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877B1 - 배출구 장치, 기본체 및 그 배출구 본체 - Google Patents

배출구 장치, 기본체 및 그 배출구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877B1
KR101842877B1 KR1020130108054A KR20130108054A KR101842877B1 KR 101842877 B1 KR101842877 B1 KR 101842877B1 KR 1020130108054 A KR1020130108054 A KR 1020130108054A KR 20130108054 A KR20130108054 A KR 20130108054A KR 101842877 B1 KR101842877 B1 KR 10184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liquid
channel
basic
bas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831A (ko
Inventor
스테판 암브러스트
요아힘 브라트너
울리흐 킨레
휴버트 무스만
Original Assignee
한스그로에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그로에 에스이 filed Critical 한스그로에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4003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1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 E03C1/0402Fixing a tap to the sanitary appliance or to an associated mounting surface, e.g. a countertop with mounting from only on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03C1/0407Spouts for unpressurized outflow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transversally slidable locking member surrounding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6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using a socket for mounting of fauc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9464Faucets and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Valve Housing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장치, 특히 위생 장치에 대한 것이다. 배출구 장치는 액체 공급원에 연결된 기본체 및 이 기본체에 연결된 배출구 본체를 포함한다. 배출구 본체는 기본체로부터 제거가능한 액체 저장기로 디자인된다. 배출구 본체는 예를 들어 위생 기술분야에서 세면대 및 싱크대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출구 장치, 기본체 및 그 배출구 본체{Outlet fitting, basic body and outlet body therefor}
본 발명은 공급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세면기 또는 싱크대 같은 위생적인 배출구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액체 공급체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체를 갖는 기본체, 이 기본체에 연결된 배출구 본체, 대응하는 기본체 및 대응하는 배출구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같은 배출구 장치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배출구 본체 및 기본체에 대한 것이다.
배출구 장치들은 연관된 물공급 장치에서 세면기, 싱크대(sink unit) 등으로 공급되는 냉수 그리고/온수를 제공하기 위해 특히 위생적인 기술 분야에 흔히 사용된다. 전형적으로, 기본체는 고정 수단 및 물공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데, 고정 수단은 세면기 또는 싱크대 같이 사용처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 수단이고, 물공급 제어 수단은 이중-핸들 꼭지, 단일-레버 꼭지, 또는 온도조절기로 디자인된 혼합 및 차단(shut-off) 밸브 같이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전통적으로 배출구 본체는 원피스로 기본체에 붙어있고 관 모양 배출구 포트를 형성한다. 특히 싱크대와 함께 이것은 또한, 배출구 본체를 기본체로부터 늘일수 있는 호스부에 의해 기본체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플러그-인 연결체에 의해 배출구 본체의 외부 하우징부를 기본체에 해제가능하게 부착하고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배출구 본체는 그 출력 입과 함께 사실상 전체 싱크대 영역에 직접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배출구 장치들에 의해 분배된 액체가 원거리의 지점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액체가 저장되는 경우에, 전통적으로 컵, 항아리, 물병 같은 용기가 필요하였는데, 이 용기는 배출구 본체의 입 아래에 액체를 저장함으로써 배출구 장치에서 액체로 채워진다. 가정용에서는 예를 들어 물이 조리 냄비, 커피 머신 등으로 이동되고 마시기 위해 신선한 물이 디캔터(decanter)에 채워진다.
본 발명은 특히 위생기술분야에서의 배출구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적 문제에 기초한 것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출구 장치에 비해서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고, 배출구 장치에 사용되기에 적절한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를 제공한다.
적어도 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에 나타난 문제는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제1항의 배출구 장치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될 수 있고, 일 실시 예에서 이 같은 배출구 장치에 사용되는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장치에서, 배출구 본체는 액체 저장기로 디자인된다. 즉, 배출구 본체는 액체 배출을 위한 배출구 입을 갖는 액체-수용 챔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배출구 본체는 기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즉,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가 탈착가능한 연결체를 통해 서로 결합하여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제거된 후 재부착될 수 있다.
기본체가 액체 공급원에 연결되고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에 부착할 때,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배출구 본체로 특히 액체 수용 챔버로의 액체 공급을 위한 연결 통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장치로 인해, 배출구 본체는 따라서 기본체의 위치에서 액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액체로 채워질 수 있는 액체 저장기이고 기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것에 의해서 원하는 사용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장치 덕분에 액체 저장을 위한 추가적인 용기가 필요치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기 장치는 예를 들면 세면대 또는 싱크대와 같은 특히 위생적인 배출구 장치이다.
