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797B1 -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 Google Patents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797B1
KR101658797B1 KR1020150122733A KR20150122733A KR101658797B1 KR 101658797 B1 KR101658797 B1 KR 101658797B1 KR 1020150122733 A KR1020150122733 A KR 1020150122733A KR 20150122733 A KR20150122733 A KR 20150122733A KR 101658797 B1 KR101658797 B1 KR 10165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bar
case body
vehicle
outer case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기수
Original Assignee
(주)대경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시스텍 filed Critical (주)대경시스텍
Priority to KR102015012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 주차장 등 출입되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량 차단기의 게이트 바로 인한 차량파손 및 게이트 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게이트 바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에 관한 것으로 서,
안정적으로 승, 하강이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승, 하강이 되는 게이트 바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게이트 바에 큰 충격을 가해져도 정위치복원시에는 천천히 복원되어 차량 및 게이트 바를 보호할 수 있어 주차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VEHICLE GATE BAR}
본 발명은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 주차장 등 출입되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량 차단기의 게이트 바로 인한 차량파손 및 게이트 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게이트 바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대형빌딩, 공공 시설물, 전용 주차장 등에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 관리하고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량차단기가 설치 운용되고 있다. 통상 상기 차량차단기는 고속도로나 대형빌딩, 공공 시설물, 전용 주차장 등의 입구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에서 요금을 징수하거나 통행권을 발급받으면 상기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상부로 올려져 차량이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물의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차량 차단기는 건물 내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차량을 감지하여 상기 차량 차단기의 게이트 바를 회동시켜 승·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승·하강되는 게이트 바에 의하여 상기 건물 내로 차량이 출입하거나 출입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차단기에 장착된 차단기 바는 일반적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있는 바(bar)형상으로 상기 본체에 대하여 일단부 만이 결합된 외팔보 형태로 본체와 결합되어,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차단기 바는 차량이 차단기 바를 추돌하여 들어올 경우에는 차단기 바가 파손되거나 차단기 바가 수평으로 밀려 다시 원상복귀될 시 스프링의 강도에 의해 충격을 차에게 가하게 되어 차량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 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제10-0867673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게이트 바 추돌시 게이트 바의 손상 및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게이트 바로 인한 출입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게이트 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으로 인한 게이트 바에 충격 또는 게이트 바를 밀고 들어올 경우에 게이트 바가 수평방향으로 부르럽게 이동 후에 복귀 속도조절(단계적인 속도조절)을 이용하여 2차 차량파손방지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이트 바가 정위치(정상상황)에 있는 지를 확인 및 차량추돌시 게이트 바의 상태를 센서를 이용하여 게이트 바의 이탈 상태를 알 수 있는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게이트 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형성한 가이드 홈과 수평축이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된 상판과 클로져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형성한 관통구가 이루어진 하판과 상기 하판의 밑면에는 게이트 바 클로져가 장착되고, 외부면에 외부커버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본체;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하판의 밑면에 장착되어 게이트 바가 외부의 강한 힘이 주어져도 제한속도 내에서만 게이트 바가 닫히도록 형성한 클로져 회전축이 형성된 게이트 바 클로져;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에 결합되어 승·하강과 수평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판과 하판 사이에 장착되어 게이트 바를 고정하도록 상판 지지대와 하판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지지대의 상부에는 가이드 봉을 장착되는 장착구와 축홀이 형성되며, 하판 지지대에 형성된 장착구에 클로져 회전축을 장착하고, 내부커버를 장착한 내부케이스 본체;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에 장착된 외부케이스 본체가 승·하강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내에서 게이트 바 클로져에 의해 수평회전되도록 형성하도록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외부케이스 본체와 내부케이스 본체의 사이에 접점스위치 또는 근접센서를 형성하여 게이트 바가 정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 또는 감지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는
안정적으로 승, 하강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승, 하강되는 게이트 바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게이트 바에 큰 충격을 가해도 정위치에 복원시에는 천천이 복원되어 차량 및 게이트를 보호할 수 있어 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를 장착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게이트 바의 승하강장치부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게이트 바 클로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게이트 바 클로져에 연결된 게이트 바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미설명부호 300은 게이트 바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완충패드가 형성됨)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은
삭제
게이트 바의 승·하강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회전축부(100)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어 게이트 바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형성한 가이드 홈(110)과 축핀(120)이 장착되는 장착구(130)가 형성된 상판(140)과, 클로져 회전축(350)이 관통되도록 형성한 관통구(150)가 이루어진 하판(160)과, 상기 하판의 밑면에 게이트 바 클로져(170)가 장착되고, 외부면에는 외부커버(190)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본체(200);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200)의 하판 하부면에 게이트 바(210)가 외부의 강한 힘이 주어져도 제한속도 내에서만 게이트 바가 닫히도록 형성한 클로져 회전축(350)이 형성된 게이트 바 클로져(170);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200)에 결합되어 승·하강과 수평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40)과 하판(160) 사이에 장착되며 게이트 바(210)를 고정하도록 상판 지지대(220)와 하판 지지대(230)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지지대(220)의 상부에는 가이드 봉(280)을 장착되는 장착구(340)와 축홀(240)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 지지대에는 클로져 회전축 장착구(250)에 클로져 회전축(350)을 고정하여 장착하고, 내부커버(260)를 장착한 내부케이스 본체(270);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270)를 장착한 외부케이스 본체(200)가 승·하강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 내에서 게이트 바(210)가 게이트 바 클로져(170)에 의해 수평회전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200)는 게이트 바를 승·하강 및 수평회전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안착되어 게이트 바 클로져(170)에 의해 수평회전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200)는 승·하강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회전축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부의 회전는 승하강장치부(5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장치부(500)는 케이스(360) 내에 결합되는 하우징(380)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게이트 바(210)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단부가 외부케이스 본체에 결합되는 회전축부(100)와 상기 회전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회전축부와 같이 회전하는 제1링크(370)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90); 상기 구동모터(390)에 축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39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링크(400); 상기 제1링크(370)와 상기 제2링크(400)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게이트 바의 승·하강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로 설명하였다.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200)는 회전축부에 고정되어 게이트 바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형성하도록 상판에 가이드 홈(110)과 축핀(120)이 장착되는 장착구(130)가 형성하였다.
