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0700A -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 Google Patents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0700A
KR20230090700A KR1020210179683A KR20210179683A KR20230090700A KR 20230090700 A KR20230090700 A KR 20230090700A KR 1020210179683 A KR1020210179683 A KR 1020210179683A KR 20210179683 A KR20210179683 A KR 20210179683A KR 20230090700 A KR20230090700 A KR 2023009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e mesh
easy
coupled
out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정래숙
Original Assignee
㈜펫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펫박스 filed Critical ㈜펫박스
Priority to KR102021017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0700A/ko
Publication of KR2023009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7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8Corrals, i.e. easily transportable or demountable en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35Transportable or mobile animal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치조립이 용이하여 실내 및 실외에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바퀴가 구비된 받침부재를 통해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외 바닥의 습기나 이물질에 반려동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측방, 후방에 천막을 설치하여 햇빛 또는 눈과 비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간단하고 견고한 시건장치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가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견고한 철망프레임을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킨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Pet fence that is easy to move, install and assemble indoors and outdoors}
본 발명은 반려동물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치조립이 용이하여 실내 및 실외에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바퀴가 구비된 받침부재를 통해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외 바닥의 습기나 이물질에 반려동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측방, 후방에 천막을 설치하여 햇빛 또는 눈과 비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한편, 간단하고 견고한 시건장치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가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견고한 철망프레임을 통해 내구성을 증대시킨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되는 애완동물용 울타리는 여러 개의 유닛(unit)을 힌지부를 이용하여 상호조립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유닛(unit)과 유닛(unit) 사이에 대부분 힌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부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여 애완견용 울타리를 사각형, 다각형, 원형과 같은 모양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애완동물용 울타리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보면, 특허등록 제10-1240851호 ‘애완견 울타리용 각도조절장치’는, 유닛(unit)의 측면에 힌지공을 갖는 두 개의 돌기부와 타측면에 하나의 힌지공을 갖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공에 힌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공지의 애완견용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유닛(unit)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돌기부의 외측면에 두 개의 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요홈, 상기 요홈을 돌기부의 외측면에 4개 형성하고 상기 유닛(unit)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돌기부사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홈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돌출부의 상, 하측에 가이드 돌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울타리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울타리용 각도조절장치는 울타리의 각도를 조절하여 여러개의 울타리를 연결함으로써 확장성을 갖출수는 있겠으나, 이러한 확장성 이외에는 큰 특징이 없어 단순히 울타리를 길게 설치하는 데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종래 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334577호(애완동물용 조립식 울타리)는, 상부면에 2개의 체결구가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블록; 중앙부가 절곡되어 양측으로 대칭 형성된 다수개의 선재기둥 및 양측에 2개의 수직연결홈이 평행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연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지지블록의 체결구에 선재기둥의 양단이 수직하게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블록 각각의 수직연결홈에 서로 다른 선재기둥의 일측이 삽입 연결되는 구성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울타리는 울타리의 높이가 고정되어있을뿐더러 애완동물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가 더 높은 울타리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고양이와 같은 경우에는 울타리를 쉽게 월담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과 같은 종래의 울타리는 대부분 실내에서 주로 사용이 가능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고, 실외에서 대형견과 같은 몸집이 큰 반려동물을 보호하기에는 약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며, 복잡한 시건장치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가 불편하거나 내구성이 약한 시건장치로 인해 반려동물이 출입문을 강제로 열고 이탈하는 문제가 있으며, 반려동물에 의해 바퀴 등을 설치하기 어려워 이동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하며 손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확장성 및 이동성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견고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되 간단한 시건장치를 통해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수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울타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0851호(2013.02.2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577호(2003.11.