본 발명의 진보에 있어서,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 사이의 탈착가능한 연결체는 플러그-인 연결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에 결합할 수 있고 간단하고 신속하게 기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관련된 플러그-인 수단은 배출구 본체의 바닥면에 그리고 기본체의 꼭대기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 본체의 바닥면은 기본체의 꼭대기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이 배출구 본체의 플러그-인 연결체를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기본체에 고정(lock)시키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체로부터 배출구 본체가 의도하지 않게 제거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진보에 있어서, 유체 연결체는 배출구 본체의 액체-수용 챔버내로 유체를 이끄는 유체 유입 채널을 배출구 본체에 구비하고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액체-수용 챔버로부터 액체의 유출에 대항해 유입 채널을 차단하는 자동 유출 차단기를 포함한다. 이는,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유입 채널을 통해서 액체-수용 챔버 밖으로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반면, 유출 차단기는,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에 부착되었을 때, 액체 공급체로부터 액체-수용 챔버 내로 액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입 채널의 차단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진보에 있어서, 액체를 액체 공급체로부터 배출구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 연결체는 기본체에 제공된 자동 차단 밸브를 포함하며, 이 차단 밸브는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해제 위치로 유지되고,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차단 위치로 유지된다.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에 있지 않을 때, 혼합 밸브와 같이 상향 흐름 액체 공급 제어 요소가 부주의로 개방되었을 때조차, 차단 밸브가 차단 위치로 유지되는 경우는 기본체로부터 액체가 원치않게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진보에 있어서, 액체를 액체 공급체로부터 배출구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 연결체는 원심성 소용돌이가 생성되면서 액체를 액체-수용 챔버로 도입시키기 위한 소용돌이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른 이점은 예를 들어 액체-수용 챔버를 위한 대응하는 원심성 충진 특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소용돌이 수단은 유입 채널 또는 액체-수용 챔버의 입구 영역에 마련된 흐름-방향 설정체를 포함한다. 흐름-방향 설정체는 주요 구성이 챔버 길이 방향에 횡단하여 달리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입구 개구부 그리고/또는 흐름-방향 설정 플랜지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방향 설정 슬롯을 포함하는데, 흐름-방향 설정 플랜지는 챔버 길이 방향에 횡단하여 챔버에서 신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흐름-방향 설정 슬롯은 유입 채널 섹션에서 유입-채널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달린다. 이들은 원하는 소용돌이를 갖는 액체를 챔버내로 도입하는데 유리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진보에 있어서, 유입 채널로 개구하는 공기-흡입 채널이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기가 흡입 효과에 의해서 이끌려서 액체-수용 챔버에 도입될 액체에 혼합된다.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에 결합할 때, 필요에 따라 공기-흡입 채널이 추가로 액체-수용 챔버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채널로 디자인될 수 있다. 이는 액체가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 동안 액체-수용 챔버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본 발명의 진보에서 액체-수용 챔버의 바닥 영역에서 나와서 기본체 내로 신장하는 유입 채널과 떨어진 배출 채널에 의해서 달성되며, 각각의 배출 채널이 유입 채널에서 분기하며, 액체 압력 제어에 의해 유입 채널에 대해 밸브가 자동으로 배출 채널을 차단 및 해제한다. 배출 채널은 예를 들어 관련된 세면대 또는 싱크 유닛의 배수구 내로 개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본체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본체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기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액체 저장기로 작용하는 배출구 본체를 포함하는 유용한 배출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실린더형 액체-수용 챔버 및 협곡모양 출구 입을 갖는 기본체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된 배출구 본체를 포함하는 단일-레버 혼합 밸브형의 배출구 장치의 투시도이고;
도 2는 지지 베이스 위에 놓인 도 1의 본체에 비교해서 변경된 디자인의 배출구 본체의 종단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출구 본체의 하부에 대한 상세 종단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유형에 따른 배출구 본체 위에 배치된 도 1의 유형에 따른 기본체의 종단도이고;
도 5는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 사이의 전이 구역에서 도 4의 변형에 대한 상세 종단도이고;
도 6은 도 5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 내지 도 5의 배출구 본체에 적용된 밸브 및 흐름-방향 설정체의 투시도이고;
도 8은 도 5와 유사하게, 배출구 장치의 일 변형에 있어서,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 사이의 전이 구역에 대한 종단도이고;
도 9는 중앙 배출 채널을 포함하는 배출구 장치의 일 변형에 있어서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 사이의 전이 구역에 대한 종단도이고;
도 10은 또 다른 배출구 장치의 변형에 있어서 배출구 본체 위에 배치된 기본체의 종단도이다.
도 1의 배출구 장치(outlet fitting)는 예를 들어 세면대 장치(washbasin fitting) 또는 싱크대 장치(sink fitting)에서 급수를 세면대 또는 싱크 유닛 위쪽으로 배출하는데 적합하다. 배출구 장치는 기본체(basic body, 1)와 단일-레버 혼합 밸브(10)를 포함한다. 기본체(1)는 통상적인 방법으로(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지 않음) 물 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체를 구비한다. 단일-레버 혼합 밸브(10)는 통상적인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출구 본체(outlet body, 3)가 탈착가능한 연결체(2)를 통해서 실린더형 기본체(1)의 상부 끝단면 위에 배치된다. 탈착가능한 연결체(2)로 인해서, 배출구 본체(3)는 기본체(1)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다시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탈착가능한 연결체(2)는 한편으로는 배출구 본체(3)의 바닥면 위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본체(1)의 상부 끝단면 위에 대응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플러그-인(plug-i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배출구 본체(3)는 액체-수용 챔버(liquid-receiving chamber, 3a) 및 배출구 입(outlet mouth, 3b)를 포함하는 액체 저장기로 디자인되는 데, 배출구 입(3b)은 챔버(3a) 밖으로 액체를 전달하는데 쓰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챔버(3a)는 실린더형 기본체(1)와 정렬된 실린더로서 기본체(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며, 협곡형상 배출구 입(3b)은 실린더 챔버(3a)의 상단부(upper section)로부터 이어져 아래쪽으로 약간 기울어지면 신장한다.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로부터 탈착가능하고 액체-수용 챔버(3b)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디자인되기 때문에, 배출구 본체(3)는 물 수송 용기로 유용하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 위에 결합할 때, 챔버(3a)는 단일-레버 혼합 밸브(10)의 작동에 의해서 물로 채워지고, 그 이후에 배출구 본체(3)는 기본체(1)로부터 제거되어 챔버(3a)에 저정된 물을 원하는 지역으로 수송하고 그곳에서 물은 필요에 따라 배출구 입(3b)을 통해서 배출된다.
