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920B1 -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920B1
KR101843920B1 KR1020160179450A KR20160179450A KR101843920B1 KR 101843920 B1 KR101843920 B1 KR 101843920B1 KR 1020160179450 A KR1020160179450 A KR 1020160179450A KR 20160179450 A KR20160179450 A KR 20160179450A KR 101843920 B1 KR101843920 B1 KR 10184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terminal
photographer
camera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듀템
신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듀템, 신정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듀템
Priority to KR102016017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P 카메라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촬영 요청자 단말,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IP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자 단말 및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제어명령을 상기 IP 카메라로 송신하여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되는 동영상이 상기 촬영자 단말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을 통해 상기 촬영자와 상기 촬영 요청자에게 실시간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동영상을 확인한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보정명령을 상기 IP 카메라로 송신하여 상기 IP 카메라의 촬영 동작이 보정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요청자가 진행하는 강의 등을 원격지에 위치한 촬영자가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동영상을 자동으로 촬영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온라인 매체에 배포할 수 있고,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촬영과 관련한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촬영 요청자가 검증된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REMOTE TEACHING VIDEO PHOTOGRAPHING AND PUBLISHING SYSTEM}
본 발명은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촬영 요청자가 진행하는 강의 등을 원격지에 위치한 촬영자가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자동으로 촬영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온라인 매체에 배포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촬영과 관련한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 요청자에게 검증된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영상 제작 방식에 따르면, 교실이나 스튜디오 등과 같은 특정한 장소에서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만나서 동영상 촬영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촬영을 위해 특정 시간에 오프라인상의 특정 장소에서 만나야 하기 때문에,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는 촬영과 관련한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동영상 촬영과 온라인 배포가 별도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기 때문에, 강사 등과 같은 촬영 요청자의 관점에서 시간적 및 비용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에게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 미비되어 있기 때문에,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거래 상대방을 찾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4957호(등록일자: 2008년 05월 28일, 명칭: 원격 촬영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촬영 방법)
본 발명은 촬영 요청자가 진행하는 강의 등을 원격지에 위치한 촬영자가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자동으로 촬영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온라인 매체에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촬영과 관련한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요청자가 검증된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은, IP 카메라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촬영 요청자 단말,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IP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자 단말 및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제어명령을 상기 IP 카메라로 송신하여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되는 동영상이 상기 촬영자 단말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을 통해 상기 촬영자와 상기 촬영 요청자에게 실시간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동영상을 확인한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보정명령을 상기 IP 카메라로 송신하여 상기 IP 카메라의 촬영 동작이 보정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예약정보를 상기 촬영자 단말로 푸쉬(push)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수락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자 일정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촬영자 일정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촬영 요청자 일정정보와 상기 촬영자 일정정보에 따라 스케쥴링 기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쥴링 기초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촬영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케쥴링 기초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촬영 요청자와 상기 촬영자의 촬영 실행 일정 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촬영 실행 일정 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촬영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한 촬영 요청자에게 과거 시점에 촬영 서비스를 제공한 촬영자들에 대한 촬영 요청자들의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에는 결제 요청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 승인정보를 상기 촬영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을 미리 지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IP 카메라로 전송하는 촬영 보정명령은, 상기 IP 카메라의 촬영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촬영범위 제어명령, 상기 IP 카메라의 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줌 제어명령, 상기 IP 카메라의 포커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포커싱 제어명령, 상기 동영상에 합성되는 상기 촬영 요청자의 음성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볼륨 조절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범위 제어명령은 상기 IP 카메라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자 단말에는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촬영범위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촬영범위 제어버튼, 상기 줌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줌 제어버튼, 상기 포커싱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포커싱 제어버튼, 상기 오디오 볼륨 조절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볼륨 조절버튼, 상기 촬영자의 음성을 상기 촬영 요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토크 백(Talk Back) 버튼 및 촬영 녹화 시간을 포함하는 요소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 또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을 통한 요청에 의해 상기 동영상에 대한 촬영이 일시 정지된 경우, 상기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 또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을 통한 요청에 의해 상기 동영상에 대한 촬영이 일시 정지된 이후 및/또는 상기 촬영자 단말의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토크 백(Talk Back)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촬영자 단말에 내장되어 있거나, 상기 촬영자 단말과는 독립된 별개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촬영자 단말과는 독립된 별개의 장치이고, 상기 IP 카메라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촬영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을 매개로 상기 IP 카메라와 통신하거나, 상기 IP 카메라와 직접 통신하거나, 상기 IP 카메라의 인근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를 매개로 상기 IP 카메라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상기 촬영자 또는 상기 촬영 요청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상기 촬영 요청자에 의해 편집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는 자막 정보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정보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대별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요청자가 진행하는 강의를 원격지에 위치한 촬영자가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자동으로 촬영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온라인 매체에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촬영과 관련한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요청자가 검증된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촬영자 단말에 제공되는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가 제작된 동영상을 배포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은, IP 카메라(10), 촬영 요청자 단말(20), 촬영자 단말(30) 및 서비스 서버(40)를 포함한다.