상기 하판(160)은 클로져 회전축(340)이 관통되도록 형성한 관통구(150)가 이루어지며, 상기 하판의 밑면에는 게이트 바 클로져(170)가 장착되고 상기 게이트 바 클로져를 지지하도록 지지판(180)을 형성하였다.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에 외부커버(190)를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게이트 바 클로져(170)는 외부케이스 본체(200)의 하판의 밑면 또는 하부면에 장착되어 게이트 바(210)에 외부의 강한 힘이 주어져도 제한속도 내에서만 게이트 바가 닫히도록 형성한 클로져 회전축(350)이 형성하였다.
상기 게이트 바 클로져(170)는 게이트 바가 외부의 강한 힘이 주어져도 제한속도 내에서만 게이트 바(210)가 닫히도록 피니언 기어(460)에 부여된 피스톤(470)과, 상기 피스톤(470)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코일스프링(480)과 상기 오일순환로(미도시)를 통하여 흐르는 오일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 볼트(490,410)를 형성하여 게이트 바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량조절 볼트(490,410)는 오일순환로를 통하여 흐르는 오일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유량조절 볼트(490)를 조절하면 도 6과 같이 게이트 바의 닫히는 구간이 1차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조절 볼트(410)를 회전하여 조절하면 오일순환로를 통하여 흐르는 오일량을 조절하여 닫히는 구간이 2차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270)는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200)에 결합되어 승·하강과 수평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판(140)과 하판(160) 사이에 장착되며 게이트 바(210)를 고정하도록 상판 지지대(220)와 하판 지지대(230)가 형성하였다.
상기 상판 지지대(220)의 상부에는 가이드 봉(280)이 장착되는 장착구(340)와 축홀(240)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 지지대(230)에는 클로져 회전축 장착구(250)가 형성되어 클로져 회전축(350)과 고정볼트(420)로 고정하여 장착하고,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외부를 내부커버(260)로 고정하여 결합하였다.
상기 게이트 바(210)는 하부면에 완충재(300)와 측면에는 LED를 형성하여 차량보호와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외부케이스 본체(200)와 내부케이스 본체(270)는 내부면에 자석(330)을 형성하여 내부케이스 본체(270)가 평상시에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이탈시에 개폐센서(310)가 감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200)내에 LED전원공급 단자(320)를 형성하여 게이트 바(210)내에 삽입되어 장착된 LED바(29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이 있다. 정위치(자석에 밀착된 상태)에는 LED전원공급 단자에 접점되어 LED바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하였다.
