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999B1 -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상태 정보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상태 정보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999B1
KR101840999B1 KR1020120032216A KR20120032216A KR101840999B1 KR 101840999 B1 KR101840999 B1 KR 101840999B1 KR 1020120032216 A KR1020120032216 A KR 1020120032216A KR 20120032216 A KR20120032216 A KR 20120032216A KR 101840999 B1 KR101840999 B1 KR 10184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audio
audio processing
graph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2168A (ko
Inventor
앤디 브라운
필립 손라이트너
로베르트 후베르
보외른 쇠뢴센
데트레프 마이에르
Original Assignee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르만 인터내셔날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12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 장치(10)는 복수의 소스(2, 3)로부터의 오디오 신호(7, 8)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처리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2, 3)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6)와,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복수의 오디오 채널 중 하나에 각각 할당되는 복수의 그룹(21-28)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광학 출력 기기(11)를 포함한다. 제어 기기(12)는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한 그룹(21-28)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62, 63)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21-28)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29)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상태 정보 출력 방법{AUDIO PROCESSING APP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소스로부터 나온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위한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상태 정보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그래픽이 표시될 수 있는 광학 출력 기기를 가지는 오디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는 오디오 믹싱 콘솔 또는 복합형 오디오/비디오 처리 장치가 있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 복수 개의 소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는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복수 개의 오디오 채널에서 처리될 수 있고 신호 믹싱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용될 수 있는 처리 기술은 복수 개의 오디오 신호의 필터링, 증폭, 결합 또는 오버-블렌딩(over-blending)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오디오 믹싱 콘솔은 광범위한 신호 연산 및 그러한 연산을 위한 파라미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잡한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오디오 채널을 통한 신호 처리를 위한 세팅값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 요소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그래픽 표시 기기를 갖는 광학 출력 장치를 사용하여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처리 세팅에 대한 광학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마이크로폰과 같은 다양한 음향 소스의 경우, 오디오 처리 장치 외부에 제공되는 이러한 장치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오퍼레이터에게는 중요한 값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퍼레이터는 무선 마이크로폰의 배터리 상태의 정보, 라디오 주파수(RF) 신호 강도의 정보, 마이크로폰에 설정된 무음 상태의 정보 또는 무선 마이크로폰에서 오디오 레벨의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의 세팅을 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의 상태 정보가 전용의 외부 컴퓨터에 의해 수집된 후 해당 컴퓨터의 화면에 출력되면, 오퍼레이터는 컴퓨터 상의 데이터 출력과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장치를 통한 데이터 출력을 적절히 연관시키는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의 오디오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치를 여러 오디오 처리 채널 중 하나에 자유롭게 할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오디오 처리 장치에 의해 출력된 정보와 별도의 컴퓨터 상에 나타낸 정보를 적절히 결합시키는 추가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요구 사항 중 일부에 대처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존재한다. 특히, 외부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오디오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태 정보와 오디오 믹싱 테이블의 내부 세팅에 대한 정보를 쉽게 결합시켜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부 소스의 상태의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존재한다.
이러한 요구는 독립 청구항에 기술된 오디오 처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대처된다. 종속 청구항은 실시예를 정의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해당 오디오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채널에 대한 세팅을 조정하는 조정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 개의 입력부와 해당 복수 개의 입력부와 구별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광학 출력 기기를 포함한다. 각각의 그룹은 복수 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오디오 채널 중 하나에 각각 할당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광학 출력 기기에는 제어 기기가 결합된다. 제어 기기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한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는 외부 소스에 관한 상태 정보가 광학 출력 기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나의 그룹 또는 여러 그룹을 선택한다. 상기 광학 출력 기기 상에 상기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위치는 상기 상태 데이터가 관련된 소스에 따라 제어된다. 오디오 처리 장치에 외부 소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오퍼레이터가 오디오 처리 장치에 대해 문제 해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보조한다. 제어 기기는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이 다양한 오디오 채널에 할당된 그룹 중 하나에서 출력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동일한 오디오 채널에 관한 다른 데이터와 동시에 그에 인접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것은 상태 정보를 잘못 해석할 위험을 줄여준다.
상기 소스는 무선 마이크로폰과 같은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소스와 오디오 처리 장치를 연결하는 유선 연결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오디오 신호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신호와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오디오 신호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허브 장치로의 유선 연결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허브 장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디오 신호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제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제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상기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이, 각각의 음향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처리되는 오디오 채널을 위한 처리 세팅을 나타내는 다른 그래픽 정보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이 오디오 패널을 위한 처리 세팅을 나타내는 다른 그래픽 정보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그룹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새로운 상태 데이터가 수신될 때 해당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을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해당 오디오 처리 장치와 소스 사이에 유선 연결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해당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소스의 상태가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소스의 배터리 레벨, 소스가 허브 장치나 오디오 처리 장치에 설치되는 라디오 주파수 수신기에 대해 상대 변위됨에 따라 변하는 소스의 라디오 주파수 필드 세기 또는 소스에 설정되는 소스 무음 상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오디오 처리가 수행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정상 동작시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전용 화면이나 메뉴 옵션을 활성화할 필요없이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처리 장치와 해당 오디오 처리 장치 외부의 다른 장치를 인터페이싱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의 장치로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소스 또는 소스와 오디오 처리 장치 사이로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허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수신된 상태 데이터로부터 소스 식별자를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스 식별자는 복수의 소스 중 하나의 소스를 독창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소스 식별자를 기초로 해당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제공되는 오디오 채널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식별된 오디오 채널을 기초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각각의 소스로부터의 신호가 처리되는 오디오 채널과 관련된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소스의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소스의 상태 정보가 관련된 오디오 채널을 바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소스의 상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제1 매핑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매핑 데이터는 소스 식별자와 각각의 입력부 사이의 매핑을 정의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제1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오디오 채널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매핑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 정의된 구성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매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어 기기는 주어진 소스 식별자를 갖는 소스가 연결된 입력부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는 복수의 입력부와 각각의 오디오 채널 사이의 매핑을 정의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제1 매핑 데이터, 제2 매핑 데이터 및 소스 식별자를 기초로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처리되는 오디오 채널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매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시, 여러 입력부에 신호가 수신되는 오디오 채널에 대한 사용자 정의된 세팅 정의가 고려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매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진행중인 동작 중에 입력부와 오디오 채널 간의 매핑시 사용자 정의된 조정이 고려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제2 매핑 데이터의 변형 여부를 결정하고, 제2 매핑 데이터가 변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제공되는 다른 채널을 선택적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에 대한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입력부와 오디오 채널 간의 매핑을 변형할 때 자동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제2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오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복수의 오디오 채널 중 하나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음향 프로세서로서 동작하며, 각각의 오디오 채널은 제2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선택된다.