IP 카메라(10)는, 유무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촬영 동작에 대한 원격 제어 기능 및 영상 전송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이다. 예를 들어, IP 카메라(10)는 카메라 모듈, 디코더, 영상 압축 모듈, 네트워크 전송 모듈, 제어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 획득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영상 압축 모듈에 의해 압축된 이후, 네트워크 전송 모듈에 의해 원격지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P 카메라(10)는 촬영자 단말(30)에 내장되어 있거나, 촬영자 단말(30)과는 독립된 별개의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IP 카메라(10)가 촬영자 단말(30)과는 독립된 별개의 장치인 경우, IP 카메라(10)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자 단말(30)과 연결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자 단말(30)을 매개로 IP 카메라(10)와 통신하거나, IP 카메라(10)와 직접 통신하거나, IP 카메라(10)의 인근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를 매개로 IP 카메라(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촬영 요청자 단말(20)은, 촬영 요청 자의 단말로서, IP 카메라(10)와 유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요청자는 자신의 강의에 대한 촬영을 원하는 강사, 학원일 수 있으나, 촬영 요청자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 요청자가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 최소비용으로 편리하게 자신의 강의를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동영상을 자동으로 온라인 배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요청 자 단말 (20) 은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노트북, PC 등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촬영자 단말(30)은, 촬영자의 단말로서,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제어명령에 따라 IP 카메라(10)를 제어하여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촬영자는 촬영 요청자와의 온라인 계약에 따라 촬영 요청자의 강의를 촬영하는 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자는 아르바이트 등을 하는 자를 포함하여, 경력, 나이, 성별, 장소의 제한 없이 IP 카메라(10)를 통해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자 단말(30)은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노트북, PC 등과 같은 일반적인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촬영자 단말(30)에 제공되는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촬영자가 IP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하기 필요한 명령 입력 수단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명령 입력 수단은 촬영 범위 조절을 위해 IP 카메라(1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촬영범위 제어버튼, 줌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줌 제어버튼, 포커싱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포커싱 제어버튼, 오디오 볼륨 조절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볼륨 조절버튼, 촬영자의 음성을 촬영 요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토크 백(Talk Back) 버튼, 녹화 개시 및 녹화 일시 정지를 위한 명령 입력 버튼들 및 촬영 녹화 시간을 포함하는 요소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자 단말(30)이 터치 인식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디바이스인 경우, 촬영자는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명령 입력 수단들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촬영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제어명령을 IP 카메라(10)로 송신하여 IP 카메라(10)가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되는 동영상이 촬영자 단말(30)과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통해 촬영자와 촬영 요청자에게 실시간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촬영자 단말(30)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동영상을 확인한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보정명령을 IP 카메라(10)로 송신하여 IP 카메라(10)의 촬영 동작이 보정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가 IP 카메라(10)로 전송하는 촬영 보정명령은, IP 카메라(10)의 촬영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촬영범위 제어명령, IP 카메라(10)의 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줌 제어명령, IP 카메라(10)의 포커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포커싱 제어명령, 동영상에 합성되는 촬영 요청자의 음성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볼륨 조절명령을 포함할 수 있고, 촬영범위 제어명령은 IP 카메라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자 단말(30) 또는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통한 요청에 의해 동영상에 대한 촬영이 일시 정지된 경우,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촬영 요청자 단말(2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촬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가 촬영자 단말(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자 단말(30) 또는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통한 요청에 의해 동영상에 대한 촬영이 일시 정지된 이후 또는 촬영자 단말(30)의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토크 백(Talk Back)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촬영 요청자 