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2653호(2016.11.2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6773호(2017.12.0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반려동물 울타리는 대부분 실내에서 주로 사용이 가능한 내구성으로 실외에서 대형견과 같은 몸집이 큰 반려동물을 보호하기에는 약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이 제한적이고, 복잡한 시건장치에 의해 출입문의 개폐가 불편하거나 내구성이 약한 시건장치로 인해 반려동물이 출입문을 강제로 열고 이탈하는 문제와, 한번 설치하면 이동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을 측방연결부재를 통해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철망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테두리 내측에 복수 개의 파이프로 철망을 형성하여 하중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간단하고 견고한 시건장치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가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바퀴가 구비된 받침부재를 통해 설치 후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외 설치시 지면의 습기와 이물질로부터 반려동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 측방, 후방에 천막을 설치하여 햇빛 또는 눈과 비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과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과 상기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과 인접한 철망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측방연결부재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측방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철망프레임과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출입문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철망프레임의 타측 또는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출입문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방연결부재는 양측에 철망프레임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거나 도어프레임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몸체와 상기 한 쌍의 연결몸체의 중앙을 관통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부재는 도어프레임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제2외측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 상부에 회전홀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회전홀의 하부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는 잠금몸체와 일측 또는 타측에 출입문의 타측 또는 일측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이 형성되고, 타측 또는 일측이 상기 회전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또한, 본 발명은 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 또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방하부가 결합되고, 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 또는 도어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후방하부가 결합되는 천막지지대와 중앙이 상기 천막지지대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고, 양측이 양측에 위치한 철망프레임의 상부 또는 도어프레임의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상부천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천막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상부가 결합되는 측방천막과 상기 상부천막의 후방에 상부가 결합되는 후방천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의 하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가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는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을 측방연결부재를 통해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어 조립설치가 용이한 효과와, 상기 철망프레임과 도어프레임의 외측프레임의 내측에 다수의 파이프로 철망을 형성하여 하중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반려동물을 안전하게 보호 및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견고한 시건장치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가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상부, 측방, 후방에 천막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햇빛과 눈과 비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함은 물론 보다 안락한 공간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퀴가 구비된 받침부재를 통해 조립설치 후 이동이 용이한 효과와, 반려동물의 대소변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실외에 설치시 바닥의 습기와 이물질로부터 반려동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반려동물에게 쾌적하고 안락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울타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한 도어가 열린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측방연결부재(a)와 잠금부재(b) 및 잠금부재의 분해 사시도(c)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잠금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천막지지대가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천막지지대가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천막지지대가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하부연결부재와 수직프레임 및 상부연결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상부천막이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측면천막이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측면천막 설치구조 및 설치기구 도시)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후면천막이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가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가 설치된 울타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와 울타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반려동물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300)을 측방연결부재(200)를 통해 쉽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어 조립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의 내측에 다수의 파이로 철망을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대시켜 안전하고 견고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견고한 시건장치인 잠금부재(400)를 통해 출입문(320)의 개폐가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이탈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부, 측방, 후방에 천막을 설치하여 햇빛과 눈과 비로부터 반려동물을 보호함은 물론 보다 안락하고 쾌적한 공간을 반려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퀴(912)가 구비된 받침부재(900)를 하부에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반려동물의 대소변 청소가 용이하며 실외에 설치시 바닥의 습기와 이물질로부터 반려동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이하, '울타리'라 한다.)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100);과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1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100)과 인접한 철망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측방연결부재(200);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측방연결부재(200)를 통해 상기 철망프레임(100)과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출입문(320)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300); 및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철망프레임(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출입문(320)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방연결부재(200)는 양측에 철망프레임(100)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거나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21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몸체(21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몸체(210)의 중앙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잠금부재(400)는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제2외측프레임(31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 상부에 회전홀(41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회전홀(412)의 하부방향으로 고정홈(414)이 형성되는 잠금몸체(410);와 일측 또는 타측에 출입문(320)의 타측 또는 일측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422)이 형성되고, 타측 또는 일측이 상기 