제어 기기는 오디오 처리 세팅을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채널에 대한 오디오 처리 세팅에 관한 그래픽과 각각의 오디오 채널에 대해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소스에 대한 상태 정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메모리에 기록된 소스 상태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새로운 상태 데이터의 수신시 제어 기기가 소스 식별자를 검색하여 각각의 소스 식별자에 관한 소스 상태 기록의 일부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갱신되는 소스 상태 기록을 기초로, 소스의 상태에 관한 그래픽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상태가 변하는 경우에만 상태 데이터가 오디오 처리 장치로 전송되는 것이 필요하다.
광학 출력 기기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작동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작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 출력 기기는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출력 기기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작동 신호를 기초로,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광학 출력 기기가 외부 소스의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작동을 감지할 때 외부 소스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는 광학 출력 기기가 외부 소스의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작동을 감지할 때,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확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소스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는 전체 모드와 해당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확대 모드에서, 제어 기기는 각각의 소스의 상태를 정의하는 수치적 파라미터값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수치값은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아이콘과 같은 다른 그래픽 정보에 추가적으로 또는 그를 대신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것은 상태 데이터가 이더넷 기반의 프로토콜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는 각각 소스 식별자와 각각의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는 소스의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및 소스 무음 상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파라미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오디오 믹싱 콘솔 또는 조합형 오디오/비디오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디지털 오디오 믹싱 콘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이 제공된다.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위한 복수의 소스와 임의의 일 측면 또는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복수의 소스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복수의 입력부에 결합되어 해당 입력부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복수의 소스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결합되어 해당 인터페이스에 상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에서,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각각 오디오 처리 장치의 내부 동작에 관한 다른 정보와 동시에 그래픽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것은 오퍼레이터가 오디오 처리 세팅에 대한 정보와 함께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소스는 해당 소스의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그룹의 파라미터값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그룹은 소스에 설정된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및 소스 무음 상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소스가 파라미터값 중 하나의 값의 변화를 검출하면, 소스는 그 상태 데이터를 오디오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리포팅" 데이터 전달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로 전달되는 것이 필요한 데이터 양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에서의 상태 데이터는 검출된 변화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갱신된다.
모든 소스가 상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로 상태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일부의 소스가 존재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제어 기기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태 정보의 출력을 지원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에 결합된 소스를 자동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의 소스는 오디오 처리 장치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은 복수의 소스와 오디오 처리 장치에 결합된 허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허브 장치를 통해 오디오 처리 장치의 입력부에 제공될 수 있다. 허브 장치는 오디오 신호의 예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일례로 허브 장치는 오디오 신호의 예비 증폭을 담당할 수 있다.
허브 장치가 제공되면, 모든 소스가 허브 장치에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오디오 처리 장치에 직접 결합될 수 있는 소정의 소스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소스가 하나의 허브 장치를 통해 오디오 처리 장치에 결합되고 다른 소스는 다른 허브 장치를 통해 오디오 처리 장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허브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허브 장치는 해당 허브 장치에 결합된 소스 중 각각의 소스에 대한 미리 정해진 그룹의 파라미터값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파라미터값 중 하나에 변화가 감지되면 소스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그룹은 소스에 설정된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및 소스 무음 상태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 장치에서의 소스 상태 데이터가 검출된 변화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갱신되는 리포팅 메커니즘이 실시된다. 오디오 처리 장치로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 양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이거나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폰은 무선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허브 장치와 복수의 소스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하고 허브 장치와 복수의 소스 사이에서 명령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복수의 오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복수의 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다.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이 결정된다.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는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에 대한 오디오 처리 세팅을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에 할당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그룹에 동시에 출력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오디오 처리 장치 외부에 제공되는 소스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오디오 처리 장치에서 광학 출력 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은 상태 정보가 각각의 채널에 특정 할당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그룹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 장치의 동작시 상태 정보가 잘못 인지될 수 있는 위험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오디오 믹싱 장치 또는 임의의 측면 또는 실시예의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작동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이 감지되면, 소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확대된 화면이 광학 출력 기기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수신된 상태 데이터는 소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소스 식별자를 기초로, 소스 식별자와 각각의 입력부 사이의 매핑을 정의하는 제1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그리고 복수의 입력부와 각각의 오디오 채널 사이의 매핑을 정의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특징과 하기에 설명되는 특징은 나타낸 각각의 조합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이나 별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판독한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 참조 번호는 유사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오디오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처리 장치에서의 오디오 처리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매핑 데이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그래픽의 표현이다.
