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310B1 - 속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속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310B1
KR101840310B1 KR1020160182522A KR20160182522A KR101840310B1 KR 101840310 B1 KR101840310 B1 KR 101840310B1 KR 1020160182522 A KR1020160182522 A KR 1020160182522A KR 20160182522 A KR20160182522 A KR 20160182522A KR 101840310 B1 KR101840310 B1 KR 10184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information display
display device
road inform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용
조중호
이용자
박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도
Priority to KR102016018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20Compensating for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other than those to be measured, e.g.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78Traffic orientation, street mark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은 도로정보표시장치와,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주변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기와, 상기 기상감지기 및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기상감지기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된 기상 여건에 따라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에 표출될 가변 제한속도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속도관리시스템{Spee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속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속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교통 수단으로는 도로, 항만, 철도, 항공교통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전문적인 운전자보다 전문 운전자가 아닌 사용자들이 운전하는 수가 더 많은 교통 수단이 바로 도로를 사용하는 차량이다.
따라서, 교통 사고의 대부분이 도로상에서 차량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상당수가 과속에 의하여 운전자가 돌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한다.
특히, 우천, 안개 등의 기상 악화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정거리가 정상 시보다 줄어들거나 도로의 미끄럼 등으로 인한 차량의 주행에 방해 요인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적정 속도가 정상적인 도로의 적정속도보다 낮아져야 하고 운전자들에게 낮아진 적정속도를 알려주는 것이 교통사고 방지에 더욱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정된 도로 구역(예를 들면, 안개 다발 지역에 있는 도로)의 시정거리변화를 감지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안개 다발 지역 등 특정 지역의 시정거리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기상변화 사실 및 그에 따른 도로의 적정한 주행제한속도를 신속하고도 지능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8784호(2008.11.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속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악천후 시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속도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은 도로정보표시장치와,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주변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기와, 상기 기상감지기 및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기상감지기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된 기상 여건에 따라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에 표출될 가변 제한속도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상감지기는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전방 시정을 측정하는 시정계와,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계와, 도로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광신호를 통해 강수입자에서 산란 된 빛을 측정하여 강수의 유무와 상수빈도를 측정하고, 주변 대기의 온도와 습도의 측정을 통해 눈과 비를 구분하는 측정회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상감지기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측정값을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도포정보표시장치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에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측정값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한 기준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에서 표출되는 제한속도를 컨트롤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의 배광방식을 컨트롤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는 전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홀의 전면에 구비되는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LED모듈의 전면을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선과, 상기 구획선에 의해 구획된 에어리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LED모듈과 결합하여 빛을 발광하는 듀얼 LED와, 상기 듀얼 LED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듀얼 LED의 빛이 서로 다른 형태로 배광되도록 하는 듀얼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듀얼 LED는 상기 LED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리어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LED와, 상기 LED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리어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2LED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듀얼 렌즈는 상기 제1LED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1렌즈와, 상기 제2LED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2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2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제1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빛을 반사하는 제1반사부와, 상기 제1반사부의 전면에 위치하고 조사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구비되어 제1반사부를 통해 반사된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1배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2LED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2LED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2LED에서 발광하는 빛을 반사하는 제2반사부와, 상기 제2반사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제2반사부를 통해 반사된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2배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배광부는 상기 제2반사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2반사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부분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반사부의 일단과 상기 제1부분을 연결하는 제2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기상감지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기상 여건을 감지하고 컨트롤러를 통해 도로정보표시장치를 컨트롤함으로써 야간 및 악천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악천후 시 조사각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를 통해 배광되도록 함으로써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속도관리시스템의 도로정보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제1렌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제2렌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은 도로정보표시장치(10), 기상감지기(20) 및 컨트롤러(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도로정보표시장치(10)는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제한속도를 표출할 수 있다. 도로정보표시장치(10)는 야간이나 안개, 눈, 비 등과 같은 악천후 시 주변 상황에 따라 제한속도를 가변하여 표출할 수 있다.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추후에 하도록 한다.
상기의 기상감지기(20)는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 직접 설치되거나 도로정보표시장치(10)의 주변에 설치되어 도로정보표시장치(10)의 주변 기상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다. 기상감지기(20)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된 기상 여건에 따라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서 제공하는 제한속도가 가변 될 수 있다.