단말(2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촬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가 촬영자 단말(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촬영자의 음성은 촬영 시작부터 촬영 종료까지 촬영 요청자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 간의 촬영 예약과 관련한 하나의 예로, 서비스 서버(40)는, 촬영 요청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예약정보를 촬영자 단말(30)로 푸쉬(push) 방식으로 전송하고,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수락정보를 촬영 요청자 단말(20)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 간의 촬영 예약과 관련한 다른 예로, 서비스 서버(40)는, 촬영 요청자 단말(20)로부터 촬영 요청자 일정정보를 전송받고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촬영자 일정정보를 전송받고, 촬영 요청자 일정정보와 촬영자 일정정보에 따라 스케쥴링 기초정보를 생성하고, 스케쥴링 기초정보를 촬영 요청자 단말(20)과 촬영자 단말(30)로 전송하고, 스케쥴링 기초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촬영 요청자 단말(20)과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의 촬영 실행 일정 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촬영 실행 일정 정보를 촬영 요청자 단말(20)과 촬영자 단말(30)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자 단말(30)을 통해 서비스 서버(4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한 촬영 요청자에게 과거 시점에 촬영 서비스를 제공한 촬영자들에 대한 촬영 요청자들의 평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평가 정보는 촬영자들이 과거에 수행한 촬영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기능을 하며, 우수한 촬영 품질을 원하는 촬영 요청자들은 이 평가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는, 평가 정보와 함께 촬영자가 등록한 희망 가격 정보, 촬영자가 동영상을 촬영한 횟수에 대한 정보 등을 촬영 요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 간의 촬영 예약과 관련한 하나의 예를 통해 설명한 바 있지만, 촬영 요청자가 일정을 등록하고, 촬영자가 이를 수락하고, 촬영 요청자가 다시 이를 수락한 이후, 정해진 일정에 따라 촬영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를 촬영 요청자 단말(20)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고,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에는 결제 요청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는, 촬영 요청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 승인정보를 촬영자 단말(30)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고, 촬영이 완료된 동영상을 미리 지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배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 요청자가 승인 및 결제를 한 이후, 배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어야만 배포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서비스 서버(40)가 제작된 동영상을 배포하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촬영자로부터 촬영완료승인을 요청받은 촬영 요청자가, 동영상에 대한 검수를 거쳐, 촬영완료를 승인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이 완료된 동영상을 촬영 요청자에 의해 미리 지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배포한다.
한편, 예를 들어, 촬영된 동영상은 촬영자 또는 촬영 요청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이 촬영 요청자에 의해 편집되는 경우, 동영상에는 자막 정보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 자막 정보는 동영상의 재생 시간대별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영상의 원격 촬영이 완료되는 경우, 동영상의 품질에 대한 촬영 요청자의 검수를 거쳐 동영상이 온라인 상에서 자동 배포되기 때문에, 동영상 촬영 및 배포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는, 촬영 요청자가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통해 서비스 서버(4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40)는 촬영 요청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촬영 요청자가 회원이 아닌 경우 회원에 비하여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서비스 서버(40)가 촬영 요청자 단말(20)로 촬영자 평가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평가 정보는 촬영자들이 과거에 수행한 촬영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기능을 하며, 우수한 촬영 품질을 원하는 촬영 요청자들은 이 평가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평가 정보를 활용하여 촬영자를 선택한 촬영 요청자가 촬영 요청자 단말(20)에 촬영 예약정보를 입력하고, 촬영 요청자 단말(20)이 이 촬영 예약정보를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30에서는, 촬영 요청자 단말(20)로부터 촬영 예약정보를 전송받은 서비스 서버(40)가 이 촬영 예약정보를 촬영자 단말(30)로 푸쉬(push)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 요청자가 촬영일정을 예약하면, 기등록된 모든 촬영자에게 푸쉬 알림이 제공될 수 있다. 촬영 요청건에 대해 촬영자는 한 명 혹은 다수가 될 수 있고, 다수일 경우에는 촬영자가 촬영 요청자를 지정 및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40에서는, 촬영자가 촬영자 단말(30)에 표시되는 촬영 예약정보를 확인한 이후, 촬영자 단말(30)에 촬영 수락정보를 입력하고, 촬영자 단말(30)이 이 촬영 수락정보를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50에서는,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촬영 수락정보를 전송받은 서비스 서버(40)가 이 촬영 수락정보를 촬영 요청자 단말(20)로 푸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50까지의 과정이 수행되면, 동영상 촬영과 관련한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 간의 계약이 완료된다. 즉, 단계 S150이 완료되면, 동영상 촬영 일정, 가격, 계약 당사자 등이 확정된다.