도 5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은 오디오 시스템(1)의 개략도이다. 오디오 시스템(1)은 복수의 소스(2, 3)와 오디오 처리 장치(10)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 장치(10)는 오디오 믹싱 콘솔, 조합형 오디오/비디오 처리 장치, 디지털 오디오 믹싱 콘솔 또는 유사 장치일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1)은 허브 장치(4)를 또한 포함한다. 허브 장치(4)는 하나 이상의 소스(2, 3)를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1)은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추가의 소스(도 1에는 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소스도 허브 장치(4)를 통해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스 모두 또는 일부가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소스(2, 3)는 무선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소스(2, 3)는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소스(2, 3)는 오디오 신호와 상태 데이터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는 자체로 공급된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오디오 처리 세팅에 따라 처리되는 복수의 채널을 가진다. 동작 처리의 예로는 오디오 신호의 필터링, 증폭, 결합 또는 오버-블렌딩이나 이러한 동작의 임의의 조합이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는 광학 출력 기기, 제어 기기(12), 메모리(13),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입력부(14, 15),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 장치(10)는 추가의 광학 출력 기기(31)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광학 출력 기기(31)는 조합형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가의 광학 출력 기기(31)는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파라미터 세팅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요소(33, 34)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인터페이스에는 오디오 처리의 파라미터를 직접 조정하기 위한 추가의 기계적 조정 요소(도 1에 도시 생략)가 제공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다양한 구성 성분은 하나의 하우징 내에 조합될 수 있다. 소스(2, 3)와 허브(4)는 하우징 외부에 제공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16)는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하우징 외부에 제공되는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기기(12)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일군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 기기(12)는 광학 출력 기기(11)와 추가의 광학 출력 기기(31)를 통한 그래픽의 출력을 제어하는데 작용한다. 제어 기기(12)는 복수의 오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음향 프로세서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는 사용자 정의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를 위한 파라미터 세팅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를 통해 또는 다른 조정 요소(도 1에 도시 생략)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광학 출력 기기(11)는 그래픽 디스플레이이거나 복수의 소형의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출력 기기(11)는 그룹을 이루어 복수의 그룹(21-28)을 형성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각각 하나의 그룹(21-28)은 각각 하나의 오디오 채널에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21)은 제1 오디오 채널에, 그룹(22)은 제2 오디오 채널 등에 할당될 수 있다. 결합되어 그룹을 이루는 서로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거나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어 기기(12)는 오디오 신호가 공급되는 활성 채널에 할당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그룹(21-28)에서, 각각의 채널에 대한 파라미터 세팅을 나타내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11)를 제어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각각의 채널에 대해 활성화할 수 있는 가능한 세팅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그룹에서 출력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그래픽이 보여지는 그룹(21-28)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된 그래픽이 어떤 채널과 관련이 있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제어 기기(12)는 외부 소스(2, 3)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그룹(21-28)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11)를 추가로 제어한다. 오디오 처리 장치(10)에서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소스의 경우, 상태 데이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제어 기기(12)로 제공된다. 제어 기기(12)가 외부 소스(2, 3)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태 데이터로서 수신하는 경우, 제어 기기는 각각의 소스(2, 3)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채널 중 어떤 한 채널에서 처리되는지를 결정한다. 제어 기기(12)는 외부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이 각각의 오디오 채널에 할당된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11)를 제어한다. 외부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은 각각의 오디오 채널에 대한 파라미터 세팅을 나타내는 그래픽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외부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패릭은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은 각각의 소스(2, 3)의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및 소스 무음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제한적이 아닌 예시로써, 외부 소스(2, 3)가 오디오 신호를 입력부(14)에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로폰이고, 입력부(14)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제3 오디오 채널에서 처리된다면, 제어 기기(12)는 외부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이 제3 오디오 채널에 연관된 그룹(23)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한다. 그러면 외부 소스(2)의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및 소스 무음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그래픽이 그룹(23)에 포함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29)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룹(23)은 외부 소스(2)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라우팅되는 제3 오디오 채널에 관련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16)에 수신된 상태 데이터는 소스(2, 3) 중 하나를 식별하는 고유의 소스 식별자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식별자 외에, 상태 데이터는 각각의 소스의 상태를 설명하는 파라미터 값을 포함한다. 상태를 기술하는 파라미터 값은 소스에 설정된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및 소스 무음 상태 중 하나 이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는 각각의 소스에 대해 각각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 또는 데이터 패킷일 수 있다. 소스 식별자는 장치 어드레스 코드, 고유 장치명 또는 다른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상태 데이터의 수신시, 제어 기기(12)는 상태 데이터로부터 고유 소스 식별자를 검색하고 해당 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각각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채널 중 어떤 하나에서 처리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소스 식별자를 오디오 채널에 매핑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구조가 메모리(13)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3)는 RAM, ROM, 하드 드라이브, CD-R/W, DVD,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각각의 소스에 대해 각각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처리 장치로 입력되는 입력부(14, 15)를 특정하는 제1 매핑 데이터(17)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매핑 데이터(17)는 사용자가 오디오 처리 장치(10)를 구성할 때 생성될 수 있다. 구성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어 기기(12)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6)를 통한 통신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연결된 소스를 자동 검지할 수 있다. 이후 소스의 이름이 출력되고, 각각의 소스에 대해 해당 소스가 연결된 입력부를 지시하는 사용자 동작이 수신될 수 있다. 제1 매핑 데이터는 소스와 오디오 처리 장치(10) 간의 연결이 예컨대 새로운 소스의 추가로 인해 변경된 경우에만 변형될 필요가 있다.
