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492A -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492A
KR20220141492A KR1020210047674A KR20210047674A KR20220141492A KR 20220141492 A KR20220141492 A KR 20220141492A KR 1020210047674 A KR1020210047674 A KR 1020210047674A KR 20210047674 A KR20210047674 A KR 20210047674A KR 20220141492 A KR20220141492 A KR 2022014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se
stopper
entrance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206B1 (ko
Inventor
김원주
Original Assignee
김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주 filed Critical 김원주
Priority to KR102021004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20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6Park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out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e.g. with helically-arranged fixed ramps, with movable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반해주는 운반기가 출입구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자동차가 돌진하여 주차건축물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아주며, 부품의 유지보수 및 화재 안전성이 좋은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주차건축물의 출입구 주변으로 지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에 설치되며, 주차건축물의 주차공간으로 자동차를 운송해주는 운반기가 출입구에 위치되었는지의 여부 및, 운반기가 위치되는 출입구가 개폐문에 의해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에 제어되어, 운반기로 자동차의 진입을 허용 및 차단해주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에 있어서, 삽입공간에 설치되며, 개방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제어되며,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며, 수직부가 외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개방구멍에 가까운 수직부의 한쪽에 설치되는 안내부재와;,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며, 랙기어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케이스의 내면에 나란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며, 외면에 제1힌지부가 형성되고, 제1힌지부에 힌지축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힌지축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힌지부가 내면에 형성되고, 안내부재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경사부가 경사지게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Vehicle dropping prevent device for a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동차를 운반해주는 운반기가 출입구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자동차가 돌진하여 주차건축물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아주며, 부품의 유지보수 및 화재 안전성이 좋은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식 주차설비는 한정된 장소에 다수의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주차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주차 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차건축물에 적용되었다.
그리고, 자동차는 항상 자동차를 운반해주는 운반기가 주차건축물의 출입구에 도착할 때까지 기다려야 했었다.
하지만, 급발진 및 조작 미숙으로 인해 자동차가 주차건축물의 출입구로 돌진할 수 있었고, 심한 경우 주차건축물의 바닥으로 추락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V자 형태의 홈을 포함하는 프레임;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연결부;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유닛과, 유압유닛의 후방에 결합되며 유압유닛에서 연결부로 공급되는 유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동력부; 연결부 상단에 설치되며 회전 가능한 안전댐퍼; 프레임 타측에 설치되며 외부에 배치된 주차기 제어반으로부터 출입문 개폐 신호를 수신하며, 출입문 폐쇄 신호가 수신되면 안전댐퍼가 프레임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동력부를 제어하고, 출입문 개방 신호가 수신되면 안전댐퍼가 프레임의 상측에 수평 하게 배치되도록 동력부를 제어하는 신호단자; 및 안전댐퍼의 하단 전방에 설치된 체결러그를 통해 결합되며, 안전댐퍼를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은 장기간 사용 시 실린더 및, 실린더로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유닛의 누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고,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유압을 이용한 부품 즉, 유지보수가 어려운 부품이 사용되었다.
특허문헌1 : 국내 등록특허 제10-1849668호 (2018. 4. 11.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자동차를 운반해주는 운반기가 출입구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자동차가 돌진하여 주차건축물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아주며, 종래보다 부품의 유지보수 및 화재 안전성이 좋은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차건축물의 출입구 주변으로 지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에 설치되며, 주차건축물의 주차공간으로 자동차를 운송해주는 운반기가 출입구에 위치되었는지의 여부 및, 운반기가 위치되는 출입구가 개폐문에 의해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에 제어되어, 운반기로 자동차의 진입을 허용 및 차단해주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에 있어서, 삽입공간에 설치되며, 개방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제어되며, 피니언 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며, 수직부가 외면에 형성된 랙기어와;, 개방구멍에 가까운 수직부의 한쪽에 설치되는 안내부재와;, 케이스의 내면에 설치되며, 랙기어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부재와;, 케이스의 내면에 나란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며, 외면에 제1힌지부가 형성되고, 제1힌지부에 힌지축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힌지축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힌지부가 내면에 형성되고, 안내부재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경사부가 경사지게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며, 랙기어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가이드홈에 안내되면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 안내부재에 경사부가 안내되면서 스토퍼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의 개방구멍에서 돌출되고, 출입구를 향해 자동차 이동 시, 스토퍼에 바퀴가 걸리고, 랙기어가 구동모터에 의해 역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어 가이드홈에 안내되면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면, 안내부재에 경사부가 안내되면서 스토퍼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고, 출입구를 향해 자동차 이동 시, 스토퍼에 바퀴가 걸리지 않으면서 운반기로 자동차의 진입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진하는 안내부재에 경사부가 안내되어 스토퍼가 케이스의 개방구멍에서 돌출되기 때문에, 자동차를 운반해주는 운반기가 출입구에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자동차가 돌진 시 자동차의 바퀴가 스토퍼에 걸리는 효과가 있다.