상기의 컨트롤러(30)는 기상감지기(20) 및 도로정보표시장치(10)와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기상감지기(20)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된 기상 여건에 따라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 표출될 제한속도를 가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컨트롤러(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기상감지기(20) 및 도로정보표시장치(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기상감지기(20)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된 기상 여건에 따라 능동적으로 도로정보표시장치(10)를 통해 표출될 제한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기상감지기(20)와 컨트롤러(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은 도로정보표시장치(10), 도로정보표시장치(10)의 주변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기(20) 및 기상감지기(20), 도로정보표시장치(10)와 연결되어 기상감지기(20)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된 기상 여건에 따라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 표출될 가변 제한속도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기상감지기(20)는 시정계(21), 풍속계(22), 온도계(23) 및 측정회로(2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시정계(21)는 송신과 수신을 하는 장치가 합쳐진 후방 산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 산란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안개와 같이 시정이 불량한 상황에서 산란 신호가 증가하므로 소형화 설계가 가능하다.
상기의 풍속계(22)는 도로에 영향을 끼치는 바람의 풍속과 풍향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이 도로에 영향을 끼칠 경우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도로정보표시장치(10)를 통해 표출되는 제한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의 온도계(23)는 도로의 노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현재 날씨로 기인한 노면의 상태를 감지하여 노면의 상태에 따라 도로정보표시장치(10)를 통해 표출되는 제한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의 측정회로(24)는 비 또는 눈이 내릴 시, 광신호를 통해 강수입자에서 산란 된 빛을 측정하여 강수의 유무와 상수빈도를 측정하고, 주변 대기의 온도와 습도의 측정을 통해 눈과 비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측정회로(24)를 통해 구분된 현재 날씨에 따라 도로정보표시장치(10)를 통해 표출되는 제한속도는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컨트롤러(30)는 수신부(31), 분석부(32) 및 컨트롤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수신부(31)는 상기에서 언급한 기상감지기(20)의 시정계(21), 풍속계(22), 온도계(23) 및 측정회로(24)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의 분석부(32)는 수신부(31)를 통해 수신된 다양한 측정값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부(32)에는 분석부(32)를 통해 분석된 측정값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한 기준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34)가 연결되어 측정값을 용이하게 비교 및 분석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컨트롤부(33)는 분석부(32)를 통해 비교 및 분석이 완료된 분석 결과에 따라 도로정보표시장치(10)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컨트롤부(33)는 제1제어부(33a)와 제2제어부(33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제1제어부(33a)는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서 표출되는 제한속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100'을 제한속도로 하여 표출하고 안개, 눈, 비 등에 의한 악천후일 경우에는 '100'에서 '50'으로 제한속도를 가변할 시 제1제어부(33a)를 통해 표출되는 숫자를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의 제2제어부(33b)는 도로정보표시장치(10)의 배광방식을 컨트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는 방사형으로 빛이 배광되도록 하고 안개, 눈, 비 등에 의한 악천후일 경우에는 직선형으로 빛이 배광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멀리서도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서 표출되는 제한속도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도로정보표시장치(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속도관리시스템의 도로정보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의 도로정보표시장치(10)는 케이스(100), LED모듈(200), 구획선(300), 듀얼 LED(400) 및 듀얼 렌즈(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케이스(100)는 도로정보표시장치(10)의 전체적인 형태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설치위치, 주변환경 등과 같은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홀(1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개방홀(110)에는 LED모듈(200), 듀얼 LED(400) 및 듀얼 렌즈(500)가 구비되고, 도로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구비되어 듀얼 LED(400)의 빛이 진행방향을 따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LED모듈(200)은 개방홀(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LED모듈(2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구획선(300)은 LED모듈(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LED모듈(200)의 전면을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구획선(300)은 다수개로 구비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획선(300)이 격자형태로 구비되어 LED모듈(200)의 전면을 구획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의 구획선(300)이 격자형태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상기의 구획선(300)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구획선(300)을 LED모듈(200) 상에 직접적으로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다수개의 구획선(300)은 상기의 LED모듈(200)의 전면이 다수개의 에어리어(310)로 나눠지도록 하여 각각의 에어리어(310)에 듀얼 LED(400)와 결합하는 결합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듀얼 LED(400)는 다수개의 에어리어(310)에 각각 구비되어 LED모듈(20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듀얼 LED(400)는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LED(410)와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2LED(4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LED모듈(200)의 결합부(210)는 각 에어리어(310)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단과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제1LED(410)와 제2LED(42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의 듀얼 렌즈(500)는 듀얼 LED(400)의 제1LED(410)와 제2LED(420)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듀얼 LED(400)의 빛이 서로 다른 형태로 배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의 듀얼 렌즈(500)는 제1LED(41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렌즈(510)와 제2LED(420)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렌즈(5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1렌즈(510)는 제1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제2렌즈(520)는 제2LED(420)에서 