회전홀(4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4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방하부가 결합되고, 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후방하부가 결합되는 천막지지대(500);와 중앙이 상기 천막지지대(500)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고, 양측이 양측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의 상부 또는 도어프레임(300)의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상부천막(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천막(6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상부가 결합되는 측방천막(700);과 상기 상부천막(600)의 후방에 상부가 결합되는 후방천막(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300)의 하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912)가 설치되는 받침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철망프레임(100)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도어프레임(300)과 함께 반려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갯수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어프레임(300)과 함께 사각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철망프레임(10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외측프레임(110)과, 상기 제1외측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물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제1파이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철망프레임(100)은 내구성이 증대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도어프레임(300)과 함께 반려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집이 큰 대형의 반려동물 또한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외측프레임(110)은 사격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쉽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측방연결부재(200)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외측프레임(110)은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돌출부는 실외에 설치될 경우 바닥 즉, 지면에 내입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받침부재(900)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측방연결부재(200)는
철망프레임(100)과 철망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즉,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1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100)과 인접한 철망프레임(10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철망프레임(100)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도어프레임(300)을 연결하여 반려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측방연결부재(200)는 양측에 철망프레임(100)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거나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21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몸체(21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몸체(210)의 중앙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측방연결부재(2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한 쌍의 측방연결부재(200)의 일측에 철망프레임(100)의 제1외측프레임(110) 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도어프레임(300)의 제2외측프레임(310)을 제1내입홈(21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측방연결부재(200)의 타측에 철망프레임(100)의 제1외측프레임(110) 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도어프레임(300)의 제2외측프레임(310)을 제1내입홈(21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도록 한 후 체결볼트(220)를 통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철망프레임(100)과 철망프레임(100) 또는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체결볼트(220)가 한 쌍의 연결몸체(210)를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해 결합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도어프레임(300)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측방연결부재(200)를 통해 상기 철망프레임(100)과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출입문(32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다수의 출입문(320)을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필요한 위치에 출입문(3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가 전방에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30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2외측프레임(310)과, 상기 제2외측프레임(310)의 내측에 일측 또는 타측 상부와 일측 또는 타측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출입문(320) 및 상기 출입문(320)의 내측에 설치되어 그물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제2파이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도어프레임(300)은 앞서 설명된 철망프레임(100)과 같이, 내구성이 증대되어 상기 철망프레임(100)과 함께 반려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반려동물이 상기 출입문(320)을 열고 이탈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외측프레임(310)은 앞서 설명된 철망프레임(100)의 제1외측프레임(110)과 같이, 사각형태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쉽고, 측방연결부재(200)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기 위해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출입문(320) 또한 내구성의 증대를 위해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외측프레임(310)은 앞서 설명된 철망프레임(100)의 제1외측프레임(110)과 같이,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돌출부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받침부재(900)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잠금부재(400)는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제2외측프레임(310)의 타측 또는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출입문(320)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즉, 상기 출입문(320)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출입문(320)의 힌지결합축과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32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잠금부재(400)는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제2외측프레임(310)의 타측 또는 일측에 일측 또는 타측이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 상부에 회전홀(41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회전홀(412)의 하부방향으로 고정홈(414)이 형성되는 잠금몸체(410)와, 일측 또는 타측에 출입문(320)의 타측 또는 일측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422)이 형성되고, 타측 또는 일측이 상기 회전홀(4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4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잠금몸체(410)는 도어프레임(300)의 출입문(320)의 힌지축이 제2외측프레임(310)의 일측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타측에 위치한 즉, 출입문(320)의 타측에 위치한 제2외측프레임(310)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회전홀(41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회전홀(412)의 하부방향으로 고정홈(414)이 연장형성 된다.