즉, 자동차가 주차건축물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막아서,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유압 이용에 따른 누유가 발생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종래보다 화재 안전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부품보다 관리가 간편한 피니언 기어 및 랙기어 등의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부품의 유지보수가 좋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개방구멍에서 스토퍼가 노출되어도, 스토퍼가 케이스의 내부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케이스의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이물질에 의한 부품의 손상 및 작동 방해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내부재가 수직부에서 회전하는 롤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복 이동에 따른 스토퍼의 경사부와 안내부재의 마찰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즉, 마모 현상을 줄여주면서,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의 상세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주차건축물(1)의 출입구(1a) 주변으로 지면(2)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a)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건축물(1)에 적용된 기계식 주차설비(1000)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1000)는 주차건축물(1)의 주차공간으로 이동수단 및 파렛트를 이용하여 자동차(3)를 운송해주는 운반기(100)와;, 상기 주차건축물(1)의 출입구(1a)를 개폐해주는 개폐문(110)과;, 상기 운반기(100) 및 개폐문(110) 등을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상기 개폐문(110)에 의한 출입구(1a)의 개폐 상태 및 운반기(100)의 이동 상태 및 상기 출입구(1a)의 주변으로 자동차(3)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2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감지부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주차건축물(1)의 주차공간으로 자동차(3)를 운송해주는 운반기(100)가 출입구(1a)에 위치되었는지의 여부 및, 상기 운반기(100)가 위치되는 출입구(1a)가 개폐문(110)에 의해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에 제어되어, 상기 운반기(100)로 자동차(3)의 진입을 허용 및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2a)은 출입구(1a)와 운반기(100)의 사이 즉, 개폐문(110)의 후방으로 지면(2)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외부와 통하는 삽입공간(2a)에 설치되며, 개방구멍(311)이 외면에 형성된 케이스(3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구멍(311)은 지면(2)에 근접하도록 케이스(310)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0)는 사각통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케이스(310)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어부(200)에 제어되며, 피니언 기어(321)가 구비된 구동모터(320)와;, 상기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321)에 치합되며, 수직부(331)가 외면에 형성된 랙기어(3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331)는 랙기어(330)의 한쪽에 상기 랙기어(330)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개방구멍(311)에 가까운 수직부(331)의 한쪽에 설치되는 안내부재(34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340)는 수직부(331)의 한쪽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롤러(34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케이스(310)의 내면에 설치되며, 랙기어(33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351)이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부재(35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면에 나란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며, 외면에 제1힌지부(36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361)에 힌지축(362)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36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360)은 구동모터(320)의 양쪽으로 케이스(310)의 내면에 세워져서 설치되며, 상부에 제1힌지부(3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힌지축(362)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힌지부(371)가 내면에 형성되고, 안내부재(340)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경사부(372)가 경사지게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37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370)는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에서 돌출 시,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힌지부(371)는 스토퍼(370)의 내면 양쪽에 형성되며, 경사부(372)는 상기 제2힌지부(371)의 사이로 스토퍼(370)의 내면 중앙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70)는 평상시 상부의 일부가 개방구멍(311)에서 돌출되어 상부면이 지면(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안내부재(340)에 내면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의 스토퍼(370)는 평상시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에서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370)는 평상시 지면(2)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3)가 주차건축물(1)에 근접한 상태에서 운반기(100)가 출입구(1a)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출입구(1a)가 개폐문(11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었다고 제어부(200)가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구동모터(320)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랙기어(330)는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321)에 치합되어 가이드홈(351)에 안내되면서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랙기어(330)는 가이드홈(351)에 안내되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고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전진 이동하는 상기 랙기어(330)에 의해 안내부재(340)에 경사부(372)가 안내되면서 스토퍼(370)가 힌지축(36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370)는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에서 돌출된다.