메모리(13)는 각각 하나의 입력부(14, 15)에 대해 각각의 입력부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처리되는 오디오 채널을 특정하는 제2 매핑 데이터(18)를 저장할 수 있다. 패칭(patching)이라고도 하는 오디오 채널로의 입력부의 할당이 사용자 정의된 방식으로 재차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의 조정 요소(33, 34)를 사용하거나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다른 조정 요소(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오디오 채널 중 하나에 입력부를 할당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가 디지털 인터페이스(16)에 수신되면, 제어 기기(12)는 제1 매핑 데이터 및 제2 매핑 데이터와 함께 고유의 소스 식별자를 사용하여 해당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처리되는 오디오 채널을 식별할 수 있다. 해당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이 이후 각각의 그룹(21-28)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제어 기기(12)는 소스 상태 기록(19)을 메모리(13)에 유지할 수 있다. 소스 상태 기록(19)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0)를 통한 상태 정보의 출력을 지원하는 각각 하나의 소스에 대해 파라미터 값이 기록된다. 파라미터 값은 각각의 소스에 대한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및 소스 무음 상태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소스 무음 상태"와 "오디오 레벨"은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내부 파라미터에 관한 것이 아니라 외부 소스에 의해 공급되는 상태 데이터에 관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소스 데이터의 수신시, 제어 기기(12)는 소스 상태 기록(19)을 갱신한다. 이를 위해, 제어 기기(12)는 상태 데이터로부터 소스 식별자를 검색하여 해당 소스 식별자를 기초로 소스 상태 기록(19) 중 어떤 부분이 변형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소스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소스가 아닌 소스에 관한 소스 상태 기록(19)의 부분은 갱신되지 않는다. 제어 기기(12)는 상태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소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여 소스 상태 기록(19)의 대응하는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덮어쓸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동작시, 무선 마이크로폰일 수 있는 소스(2, 3)는 오디오 신호를 허브 장치(4)에 제공한다. 오디오 신호는 소스(2, 3)로부터 허브 장치(4)로 무선 전송될 수 있다. 허브 장치(4)는 오디오 신호의 예비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오디오 처리 장치(1)로의 전송을 위해 특히 소스(2, 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허브 장치(4)가 소스(2, 3)로부터 오디오 신호와 상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허브 장치는 상태 정보를 상태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및/또는 오디오 신호의 D/A 변환을 행할 수 있다. 허브 장치(4)가 소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오디오 처리 장치(10)가 오디오 신호를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경우, 허브 장치(4)는 오디오 신호의 A/D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 장치(4)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입력부(14, 15)로 제공한다. 입력부(14, 15)는 아날로그 입력부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를 해당 입력부에 제공하기 위해 각각 하나의 입력부(14, 15)에 연결된 지점간(point-to-point) 연결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허브 장치(4)는 버스에 의해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복수의 입력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입력부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동작시, 제어 데이터(5)는 허브 장치(4)와 소스(2)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소스(2)로부터 허브 장치(4)로 전송된 제어 데이터는 소스(2)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허브 장치(4)는 소스(2)로부터의 파라미터 값을 질의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6)는 허브 장치(4)와 소스(3)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소스(3)로부터 허브 장치(4)로 전송된 제어 데이터는 소스(3)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허브 장치(4)는 소스(3)로부터의 파라미터 값을 질의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9)는 허브 장치(4)와 디지털 인터페이스(16)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지털 인터페이스(16)는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제어 인터페이스이다. 제어 데이터(9)는 유선 연결 장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지털 인터페이스(16)는 무선 제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허브 장치(4)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2 또는 3)에 대한 파라미터 값이 변할 때 상태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16)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 장치(4)는 소스에 대한 소스 식별자와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엔티티(entity), 예컨대 이더넷 프레임 또는 다른 데이터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2)의 배터리 레벨이 변하면, 허브 장치(4)는 소스(2)에 대한 소스 식별자와 적어도 배터리 레벨에 대한 새로운 값을 포함하는 상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 패킷은 소스(2)에서의 RF 신호 강도 또는 오디오 레벨이 변할 때 생성될 수 있다. 허브 장치(4) 또는 각각의 소스 자체는 한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는 파라미터 값의 변화가 한계값을 초과하면 생성되어 오디오 처리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기기(12)가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 기기는 그에 따라 소스 상태 기록(19)을 갱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기기(12)는 각각의 소스의 새로운 상태에 대응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출력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상태, RF 신호 강도 또는 오디오 레벨이 변하면, 배터리 상태, RF 신호 강도 또는 오디오 레벨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변형되어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반영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6)를 통해 허브 장치(4)로 제어 명령을 보낼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소스를 검지하는데 사용되는 질의 명령 또는 킵 어라이브 메커니즘(keep alive mechanism)에 사용되는 질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 장치(4)와 디지털 인터페이스(16) 사이의 데이터 전송은 이더넷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적당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디지털 인터페이스(16)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허브 장치(4)는 디지털 인터페이스(16)에 연결된 이더넷 인터페이스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0)에서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소정의 소스 장치가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직접 연결되면, 소스 장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도 가질 수 있다.