이때, 상기 잠금몸체(410)는 일측에 제2외측프레임(310)이 내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내입홈(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내입홈을 통해 상기 제2외측프레임(310)에 밀접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외측프레임(310)과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부 일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유볼트(416) 및 상기 유볼트(416)의 후방에 결합되는 결합판(4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볼트(416)는 상기 잠금몸체(4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후 상기 결합판(418)이 후방에 결합되고, 너트가 후방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잠금몸체(410)와 제2외측프레임(31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잠금몸체(410)는 하부 일측 전후방에 형성되는 끼움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끼움홈은 유볼트의 내측 일부가 내입됨에 따라 상기 잠금몸체(410)와 제2외측프레임(31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걸쇠(420)는 상기 잠금몸체(4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타측 또는 일측이 결합되어 출입문(32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것으로서, 간단하게 회전만으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출입문(320)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걸쇠(420)는 상기 잠금몸체(410)에 결합되지 않는 방향 즉, 상기 잠금몸체(410)에 일측이 결합되는 경우 타측에 제2내입홈(422)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내입홈(422)은 출입문(320)이 내입되면 상기 출입문(320)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상기 출입문(320)이 내입되지 않으면 상기 출입문(32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쇠(420)는 상기 제2내입홈(422)에 출입문(320)이 내입되거나 내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2내입홈(422)이 형성되지 않은 방향 즉, 일예로 타측이 상기 잠금몸체(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잠금몸체(410)는 제2외측프레임(310)이 결합되지 않은 방향 즉, 일예로 타측 상부에 원형의 회전홀(412)이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회전홀(412)에 상기 걸쇠(420)의 타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와 같이 출입문(320)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몸체(410)는 상기 회전홀(412)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홈(414)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쇠(420)의 타측은 상기 회전홀(4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41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걸쇠(420)는 상기 회전홀(412)에서 회전된 후 상기 고정홈(41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고정됨으로써, 출입문(320)이 잠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걸쇠(420)가 상기 회전홀(412)에서 회전되어 출입문(320)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고정홈(41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으나, 상기 걸쇠(420)가 출입문(32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2내입홈(422)에 상기 잠금몸체(410)가 결합된 제2외측프레임(310)이 내입되어 180도로 회전되지 않아 상기 고정홈(414)을 따라 슬라이딩 되지 않으므로 보다 쉽게 사용자가 다시 출입문(320)의 잠금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잠금몸체(410)의 타측은 상기 회전홀(4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홈(414)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된 후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414)의 형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단면이 사격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천막지지대(500)는
상기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방 하부와 후방 하부가 결합되어 상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부천막이 설치되어 수용공간의 반려동물이 햇빛과 눈과 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천막지지대(500)는 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방 하부가 결합되고, 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후방하부가 결합되는 천막지지대(500)와, 중앙이 상기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후방하부가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천막지지대(500)는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의 설치 갯수 또는 위치에 따라 철망프레임(100)의 상부 또는 도어프레임(300)의 상부 중 어느 하나에 하부가 결합되거나, 철망프레임(100)의 상부와 도어프레임(300)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예로,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중심인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천막지지대(500)의 하부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천막지지대(500)는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에 설치되는 것보다 두개의 철망프레임(100) 또는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 또는 두개의 도어프레임(300)에 하부게 겹쳐지게 결합되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천막지지대(500)는 수평프레임(510)과, 상기 수평프레임(5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연결부재(520)와, 상기 상부연결부재(5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530) 및 상기 수직프레임(530)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하부가 결합되는 하부연결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천막지지대(500)는 수평프레임(510)과, 상부연결부재(520)와, 수직프레임(530) 및 하부연결부재(540)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쉽게 조립설치가 가능하고, 먼저 하부연결부재(540)의 하부를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연결부재(540)의 상부에 수직프레임(530)의 하부를 결합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530)의 상부에 상부연결부재(520)의 하부를 결합함과 동시에 수평프레임(510)의 전방과 후방을 상기 상부연결부재(520)에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510)은 복수 개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또는 전방에 수결합돌기(미표시)가 형성되며, 전방 또는 후방에 상기 수결합돌기가 내입된 후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부재(520)와 하부연결부재(540)는 앞서 설명된 측방연결부재(200)와 같이 한 쌍의 몸체(미표시)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몸체가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세 설명하면, 상기 상부연결부재(520)는 한 쌍의 몸체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부가 상기 수평프레임(510)의 전방 또는 후방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상기 수직프레임(53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측방연결부재(200)는 한 쌍의 몸체가 대향된 상태에서 상부가 상기 수직프레임(53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즉, 제1외측프레임(110) 또는 제2외측프레임(3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천막지지대(5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상부천막(600)의 중앙 하부를 수용공간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수평프레임(510)을 통해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상부천막(600)이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상부천막(600)은