도 2는 변형된 디자인의 배출구 본체(3)를 도시하며, 더 쉬운 이해를 위해서 여기서 그리고 이후부터 동일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 및 또한 기능적으로 균등한 구성에 사용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배출구 본체(3)는 액체-수용 챔버(3a) 부분에서 다소 볼록하게 확장되었고, 위쪽의 인접 섹션에서 연속하여 아래로 약간 기울어진 배출구 입(3b)으로 이어지며, 이때, 그 다면은 원형의 챔버(3a) 단면에서 타원형의 배출구 입(3b) 단면으로 변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배출구 본체(3)는 탈착가능하게 지지 베이스(support base, 4) 위에 배치되는 데, 이것에 의해서 배출구 본체(3)는, 기본체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테이블 같은 평탄한 면 위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 본체(3)는 예를 들어 테이블 주전자(table pot)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구 본체(3)는 탈착가능한 연결체(2)에 의해서 지지 베이스(4)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 연결체(2)는 기본체(1) 및 배출구 본체(3)의 연결체에 대응하며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배출구 본체(3)를 경유해 대응하는 기본체에 또는 선택적으로 도 2에 따른 지지 베이스에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배출구 본체(3) 측에 연결 수단을 제공하는 연결 구역부(connection zone, 5)의 예시적인 디자인을 도시한다. 더 나아가 연결 구역부(5)는 또한 배출구 본체(3) 및 기본체 사이에 필요한 연결 통로를 제공하기 위해 배출구 본체 측에 요구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기본체(1) 및 단일-레버 혼합 밸브(10) 그리고 그 위에 배치된 배출구 본체(3)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종단면도로서, 단지 그 하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기본체(1) 및 배출구 본체(3) 사이의 연결 또는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구역부(5)는 액밀(fluid-tight) 방식으로 배출구 본체(3)의 바닥 구멍 내로 삽입되는 실린더형 연결 블록 본체(5a)를 포함하고, 중앙 홀(hole, 8)을 구비하는데, 이 홀(8)에 밸브 본체(valve body, 7)가 배치된다. 밸브 본체(7)는 배출구 본체(3)의 장축(9)과 일치하는 동일한 장축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머리 구역부(head zone, 7a)에서 원뿔형으로 넓어지고 거기서 밸브좌(valve seat)로 작용하는 중앙 홀(8)의 원뿔형 확대부(8a)와 부합한다. 발 구역부(foot zone)에서 족부(foot part, 7b)는 밸브체(7)에 나사체결되고 스트로크 제한(stroke limitation)을 위해서 중앙 홀(8)의 하부 확대부(8b)에 안내된다.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 밸브 본체(7)는, 경우에 따라 액체-수용 챔버(3a)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 및 중력으로 인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끝단 위치를 밀봉한다. 배출구 본체(3)를 기본체(1) 위에 올려 놓으면, 밸브 본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끝단 위치에서 위쪽으로 밀려지고 해제 위치(release position)로 된다. 이에 따라, 기본체(1)가 그 액체 공급원에 연결되면, 액체를 액체 공급원으로부터 액체-수용 챔버(3a)로 제공하기 위한 유체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혼합 밸브(10)를 개방함으로써, 액체-수용 챔버(3a)는 물로 채워지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들에서, 공급원에서 제공된 물은 혼합 밸브(10)의 카트리지(11)의 카트리지 챔버 안으로 들어가고, 거기에서 기본체(1)에 마련된 차단 밸브의 환형 밸브 채널(12)을 통해서 배출구 본체(3) 근처에서 환형 간극(annular gap)에 의해 형성된 특히 연결 구역부(5)에서 연결 블록 본체(5a)의 중앙 홀(8)에서 밸브 본체(7)에 의해서 남겨진 유입 채널(13)로 이동한다. 밸브 본체(7)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에 부착되었을 때 액체를 액체-수용 챔버(3a)로 공급하기 위해서 채널을 해제하고(releas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로부터 제거된 경우에 액체가 액체-수용 챔버(3a)로부터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한다는 점에서, 유입 채널(13)에 대한 자동 유출 차단기(outflow barrier)이다.