단계 S160, 단계 S170에서는, 서비스 서버(40)가, 정해진 동영상 촬영 일시에, 촬영 요청자 단말(20)과 촬영자 단말(30)로 촬영개시를 알리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80에서는, 촬영자가 촬영자 단말(30)에 IP 카메라(10)를 제어하여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190, 단계 S200에서는, 촬영자 단말(30)이 촬영자에 의해 입력된 촬영 제어명령을 서비스 서버(40)로 실시간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40)가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제어명령을 IP 카메라(1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10에서는, 서비스 서버(40)를 매개로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촬영 제어명령을 실시간 전송받은 IP 카메라(10)가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20에서는, IP 카메라(10)가 촬영되는 동영상을 근거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요청자 단말(2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단계 S230에서는, IP 카메라(10)가 촬영되는 동영상을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IP 카메라(10)와 서비스 서버(40) 간의 통신은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매개로 수행되거나,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행되거나, IP 카메라(10)의 인근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를 매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는, 서비스 서버(40)가 IP 카메라(10)로부터 전송받은 동영상을 촬영자 단말(3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50에서는, 촬영자가 촬영자 단말(30)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을 확인하고, 촬영 동작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촬영자 단말(30)에 IP 카메라(10)의 동작을 보정하는 촬영 보정명령을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촬영 보정명령은, IP 카메라(10)의 촬영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촬영범위 제어명령, IP 카메라(10)의 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줌 제어명령, IP 카메라(10)의 포커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포커싱 제어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60에서는, 촬영자 단말(30)이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보정명령을 서비스 서버(4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단계 S270에서는, 서비스 서버(40)가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보정명령을 IP 카메라(1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280에서는, 서비스 서버(40)를 매개로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촬영 보정명령을 실시간 전송받은 IP 카메라(10)의 촬영 동작이 보정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촬영 보정명령에 따라, IP 카메라(10)의 촬영범위, 줌 동작, 포커싱 동작 등이 조정될 수 있다.