즉, 상기 스토퍼(370)는 전진하는 랙기어(330)의 수직부(331)에 의해 경사부(372)가 밀리게 되면서,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 즉, 지면(2)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340)는 롤러(341)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롤러(341)가 수직부(331)에서 회전하면서 경사부(372)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에서 돌출된 스토퍼(370)는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자기 상기 개폐문(11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된 출입구(1a)를 향해 자동차(3) 이동 시, 상기 자동차(3)의 바퀴(3a)는 스토퍼(370)에 걸리게 된다.
즉,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운반기(100)가 출입구(1a)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자동차(3)의 진입을 차단하게 된다.
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나 상기 운반기(100)가 출입구(1a)에 위치되고, 상기 출입구(1a)가 개폐문(110)에 의해 개방되었다고 제어부(200)가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200)는 구동모터(320)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랙기어(330)는 구동모터(320)에 의해 역회전하는 피니언 기어(321)에 치합되어 가이드홈(351)에 안내되면서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랙기어(330)는 가이드홈(351)에 안내되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고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후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후진 이동하는 상기 랙기어(330)에 의해 안내부재(340)에 경사부(372)가 안내되면서 스토퍼(370)가 힌지축(36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370)는 케이스(3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즉, 상기 스토퍼(370)는 후진하는 랙기어(330)의 수직부(331)에 의해 경사부(372)가 밀리지 않게 되면서,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 즉, 지면(2)에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340)는 롤러(341)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롤러(341)가 수직부(331)에서 회전하면서 경사부(372)를 안내하게 된다.
그래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구(1a)를 향해 자동차(3) 이동 시, 상기 자동차(3)의 바퀴(3a)는 스토퍼(370)에 걸리지 않는다.
즉, 상기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300)는 운반기(100)가 출입구(1a)에 위치된 상태에서의 자동차(3)의 진입을 허용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운반기 110 : 개폐문
200 : 제어부
300 :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310 : 케이스 311 : 개방구멍
320 : 구동모터 321 : 피니언 기어
330 : 랙기어 331 : 수직부
340 : 안내부재 341 : 롤러
350 : 가이드부재 351 : 가이드홈
360 : 수직프레임 361 : 제1힌지부
362 : 힌지축 370 : 스토퍼
371 : 제2힌지부 372 : 경사부
1000 : 기계식 주차설비

Claims (3)

  1. 주차건축물(1)의 출입구(1a) 주변으로 지면(2)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a)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건축물(1)의 주차공간으로 자동차(3)를 운송해주는 운반기(100)가 출입구(1a)에 위치되었는지의 여부 및, 상기 운반기(100)가 위치되는 출입구(1a)가 개폐문(110)에 의해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에 제어되어, 상기 운반기(100)로 자동차(3)의 진입을 허용 및 차단해주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a)에 설치되며, 개방구멍(311)이 외면에 형성된 케이스(31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어부(200)에 제어되며, 피니언 기어(321)가 구비된 구동모터(320)와;,
    상기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피니언 기어(321)에 치합되며, 수직부(331)가 외면에 형성된 랙기어(330)와;,
    상기 개방구멍(311)에 가까운 수직부(331)의 한쪽에 설치되는 안내부재(34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면에 설치되며, 랙기어(33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351)이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부재(350)와;,
    상기 케이스(310)의 내면에 나란하게 한 쌍으로 설치되며, 외면에 제1힌지부(36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힌지부(361)에 힌지축(362)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360)과;,
    상기 힌지축(362)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제2힌지부(371)가 내면에 형성되고, 안내부재(340)에 밀착되어 안내되는 경사부(372)가 경사지게 내면에 형성된 스토퍼(370)를 포함하며,
    상기 랙기어(330)가 구동모터(320)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321)에 치합되어 가이드홈(351)에 안내되면서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면, 안내부재(340)에 경사부(372)가 안내되면서 스토퍼(370)가 힌지축(36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에서 돌출되고, 출입구(1a)를 향해 자동차(3) 이동 시, 상기 스토퍼(370)에 바퀴(3a)가 걸리고,