기본체에 마련된 차단 밸브는 밸브 원추체(valve cone, 14) 및 부합하는 밸브좌(15)를 포함한다. 밸브 원추체(14)는 배출구 본체(3)의 장축과 동일한 장축을 갖도록 배치되고 미리 정의가능한 밸브 스트로크로 장축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다.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밸브 본체(7) 및 밸브 본체(14) 모두는 각각의 해제 위치(release position)로 강제된다. 즉, 배출구 본체 밸브 본체(7)는 상부 끝단 위치에 있고 기본체 밸브 원추체(14)는 하부 끝단 위치에 있다.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로부터 제거되고 혼합 밸브(10)를 통한 액체 공급이 부주의로 막히거나 또는 나중에 부주의로 열릴 때, 카트리지 챔버(14)에 존재하는 수압은 밸브 원추체(14)를 위쪽으로 밸브좌(15) 까지 밀고 밸브 채널(12)을 닫는다. 그 결과, 배출구 본체가 기본체(1)로부터 제거되고 유체 압력(수압)이 존재할 때, 밸브 원추체(14) 및 관련된 밸브좌(15)는 차단 위치를 담당하는 자동 차단 밸브를 형성하며, 따라서 부주의로 혼합 밸브(10)를 활성화하여 물이 기본체(1)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기본체(1)와 배출구 본체(3)의 연결은 해제가능한 플러그-인 연결이며, 여기서 배출구 본체(3)의 연결 블록 본체(5a)가 기본체(1)의 상부 끝단면에 있는 대응하는 함몰부(recess) 또는 리셉터클(receptacle) 내로/내에서 삽입/분리된다. 기본체(1) 위로의 배출구 본체(3)의 플러그-온 및 플러그-온 상태로의 유지는 해제가능한 플러그-인 연결을 고정(locking)하기 위한 고정 수단에 의해 안전하게 보장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 수단은 스냅 고리(snap ring, 16) 및 대응하는 스냅-인 홈(snap-in groove, 17)을 포함한다. 스냅 고리(16)는 가로면(transversal plane)에 배치되고 기본체(1)에서 사전 정의가능한 스냅-인 이동(travel)으로 가로(수평) 방향(transverse direction)으로 이동가능하고, 스냅-인 홈(17)은 배출구 본체(3)의 연결 블록 본체(5a)의 외주면 위에 위치한다. 가로(수평) 이동 방향에서, 스랩 고리(16)는 대응하는 기본체(1)의 구멍을 통과해 신장하고 기본체(1)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한 구동 러그(actuating lug, 16a)를 일 측에 구비한다. 기본체(1)에 영향을 주는(bearing on) 반대의 압력 스프링(18) 에 의해서, 스냅 고리(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위치(locking position)에 유지되며 여기서 배출구 본체(3)의 연결 블록 본체(5a)의 스냅-인 홈(17)에 내부 림(rim)에 의해서 어느 정도의 주변각(peripheral angle) 이상으로 체결된다. 플러그-인 연결의 고정 해제(unlocking)를 위해서, 사용자는 기본체(1)로부터 돌출한 러그(16a) 위의 스냅 고리(16)를 바이어스 스프링(bias spring,18)에 대항해서 스냅-인 홈(17) 밖으로 나오게 밀며, 배출구 본체(3)는 기본체(1)로부터 위쪽으로 제거될 수 있다. 스냅 고리(16)의 이동은 스냅 고리(16)에 형성된 반대하는 두 쌍(19a, 19b)의 긴 구멍 슬롯들 및 긴 구멍 슬롯들에 체결된 기본체(1)의 안내 핀들에 의해서 안내된다.
그 상부가 개방된 배출구 본체(3)를 채우는 동안, 최대로 개방된 혼합 밸브(10)로도 상부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물을 챔버(3a)로 도입할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하나의 옵션은, 이는 추가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챔버(3a) 내로 원심성 소용돌이(centrifugal vortex) 흐름의 물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물공급 연결 통로는 적절한 소용돌이 수단을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소용돌이 수단은 밸브 본체(7)의 적절한 구조적 디자인에 의해 구현된다. 이를 위해서, 밸브 본체(7)는 축의 대략 중앙 섹션에 형성된 환형 칼라(annular collar, 7c)를 포함하며, 이 환형 칼라(7c)에는 축 및 주변 구성에 대해 경사지게 신장하는 다수의 채널 슬롯(20)이 구비된다. 아래에서 축방향으로 유입 채널(13)로 들어가는 물은 나선형 소용돌이 운동으로 안내된다. 밸브 본체(7)의 머리 구역부(7a)는 방사상 말단 환형 플랜지(7b)가 구비되는데, 유입 채널(13)로부터 액체-수용 챔버(3a) 내로 들어가면서 나선형 소용돌이 운동으로 안내되는 물이 아래로부터 방사상 말단 환형 플랜지(7b)에 대해 흐른다. 이로써, 물의 축방향 흐름 성분이 더 편향되어 수평 운동(transverse motion)으로 되고 대응하는 물 압력으로 물이 가로면에서 원심형 소용돌이로서 액체-수용 챔버(3a)로 흐르고, 챔버(3a)로부터 위쪽으로의 분무(upward splashing) 없이 아래로부터 챔버를 채운다. 또한, 챔버(3a) 내로의 소용돌이형 물 유입은 광학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특별히 배출구 본체(3)의 벽이 유리 또는 다른 투명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더 그러하다.