발광하는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상기 컨트롤부(33)의 제2제어부(33b)에 의해 각각의 에어리어(310)에 구비되는 제1LED(410)가 빛을 발광하도록 해 제1렌즈(510)를 통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고, 안개, 비, 눈 등으로 인한 악천후 시에는 상기 컨트롤부(33)의 제2제어부(33b)에 의해 각각 에어리어(310)에 구비되는 제2LED(420)가 빛을 발광하도록 해 제2렌즈(520)를 통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여 시인성과 판별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을 상 방향으로는 제한하고 하 방향으로 굴절시켜 광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1렌즈(51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제1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의 도로정보표시장치(10)는 전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홀(110)을 구비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개방홀(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LED모듈(200), LED모듈(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LED모듈(200)의 전면을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선(300), 구획선(300)에 의해 구획된 에어리어(310)에 각각 구비되고 LED모듈(200)과 결합하여 빛을 발광하는 듀얼 LED(400) 및 듀얼 LED(400)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듀얼 LED(400)의 빛이 서로 다른 형태로 배광되도록 하는 듀얼 렌즈(5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듀얼 LED(400)는 LED모듈(200)과 연결되고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LED(410)와 LED모듈(200)과 연결되고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2LED(4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듀얼 렌즈(500)는 제1LED(4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1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1렌즈(510)와 제2LED(4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2LED(420)에서 발광하는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2렌즈(5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1렌즈(510)는 유입부(511), 제1반사부(512) 및 제1배광부(5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유입부(511)는 제1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이 유입되는 곳으로서 중심부가 조사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제1반사부(512)는 원통 형태로 구비되어 유입부(511)를 통해 유입된 빛 중에서 일부를 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배광부(513)는 유입부(511)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입된 빛이나 제1반사부(512)를 통해 반사된 빛을 도로로 배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반사부(512)는 유입부(511)와 마찬가지로 중심부가 배광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구비되어 볼록렌즈와 같은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유입부(511)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입된 빛이나 제1반사부(512)를 통해 반사된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렌즈(510)를 통과한 제1LED(410)에서 발광 된 빛은 65도 각도로 배광되어 폭 넓게 전방 도로를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을 상 방향으로는 제한하고 하 방향으로 굴절시켜 광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 및 판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2렌즈(52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제2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의 도로정보표시장치(10)는 전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홀(110)을 구비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개방홀(110)의 전면에 구비되는 LED모듈(200), LED모듈(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LED모듈(200)의 전면을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선(300), 구획선(300)에 의해 구획된 에어리어(310)에 각각 구비되고 LED모듈(200)과 결합하여 빛을 발광하는 듀얼 LED(400) 및 듀얼 LED(400)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듀얼 LED(400)의 빛이 서로 다른 형태로 배광되도록 하는 듀얼 렌즈(5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듀얼 LED(400)는 LED모듈(200)과 연결되고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LED(410)와 LED모듈(200)과 연결되고 에어리어(310)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2LED(4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듀얼 렌즈(500)는 제1LED(4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1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1렌즈(510)와 제2LED(4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2LED(420)에서 발광하는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2렌즈(5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제2렌즈(520)는 삽입부(521), 제2반사부(522) 및 제2배광부(5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삽입부(521)는 제2LED(420)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제2LED(420)는 삽입부(521)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상기의 제2반사부(522)는 삽입부(521)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제2LED(42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제2LED(420)에서 발광하는 빛을 전반사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제2배광부(523)는 삽입부(521)를 통해 직접적으로 유입된 빛이나 제2반사부(522)를 통해 반사된 빛을 도로로 배광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반사부(522)는 원뿔형태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제2반사부(522)는 삽입부(521)와 마주보는 형태로 제2반사부(522)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부분(523a)과 제2반사부(522)의 일단에서 제1부분(523a)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2반사부(522)의 일단과 제1부분(523a)을 연결하는 제2부분(52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반사부(522)의 형태로 인해 제1부분(523a)을 통해 배광되는 빛과 제2부분(523b)을 통해 배광되는 빛은 제1부분(523a)과 제2부분(523b)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집중시켜 직선형태로 배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제2렌즈(520)를 통과한 제2LED(420)에서 발광 된 빛은 14도 범위에서 집중적으로 배광될 수 있고, 이는 운전자의 시인성과 판동성을 극대화시켜 안개, 비, 눈 등의 악천후 시 도로정보표시장치(10)를 통해 표출되는 가변속도나 교통정보를 멀리서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렌즈(510)는 제1LED(410)에서 발광하는 빛을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여 폭 넓게 전방 도로를 조사할 수 있으므로 맑은 날씨 및 평상시에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안개, 비, 눈 등의 악천후 시에는 제1LED(410)를 소등하고 제2LED(420)를 점등하여 제2렌즈(520)를 통해 제2LED(420)에서 발광하는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도로정보표시장치(10)를 통해 표출되는 가변속도나 교통정보를 멀리서도 쉽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악천후에 대응하여 시인성과 판독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느끼는 불안감과 사고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속도관리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도로정보표시장치 20: 기상감지지