제어 기기(12)는 상태가 변하는 경우는 물론, 다른 이벤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된 상태 정보를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은 오퍼레이터가 입력부(14, 15)와 오디오 채널 간의 매핑을 변형시킬 때 그룹(21-28) 중 다른 하나의 그룹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오퍼레이터가 주어진 입력부가 패칭되는 다른 오디오 채널을 선택할 때, 제2 매핑 데이터(18)가 그에 따라 변형된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에 대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그룹(21-28)은 해당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다른 채널에서 처리되는 것을 반영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기기(12)는 상태 정보가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출력되는 영역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태 정보의 출력은 전체 모드(overview mode)와 확대 모드(enlarged view) 사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전체 모드에서, 제어 기기(2)는 주어진 소스에 대한 상태 정보가 관련 그룹(23)에서 영역(29)과 같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 중 하나에만 디스플레이되도록 광학 출력 기기(11)를 제어할 수 있다. 확대 모드에서, 상태 정보는 광학 출력 기기(11)의 추가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이나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보여질 수 있다. 이것은 상태 정보가 추가로 상세하게 출력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배터리 레벨 또는 라디오 주파수를 나타내는 수치 값 및/또는 확대된 그래픽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32, 35)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확대 모드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광학 출력 기기(11)는 이러한 다양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활성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 출력 기기(11)는 터치 감지식 또는 근접 감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태 정보가 전체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29)을 작동시킬 때, 제어 기기(12)는 확대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2는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의해 수행되는 오디오 처리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제어 기기(12)는 음향 프로세서로서도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복수의 입력부(41)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로 입력된다. 패치 기능(42)은 입력부("i")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채널("j")로 공급하는 크로스-바의 역할을 한다. 필터링, 증폭 등과 같은 오디오 처리 기능은 오디오 채널(43)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오디오 채널로부터의 신호는 44에서 결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에 사용되는 패치 기능(42)은 제2 매핑 데이터(17)를 기초로 하는데, 해당 제2 매핑 데이터는 역시 제어 기기(12)에 의해 사용되어, 주어진 소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이 그룹(21-28) 중 어떤 한 그룹에서 디스플레이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력부 1"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8)가 "오디오 채널 5"에서 처리되고 "입력부 2"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7)가 "오디오 채널 3"에서 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각각의 소스에 대한 상태 데이터가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대응하는 그룹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은 제1 매핑 데이터(17)와 제2 매핑 데이터(18)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1 매핑 데이터(17)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입력부와 외부 소스 사이의 매핑을 정의한다. 제2 매핑 데이터(18)는 입력부와 오디오 채널 간의 매핑을 정의한다.
도시된 예의 제1 매핑 데이터(17)에서, "MIC 1"로 표시된 소스는 "입력부 2"에 연결된다. "MIC 2"로 표시된 소스는 "입력부 1"에 연결된다. 제1 매핑 데이터(17)는 오디오 처리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구성될 때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의 제2 매핑 데이터(18)에서, "입력부 2"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채널 3"에서 처리되고 "입력부 1"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채널 5"에서 처리된다.
소스 "MIC 1"이 오디오 처리 장치(10)를 통해 상태 정보의 출력을 지원할 때, 제어 기기(12)는 소스 "MIC 1"에 대한 상태 정보가 "오디오 채널 3"과 관련된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한다. 소스 "MIC 2"가 오디오 처리 장치(10)를 통해 상태 정보의 출력을 지원할 때, 제어 기기(12)는 소스 "MIC 2"에 대한 상태 정보가 "오디오 채널 5"와 관련된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것을 결정한다.
도 4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그룹(21-24)을 갖는 광학 출력 기기(11)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와, 추가의 기계적 조정 요소를 구비하는 제어부(70)(도 1에 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오직 4개의 그룹(21-24)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이 광학 출력 기기(11)에 보여지는데, 다른 갯수의 오디오 채널과 대응하는 그룹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광학 출력 기기(11)에서 각각 하나의 그룹(21-24)은 복수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그룹(21)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1-57)을 포함한다. 대응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이 각각의 다른 그룹에 제공될 수 있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1)은 예컨대 외부 소스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외부 소스가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각각의 소스에 대해 사용되는 내부 세팅 또는 이름이 디스플레이 영역(51)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룹(23)은 소스로부터의 신호가 처리되고 상태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하는 오디오 채널과 관련된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61)에는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여러 개의 아이콘(62, 63)이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F 신호 강도 또는 오디오 레벨을 나타내는 아이콘(62)은 바 타입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배터리 레벨을 표현하는 다른 아이콘(63)은 바 타입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1)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1)에 설정된 세팅과 파라미터에 무관한 외부 소스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광학 출력 기기(11)에 직접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전용 메뉴 또는 사용자 화면이 활성화될 필요는 없다.
광학 출력 기기(11)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 소스에 대한 정보는 오디오 신호와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각각의 소스에 의해 생성되는 전파장의 강도를 나타내는 RF 전파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전파장의 강도는 예컨대, 허브 장치(4) 또는 오디오 처리 장치(10)에 수신된 전파장의 강도를 나타낸다. 이것은 소스가 허브 장치(4) 및/또는 오디오 처리 장치(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때를 대비할 수 있게 한다.