100: 회전축부 110: 가이드 홈
120: 축핀 130: 장착구
140: 상판 150: 관통구
160: 하판 170: 게이트 바 클로져
180: 지지판 190: 외부 커버
200: 내부케이스 본체 210: 게이트 바
220: 상판지지대 230: 하판지지대
240: 축홀 250: 장착구
260: 내부커버 270: 내부케이스 본체
280: 가이드 봉 290: LED바
300: 완충패드 310: 개폐센서
330: 자석

Claims (4)

  1. 게이트 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수평으로 이동할 있도록 형성한 외부본체케이스와, 상기 외부본체케이스 내에서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게이트 바와 내부케이스가 형성된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바를 승·하강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형성한 가이드 홈과 수평축이 장착되는 장착구가 형성된 상판과 클로져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형성한 관통구가 이루어진 하판과 상기 하판의 밑면에는 게이트 바 클로져가 장착되고, 외부면에 외부커버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본체;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하판의 밑면에 장착되어 게이트 바가 외부의 강한 힘이 주어져도 제한속도 내에서만 게이트 바가 닫히도록 형성한 클로져 회전축이 형성된 게이트 바 클로져;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에 결합되어 승·하강과 수평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판과 하판 사이에 장착되어 게이트 바를 고정하도록 상판 지지대와 하판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 지지대의 상부에는 가이드 봉을 장착되는 장착구와 축홀이 형성되며, 하판 지지대에 형성된 장착구에 클로져 회전축을 장착하고, 내부커버를 장착한 내부케이스 본체;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에 장착된 외부케이스 본체가 승·하강되고,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내에서 게이트 바 클로져에 의해 수평회전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는
    내부면에 자석을 형성하여 내부케이스 본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와 내부케이스 본체의 사이에 접점스위치 또는 근접센서를 형성하여 게이트 바가 정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 또는 감지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4. 삭제
KR1020150122733A 2015-08-31 2015-08-31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KR101658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33A KR101658797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733A KR101658797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797B1 true KR101658797B1 (ko) 2016-09-27

Family

ID=5710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733A KR101658797B1 (ko) 2015-08-31 2015-08-31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7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0419A (zh) * 2018-04-13 2018-08-03 无锡市博瑞企业服务咨询有限公司 一种地下停车场的防冲撞折断道闸
CN112796255A (zh) * 2021-01-05 2021-05-14 李福友 移动闸道及其应用系统
KR20220048750A (ko) * 2020-10-13 2022-04-20 김현숙 공기작동식 통행차단장치
KR20230050185A (ko) * 2021-10-07 2023-04-14 두텍 주식회사 충격 흡수 진출입 안전 차단 시스템
CN117230740A (zh) * 2023-11-13 2023-12-1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道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08Y1 (ko) * 2002-08-21 2002-12-16 김동용 안전도어 클로져
KR100717888B1 (ko) * 2006-04-24 2007-05-14 박현서 속도제어가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
KR20080000137A (ko) * 2006-06-26 2008-01-02 대경전자기업(주) 자동 차단기
KR100867673B1 (ko)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차단바 꺾임시 자동개방이 가능한 차량 차단기
KR100870672B1 (ko) * 2007-05-02 2008-11-2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및 자동 복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308Y1 (ko) * 2002-08-21 2002-12-16 김동용 안전도어 클로져
KR100717888B1 (ko) * 2006-04-24 2007-05-14 박현서 속도제어가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
KR20080000137A (ko) * 2006-06-26 2008-01-02 대경전자기업(주) 자동 차단기
KR100870672B1 (ko) * 2007-05-02 2008-11-2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및 자동 복구 방법
KR100867673B1 (ko) 2008-04-07 2008-11-10 주식회사 베스트 일렉트로닉스 차단바 꺾임시 자동개방이 가능한 차량 차단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60419A (zh) * 2018-04-13 2018-08-03 无锡市博瑞企业服务咨询有限公司 一种地下停车场的防冲撞折断道闸
CN108360419B (zh) * 2018-04-13 2024-03-12 无锡市博瑞企业服务咨询有限公司 一种地下停车场的防冲撞折断道闸
KR20220048750A (ko) * 2020-10-13 2022-04-20 김현숙 공기작동식 통행차단장치
KR102477275B1 (ko) * 2020-10-13 2022-12-13 김현숙 공기작동식 통행차단장치
CN112796255A (zh) * 2021-01-05 2021-05-14 李福友 移动闸道及其应用系统
CN112796255B (zh) * 2021-01-05 2022-06-28 广州油菜花信息科技有限公司 移动闸道及其应用系统
KR20230050185A (ko) * 2021-10-07 2023-04-14 두텍 주식회사 충격 흡수 진출입 안전 차단 시스템
KR102550245B1 (ko) 2021-10-07 2023-06-30 두텍 주식회사 충격 흡수 진출입 안전 차단 시스템
CN117230740A (zh) * 2023-11-13 2023-12-1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道闸
CN117230740B (zh) * 2023-11-13 2024-03-1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道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797B1 (ko) 차량보호용 기능성 안전 게이트 바
JP5264554B2 (ja) 車両通行制御装置
KR100759957B1 (ko)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CA2882698C (en) Portable modular gate or ob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101095846B1 (ko) 휀스형 차단기
KR102611308B1 (ko) 직립 가능 방벽의 기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직립 가능 방벽
WO2012153852A1 (ja) 扉開閉装置用踏み板機構
KR20100006448U (ko) 차량 차단장치
JP6864998B2 (ja) 防水型筐体装置
KR20210074457A (ko) 자동제동 및 충격완화 기능을 갖는 전동식 자동 볼라드 장치
JP2016078657A (ja) 可動柵
KR101849668B1 (ko)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KR101139285B1 (ko)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시스템
CN214942803U (zh) 一种市政工程用的交通指挥岗亭
KR102292887B1 (ko) 횡단보도의 차단막 복구장치
CN104404901B (zh) 一种带有v型锁定槽的路障装置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KR200175450Y1 (ko) 차량 차단기
KR101718635B1 (ko) 복수개의 볼라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하 이동식 스마트 볼라드 시스템
RU142109U1 (ru) Дорожный блокиратор
CN113668427A (zh) 一种道路用智能管控的升降路障
JP2007046340A (ja) 車両侵入防止装置
KR20170111025A (ko) 상하이동식 자동볼라드
KR20150141210A (ko) 횡단보도 통행안전용 자동셔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