단계 S290에서는, IP 카메라(10)가 촬영 보정명령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을 근거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촬영 요청자 단말(2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단계 S300에서는, IP 카메라(10)가 촬영 보정명령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을 서비스 서버(4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IP 카메라(10)와 서비스 서버(40) 간의 통신은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매개로 수행되거나, 촬영 요청자 단말(20)을 거치지 않고 직접 수행되거나, IP 카메라(10)의 인근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를 매개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는, 서비스 서버(40)가 IP 카메라(1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보정명령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을 촬영자 단말(3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20에서는, 동영상 촬영을 완료하였다고 잠정 판단한 촬영자가 촬영 요청자에게 촬영완료를 승인받기 위하여, 촬영자 단말(30)에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30에서는, 촬영자 단말(30)이 촬영자에 의해 입력된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를 서비스 서버(4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단계 S340에서는, 서비스 서버(40)가 촬영자 단말(3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를 촬영 요청자 단말(20)로 실시간 푸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50에서는, 촬영자가 촬영된 동영상을 검수하고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촬영자의 촬영완료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촬영 요청자 단말(20)에 촬영완료 승인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60에서는, 촬영 요청자 단말(20)이 촬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촬영완료 승인정보를 서비스 서버(40)로 실시간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단계 S370에서는, 서비스 서버(40)가 촬영 요청자 단말(20)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 승인정보를 촬영자 단말(30)로 실시간 푸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80에서는, 촬영 요청자 단말(20)로부터 촬영완료 승인정보를 전송받은 서비스 서버(40)가 촬영이 완료된 동영상을 촬영 요청자에 의해 미리 지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배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촬영자로부터 촬영완료승인을 요청받은 촬영 요청자가, 동영상에 대한 검수를 거쳐, 촬영완료를 승인하는 경우, 서비스 서버(40)는, 촬영이 완료된 동영상을 촬영 요청자에 의해 미리 지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배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영상의 원격 촬영이 완료되는 경우, 동영상의 품질에 대한 촬영 요청자의 검수를 거쳐 동영상이 온라인 상에서 자동 배포되기 때문에, 동영상 촬영 및 배포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즉, 배포 여부는 촬영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촬영 요청자가 배포 여부를 결정한다. 배포 시점에 대한 예약도 사전 등록할 수 있다. 단, 촬영자로부터의 승인 요청에 대해 수락 및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 한하여, 동영상이 배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영 요청자가 진행하는 강의를 원격지에 위치한 촬영자가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자동으로 촬영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온라인 매체에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요청자와 촬영자가 촬영과 관련한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촬영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 요청자가 검증된 촬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IP 카메라
20: 촬영 요청자 단말
30: 촬영자 단말
40: 서비스 서버

Claims (16)

  1.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으로서,
    IP 카메라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촬영 요청자 단말;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IP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자 단말; 및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제어명령을 상기 IP 카메라로 송신하여 상기 IP 카메라가 상기 촬영 요청자의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되는 동영상이 상기 촬영자 단말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을 통해 상기 촬영자와 상기 촬영 요청자에게 실시간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자 단말을 통해 실시간 제공되는 동영상을 확인한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촬영 보정명령을 상기 IP 카메라로 송신하여 상기 IP 카메라의 촬영 동작이 보정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부터 촬영 요청자 일정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촬영자 일정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촬영 요청자 일정정보와 상기 촬영자 일정정보에 따라 스케쥴링 기초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쥴링 기초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촬영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스케쥴링 기초정보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촬영 요청자와 상기 촬영자의 촬영 실행 일정 정보를 확정하고, 확정된 촬영 실행 일정 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과 상기 촬영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IP 카메라로 전송하는 촬영 보정명령은, 상기 IP 카메라의 촬영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촬영범위 제어명령, 상기 IP 카메라의 줌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줌 제어명령, 상기 IP 카메라의 포커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포커싱 제어명령, 상기 동영상에 합성되는 상기 촬영 요청자의 음성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볼륨 조절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범위 제어명령은 상기 IP 카메라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자 단말에 표시되는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촬영범위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촬영범위 제어버튼, 상기 줌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줌 제어버튼, 상기 포커싱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포커싱 제어버튼, 상기 오디오 볼륨 조절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볼륨 조절버튼, 상기 촬영자의 음성을 상기 촬영 요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토크 백(Talk Back) 버튼 및 촬영 녹화 시간을 포함하는 요소가 표시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 또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을 통한 요청에 의해 상기 동영상에 대한 촬영이 일시 정지된 이후, 상기 촬영자 단말의 촬영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토크 백(Talk Back)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촬영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촬영 