소용돌이 가시성(visibility)은 챔버(3a)로 도입된 물이 흡입된 공기와 혼합되는 점에서 더 향상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 그 같은 조처는 추가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공기 흡입 및 혼합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구 본체(3)의 연결 블록 본체(5a)는 다수의 공기 흡입 홀(21)을 구비하는데, 이 공기 흡입 홀(21)은 한편으로는 밸브 본체(7)의 밸브좌(8a) 영역에서 유입 채널(13) 안으로 끝이 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본체(1)에 제공된 공기 흡입 채널(22) 안으로 끝이 나는데, 여기서 공기 흡입 채널(22)은 기본체(1)의 외주측 공기 흡입 구멍(22a)에 출력을 갖는다. 유입 채널(13)에서 액체-수용 챔버(3a)를 채우는 물이 위쪽으로 흐를 때, 공기는 흡입 효과에 의해서 공기 흡입 채널들(21, 22)을 통해서 끌리고 물과 함께 들어가서 혼합된다. 압력 조건으로 인해서, 벤츄리 효과는 물이 흡입 채널들(21, 22)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 위에 안착하고 있는 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장치로부터의 물 출력을 위해 동작한다. 물공급이 중단되면, 물은 당분간 액체-수용 챔버(3a)에 머무른다. 많은 경우에, 물이 너무 오랜 시간 동안 머무르지 않고 서서히 배출(dranin)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a)로부터의 물이 공기 흡입 채널들(21, 22)을 경유해서 배출된다는 점에서, 이 배출(drarin)은 혼합 밸브(10)를 닫은 후에 야기될 수 있다. 거기서부터, 세면기/싱크 유닛의 통에 도달할 수 있고 또는 관련된 세면기/싱크 배수 내로 직접적으로 인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가 공기 흡입채널(22)에서 통상적인 세면기 또는 싱크 배수(미도시)로 인도하는 기본체(1)의 배수 채널(23) 형태로 도 4의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기본체 주면의 배수 채널(23)로부터 출력되는 가로 홀(24)은 경우에 따라서 배수 채널(23)에서 올라오는 오수가 기본체(1)로부터 빠져나와 세면기/싱크로 다시 돌아가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가로 홀(24)은 추가적으로 공기 흡입 홀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연결 블록 본체(5a) 및 기본체(1)의 관련된 수용 공동(cavity)는 실린더형으로서, 배출구 본체(3)가 임의의 회전 위치로 기본체(1) 위에 플러그-인 될 수 있고 또한 기본체(1)에 대한 플러그-인 위치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한 연결 블록 본체(5a)가 배출구 본체(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며, 예를 들어 세척을 위해서, 챔버(3a)의 하우징(housing) 벽이 적어도 몇몇 회전 위치에서 연결 블록 본체(5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 블록 본체(5a)는 기본체(1) 위에서 고정된 플러그-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7의 배출구 장치에 대한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하며, 동일한 참조번호가 기능적으로 균등한 요소에 사용되었고, 이와 관련하여는 도 2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관련된 상술한 설명이 참조 된다.
도 8의 변형예는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다르며, 주로 유입 채널(13)을 위해 변형된 밸브 본체(7')를 사용하는 점에서 다르다. 밸브 본체(7')의 환형 홈에 삽입된 고무 밀봉 부재(25)는 여기서 유출 차단기로 작용하며, 이동가능한 밀봉 고리 립(ring lip, 25a)이 일체로(integrally) 밀봉 부재로 성형되고, 위쪽의 립으로부터 작용하는 반대 수압이 확산 되고 유입 채널(13)의 빈틈없는 장벽을 형성하는 한편 밀봉 립(25a)이 아래로부터의 압력에 관련되고 실링 부재에 영향을 주어(bear onto) 이로써 유입 채널(13)을 해제하거나 또는 밸브 본체(7')의 환형 홈 내로 강제적으로 밀리는 방식으로 방사 방향 및 축 방향에서 돌출한다. 따라서, 고무 밀봉 부재(25)는 배압(back-pressure) 밸브를 형성하여 배출구 본체(3)의 액체-수용 챔버(3a) 안으로 물공급이 가능하게 하고 반면 유입 채널(13)을 경유한 챔버(3a)의 배출을 방지하는데, 특히 배출구 본체(3)가 기본체(1)로부터 제거될 때 그러하다.
