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95B1 -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695B1
KR101840695B1 KR1020157034731A KR20157034731A KR101840695B1 KR 101840695 B1 KR101840695 B1 KR 101840695B1 KR 1020157034731 A KR1020157034731 A KR 1020157034731A KR 20157034731 A KR20157034731 A KR 20157034731A KR 101840695 B1 KR101840695 B1 KR 10184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ide communication
rod
injection port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761A (ko
Inventor
켄 오가타
히로카즈 시미즈
토루 토마
Original Assignee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40Closure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65D83/206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comprising a cantilevered actuator element, e.g. a lever pivoting about a living hi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with a mechanical means to disable actuation
    • B65D83/224Tamper indicating means obstructing initial actuation, e.g.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4Cleaning or preventing clogging of the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4Cleaning or preventing clogging of the discharge passage
    • B65D83/345Anti-clogging means f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75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 B65D83/753Aerosol contain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D83/16 - B65D83/74 characterised by details or accessories associated with outlets
    • B65D83/7538Tamper indicating means located in front of outl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복수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노즐의 세정 및 밀어내림 방지에 이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을 얻는다. 노즐(20)의 분사구(24)로부터 선단(11a)이 적어도 각 스템측 연통로(22a)의 상단(22d)에 이를 때까지 각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막대 형상체(11)를 갖고,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노즐(20)의 분사통부(23)의 하방에서 커버 부재(30)에 접촉함으로써 노즐의 밀어내림을 방지하는 하측 돌기(14)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NOZZLE CAP FOR AEROSOL CONTAINER}
본 발명은 복수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되는 노즐 캡에 관한 것이고, 특히 노즐의 세정 및 밀어내림 방지에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종래, 복수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노즐을 세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노즐 본체에, 이 노즐 본체의 분사구로부터 삽탈 가능하게 세정 부재를 장착하고, 노즐 본체에 세정 부재를 밀어넣어 둠으로써 그대로 내용물을 분사할 수 있는 한편, 분사 후에 세정 부재를 분사구로부터 인출하면 잔류된 내용물을 긁어내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12-3088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세정 부재에서는 노즐 본체로의 밀어넣음시에 내용물의 분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구조가 복잡화되고, 또한 미사용시의 노즐 밀어내림 방지 기능을 세정 부재에 부가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이고, 복수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노즐의 세정 및 밀어내림 방지에 이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 구성은 이하와 같다.
1. 마운팅 컵의 복수의 스템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에 분사구를 갖는 노즐과, 마운팅 컵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각 스템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독립된 스템측 연통로가 스템 접속부에 의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각 스템측 연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독립된 분사구측 연통로가 분사통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되는 노즐 캡에 있어서,
노즐의 분사구로부터, 선단이 적어도 각 스템측 연통로의 상단에 이를 때까지 각 분사구측 연통로 내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막대 형상체와,
상기 복수의 막대 형상체의 기단에 앞벽을 통해서 이어설치되고,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분사통부를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노즐의 분사통부의 하방에서 커버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노즐의 밀어내림을 방지하는 하측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2.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스템 접속부는 독립된 스템측 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스템측 통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벽 및 하측 돌기는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상기 복수의 스템측 통부 사이를 통과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노즐의 상방에 설치되고 힌지를 통한 회동에 의해서 노즐을 밀어내리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노즐 캡은 또한,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조작부의 밀어내림에 의해 그 조작부와 접촉하는 상측 돌기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 형상체는 각각 스템측 연통로의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환상 돌기를 갖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5. 4에 있어서,
상기 환상 돌기는 각각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스템측 연통로의 상단에 록킹 가능한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을 스템으로부터 분리하고, 노즐 캡의 복수의 막대 형상체를 각각 막대 형상체의 선단이 노즐의 스템측 연통로의 상단에 이를 때까지 분사구측 연통로 내에 삽입함으로써 분사구측 연통로 내에 잔류된 내용물을 스템측 연통로를 통해서 노즐의 밖으로 압출할 수 있어, 노즐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로졸 용기의 미사용시에 노즐에 노즐 캡을 장착하여 노즐 캡의 막대 형상체가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 삽입된 상태로 하면, 노즐 캡의 둘레벽에 돌출된 하측 돌기가 노즐의 분사통부의 하방에서 커버 부재에 접촉하기 때문에 노즐의 밀어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스템을 갖는 에어로졸 용기의 노즐의 세정 및 밀어내림 방지에 이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을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르는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에 의한 노즐의 밀어내림의 방지 요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는 노즐의 비작동시, (b)는 노즐의 작동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1의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에 의한 노즐의 세정 요령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는 잔류물의 압출 전, (b)는 잔류물의 압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에 대해서 상세하게 예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방이란 노즐에 설치된 분사통부의 분사구측이고, 후방이란 분사통부의 축선을 따라 전방과는 반대측이다. 또한, 측방이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용기를 볼 때의 좌우 방향이다.