중앙 하부가 앞서 설명된 천막지지대(500) 즉, 수평프레임(510)에 의해 지지되고, 양측이 양측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의 상부 또는 양측에 도어프레임(300)이 위치한 경우 도어프레임(300)의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에 의해 형성된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상부를 차단하여 햇빛과 눈과 빗물로부터 수용공간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부천막(600)은 양측 말단 및 전후방 말단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홀(610)과, 상기 결합홀(610)을 관통 한 후 상기 철망프레임(100)의 상부 또는 도어프레임(300)의 상부 즉, 제1외측프레임(110)의 상부 또는 제2외측프레임(310)의 상부를 감싸 결합되는 탄성결합부재(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상부천막(600)은 중앙 하부가 천막지지대(500)에 의해 지지된 후 양측 또는 전후방이 상기 제1외측프레임(110) 또는 제2외측프레임(310)에 상기 탄성결합부재(620)에 의해 결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울타리는 상기 상부천막(6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상부가 결합되는 측방천막(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측방천막(700)에 의해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측방이 햇빛과 눈과 빗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상부천막(600)은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수부직포(6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방천막(700)은 일측면 상부 또는 타측면 상부에 상기 수부직포(630)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암부직포(7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부직포(630)와 암부직포(710)의 결합에 의해 쉽게 결합 또는 결합이 해제되어 조립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천막(600)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은 두번 접혀 상기 수부직포(630)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측방천막(700)의 암부직포(710)가 내측에서 결합되어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울타리는 상기 상부천막(600)의 후방에 상부가 결합되는 후방천막(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후방천막(800)에 의해 반려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후방이 햇빛과 눈과 빗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후방천막(800)이 하나 더 구비되어 상기 상부천막(60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후방천막(800)은 상기 상부천막(6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상부가 결합되고, 상기 상부천막(600)은 전방과 후방의 내측에 구비되는 수부직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후방천막(800)은 전면 상부 또는 후면 상부에 상기 수부직포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암부직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상부천막(600)과 측방천막(700)과 같이 조립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받침부재(900)는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300)의 하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912)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300)이 조립설치된 본 발명의 울타리를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받침부재(900)는 바닥 즉,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수용공간에 보호되고 있는 반려동물이 지면의 습기와 이물질에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받침부재(900)는 상부면에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의 하부로 돌출형성된 하부돌출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삽입홈(미표시)이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912)가 설치된 베이스프레임(9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91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92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수용공간에 보호되어 있는 반려동물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받침부재(9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910)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9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지지대(미표시)와, 상기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920)와 복수 개의 하부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트레이(9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930)는 상기 복수 개의 하부지지대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어 반려동물의 대소변이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내측에 떨어져 모이도록 함으로써, 대소변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쾌적하고 안락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울타리는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철망프레임(100)과 도어프레임(300)의 크기를 결정하여 소, 중, 대의 반려동물에 관계없이 안전하고 견고하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조립설치가 용이하여 실내 또는 실외 구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조립설치 후 이동이 간편하여 위치변경이 용이함은 물론 햇빛과 눈 및 빗물과 지면의 습기와 이물질로부터 반려동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보다 안락하고 쾌적하며 안전하게 반려동물을 보호 및 수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철망프레임
110 : 제1외측프레임 120 : 제1파이프
200 : 측방연결부재
210 : 연결몸체 212 : 제1내입홈
220 : 체결볼트
300 : 도어프레임
310 : 제2외측프레임 320 : 출입문
330 : 제2파이프
400 : 잠금부재
410 : 잠금몸체 412 : 회전홀
414 : 고정홈 416 : 유볼트