또한, 도 8에 따른 배출구 장치는 원심형 소용돌이 물을 챔버(3a)에 도입하는 소용돌이 생성 수단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8의 장치로 소용돌이 효과를 위해서, 밸브 본체(7')는 그 머리 끝단에서 가로 플랜지(7'a)로 끝이 나며, 플랜지의 바닥면에는 적절한 흐름-방향설정 프로파일(26)이 제공되고, 흐름 채널 홀(27)들이 그 프로파일에 제공되어 유입 채널(13)로부터 챔버(3a) 안으로 연결된다. 흐름-방향설정 프로파일(26) 및 흐름 채널 홀(27)들은, 유입 채널(13)에서 축 방향 위쪽으로 흐르는 물이 가로 신장 원심성 소용돌이로 편향되어 그래서 밸브 본체(7')의 상부면 위의 챔버(3a) 내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7의 배출구 장치에 대한 여러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변형예들에서, 트로프(trough)-형태 소용돌이 본체(28)가 연결 블록 본체(5a)에 부착되며, 소용돌이 본체(28)는 대략 액체-수용 챔버(3a)의 측벽까지 방사상으로 신장하는 상부 가로 환형 플랜지(28a)를 구비하여 개입된 밀봉 고리로 챔버(3a)의 바닥벽에서 개구를 액밀 방식으로 닫는다. 소용돌이 본체(28)에는 트로프 바닥 근처에서 다수의 주변 유입 구멍(29)이 구비되고, 이 유입 구멍(29)들은 가로면에서 트로프 측벽을 경사지게 가로지르며, 즉, 방사 성분 및 원주 성분이다. 이 같은 방식으로, 유입 채널(13)에서 축 방향으로 위쪽으로의 흐르는 물은 유입 홀(29)들을 통해 인도되어 가로면에 위치하는 소용돌이 흐름으로 편향된다. 원심성 소용돌이 흐름은, 물이 소용돌이 본체(28)로부터 빠져나와 원심성 소용돌이 흐름으로 챔버(3a)를 채울 때까지, 통(트로프) 바닥에서 위쪽으로 전파된다.
또한, 도 9에 따른 배출구 장치에는 직접 배출 채널(30)이 구비되는데, 이 채널(30)은 대응하는 아래 방향으로 나있고 기본체(1)에서 배출 홀(31)들에 합쳐지는 대응하는 개구가 구비된 소용돌이 본체(28)의 트로프 바닥으로부터 배출구 본체 장축9)을 따라 중앙에서 이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3a) 내로 도입된 물이 원심성 소용돌이로 소용돌이 본체(38)의 트로프 측벽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챔버(3a)를 채우는 동안 중앙의 배출 채널(30)에서 우려할 만한 양의 물이 아래로 흐르지 않는다. 물공급이 차단되면, 배출 본체(3)가 기본체(1) 위에 있을 때 배출구 본체(3)에 너무 오래도록 머무르지 않도록 물은 배출 채널(30)을 경유해서 챔버(3a)로부터 느리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출구 장치를 도시하는데, 동일한 참조번호가 기능적으로 균등한 요소를 위해 사용되었고,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설명이 참조 된다. 도 9의 변형예와 비슷하게, 배출구 본체(3)는 항아리(pot)-형태 소용돌이 본체(28)를 구비하며 이는 적절하게 구성된 연결 블록 본체(5a) 위의 챔버(3a)의 바닥 구멍에 유지된다. 도 10에 따른 소용돌이 본체(28)는 도 9의 소용돌이 본체와 관련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고 소용돌이를 위해 소용돌이 발생 흐름 채널(29)이 하부 항아리 측벽 영역에 구비된다.
도 10의 배출구 장치에서, 배출 채널(32)이 방사상 연결 통로(33)를 경유하여 유입 채널(13)을 빠져나오는 대응하는 홀에 의해서 기본체(1)에 제공된다. 차단 밸브는 연결 통로(33)에 연관되어 액체 압력 제어하에서 자동적인 차단 및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차단 밸브는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본체(1)의 대응하는 중앙 홀(35)에 배치된 "U"자 환형 밸브 본체(34)를 갖는다. 도 10에서 밸브 본체(34)는 하부 끝단 위치에 보이며, 여기서 밸브 본체(34)는 유입 채널(13)에 대한 배출 채널(32)의 연결 통로(33)를 해제하고, 이로부터 상부 끝단 위치로 밀려지며, 그곳에서 유입 채널(13) 및 배출 채널(32) 사이의 연결 통로(33)를 차단한다.
배출구 본체(3)가 물로 채워질 때,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아래에서부터 기본체(1)의 연결 채널(37)로 들어가고 유입 채널(13)로 위쪽 방향으로 흐르고 이어서 소용돌이 본체(28)의 항아리를 경유해서 원심성 소용돌이 흐름으로 챔버(3a) 안으로 흐른다. 그렇게 함으로써, 밸브 본체(34)는 수압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받고 상부 끝단 위치에 유지되어 배출 채널(32)이 차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공급이 중단되고 수압이 진정되면, 밸브 본체(34)는 힘을 받아 그 하부 끝단 위치로 되고 배출 채널(32)에 대한 유입 채널(13)의 연결 통로(33)를 해제한다. 따라서, 액체-수용 챔버(3a)에 저장된 물은 점차로 유입 채널(13)로 환류하고 이어서 배출 채널(32)을 경유하여 배수 예를 들어 세면기/싱크로 배수된다. 선택적으로, 차단 밸브는, 수압이 연결 채널(37)에 존재할 때 하지만 배출구 본체(3)는 기본체(1)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유입 채널(13)이 연결 채널(37)에 대해서 차단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 명확하듯이, 본 발명은 기본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액체 저장기로 작용하는 배출구 본체를 포함하는 유용한 배출구 장치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그에 따라 디자인된 기본체 및 그에 따라 별개로 디자인된 배출구 본체를 제공하는데, 배출구 본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 및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다른 다자인의 배출구 본체들이 특정 기본체를 위해 디자인될 수 있고, 특정 배출구 본체가 다른 디자인의 기본체들 위에 배치돌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대체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체 실시예들은 전문적 대체 수단들의 사용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설명을 한 플러그-인 연결 대신에 기본체 및 배출구 본체 사이의 다른 탈착가능한(해제가능한) 연결들이 예를 들어 나사 및 바이요넷(bayonet) 연결이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공급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세면기 또는 싱크대의 배출구 장치로서,
    상기 배출구 장치는:
    액체 공급원에 연결되는 기본체; 그리고,
    상기 기본체에 연결되며, 공급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본체는, 상기 기본체로부터 제거 가능하며 액체가 이동할 수 있는 액체 저장기로 형성되며, 플러그-인 연결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상기 기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플러그-인 연결은, 상기 배출구 본체의 바닥면 위에 그리고 상기 기본체의 상부면 위에 플러그-인 수단을 포함하는 배출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탈착가능한 상기 플러그-인 연결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배출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원에서 상기 배출구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통로는 상기 배출구 본체에 배치된 유입 채널 및 자동 유출 차단기를 포함하며,