광학 출력 기기(11)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 소스에 대한 정보는 소스에 설치된 배터리의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는 소스의 배터리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소스에 설치된 배터리의 파워 방전시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광학 출력 기기(11)에 디스플레이되는 외부 소스에 대한 정보는 소스에 설정된 소스 무음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소스 무음 상태는 소스에 직접 설정되며, 오디오 처리 장치에 설정된 무음 상태와 무관하다. 이것은 오디오 처리 장치(10)에서 소스 무음 상태가 소스에서 원격으로 활성화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검증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인 그래픽이 광학 출력 기기의 다른 라인에 보여진다. 전체 모드에서, 이들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은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내부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2)은 "노이즈 게이트"의 설정, 즉 댐핑 요소의 설정을 보여준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2)은 각각의 채널에 대해 댐핑을 정량화하는 수치적 및/또는 그래픽적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3)은 이퀄라이저의 설정 주파수 특성을 보여준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4)은 부가적인 기능을 그래픽적으로 보여준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5)은 입력 채널의 오디오 출력이 할당될 수 있는 버스(busses)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5)에 따르면, "a"로 표시된 채널의 신호는 심볼 "1",..."8"로 지시된 버스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6)은 예컨대 스테레오 채널의 균형, 즉 우측 채널에 대한 좌측 채널의 상대 소리 크기 레벨을 보여준다. 추가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7)이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내부 세팅에 대한 추가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도 여러 그룹으로 세분될 수 있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는 디스플레이 영역(32, 35)을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광학 출력 기기(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와 광학 출력 기기(11)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영역일 수 있다.
로터리 노브(33, 34)와 같은 조정 요소는 오디오 채널에서의 오디오 처리를위해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기기(12)는 작동 요소(33, 34)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설정 동작을 시발하기 위해 광학 출력 기기(11)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 중 어떤 영역이 이미 활성화되었는지를 기초로 해당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즉,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52-57) 중 하나의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작동 요소(33, 34)를 사용하여 파라미터가 입력될 수 있는 기능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각각의 오디오 채널에서의 처리는 이들 오디오 처리 신호에 따라 수행될 것이다. 작동 요소(33, 34)는 작동 요소(33, 34)와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화면과의 사이에 위치된 투명 캐리어상에 지지된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61)의 작동이 감지되면, 오디오 채널로 공급되는 소스에 관한 상태 정보가 추가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31)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32, 35) 중 일부가 각각의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 값 또는 확대된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는 기계적 버튼, 출력 조절기(fader), 노브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다른 기계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입력 인터페이스(70)를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인터페이스(70)는 레버(75-77)와 작동 버튼(71-74)을 갖는 출력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70)의 조정 요소는 터치 감지식 디스플레이(11)를 사용하여 다른 기능 중 하나를 미리 선택할 필요없이 다양한 오디오 채널에서의 오디오 처리를 위해 파라미터에 직접 영향을 미치거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튼 중 일부는 외부 소스에 설정된 무음 상태와는 다른 오디오 채널에 대한 내부 무음(MUTE) 상태를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80)의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은 오디오 처리 장치(10)의 제어 기기(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81에서, 구성 세팅이 수신된다. 구성 세팅은 주어진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처리 장치의 입력부 중 어떤 하나에 제공되는지를 정하는 사용자 정의된 세팅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장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제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소스는 자동으로 감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디오 처리 장치를 보다 쉽게 구성하도록 이러한 소스의 소스 식별자 또는 이름이 출력될 수 있다.
82에서, 제1 매핑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제1 매핑 데이터는 소스 식별자와 오디오 처리 장치의 입력부 사이의 매핑을 정의한다. 제1 매핑 데이터는 소스와 오디오 처리 장치의 입력부 사이의 연결이 변경되지 않으면 다시 결정될 필요가 없다. 제1 매핑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83에서, 패치 세팅이 수신될 수 있다. 패치 세팅은 다양한 입력부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각각 처리되는 오디오 채널을 정하는 사용자 정의된 세팅일 수 있다.
84에서, 제2 매핑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매핑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입력부와 오디오 채널 사이의 매핑을 정의한다. 제2 매핑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부와 오디오 채널의 매핑 또는 패칭을 변경시 갱신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제2 매핑 데이터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85에서, 광학 출력 기기는 하나의 외부 소스 또는 복수의 외부 소스에 대한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된다. 상태 정보의 출력은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고유한 소스 식별자와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파라미터 값은 배터리 레벨, RF 신호 강도, 오디오 레벨, 라디오 주파수, 또는 소스 무음 상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이 결정된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결정을 위해, 주어진 소스로부터 오는 신호가 처리되는 오디오 채널이 결정된다. 오디오 채널은 소스 식별자, 제1 매핑 데이터, 제2 매핑 데이터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상태 정보가 오디오 채널에 관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해당 그룹의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신호 처리에 관한 정보가 보여진다.
결정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에 출력된 그래픽은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값을 기초로 생성된다. 그래픽은 바 타입의 다이어그램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데이터가 두 개 이상의 소스에 대해 유효하면, 상태 정보의 출력은 이들 소스 중 각각의 소스에 대해 수행된다.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오디오 처리 장치의 제어 기기는 여러 가지 다른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초로 출력 그래픽을 조정한다.
86에서, 새로운 소스 데이터의 수신 여부가 결정된다. 새로운 소스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존의 상태 정보의 출력이 85에서 계속될 수 있다. 새로운 소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87에서, 오디오 처리 장치에 저장된 소스 상태 기록이 갱신된다. 소스에 대해 수신된 새로운 파라미터 값은 소스 상태 기록의 각각의 데이터 필드에 저장된다. 이후, 갱신된 소스 상태 기록을 기초로 상태 정보의 출력이 계속된다.
88에서, 패치 세팅의 변형 여부가 결정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입력부를 다른 오디오 채널에 재할당하는 경우 일어난다. 패치 세팅이 변형되지 않으면, 기존의 상태 정보의 출력이 85에서 계속될 수 있다. 패치 세팅이 변형되면, 89에서 제2 매핑 데이터가 갱신된다. 제2 매핑 데이터는 입력부를 오디오 채널로 새로이 할당하는 것을 고려하도록 갱신된다. 이후, 갱신된 제2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상태 정보의 출력이 계속된다. 따라서,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는 새로운 패칭에 따라 재위치하도록 정해진다.