도 1~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캡(1)은 노즐(20)과 커버 부재(30)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용기(40)를 위해서 에어로졸 용기(40)와는 별체의 부재로서 설치되고, 노즐(20)의 세정 및 밀어내림 방지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에어로졸 용기(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금속제의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용기 본체(41)에, 예를 들면 금속제의 마운팅 컵(42)의 바깥 가장자리를 권체해서(권체된 부위가 환상 가장자리부(43)로 됨) 고착된 것이며, 내측에는 2종류의 내용물이 별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에어로졸 용기(40)는 각각의 내용물의 수용 공간으로 이어지는 총계 2개의 스템(44)을 갖고 있고, 마운팅 컵(42)의 중앙부에는 평면으로 볼 때에 트랙 형상으로 되는 돌기부(45)가 2개의 스템(44)을 일괄로 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5)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은 직사각형상이어도 좋고 타원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커버 부재(30)는 에어로졸 용기(40)의 마운팅 컵(42)에 고정되는 하측 커버 부재(고정반)(50)와, 하측 커버 부재(50)에 장착되는 상측 커버 부재(6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는 반드시 하측 커버 부재(50)와 상측 커버 부재(60)로 분할할 필요는 없고, 커버 부재(30)를 마운팅 컵(42)에 장착하도록 해도 좋다.
하측 커버 부재(50)는 2개의 스템(44)을 노출시키는 개구(51)를 남기고 마운팅 컵(42)에 씌워지고, 환상 가장자리부(43)의 상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환상 가장자리부(43)의 주면 아래 가장자리에 탈착 가능하게 록킹되는 외벽(5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외벽(52)은 평면으로 볼 때에 대략 원형상으로 되는 탑면이 있는 통 형상의 상단부(52a)와, 상단부(52a)의 하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늘어지는 중간단부(52b)와, 중간단부(52b)의 하단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바깥 가장자리로부터 늘어지는 하단부(52c)를 구비하고 있다.
상단부(52a)의 중앙부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45)의 길이 방향의 양측면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 벽(52d)이 수직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51)는 평면으로 볼 때에 트랙 형상을 이루고 있다. 중간단부(52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서 연신되는 원통벽(52e)을 갖는다. 원통벽(52e)의 내주면에는 환상 가장자리부(43)의 주면 아래 가장자리에 록킹되고, 하측 커버 부재(50)를 마운팅 컵(42)에 고정하는 록킹 클로(52f)가 둘러 설치되어 있다.