    유입 채널은 상기 배출구 본체의 액체-수용 챔버로 이어지고,
    자동 유출 차단기는 상기 배출구 본체가 상기 기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액체-수용 챔버에서 빠져나오는 액체에 대해서 상기 유입 채널을 차단하고, 상기 배출구 본체가 상기 기본체 위에 결합했을 때 액체를 상기 액체-수용 챔버로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유입 채널의 차단을 해제하는 배출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액체를 상기 액체 공급원에서 상기 배출구 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유체 연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연결체는 상기 기본체에 제공된 자동 차단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 차단 밸브는 상기 배출구 본체가 상기 기본체에 결합하고 있을 때, 해제 위치로 유지되고, 상기 배출구 본체가 상기 기본체에서 제거되었을 때 차단-위치가 되는 배출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원에서 상기 배출구 본체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연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체 연결체는 원심성 소용돌이를 형성하면서 액체를 배출구 본체의 액체-수용 챔버 안으로 제공하기 위한 소용돌이 수단을 구비하는 배출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용돌이 수단은 상기 액체-수용 챔버의 입구 영역 또는 상기 배출구 본체에 배치된 유입 채널의 상향 흐름에 마련된 흐름-방향설정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흐름-방향설정 본체는:
    주요 부분이 챔버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달리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입구 개구부 그리고/또는,
    챔버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신장하는 흐름-방향설정 플랜지, 그리고/또는
    상기 액체-수용 챔버의 유입 채널 상향 흐름 내로 돌출한 부분 위에 유입-채널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달리는 적어도 하나의 흐름-방향결정 슬롯을 포함하는 배출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채널 내로 개구하는 공기-흡입 채널을 더 포함하는 배출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본체가 상기 기본체에 결합했을 때, 액체를 상기 배출구 본체의 액체-수용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채널은 유입 채널로부터 개별적으로 상기 액체-수용 챔버의 바닥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기본체 안으로 신장하는 배출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본체가 상기 기본체에 결합했을 때, 액체를 상기 배출구 본체의 액체-수용 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채널은 유입 채널로부터 신장하고 밸브가 상기 배출 채널에 구비되고, 상기 밸브는 액체 압력 제어 하에서 상기 유입 채널에 관련하여 상기 배출 채널을 차단하고 해제하는 배출구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따른 배출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기본체.
  14. 제1항에 따른 배출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배출구 본체.

KR1020130108054A 2012-09-14 2013-09-09 배출구 장치, 기본체 및 그 배출구 본체 KR101842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6428.6A DE102012216428B4 (de) 2012-09-14 2012-09-14 Sanitäre Waschtisch- oder Spültisch-Auslaufarmatur
DE102012216428.6 2012-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831A KR20140035831A (ko) 2014-03-24
KR101842877B1 true KR101842877B1 (ko) 2018-05-14

Family

ID=4903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054A KR101842877B1 (ko) 2012-09-14 2013-09-09 배출구 장치, 기본체 및 그 배출구 본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290918B2 (ko)
EP (1) EP2708664B1 (ko)
JP (1) JP6359813B2 (ko)
KR (1) KR101842877B1 (ko)
CN (1) CN103669512B (ko)
AR (1) AR092511A1 (ko)
BR (1) BR102013023565B8 (ko)
DE (1) DE102012216428B4 (ko)
MX (1) MX340818B (ko)
RU (1) RU2640358C2 (ko)
TW (1) TWI612201B (ko)
ZA (1) ZA2013068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5505A1 (de) 2016-04-04 2017-10-05 Hansgrohe Se Sanitäre Auslaufarmatur
CN105840838B (zh) * 2016-05-23 2018-05-15 厦门建霖健康家居股份有限公司 节水龙头及其制作方法
DE202017006740U1 (de) * 2017-02-20 2018-04-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luzente Armatur
DE102020114523A1 (de) 2020-05-29 2021-12-02 Grohe Ag Befestigungselement für eine Sanitärarmatur, Sanitärarmatur mit einem Befestig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r Sanitärarmatur an einem Träg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4448A1 (de) * 2005-02-10 2006-08-17 Judo Wasseraufbereitung Gmbh Sanitärarmatur mit auswechselbarer einheit
WO2007124931A1 (de) 2006-05-03 2007-11-08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Adaptervorrichtung für eine wassermischkartusch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7583A (en) * 1922-05-30 Lavatoby fixture
