판(70)을 설치하고, 상기 평판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73)가 설치되고 이 가이드(73)를 타고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75)가 가이드(73)의 양단까지만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다리(71a)(71b)의 상단은 슬라이더(75)와 힌지결합되어 있고, 평판(70)의 양측에는 중앙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다리(71a)(71b)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있다가 다리(71a)(71b)가 양측으로 완전히 회동되면 그 사이로 회동 개재되어 다리(71a)(71b)가 중앙부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회동바(76)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중앙부에는 잠금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주차장의 중심부에 일정크기로 주차공간확보기를 설치할 수납홈부(80)가 형성되고, 이 수납홈부(80)의 선단 양측에 수납홈부(80)의 넓이와 일치하는 회동판(81)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동판의 후측에는 회동판(81)의 후측을 지지하는 지지바(82)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회동판(81)의 배면 중앙부에는 가이드(83)가 설치되어 있어 이 가이드(83)에 지지바(82)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바(82)가 상부로 회동완료된 상태에서 가이드와 지지바(82)에는 잠금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부(80)의 하부에 리모콘으로 작동하는 전동모터(85)를 설치하고, 이 전동모터(85)의 회전축을 도면에 도시된 감속기를 통하여 지지바(82)의 회동축과 동력전달되도록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 양측에 상하로 길게 절결된 수납홈(91)을 갖고 하부에 받침판(92)이 형성되어 주차공간에 나사고정되고, 수납홈의 상부 내경에 스프링받이(99)가 돌출된 원형관형상의 몸통(90)과;상기 몸통(90)의 수납홈에 삽입되면서 수납홈 상부에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후단부가 절곡된 회동아암(96a)(96b)과;상기 몸통(9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출몰되면서 회동아암(96a)(96b)의 단부를 눌러 회동아암(96a)(96b)을 회동시키는 푸쉬(101)와;상기 푸쉬(101)의 둘레에 탄설되어 푸쉬를 상부로 복귀시키는 스프링(100) 과;상기 몸통(90)의 상부에 나사결합되어 푸쉬(101)와 스프링(100)을 지지하는 캡너트(98) 및;상기 푸쉬(101)의 일측면과 이와 대응되는 몸통(90)의 상부에 자물쇠가 걸리는 잠금고리(104a)(104b)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공간확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1957 | 1998-11-12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1957 Division | 1998-11-12 | 1998-11-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3753Y1 true KR200163753Y1 (ko) | 2000-02-15 |
Family
ID=1953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3528U KR200163753Y1 (ko) | 1998-11-12 | 1999-07-10 | 주차공간확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3753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6541B1 (ko) * | 2006-11-08 | 2007-02-26 | (주)해석 | 보행자 보호를 위한 도로용 펜스 |
KR101268536B1 (ko) | 2011-01-17 | 2013-05-28 | 김태수 | 주차 관리기 |
KR101448382B1 (ko) | 2013-04-10 | 2014-10-0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
KR20140005968U (ko) * | 2013-05-20 | 2014-11-28 | 이화자 | 주차 영역 구획 장치 |
KR101849668B1 (ko) * | 2017-04-26 | 2018-04-17 | 한국승강기블루(주) |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
-
1999
- 1999-07-10 KR KR2019990013528U patent/KR2001637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6541B1 (ko) * | 2006-11-08 | 2007-02-26 | (주)해석 | 보행자 보호를 위한 도로용 펜스 |
KR101268536B1 (ko) | 2011-01-17 | 2013-05-28 | 김태수 | 주차 관리기 |
KR101448382B1 (ko) | 2013-04-10 | 2014-10-0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
KR20140005968U (ko) * | 2013-05-20 | 2014-11-28 | 이화자 | 주차 영역 구획 장치 |
KR200482950Y1 (ko) | 2013-05-20 | 2017-03-20 | 에이치디정공 주식회사 | 주차 영역 구획 장치 |
KR101849668B1 (ko) * | 2017-04-26 | 2018-04-17 | 한국승강기블루(주) |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80996A (en) | Folding house | |
CA2484610C (en) | Portable corral apparatus | |
EP3469162B1 (fr) | Structure repliable et dépliable pour l'érection rapide d'abris | |
CA2568749C (en) | Mobile sanitary system for location-independent sanitary care of a plurality of people | |
US3375836A (en) | Folding and automobile-transportable camping tent | |
US20060254635A1 (en) | Receiver hitch mounted canopy | |
AU2017212161B2 (en) | Rapidly deployable modular shelter system | |
US7010825B1 (en) | Telescoping ramp | |
KR200163753Y1 (ko) | 주차공간확보기 | |
US3471129A (en) | Retractable fence | |
EP0695387B1 (en) | Emergency shelter | |
FR2943961A1 (fr) | Vehicule automobile du type camping-car | |
EP3207907A1 (fr) | Kit ou ensemble d'éléments pour local de toilettes pour handicapés moteurs, et dispositif de toilettes comprenant ces éléments | |
GB2404413A (en) | Gate assembly | |
WO1996008628A1 (en) | A barrier | |
DE19833546A1 (de) |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einer Anzahl von Zweirädern | |
CN211007804U (zh) | 一种马桶型移动厕所 | |
CN209780421U (zh) | 一种用于带闭锁功能移动式遮栏的地面安装架 | |
FR2633497A1 (fr) | Equipement de camping pliant a installer transversalement sur le toit d'une automobile | |
RU2264500C1 (ru) | Разъемное дорожное ограждение | |
KR20230090700A (ko) |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 |
AU2004236276B2 (en) | An awning | |
KR200207028Y1 (ko) | 주차장용 무단주차 방지장치 | |
EP1400185A1 (en) | Rotatable parasol arm | |
FR2601403A1 (fr) | Unite d'habitation transform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