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382B1 -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 Google Patents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382B1
KR101448382B1 KR1020130039452A KR20130039452A KR101448382B1 KR 101448382 B1 KR101448382 B1 KR 101448382B1 KR 1020130039452 A KR1020130039452 A KR 1020130039452A KR 20130039452 A KR20130039452 A KR 20130039452A KR 101448382 B1 KR101448382 B1 KR 10144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arking
cradle
insertion groov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한두
한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9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경사지에서 주차 후 경사면을 따라 차량이 밀리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경사면과 차량의 바퀴사이에 끼워지는 주차블록이 인도에 설치되는 난간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에 접이식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주차장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integral handrail folding type parking block installed on the slope}
본 발명은 경사지에 설치되는 접이식 주차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이 경사지에서 주차 후 경사면을 따라 차량이 밀리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경사면과 차량의 바퀴사이에 끼워지는 주차블록이 인도에 설치되는 난간에 접이식으로 설치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에 관한 것이다.
주차블록이란 아파트나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여 그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때 주차라인에 정확하게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주차블록은 주차라인에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는 목적과 주차과정에서 운전자의 안전 및 차량 충돌 사고를 예방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로에 설치하는 노상 주차장의 경우 차량의 통행에 방해되기 때문에 상기 주차블록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때는 주차라인만 도로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주차에 서투른 초보운전자나 여성운전자들이 주차시 주차라인에 정확하게 주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주차라인에 주차된 차량과 충돌하여 물적 피해보상을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로가 경사진 노상 주차장의 경우 주차블록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주차후 운전자의 실수로 사이드브레이크를 잠그지 않아 차량이 후방으로 밀려 주차된 차량을 파손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통행에 방해되지 않으며, 주차시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진 주차장에서 주차된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주차블록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895호 '주차블록' (2004.02.03) 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2462호 '접이식 타이어 고임대' (2005.10.26) 3.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8228호 '차량의 고임장치' (1998.09.15) 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2801호 '도로의 경사주차용 보조블록 (2002.01.18)
본 발명은 경사가 있는 도로에 주차하는 차량은 바퀴의 타이어와 지면의 마찰력 부족으로 인해 차량이 후방으로 밀리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장에 차량의 통행에 제약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에 접이식 구조로 설치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은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함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거치대(100); 일측이 상기 거치대(10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110)에서 이탈되어 타측이 지면에 면접하는 주차블록(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차블록(200)은,
상기 거치대(100)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100)에 고정되는 제1 블록(210); 일측이 상기 제1 블록(2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블록(220); 일측이 상기 제2 블록(2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2 블록(2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측면이 상기 지면에 접촉되는 제3 블록(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210)에는 제1 연결핀(310)이 삽입되는 제1 체결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2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연결핀(310)이 삽입되는 제2-1 체결홀(221-1)과 타측에는 제2 연결핀(320)이 삽입되는 제2-2 체결홀(2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블록(230)에는 상기 제2 연결핀(320)이 삽입되는 제3 체결홀(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2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블록(2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블록(220)이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블록(21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경사부(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는 양측면에 난간삽입홈(120)이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거치대(100) 사이에는 상기 난간삽입홈(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난간(4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의 하측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주차블록(200)은 일측이 상기 돌출부(13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블록(220); 및 일측이 상기 제2 블록(2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2 블록(2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측면이 상기 지면에 접촉되는 제3 블록(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은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에 접이식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주차장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진 주차장에 설치되어 주차된 차량이 경사면을 따라 밀려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예방하며, 난간으로 인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도에 설치되는 난간과 주차블록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지 않아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주차장에 설치된 전체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차블록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차블록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거치대 및 난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이 주차장에 설치된 전체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차블록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차블록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거치대 및 난간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거치대(100가 형성된다. 거치대(100)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거치대(100)는 도로와 인도와의 경계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거치대(100)는 일반적인 노상 주차장에 설치되는데, 주로 경사진 노상 주차장에 설치될 수 있다. 거치대(100)에는 외측면에 거치대(100)의 내측으로 함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된다. 삽입홈(110)은 거치대(100)가 세워지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일측이 거치대(10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주차블록(200)이 형성된다. 