JPS5274519U (ko) * 1975-12-01 1977-06-03
US4625780A (en) * 1983-03-22 1986-12-02 Burnham Craig C Vortex connector
US5413152C1 (en) * 1991-10-07 2001-11-13 Oasis Corp Bottle cap and valve assembly for a bottled water station
JPH0978641A (ja) * 1995-09-08 1997-03-25 Mitsuyoshi Morimae ユニット蓋、その蓋を含む容器及びその容器を含む非常用貯水システム
US6161228A (en) * 1997-10-21 2000-12-19 Aseptico, Incorporated Portable sink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6368503B1 (en) * 1999-06-29 2002-04-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ltered fluid dispensing system
USD444860S1 (en) * 2000-04-05 2001-07-10 Kohler Co. Spout
US6611972B2 (en) * 2001-11-09 2003-09-02 Spang & Company Sink with foldable faucet assembly and multiple-purpose support structure
DE202004006464U1 (de) * 2003-10-17 2004-12-02 Maier, Eduard Wassersparhahn für Wasserarmaturen im Haushaltsbereich
DE202004009285U1 (de) * 2004-06-11 2004-09-09 Bischop, Rainer Gießkanne mit stetigem und regelbarem Wassereinlauf
DE102004056074A1 (de) * 2004-11-15 2006-05-18 Hansgrohe Ag Strahlaustrittselement für Sanitärarmaturen
US20060201561A1 (en) * 2005-03-11 2006-09-14 Clift Richard D Spout for providing tranquil fluid flow
IES20060165A2 (en) * 2006-03-06 2007-05-16 Charles Russell Drinking vess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DE102007040495A1 (de) * 2007-08-21 2009-02-26 Hansgrohe Ag Sanitärarmatur
CN104905631B (zh) * 2008-05-20 2017-07-11 格里南实业公司 流体输送组件及流体输送方法
US8777182B2 (en) * 2008-05-20 2014-07-15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WO2011106259A1 (en) * 2010-02-26 2011-09-01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Llc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KR20110124879A (ko) * 2010-05-12 2011-11-18 박완규 물 조절 수도꼭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4448A1 (de) * 2005-02-10 2006-08-17 Judo Wasseraufbereitung Gmbh Sanitärarmatur mit auswechselbarer einheit
WO2007124931A1 (de) 2006-05-03 2007-11-08 Masco Corporation Of Indiana Adaptervorrichtung für eine wassermischkartus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69512B (zh) 2017-01-11
JP2014058346A (ja) 2014-04-03
US20140076442A1 (en) 2014-03-20
EP2708664B1 (de) 2023-02-15
MX2013010522A (es) 2014-04-02
CN103669512A (zh) 2014-03-26
BR102013023565B1 (pt) 2020-12-29
AR092511A1 (es) 2015-04-22
RU2013141075A (ru) 2015-03-20
JP6359813B2 (ja) 2018-07-18
BR102013023565A2 (pt) 2015-06-30
BR102013023565B8 (pt) 2021-03-16
MX340818B (es) 2016-07-26
DE102012216428B4 (de) 2017-09-28
RU2640358C2 (ru) 2017-12-28
DE102012216428A1 (de) 2014-05-28
ZA201306861B (en) 2014-06-25
TWI612201B (zh) 2018-01-21
EP2708664A1 (de) 2014-03-19
KR20140035831A (ko) 2014-03-24
TW201425695A (zh) 2014-07-01
US9290918B2 (en)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877B1 (ko) 배출구 장치, 기본체 및 그 배출구 본체
RU2596015C2 (ru) Вставка для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я писсуара
US9016333B2 (en) Bottom fill kitchen sink feature
KR100439432B1 (ko) 이중마개용 물통지지분배장치
CA3050399C (en) Vessel rinsing apparatus
CN100577932C (zh) 卫生用排水装置
US20210052131A1 (en) Vessel rinsing apparatus, drain receptacle, interchangeable nozzle assembly, and faucet system including same
EA003654B1 (ru) Кофеварка со встрое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одачи пара
DK2108751T3 (en) Drain faucet for bathtubs and shower cubicles with flooring
JP6216701B2 (ja) ペット用循環型自動給水器
KR101832848B1 (ko) 샤워기용 화장수 공급 장치
US20120167296A1 (en) Urinal drain trap
RU2671904C2 (ru)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збивания молока в пену
CN100420414C (zh) 洗涤平台
CA2747302A1 (en) A potty
WO2016184950A1 (en) Insert for water distribution in a toilet bowl
JP6758595B2 (ja) 衛生設備機器
CZ9802008A3 (cs) Vydávací hlava pro nádobu na kapaliny
MX2013007922A (es) Dispositivo de drenaje automatico.
WO2008031431A1 (en) An exchangeable faucet or fitting
CN109431347B (zh) 一种缓释机构和浴缸
US20110095057A1 (en) Draw-off valve for a drinks reservoir, as well as a drinks reservoir provided with a draw-off valve of this type
JP2015145563A (ja) 捕集部材を備えた排水口構造
KR200381098Y1 (ko) 냉온수기용 기능성 물병마개
JPH0634457Y2 (ja) 芳香洗浄液滴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