90에서, 상태 정보가 출력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의 작동 여부가 결정된다. 해당 영역이 작동되지 않으면, 기존의 상태 정보의 출력이 85에서 계속될 수 있다. 해당 영역이 작동되면, 91에서 확대 모드가 활성화된다. 확대 모드에서, 추가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로 여러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이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소스는 무선 마이크로폰일 수 있지만, 상태 정보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외부에 제공되는 다른 종류의 소스에 대해 출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외부 소스에 대한 상태 정보의 출력 이외에, 오디오 신호의 내부 소스의 상태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학 출력 기기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 처리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복수 개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로서,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복수 개의 오디오 채널에 대한 오디오 처리 세팅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조정 요소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입력부와,
    상기 복수 개의 입력부와 구별되고, 상기 입력부와 별개로 상태 데이터(status data)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상태 데이터는 복수 개의 소스 중 한 소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소스의 배터리 레벨, 상기 소스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 강도, 상기 소스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레벨, 상기 소스의 라디오 주파수(RF), 상기 소스에서 설정되는 소스 무음(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복수 개의 그룹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광학 출력 기기로서,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복수 개의 그룹 각각은 복수 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오디오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할당되는 것인, 상기 광학 출력 기기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상기 광학 출력 기기에 결합되는 제어 기기로서,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적어도 한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동작 상태를 나타내도록 생성되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상기 제어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소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한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상기 복수 개의 그룹 중 다른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로부터 소스 식별자를 검색하고, 상기 소스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제공되는 오디오 채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오디오 채널을 기초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상기 적어도 한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소스 식별자와 각 입력부 사이의 매핑을 정의하는 제1 매핑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제1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채널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또한, 상기 복수의 입력부와 각 오디오 채널 사이의 매핑을 정의하는 제2 매핑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제1 매핑 데이터, 상기 제2 매핑 데이터 및 상기 소스 식별자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채널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의 수정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매핑 데이터의 수정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로부터의 상기 오디오 신호가 제공되는 다른 오디오 채널을 선택적으로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제2 매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채널의 각각의 상기 오디오 처리 세팅을 기초로 생성되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다른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검색된 소스 식별자를 기초로 소스 상태 기록의 일부를 갱신하고, 상기 소스 상태 기록에 접근하여, 상기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출력 기기는 또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작동을 감지하고, 작동이 감지되면 작동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작동 신호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상기 그래픽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광학 출력 기기에 의한 작동 신호의 생성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되는 상기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확대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인터페이스인, 오디오 처리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데이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를 식별하는 소스 식별자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
  13. 오디오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으로서,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입력부와,
    복수 개의 상기 소스 중 적어도 일부 소스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상태 데이터는 상기 입력부와 별개로 수신되고, 상기 상태 데이터는 소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소스의 배터리 레벨, 상기 소스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 강도, 상기 소스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레벨, 상기 소스의 라디오 주파수(RF), 상기 소스에서 설정되는 소스 무음(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복수 개의 그룹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광학 출력 기기로서, 상기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복수 개의 그룹의 각 그룹은,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오디오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각각 할당 가능한 복수 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광학 출력 기기와,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와 상기 광학 출력 기기에 결합되는 제어 기기로서, 상기 제어 기기는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적어도 한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제어 기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기는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소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한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다른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에 결합된 허브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허브 장치는 상기 소스 중 적어도 일부 소스에 대한 파라미터 값들의 미리 정해진 그룹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파라미터 값 중 하나에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오디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스는 복수의 라우드스피커 또는 기기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
  16. 복수의 오디오 채널에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에 의해, 복수의 소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소스 중 적어도 하나의 소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태 데이터는 적어도 한 소스의 배터리 레벨, 그 적어도 한 소스의 라디오 주파수(RF) 신호 강도, 상기 적어도 한 소스에 의해 공급된 오디오 레벨, 상기 적어도 한 소스의 라디오 주파수(RF), 상기 적어도 한 소스에서 설정되는 소스 무음(mute)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수신되는 것인, 상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스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의 광학 출력 기기를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기초로 그래픽을 생성하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에 대한 오디오 처리 세팅을 기초로 그래픽을 생성하며,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채널에 할당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상기 그래픽을 실질상 동시에 출력하며,