주차블록(200)은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거치대(100)의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반대로 주차블록(20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 거치대(100)의 삽입홈(110)에서 이탈되며 타측이 지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접촉된 주차블록(200)에 차량의 바퀴가 걸리게 되어 차량이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주차블록(200)은 제1 블록(210), 제2 블록(220) 및 제3 블록(230)을 포함한다. 제1 블록(210)은 거치대(100)의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이때 거치대(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1 블록(210)의 상측에는 제1 체결홀(211)이 형성되며, 제1 체결홀(211)에는 제1 연결핀(310)이 삽입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2 블록(220)은 일측이 제1 블록(2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2 블록(220)의 일측에는 제1 연결핀(310)이 삽입되는 제2-1 체결홀(221-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블록(220)의 타측에는 제2 연결핀(320)이 삽입되는 제2-2 체결홀(2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블록(220)은 제1 연결핀(310)에 의해 제1 블록(210)과 체결되며 제1 연결핀(31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 회전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3 블록(230)은 일측이 제2 블록(220)의 타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3 블록(230)의 일측에는 제2 연결핀(320)이 삽입되는 제3 체결홀(2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블록(230)은 제2 연결핀(320)에 의해 제2 블록(220)과 연결되고 제2 연결핀(3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3 블록(230)은 제2 블록(220)과 함께 거치대(100)의 삽입홈(110)에서 이탈되어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측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접촉된다. 즉, 제2 블록(220)이 삽입홈(110)에서 이탈될 때는 제1 연결핀(310)을 중심으로 하측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제3 블록(230)은 제2 연결핀(32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주차블록(200)이 거치대(1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통행을 저지하지 않게 된다.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제2 블록(220)의 외측면에는 경사부(222)가 형성된다. 경사부(222)는 제2-1 체결홀(221-1)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경사부(222)는 제2 블록(2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 블록(220)이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1 블록(210)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경사부(222)가 형성되는 각도는 제1 블록(210)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용이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도 4 를 참조하면 거치대(100)에는 난간삽입홈(120)이 형성된다. 난간삽입홈(120)은 거치대(100)의 양측면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며, 거치대(100)의 내측으로 함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난간삽입홈(120)은 삽입홈(11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면 난간삽입홈(120)에 삽입되는 난간(400)이 형성된다. 난간(400)은 다수개 형성된 거치대(100) 사이에 형성된다. 난간(40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제1 난간기둥(410)) 및 제2 난간기둥(420)과 일측이 상기 제1 난간기둥(410)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난간기둥(420)에 고정되는 난간레일(430)을 포함한다. 즉 거치대(100)의 좌측에 형성된 난간삽입홈(120)에는 제1 난간기둥(41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거치대(100)의 우측에 형성된 난간삽입홈(120)에는 제2 난간기둥(420)이 삽입된다. 따라서 난간(400)은 거치대(1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 1]
도 5 를 참조하면 거치대(100)의 하측에는 돌출부(130)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30)에는 주차블록(200)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주차블록(200)은 돌출부(13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블록(220)과 일측이 제2 블록(2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3 블록(230)를 포함한다. 이때 제3 블록(230)이 거치대(100)의 삽입홈(110)에서 이탈되어 지면에 접촉될 때 외측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지면과 접촉된다. 제2 블록(220) 및 제3 블록(230) 상기 설명된 제2 블록(220) 및 제3 블록(230)과 동일한 구성으로써 제1 연결핀(310) 및 제2 연결핀(32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은 주차블록(200)이 거치대(100)에 접이식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주차장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주차블록(200)의 제3 블록(230)으로 인해 주차된 차량이 경사면을 따라 밀려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예방하고, 거치대(100) 사이에 난간(400)이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거치대 110 : 삽입홈
120 : 난간삽입홈 130 : 돌출부
200 : 주차블록 210 : 제1 블록
211-1 : 제1 체결홀 220 : 제2 블록
221-1 : 제2-1 체결홀 221-2 : 제2-2 체결홀
222 : 경사부 230 : 제3 블록
231 : 제3 체결홀 310 : 제1 연결핀
320 : 제2 연결핀 400 : 난간
410 : 제1 난간기둥 420 : 제2 난간기둥
430 : 난간레일

Claims (6)

  1. 지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함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거치대(100);
    일측이 상기 거치대(100)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고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삽입홈(110)에서 이탈되어 타측이 지면에 면접하는 주차블록(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접이식 주차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블록(200)은,
    상기 거치대(100)의 하측에 위치하되,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대(100)에 고정되는 제1 블록(210);
    일측이 상기 제1 블록(21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블록(220);
    일측이 상기 제2 블록(2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2 블록(2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측면이 상기 지면에 접촉되는 제3 블록(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접이식 주차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210)에는 제1 연결핀(310)이 삽입되는 제1 체결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2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연결핀(310)이 삽입되는 제2-1 체결홀(221-1)과 타측에는 제2 연결핀(320)이 삽입되는 제2-2 체결홀(221-2)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블록(230)에는 상기 제2 연결핀(320)이 삽입되는 제3 체결홀(2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접이식 주차블록.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22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블록(2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 블록(220)이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제1 블록(21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경사부(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접이식 주차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는 양측면에 난간삽입홈(120)이 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거치대(100) 사이에는 상기 난간삽입홈(1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난간(4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접이식 주차블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100)의 하측에는 돌출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주차블록(200)은 일측이 상기 돌출부(130)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블록(220); 및
    일측이 상기 제2 블록(2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2 블록(220)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외측면이 상기 지면에 접촉되는 제3 블록(2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접이식 주차블록.