하단부(52c)의 둘레벽은 에어로졸 용기(40)의 외주면보다 지름 방향 내측에 치우쳐 있고, 또한 외향의 클로부(52g)가 하측 커버 부재(50)의 축선을 사이에 둔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 커버 부재(60)는 하측 커버 부재(50)의 하단부(52c)를 내측에 수용하여 에어로졸 용기(40)의 외주면과 대략 같은 지름의 외형을 갖는 둘레벽(61)을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61)의 측면에는 클로부(52g)에 맞물림하는 맞물림 구멍(62)을 형성한 요동편(63)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편(63)은 연결편(64)에 의해서 전방 및 후방에서 둘레벽(61)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편(64)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요동편(63)의 상부 영역을 내측에 압박하면 요동편(63)은 연결편(64)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맞물림 구멍(62)이 외측으로 변위하여 클로부(52g)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또한, 둘레벽(61)의 상측 부분은 도 1,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탑벽(61a)이 후방에 절개를 갖는 네모진 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절개에 힌지(65)를 통해서 조작부(6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둘레벽(61)의 내측에는 하측 커버 부재(50)의 상단부(52a)에 씌워지는 내측 저벽(67)이 내측 측벽(68)을 통해서 탑벽(61a)에 이어설치되어 있다. 내측 측벽(68)의 지름 방향 외측에는 내측 둘레벽(69)이 탑벽(61a) 및 내측 저벽(67)으로부터 늘어져 설치되어 하측 커버 부재(50)의 중간단부(52b)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내측 저벽(67)의 중앙부에는 각 스템(44)이 삽통되는 2개의 개구(67a)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20)은 일단측에 스템에 접속되는 스템 접속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스템 접속부(21)는 2개의 스템측 통부(22)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스템측 통부(22)는 스템(4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독립된 스템측 연통로(22a)를 형성하고 있다. 각 스템측 통부(22)의 하측 부분은 확경되어 있으며, 이 확경부(22b) 내에 스템(44)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각 스템측 통부(22)의 외주면의 하단 근방에는 록킹 볼록부(22c)가 둘러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록킹 볼록부(22c)가 상측 커버 부재(60)의 내측 저벽(67)에 형성된 개구(67a)에 맞물림으로써 노즐(20)이 상측 커버 부재(60)에 대하여 고정 유지되어 있다.
또한, 노즐(20)은 타단측에 2개의 분사통부(23)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분사통부(23)는 스템측 연통로(22a)의 상단(22d)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독립된 분사구측 연통로(23a)를 형성하고, 분사구측 연통로(23a)의 전단에 분사구(24)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분사통부(23)의 후단에는 상기 후단 사이를 연결하는 세로 리브(25) 및 가로 리브(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분사통부(23)의 후단 상면에는 선단이 원호 형상으로 되는 리브(27)가 돌출되어 있으며, 조작부(66)를 압박하면 조작부(66)의 하면이 리브(27)의 상면에 접촉되어 각각의 스템(44)으로부터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된다.
노즐 캡(1)은 도 3~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술한 에어로졸 용기(40)의 노즐(20)에 도 1, 도 2 및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된다. 노즐 캡(1)은 선단(11a)이 폐쇄되고 기단(11b)이 개구된 중공의 2개의 막대 형상체(11)와, 2개의 막대 형상체(11)의 기단(11b)에 앞벽(12)을 통해서 이어설치되고 2개의 막대 형상체(11)를 둘러싸는 둘레벽(13)을 구비하고 있다. 노즐 캡(1)은 상하로 대칭이고 또한 좌우로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막대 형상체(11)는 노즐(20)의 분사구측 연통로(23a)의 전후 길이와 같거나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11a)이 스템측 연통로(22a)의 상단(22d)에 이를 때까지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막대 형상체(11)의 외주면(11c)의 지름 치수는 분사구측 연통로(23a)의 지름 치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각 막대 형상체(11)의 선단(11a) 근방에는 환상 돌기(11d)가 둘러 설치되어 있다. 