    상기 랙기어(330)가 구동모터(320)에 의해 역회전하는 피니언 기어(321)에 치합되어 가이드홈(351)에 안내되면서 지면(2)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후진 이동하면, 안내부재(340)에 경사부(372)가 안내되면서 스토퍼(370)가 힌지축(36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케이스(3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출입구(1a)를 향해 자동차(3) 이동 시, 상기 스토퍼(370)에 바퀴(3a)가 걸리지 않으면서 운반기(100)로 자동차(3)의 진입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70)는 케이스(310)의 개방구멍(311)에서 돌출 시,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310)의 내부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340)는 수직부(331)의 한쪽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롤러(3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KR1020210047674A 2021-04-13 2021-04-13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KR10259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74A KR102598206B1 (ko) 2021-04-13 2021-04-13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74A KR102598206B1 (ko) 2021-04-13 2021-04-13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92A true KR20220141492A (ko) 2022-10-20
KR102598206B1 KR102598206B1 (ko) 2023-11-02

Family

ID=8380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74A KR102598206B1 (ko) 2021-04-13 2021-04-13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2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858A (ja) * 2000-03-16 2001-09-26 Toyo Eng Works Ltd 有料駐車場の不正退出防止装置
KR200367647Y1 (ko) * 2004-07-30 2004-11-10 황호순 리모콘으로 조작가능한 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
JP2012041730A (ja)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輪止め及び輪止めシステム
KR101693619B1 (ko) * 2016-07-08 2017-01-06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
KR101849668B1 (ko) 2017-04-26 2018-04-17 한국승강기블루(주)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KR101966042B1 (ko) * 2018-02-12 2019-08-27 김동섭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858A (ja) * 2000-03-16 2001-09-26 Toyo Eng Works Ltd 有料駐車場の不正退出防止装置
KR200367647Y1 (ko) * 2004-07-30 2004-11-10 황호순 리모콘으로 조작가능한 주차장용 차량이동 제한장치
JP2012041730A (ja) * 2010-08-19 2012-03-01 Okuno Kizai Kk 輪止め及び輪止めシステム
KR101693619B1 (ko) * 2016-07-08 2017-01-06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안전장치
KR101849668B1 (ko) 2017-04-26 2018-04-17 한국승강기블루(주) 주차기 출입문 이중 방호 장치
KR101966042B1 (ko) * 2018-02-12 2019-08-27 김동섭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206B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3820B1 (de) Motorisch betätigbares und vertikal bewegbares hubtor
US8707627B2 (en) Method of removing slack from a flexible driven member
KR20210100889A (ko) 충전도어 개폐장치
US5062241A (en) Varying radius helical cable spool for powered vehicle door systems
JP4425705B2 (ja) 可動式ホーム柵装置
CN204778244U (zh) 升降机装置
KR20220141492A (ko) 기계식 주차설비용 자동차 추락 방지장치
KR20090011218U (ko) 디펜스 도어용 도어패널의 가이드구조
KR100706196B1 (ko) 전동 도어 수동 조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동 도어
CN112499446A (zh) 一种井道升降机轿厢的自动水平门装置
KR102044100B1 (ko) 일체형 자동문 어셈블리
JPH08232536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2000108889A (ja) プラットホーム用開閉柵
KR20220028625A (ko) 안전성이 향상된 방폭도어
US3353299A (en) Overhead door and operating means therefor
JP3091169B2 (ja) 扉開閉装置
JP3935722B2 (ja) 小荷物専用昇降機用出し入れ口装置
JP2969428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2582105B2 (ja) 防火シャッター装置
JPS6363884A (ja) 門扉装置
JP4694302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遮煙装置
JP2578201Y2 (ja) 扉の電動装置
DE2800008A1 (de) Antriebsvorrichtung fuer ein schiebetor, insbesondere ein feuerschutztor
KR200327122Y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자동 개폐장치
AU648532B2 (en) A drive system motor operated garage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