요청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가 상기 촬영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예약정보를 상기 촬영자 단말로 푸쉬(push)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 수락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을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한 촬영 요청자에게 과거 시점에 촬영 서비스를 제공한 촬영자들에 대한 촬영 요청자들의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를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촬영완료승인 요청정보에는 결제 요청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 요청자 단말로부터 전송받은 촬영완료 승인정보를 상기 촬영자 단말로 푸쉬 방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동영상을 미리 지정되어 등록되어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해 배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촬영자 단말에 내장되어 있거나, 상기 촬영자 단말과는 독립된 별개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촬영자 단말과는 독립된 별개의 장치이고,
    상기 IP 카메라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촬영자 단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영자 단말을 매개로 상기 IP 카메라와 통신하거나, 상기 IP 카메라와 직접 통신하거나, 상기 IP 카메라의 인근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를 매개로 상기 IP 카메라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은 상기 촬영자 또는 상기 촬영 요청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상기 촬영 요청자에 의해 편집되는 경우, 상기 동영상에는 자막 정보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정보는 상기 동영상의 재생 시간대별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KR1020160179450A 2016-12-26 2016-12-26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KR101843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450A KR101843920B1 (ko) 2016-12-26 2016-12-26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450A KR101843920B1 (ko) 2016-12-26 2016-12-26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920B1 true KR101843920B1 (ko) 2018-03-30

Family

ID=6190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450A KR101843920B1 (ko) 2016-12-26 2016-12-26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080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씨아이디아우토 중고매물 판매 동영상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WO2022225230A1 (ko) * 2021-04-22 2022-10-27 강명철 위치 기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와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4451A (ja) * 2001-06-13 2002-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カメラサービス方法
JP2004297363A (ja) * 2003-03-26 2004-10-21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遠隔撮影システム
JP2008217831A (ja) * 2001-03-27 2008-09-18 Nikon Corp 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方法、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サービス用プログラム
JP2013192029A (ja) * 2012-03-14 2013-09-26 Renesas Mobile Corp 撮影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取得システム
KR101344062B1 (ko) * 2013-07-22 2013-12-24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인터넷 및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ip 카메라 접속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7831A (ja) * 2001-03-27 2008-09-18 Nikon Corp 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方法、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サービス用プログラム
JP2002374451A (ja) * 2001-06-13 2002-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カメラサービス方法
JP2004297363A (ja) * 2003-03-26 2004-10-21 Toshiba Plant Systems & Services Corp 遠隔撮影システム
JP2013192029A (ja) * 2012-03-14 2013-09-26 Renesas Mobile Corp 撮影機能を有する携帯端末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取得システム
KR101344062B1 (ko) * 2013-07-22 2013-12-24 한국씨앤오테크 주식회사 인터넷 및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ip 카메라 접속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080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씨아이디아우토 중고매물 판매 동영상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KR102142150B1 (ko) * 2018-07-24 2020-08-06 주식회사 씨아이디아우토 중고매물 판매 동영상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WO2022225230A1 (ko) * 2021-04-22 2022-10-27 강명철 위치 기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와 실시간 영상 공유가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실시간 영상 공유 플랫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121B1 (ko) 무선 멀티-레코더 시스템
JP6192940B2 (ja) 撮影機器及び連携撮影方法
WO2017067121A1 (zh) 一种拍摄方法、装置、系统及一种移动终端
JP2015186021A (ja) 撮影機器、撮像観察機器、画像比較表示方法、画像比較表示プログラム及び画像比較表示システム
KR101843920B1 (ko) 동영상 원격 제작 및 배포 시스템
KR102071948B1 (ko)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 및 하프 미러 셀프 사진 촬영 시스템을 이용한 심리 상담 방법
JP2014154905A (ja) 撮像装置、遠隔操作端末、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遠隔操作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124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239826B2 (ja) 画像配信装置、画像配信システム、画像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01980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通信方法
JP2021064886A (ja) 被写体撮影システム、被写体撮影方法、および被写体撮影プログラム
JP7288641B1 (ja) 遠隔撮影システム及び遠隔撮影方法
JP2003046814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撮影システム
JP2019068408A (ja) サーバ装置、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66768A (ja) 撮影支援システム
JP6412222B2 (ja) 撮影機器、連携撮影方法及び連携撮影プログラム
KR20170020391A (ko) 사용자의 능동적 이용이 가능한 방송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2025915A (zh) 数字拍摄设备以及控制该设备的方法
JP201715795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29531B2 (ja) 画像共有システム及び画像共有方法
JP2009147497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
KR101983023B1 (ko) 행사방송 장치
JP2002262138A (ja) 撮像システム、テレビ会議システム、監視システムおよび撮像機能を有した情報端末機器
JP2022092747A (ja) 表示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画像処理装置
JP2024065683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