환상 돌기(11d)는 분사구측 연통로(23a)의 지름 치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분사구측 연통로(23a)의 표면에 미끄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환상 돌기(11d)는 도 4에 나타낸 위치보다 선단측 또는 기단측에 형성해도 좋지만, 도 4에 나타낸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환상 돌기(11d)를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스템측 연통로(22a)의 상단(22d)에 록킹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돌기(11d)의 전후 방향에 따른 단면의 형상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삼각형상이나 사각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둘레벽(13)은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노즐(20)의 분사통부(2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둘레벽(13)의 하측 부분은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2개의 스템측 통부(22) 사이를 통과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13a)를 갖는다. 둘레벽(13)의 양 측방 부분에도, 이 하측 연장부(13a)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방 연장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13)의 상측 부분에도 하측 연장부(13a)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연장부(13a)와 양측방 연장부(13b) 사이에서는 둘레벽(13)의 후단 가장자리(13d)가 반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측 연장부(13c)와 양측방 연장부(13b) 사이에서도 둘레벽(13)의 후단 가장자리(13d)가 반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둘레벽(13)의 외주 하면에는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노즐(20)의 분사통부(23)의 하방에서 커버 부재(30)의 내측 저벽(67)에 접촉함으로써 노즐(20)의 밀어내림을 방지하는 하측 리브(14)(하측 돌기)가 3개 돌출되어 있다. 각 하측 리브(14)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하측 리브(14)는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2개의 스템측 통부(22) 사이를 통과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14a)를 갖는다. 하측 연장부(14a)의 후단 가장자리(14b)는 하방을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둘레벽(13)의 외주 상면에는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조작부(66)의 밀어내림에 의해 그 조작부(66)와 접촉하는 상측 리브(15)(상측 돌기)가 3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측 리브(15)는 하측 리브(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의 상측 리브(15)는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노즐(20)의 분사통부(23)의 후단 상면에 형성된 2개의 리브(27) 사이를 통과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15a)를 갖고, 이 상측 연장부(15a)의 후단 가장자리(15b)는 상방을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둘레벽(13)의 외주 양측면에는 각각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시에 상측 커버 부재(60)의 내측 측벽(68)과 약간의 간극을 남기고 대향하는 측방 리브(16)가 돌출되어 있다. 측방 리브(16)는 둘레벽(13)의 측방 연장부(13b)로부터 돌출되는 측방 연장부(16a)를 갖는다. 각 측방 리브(16)의 후단 가장자리(16b)는 둘레벽(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13)의 내주측에는 노즐 캡(1)의 좌우 방향 중앙에 있어서, 둘레벽(13)의 내주 상면과 내주 하면 사이를 잇는(즉, 중앙의 상측 리브(15)와 중앙의 하측 리브(14)를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잇는) 보강 리브(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에어로졸 용기(40)의 미사용시에 노즐(20)에 노즐 캡(1)을 장착할 때에는 노즐 캡(1)의 둘레벽(13)으로부터 돌출된 중앙의 하측 리브(14), 측방 리브(16) 및 중앙의 상측 리브(15)의 테이퍼 형상의 후단 가장자리(14b, 16b, 15b)가 상측 커버 부재(60)의 내측 저벽(67), 내측 측벽(68) 및 탑벽(61a)의 전단 가장자리에 접촉했을 때에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노즐 캡(1)의 노즐(20)로의 장착이 용이해진다.