KR1020130039452A 2013-04-10 2013-04-10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KR10144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452A KR101448382B1 (ko) 2013-04-10 2013-04-10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452A KR101448382B1 (ko) 2013-04-10 2013-04-10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382B1 true KR101448382B1 (ko) 2014-10-07

Family

ID=5199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452A KR101448382B1 (ko) 2013-04-10 2013-04-10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3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83B1 (ko) 2016-07-01 2016-12-23 우성안전 주식회사 가변 경사에 적응적인 하이브리드 난간 구조물,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CN108517808A (zh) * 2018-04-20 2018-09-11 金硕 一种阻挡式隔离栏杆
CN112376458A (zh) * 2020-10-27 2021-02-19 浙江金华甬金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收费公路伸缩式减速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624U (ko) * 1990-04-13 1991-12-27
KR19990034442U (ko) * 1998-01-23 1999-08-25 김기중 접철식의자가 부착된 팬스
KR200163753Y1 (ko) 1998-11-12 2000-02-15 정학년 주차공간확보기
KR101097288B1 (ko) 2011-02-10 2011-12-21 도아기업주식회사 스윙 업ㆍ다운 메시 펜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624U (ko) * 1990-04-13 1991-12-27
KR19990034442U (ko) * 1998-01-23 1999-08-25 김기중 접철식의자가 부착된 팬스
KR200163753Y1 (ko) 1998-11-12 2000-02-15 정학년 주차공간확보기
KR101097288B1 (ko) 2011-02-10 2011-12-21 도아기업주식회사 스윙 업ㆍ다운 메시 펜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183B1 (ko) 2016-07-01 2016-12-23 우성안전 주식회사 가변 경사에 적응적인 하이브리드 난간 구조물, 그리고 이의 시공 방법
CN108517808A (zh) * 2018-04-20 2018-09-11 金硕 一种阻挡式隔离栏杆
CN112376458A (zh) * 2020-10-27 2021-02-19 浙江金华甬金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收费公路伸缩式减速带
CN112376458B (zh) * 2020-10-27 2021-12-31 浙江金华甬金高速公路有限公司 一种收费公路伸缩式减速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382B1 (ko) 경사지에 설치하는 난간 일체형 접이식 주차블록
CA2800399C (en) Urban transport installation using track ropes
JP4097622B2 (ja) 侵入規制装置
KR20210153416A (ko) 주차 가이드 장치
JP2017119471A (ja) 駐輪ロック装置
JP2018044424A (ja) 迷惑駐車防止抑制装置
CN215629609U (zh) 一种插销式可放倒旋转栏杆
KR200435429Y1 (ko) 고소작업용 차량의 난간체
KR20140063148A (ko) 주차 유도장치
CN106245952A (zh) 无避让双层四柱式移动停车架
KR200462738Y1 (ko) 주차 제어장치
KR100736445B1 (ko) 공동 주택용 주차블록의 주차 정위치 안내구조
KR102624398B1 (ko) 자전거 주차장치
KR200281245Y1 (ko) 자주식 주차장치
KR200433006Y1 (ko) 차량유도블럭이 있는 차량정지블럭
CN214195740U (zh) 一种四轮定位停车库
JP2000064652A (ja) 車止め付き駐車マット
JP2020084442A (ja) 誤発進車止め
KR100801757B1 (ko) 공동주택 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턱
KR20090011257U (ko) 교량점검설비 진입용 접철식 난간 사다리
KR101855947B1 (ko) 요철부를 활용한 주차장 도우미 장치
JP2003293335A (ja) 簡易車両規制装置
KR20130001350A (ko) 주차장 곡선진출입로의 차량보호용 회전형 주차가드레일
CN102704727A (zh) 架放在行人道上的轿车车库
CN213974246U (zh) 一种自行车停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