30: 컨트롤러

Claims (11)

  1. 도로정보표시장치와,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주변 기상을 감지하는 기상감지기와,
    상기 기상감지기 및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기상감지기를 통해 감지 및 측정된 기상 여건에 따라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에 표출될 가변 제한속도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기상감지기는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의 전방 시정을 측정하는 시정계와,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풍속계와, 도로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와, 광신호를 통해 강수입자에서 산란 된 빛을 측정하여 강수의 유무와 상수빈도를 측정하고, 주변 대기의 온도와 습도의 측정을 통해 눈과 비를 구분하는 측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기상감지기로부터 측정된 측정값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와 연결되어 수신된 측정값을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에서 표출되는 제한속도를 컨트롤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의 배광방식을 컨트롤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로정보표시장치는 전면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홀의 전면에 구비되는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LED모듈의 전면을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구획선과, 상기 구획선에 의해 구획된 에어리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LED모듈과 결합하여 빛을 발광하는 듀얼 LED와, 상기 듀얼 LED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듀얼 LED의 빛이 서로 다른 형태로 배광되도록 하는 듀얼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에는 상기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측정값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한 기준 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관리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LED는 상기 LED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리어의 중심으로부터 우측 상단에 위치하는 제1LED와,
    상기 LED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에어리어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제2LE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관리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렌즈는 상기 제1LED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1렌즈와,
    상기 제2LED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2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2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관리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상기 제1LED에서 발광하는 빛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빛을 반사하는 제1반사부와,
    상기 제1반사부의 전면에 위치하고 조사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구비되어 제1반사부를 통해 반사된 빛이 방사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1배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관리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2LED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2LED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2LED에서 발광하는 빛을 반사하는 제2반사부와,
    상기 제2반사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제2반사부를 통해 반사된 빛이 직선형으로 배광되도록 하는 제2배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관리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광부는 상기 제2반사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2반사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부분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반사부의 일단과 상기 제1부분을 연결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관리시스템.
KR1020160182522A 2016-12-29 2016-12-29 속도관리시스템 KR10184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522A KR101840310B1 (ko) 2016-12-29 2016-12-29 속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522A KR101840310B1 (ko) 2016-12-29 2016-12-29 속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310B1 true KR101840310B1 (ko) 2018-05-04

Family

ID=6219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522A KR101840310B1 (ko) 2016-12-29 2016-12-29 속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3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664Y1 (ko) * 2004-10-21 2005-04-07 남일희 기후 변화에 따라 최고 제한속도가 변경되는 교통표시장치.
JP2014224835A (ja) * 2011-09-14 2014-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664Y1 (ko) * 2004-10-21 2005-04-07 남일희 기후 변화에 따라 최고 제한속도가 변경되는 교통표시장치.
JP2014224835A (ja) * 2011-09-14 2014-12-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5358B2 (ja) 自発光道路標識システム
KR101672259B1 (ko) 가변형 교통표지판
US7817064B2 (en) Road-condition informing apparatus and road-condition informing method
KR10164534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가변표지판
KR20120005405A (ko) 자동차 외부 가시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센서 장치
KR101720163B1 (ko) 도로반사경 장치
CN112863201A (zh) 一种基于高速公路团雾区域多级预警系统的引导方法
KR101742801B1 (ko) 램프 교체가 용이한 조명도로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교통관리 시스템
KR102037260B1 (ko) 능동형 속도관리시스템
CN108922245B (zh) 一种公路视距不良路段预警方法及系统
CN102747696A (zh) 一种智能路标及其应用方法
KR102247216B1 (ko) 주행정보의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패턴조명 출력시스템
JP2006524334A (ja) 道路反射率及び街路照明の監視
KR20150009157A (ko) 위험구간 led시선유도등 제어방법
KR10199132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표지판
JP3499817B2 (ja) 右折運転支援装置
KR101840310B1 (ko) 속도관리시스템
KR101939539B1 (ko)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KR101871119B1 (ko)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KR101846990B1 (ko) 도로정보표시장치
KR20210048715A (ko) 도로 상태를 감지하는 도로표시장치
CN214312062U (zh) 一种多雾山区高速公路自动监测、预报与预警系统
KR102287359B1 (ko) 터널사고방지 조명시스템
KR101510844B1 (ko) 차량용 비상등 점멸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025835B1 (ko) 도로 정보 표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