또한, 노즐 캡(1)을 노즐(20)에 장착하고,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캡(1)의 막대 형상체(11)가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 삽입된 상태로 하면, 각 막대 형상체(11)의 선단(11a) 근방에 둘러 설치된 환상 돌기(11d)가 스템측 연통로(22a)의 상단(22d)에 록킹되어 노즐 캡(1)의 장착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조작부(66)를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압박한다고 해도, 노즐 캡(1)의 둘레벽(13)에 돌출된 하측 리브(14)가 노즐(20)의 분사통부(23)의 하방에서 커버 부재(30)의 내측 저벽(67)에 접촉하기 때문에 노즐(20)의 밀어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둘레벽(13)의 외주 상면에 돌출된 상측 리브(15)가 조작부(66)와 접촉해서 지지하기 때문에, 조작부(66)의 압박에 의해 노즐(20)의 분사통부(23)의 후단 상면에 형성된 2개의 리브(27)가 손상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둘레벽(13)의 하측 부분 및 상측 부분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13a) 및 상측 연장부(13c)가 설치되고, 중앙의 하측 리브(14) 및 상측 리브(15)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14a) 및 상측 연장부(15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66)의 밀어내림에 대하여 보다 넓은 범위에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노즐(20)의 밀어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용기(40)의 사용시에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캡(1)을 노즐(20)로부터 분리하고 조작부(66)를 압박하면, 조작부(66)의 하면이 노즐(20)의 리브(27)의 상면에 접촉되어 노즐(20)이 밀어내려져 각각의 스템(44)으로부터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켜 분사구(24)로부터 분사시킬 수 있다.
노즐(20)을 세정할 때에는, 도 2에 나타낸 상측 커버 부재(60)의 요동편(63)을 조작하여 상측 커버 부재(60)를 하측 커버 부재(50)로부터 분리하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커버 부재(60)와 함께 분리할 수 있다. 그 때, 노즐(20)은 록킹 볼록부(22c)에 의해서 상측 커버 부재(60)에 대하여 고정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2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 캡(1)의 2개의 막대 형상체(11)를 각각 막대 형상체(11)의 선단(11a)이 노즐(20)의 스템측 연통로(22a)의 상단(22d)에 이를 때까지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에 삽입함으로써,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에 잔류된 내용물(R)을 스템측 연통로(22a)를 통해서 노즐(20)의 밖으로 압출할 수 있다. 그 때, 각 막대 형상체(11)의 선단(11a) 근방에 둘러 설치된 환상 돌기(11d)가 막대 형상체(11)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로의 삽입에 따라 분사구측 연통로(23a)의 표면 상을 슬라이딩해 감으로써, 분사구측 연통로(23a) 내에 잔류된 내용물(R)을 보다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흐르는 물 등에 의해서 노즐(20)의 분사구측 연통로(23a) 및 스템측 연통로(22a) 내를 용이하게 씻어낼 수 있기 때문에 노즐(20)의 세정을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에어로졸 용기(40)에 수용되는 2종류의 내용물(R)로서는, 주제와 첨가제 등을 미리 혼합해 두면 경화나 산화 등의 화학 반응을 발생시켜 바람직하지 못한 폼 형상 등의 제형의 에어로졸 제품의 주제와 첨가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노즐 캡(1)은, 예를 들면 핫 쉐이빙 크림, 모발염료, 접착제, 도료, 의약품 등의 에어로졸 제품을 내용물(R)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특히 건조 등에 의해서 막히기 쉬운 크림 형상의 내용액을 내용물(R)로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상술한 점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측 돌기는 3개의 하측 리브(1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반드시 3개로 할 필요는 없고, 그 개수는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돌기는 반드시 리브로 할 필요는 없고, 그 밖의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측 돌기에 대해서도 하측 돌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형성되는 리브의 개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리브 이외의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1: 노즐 캡 11: 막대 형상체
11a: 선단 11b: 기단
11c: 외주면 11d: 환상 돌기
12: 앞벽 13: 둘레벽
13a: 하측 연장부 13b: 측방 연장부
13c: 상측 연장부 13d: 후단 가장자리
14: 하측 리브(하측 돌기) 14a: 하측 연장부(연장부)
14b: 후단 가장자리 15: 상측 리브(상측 돌기)
15a: 상측 연장부 15b: 후단 가장자리
16: 측방 리브 16a: 측방 연장부
16b: 후단 가장자리 17: 보강 리브
20: 노즐 21: 스템 접속부
22: 스템측 통부 22a: 스템측 연통로
22b: 확경부 22c: 록킹 볼록부
22d: 상단 23: 분사통부
23a: 분사구측 연통로 24: 분사구
25: 세로 리브 26: 가로 리브