418 : 결합판 420 : 걸쇠
422 : 제2내입홈
500 : 천막지지대
510 : 수평프레임 520 : 상부연결부재
530 : 수직프레임 540 : 하부연결부재
600 : 상부천막
610 : 결합홀 620 : 탄성결합부재
630 : 수부직포
700 : 측방천막
710 : 암부직포
800 : 후방천막
900 : 받침부재
910 : 베이스프레임 912 : 바퀴
920 : 지지파이프 930 : 트레이

Claims (7)

  1.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100);과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1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철망프레임(100)과 인접한 철망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측방연결부재(200);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양측에 적어도 하나의 측방연결부재(200)를 통해 상기 철망프레임(100)과 연결되며, 개폐가능한 출입문(320)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300); 및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철망프레임(100)의 타측 또는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300)의 출입문(320)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잠금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연결부재(200)는
    양측에 철망프레임(100)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거나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전방 또는 후방이 내입되는 제1내입홈(21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몸체(21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몸체(210)의 중앙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400)는
    도어프레임(3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제2외측프레임(310)의 타측 또는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 또는 일측 상부에 회전홀(412)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회전홀(412)의 하부방향으로 고정홈(414)이 형성되는 잠금몸체(410);와
    일측 또는 타측에 출입문(320)의 타측 또는 일측이 내입되는 제2내입홈(422)이 형성되고, 타측 또는 일측이 상기 회전홀(4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4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쇠(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는
    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방하부가 결합되고,
    후방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 또는 도어프레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후방하부가 결합되는 천막지지대(500);와
    중앙이 상기 천막지지대(500)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고, 양측이 양측에 위치한 철망프레임(100)의 상부 또는 도어프레임(300)의 상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상부천막(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는
    상기 상부천막(60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상부가 결합되는 측방천막(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는
    상기 상부천막(600)의 후방에 상부가 결합되는 후방천막(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는
    복수 개의 철망프레임(100)과 적어도 하나의 도어프레임(300)의 하부가 상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바퀴(912)가 설치되는 받침부재(9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KR1020210179683A 2021-12-15 2021-12-15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KR20230090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83A KR20230090700A (ko) 2021-12-15 2021-12-15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683A KR20230090700A (ko) 2021-12-15 2021-12-15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700A true KR20230090700A (ko) 2023-06-22

Family

ID=86989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683A KR20230090700A (ko) 2021-12-15 2021-12-15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070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577Y1 (ko) 2003-09-09 2003-11-28 효일공업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조립식 울타리
KR101240851B1 (ko) 2010-11-24 2013-03-08 김정곤 애완견 울타리용 각도조절장치
KR101682653B1 (ko) 2016-04-05 2016-12-05 이우정 확장성이 강화된 반려동물용 울타리
KR101806773B1 (ko) 2017-07-25 2017-12-07 오현민 반려동물용 펜스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577Y1 (ko) 2003-09-09 2003-11-28 효일공업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조립식 울타리
KR101240851B1 (ko) 2010-11-24 2013-03-08 김정곤 애완견 울타리용 각도조절장치
KR101682653B1 (ko) 2016-04-05 2016-12-05 이우정 확장성이 강화된 반려동물용 울타리
KR101806773B1 (ko) 2017-07-25 2017-12-07 오현민 반려동물용 펜스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4610C (en) Portable corral apparatus
US9650832B2 (en) Tri-truss self-closing gate
US8746179B2 (en) Pet enclosure
US7753064B2 (en) Canopy latch system
US20060048459A1 (en) Modular insulated panel collapsible sport/utility shanty
US8087422B2 (en) Canopy with ventilation
US20030209206A1 (en) Expandable corral for attachment to a horse trailer
CN204184699U (zh) 能折叠支撑结构
US10757911B2 (en) Multiple-configuration pet kennel
US20110107690A1 (en) Portable dwelling
US7000673B2 (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winging gate
KR101391076B1 (ko) 컨테이너 하우스 출입구용 발판
KR20230090700A (ko) 실내 및 실외 이동과 설치조립이 용이한 반려동물 울타리
US6932141B2 (e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winging gate
US8272625B1 (en) Retaining bracket for a fence gate
US4802501A (en) Portable shelter
US20150107526A1 (en) Collapsible pet containment apparatus with foldable side walls
KR200490534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지대를 이용한 가축 사육장
KR100924386B1 (ko) 경사 침대 텐트
US20060124073A1 (en) Versatile dog house
GB2403126A (en) Hutch with section used as stand or run
JP6931881B2 (ja) 簡易構造体及び柵
US20060005783A1 (en) Cat condo
WO1996008628A1 (en) A barrier
DE202024100012U1 (de) Mobile Unterkun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