    상기 오디오 처리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소스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한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부터 그래픽 디스플레이 영역들의 다른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20032216A 2011-03-30 2012-03-29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상태 정보 출력 방법 KR101840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0535A EP2506464A1 (en) 2011-03-30 2011-03-30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EP11160535.8 2011-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168A KR20120112168A (ko) 2012-10-11
KR101840999B1 true KR101840999B1 (ko) 2018-03-22

Family

ID=4448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216A KR101840999B1 (ko) 2011-03-30 2012-03-29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상태 정보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306685B2 (ko)
EP (1) EP2506464A1 (ko)
JP (2) JP2012213154A (ko)
KR (1) KR101840999B1 (ko)
CN (1) CN102739332B (ko)
CA (1) CA277069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2826B2 (en) 2013-05-17 2018-04-2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Limited Audio mixer system
EP2876827A1 (en) * 2013-11-22 2015-05-27 Studer Professional Audio GmbH Mixing console, microphone, and microphone adapter
EP2908451A1 (en) * 2014-02-14 2015-08-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Ltd. Stagebox with wireless audio connector
GB2529295B (en) * 2014-06-13 2018-02-28 Harman Int Ind Media system controllers
US20160012827A1 (en) * 2014-07-10 2016-01-14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Smart speakerphone
US9782672B2 (en) 2014-09-12 2017-10-10 Voyetra Turtle Beach, Inc. Gaming headset with enhanced off-screen awareness
US20170208112A1 (en) 2016-01-19 2017-07-20 Arria Live Media, Inc. Architecture for a media system
CN109155888B (zh) * 2016-02-29 2021-11-05 韦斯伯技术公司 用于产生表示检测到声刺激的信号的压电mems装置
US10742727B2 (en) 2016-03-15 2020-08-11 Arria Live Media, Inc. Interfacing legacy analog components to digital media systems
SG10201606458WA (en) * 2016-08-04 2018-03-28 Creative Tech Ltd A companion display module to a main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auxiliary information not displayed by the main display screen and a processing method therefor
CN106375923B (zh) * 2016-08-30 2021-12-3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输入信号的检测电路
EP3939036A4 (en) 2019-03-14 2022-12-28 Vesper Technologies Inc. MICROPHONE WITH DETERMINED DIGITAL OUTPUT AT DIFFERENT LEVELS OF POWER CONSUMPTION
EP3939336A4 (en) 2019-03-14 2022-12-07 Qualcomm Technologies, Inc. PIEZOELECTRIC MEMS DEVICE WITH ADAPTIVE THRESHOLD FOR DETECTING AN ACOUSTIC STIMULUS
US11726105B2 (en) 2019-06-26 2023-08-15 Qualcomm Incorporated Piezoelectric accelerometer with wake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7342A1 (en) * 2006-03-28 2007-10-04 Yamaha Corporation Music processing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therefor
US20080175413A1 (en) * 2006-08-10 2008-07-24 Yamaha Corporation Mixer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ett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477B2 (ja) * 2001-07-04 2005-02-16 ヤマハ株式会社 信号情報表示装置
US7245727B2 (en) * 2001-09-28 2007-07-17 Jonathan Cresci Remote controlled audio mixing console
US7693289B2 (en) 2002-10-03 2010-04-06 Audio-Technica U.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an audio source such as a wireless microphone system
US7373210B2 (en) * 2003-01-14 2008-05-1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ffects and recording system
JP4165248B2 (ja) * 2003-02-19 2008-10-15 ヤマハ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装置及びパラメータ表示制御プログラム
WO2005054997A2 (en) * 2003-11-25 2005-06-16 G Squared, Ll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media transmission, production, recording, reinforcement and monitoring in real-time
US8249071B2 (en) * 2004-03-26 2012-08-2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udio related system communication protocol
EP1838060B1 (en) * 2006-03-22 2012-02-01 Yamaha Corporation Audio network system
JP4924019B2 (ja) * 2006-12-27 2012-04-25 ヤマハ株式会社 音響信号処理システム
US8498724B2 (en) * 2007-03-09 2013-07-30 Yamaha Corporation Digital mixer
JP4924150B2 (ja) 2007-03-30 2012-04-25 ヤマハ株式会社 効果付与装置
DE602008006255D1 (de) * 2007-10-04 2011-05-26 Networked Audio Solutions Cc Digital-multimedia-netzwerk mit hierarchischem parametersteuerprotokoll
EP2770751B1 (en) 2008-07-30 2017-09-06 Yamaha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JP5463634B2 (ja) * 2008-07-30 2014-04-09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オーディオ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7342A1 (en) * 2006-03-28 2007-10-04 Yamaha Corporation Music processing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therefor
US20080175413A1 (en) * 2006-08-10 2008-07-24 Yamaha Corporation Mixer and communication connection sett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9332B (zh) 2017-05-17
US9306685B2 (en) 2016-04-05
JP2012213154A (ja) 2012-11-01
CA2770693C (en) 2017-09-26
JP2017092970A (ja) 2017-05-25
US20120299937A1 (en) 2012-11-29
US9961461B2 (en) 2018-05-01
KR20120112168A (ko) 2012-10-11
CA2770693A1 (en) 2012-09-30
CN102739332A (zh) 2012-10-17
US20160205486A1 (en) 2016-07-14
EP2506464A1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999B1 (ko)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상태 정보 출력 방법
JP4277885B2 (ja) ミキサ
KR100958646B1 (ko) 보청기 조정 장치, 보청기, 및 프로그램
EP1585241B1 (en) System for audio related equipment management
JP4645347B2 (ja) ミキシング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251811B2 (ja) デジタルミキサ
US2017028879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2213154A5 (ko)
JP6946811B2 (ja) 音処理装置及びパラメータ割り当て方法
JP2008067007A (ja) オーディオミキサ
US8155350B2 (en) Amplifier controller
JP2011199670A (ja) ミキシング装置
JP5246085B2 (ja) ミキシングコンソール
JP4958012B2 (ja) 電子楽器
TWM460308U (zh) 可切換設定集合的週邊裝置以及相關系統
JP2007124263A (ja) 音声入力切替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用プログラム
JP5830900B2 (ja) ミキシングコンソール
JP2016181122A (ja) パラメータ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3690634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udio system, method of processing audio signal, and program
KR20090101813A (ko) 보청기 조정 장치, 보청기, 및 프로그램
JP4900291B2 (ja) アンプ制御装置、アンプ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252369A (ja) 音響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JPH10190593A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
JP2012114643A (ja) 接続設定装置
JP2003047070A (ja) 機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