27: 리브 30: 커버 부재
40: 에어로졸 용기 41: 용기 본체
42: 마운팅 컵 43: 환상 가장자리부
44: 스템 45: 돌기부
50: 하측 커버 부재(커버 부재) 51: 개구
52: 외벽 52a: 상단부
52b: 중간단부 52c: 하단부
52d: 위치 결정 벽 52e: 원통벽
52f: 록킹 클로 52g: 클로부
60: 상측 커버 부재(커버 부재) 61: 둘레벽
61a: 탑벽 62: 맞물림 구멍
63: 요동편 64: 연결편
65: 힌지 66: 조작부
67: 내측 저벽 67a: 개구
68: 내측 측벽 69: 내측 둘레벽

Claims (5)

  1. 마운팅 컵의 복수의 스템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에 분사구를 갖는 노즐과, 마운팅 컵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은 각 스템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독립된 스템측 연통로가 스템 접속부에 의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각 스템측 연통로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독립된 분사구측 연통로가 분사통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에어로졸 용기에 장착되는 노즐 캡에 있어서,
    노즐의 분사구로부터, 선단이 적어도 각 스템측 연통로의 상단에 이를 때까지 각 분사구측 연통로 내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막대 형상체와,
    상기 복수의 막대 형상체의 기단에 앞벽을 통해서 이어설치되고,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분사통부를 둘러싸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노즐의 분사통부의 하방에서 커버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노즐의 밀어내림을 방지하는 하측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의 스템 접속부는 독립된 스템측 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스템측 통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벽 및 하측 돌기는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상기 복수의 스템측 통부 사이를 통과해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노즐의 상방에 설치되고 힌지를 통한 회동에 의해서 노즐을 밀어내리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노즐 캡은 상기 둘레벽의 외주면에 돌출되고,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조작부의 밀어내림에 의해 그 조작부와 접촉하는 상측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막대 형상체는 각각 스템측 연통로의 표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환상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돌기는 각각 막대 형상체의 분사구측 연통로 내로의 삽입시에 스템측 연통로의 상단에 록킹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5. 삭제
KR1020157034731A 2013-05-31 2014-06-02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KR1018406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6442 2013-05-31
JP2013116442A JP6161958B2 (ja) 2013-05-31 2013-05-31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PCT/JP2014/064638 WO2014192961A1 (ja) 2013-05-31 2014-06-02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761A KR20160005761A (ko) 2016-01-15
KR101840695B1 true KR101840695B1 (ko) 2018-03-21

Family

ID=5198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731A KR101840695B1 (ko) 2013-05-31 2014-06-02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38070B2 (ko)
EP (1) EP3006372B1 (ko)
JP (1) JP6161958B2 (ko)
KR (1) KR101840695B1 (ko)
CN (1) CN105228924B (ko)
BR (1) BR112015029343B1 (ko)
WO (1) WO2014192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1564B2 (ja) * 2013-04-03 2016-04-13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固定盤
JP6161958B2 (ja) 2013-05-31 2017-07-12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JP6914580B2 (ja) * 2015-07-31 2021-08-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CN105501701B (zh) * 2015-12-31 2019-01-29 东莞市泰赛特汽车用品科技有限公司 气雾剂的安全保护装置
KR20180007387A (ko) 2016-07-12 2018-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증착 장치
US9856072B1 (en) * 2016-08-03 2018-01-02 Decon7 Systems, Llc System for mixing and dispensing fluids
DE102016012650A1 (de) * 2016-10-24 2018-04-26 Beiersdorf Ag Mehrkomponentenapplikator
JP6729771B1 (ja) * 2019-07-23 2020-07-22 東洋製罐株式会社 飛行体の吐出装置および飛行体の吐出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2448A (en) * 1959-11-30 1961-05-02 Henry K Leonard Closures for dispensing containers
US3250474A (en) * 1963-10-25 1966-05-10 Edward J Mckernan Anti-clog aerosol dispenser
US3373908A (en) * 1965-12-13 1968-03-19 Johnson & Son Inc S C Actuator cap with frangible guard
US3510029A (en) * 1968-03-11 1970-05-05 Sterling Drug Inc Over-cap with molded trigger and air seal cap for the spray orifice
US3904088A (en) * 1972-10-18 1975-09-09 Sr Benjamin K Milbourne Safety closure for an aerosol container
US6739481B2 (en) * 1995-04-10 2004-05-25 Dispensing Patents International Llc Spray dispensing device with nozzle closure
FR2773359B1 (fr) * 1998-01-07 2000-03-24 Sofab Tete de distribution pour recipient de produit liquide
JP2002362655A (ja) * 2001-05-31 2002-12-18 Yoshino Kogyosho Co Ltd エアゾール式の泡状注出容器
US7500621B2 (en) * 2003-04-10 2009-03-10 Homax Produc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erosol systems
US6908017B2 (en) * 2003-06-05 2005-06-21 S. C. Johnson & Son, Inc. Aerosol over cap with flip-up closure
JP2005313949A (ja) * 2004-04-30 2005-11-10 Yoshino Kogyosho Co Ltd 封緘体
US7854350B2 (en) * 2004-09-30 2010-12-21 L'oreal Distribution assembly intended for contemporaneous distribution of two products
US7527173B2 (en) * 2004-10-18 2009-05-05 L'oreal Dispens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US20060219808A1 (en) * 2005-03-17 2006-10-05 Sparytex, Inc. Cleaning actuator for aerosol cans
JP5115932B2 (ja) * 2008-08-29 2013-01-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装置
JP5424150B2 (ja) * 2009-10-30 2014-02-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のノズルヘッド
JP5452184B2 (ja) * 2009-11-20 2014-03-26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装置および2液式吐出製品
JP2011162227A (ja) * 2010-02-09 2011-08-25 Toyo Aerosol Ind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5401388B2 (ja) * 2010-03-31 2014-01-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連式容器
JP5734594B2 (ja) * 2010-08-03 2015-06-1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のアクチュエータ
JP6161958B2 (ja) 2013-05-31 2017-07-12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28924B (zh) 2017-04-26
JP6161958B2 (ja) 2017-07-12
EP3006372A1 (en) 2016-04-13
US9938070B2 (en) 2018-04-10
US20160083172A1 (en) 2016-03-24
WO2014192961A1 (ja) 2014-12-04
JP2014234200A (ja) 2014-12-15
CN105228924A (zh) 2016-01-06
BR112015029343A2 (pt) 2017-07-25
BR112015029343B1 (pt) 2021-03-16
EP3006372B1 (en) 2017-09-13
EP3006372A4 (en) 2016-05-25
KR20160005761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695B1 (ko) 에어로졸 용기용 노즐 캡
JP6151575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及び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KR101825440B1 (ko) 에어로졸 용기용 토출구
JP5401388B2 (ja) 二連式容器
JP6126917B2 (ja) 多連式容器
JP2011213399A (ja) 二連式容器
JP6371041B2 (ja) ノズル及び吐出具
JP2017030801A (ja) 吐出具
JP6292876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JP4316352B2 (ja) 液噴出器
JP6341412B2 (ja) 吐出ヘッド
JP6300685B2 (ja) エアゾール缶用吐出具
JP6837849B2 (ja) ホルダー付き噴霧機構
JP6180884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およびエアゾール装置
JP2007111602A (ja) 噴出装置
JP6058393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容器
JP2009154944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噴射アダプタ
JP3161099U (ja) トリガー式噴出装置
JP2020070083A (ja) エアゾール容器用吐出具
JP2009298465A (ja) エアゾール装置
JP2019051951A (ja) エアゾール容器
JP2014234191A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ノズル
JP2010104916A (ja) 吐出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