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1119B1 -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19B1
KR101871119B1 KR1020170145066A KR20170145066A KR101871119B1 KR 101871119 B1 KR101871119 B1 KR 101871119B1 KR 1020170145066 A KR1020170145066 A KR 1020170145066A KR 20170145066 A KR20170145066 A KR 20170145066A KR 101871119 B1 KR101871119 B1 KR 10187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ing unit
sensing
streetligh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4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H05B37/0218
    • H05B37/0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의 디밍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감지수단을 각각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 센서로 구성하여 센싱 정확도를 높이고, 일부 센서가 작동을 하지 않거나 하는 등의 비상상황시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광원을 갖는 복수의 가로등과, 상기 가로등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가로등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되 제1감지부의 감지방식과 다른 형태의 제2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신호를 제공받고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접근신호로 확정짓는 접근판단부와, 상기 접근판단부의 접근신호를 시간대 별로 수집하는 빅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의 접근신호를 통해 가로등 주변의 통행량을 분석하는 환경분석 연산부와, 상기 환경분석 연산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구역 가로등의 조도 및 연계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Dimming Control System of Streetlight Using Different Sensors}
본 발명은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의 디밍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감지수단을 각각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 센서로 구성하여 센싱 정확도를 높이고, 일부 센서가 작동을 하지 않거나 하는 등의 비상상황시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골목길이나 도로 등을 환하게 비출 수 있도록 한 조명기구로서, 어두워지는 초저녁에 점등되고 새벽에 소등이 이루어지며 구역마다 설치된 복수의 가로등이 분전함을 통해 일괄적으로 제어되고 있다.
이러한 가로등은 적절히 사용될 경우, 보행자의 안전 및 차량 추돌사고를 방지하는 등의 이점이 있지만, 조명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불필요한 전기사용 및 빛공해(Light Pollution)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통행이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가로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디밍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량이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여 디밍제어가 이루어지는 기술은 하나의 종류로 이루어진 센서에만 감지여부를 의존하기 때문에, 오작동을 유발하고 감지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센싱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고성능의 센서가 필요하지만,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83359호(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에는 가로등 주변에서 수집한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가로등을 점소등 및 조도와 색상을 조절하며, 제1 조도 센서 및 제2 조도 센서가 감지한 가로등의 조도값과 이론적인 조도값을 비교함으로써 LED 가로등의 고장을 감지하는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고장을 감지하기 위해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두 개의 조도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조도 센서는 사람이나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가 아니며 접근 감지에 따른 센싱 정확도를 높일 수 없는 기술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96356호(LED 가로등의 디밍 감시 제어 방법)에는 원격 통신부에 의해, 원격 장치로부터 디밍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디밍 신호부에 의해, 디밍 신호에 대응되는 전류 제어 신호를 LED 가로등의 전원 공급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전류 센서에 의해, 전류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에서 LED 가로등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홀 효과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감지한 전류에 대응되는 홀 전압을 출력하는 단계; 및 처리부에 의해, 홀 전압을 근거로 LED 가로등의 구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가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가로등의 구동 상태를 판단하고 원격으로 디밍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로서, 상기 선행기술에는 사람이나 차량의 접근에 따른 감지기술에 관한 기술적 암시가 전혀 나와 있지 않고 센싱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786615호(도플러 센서 및 RGB LED를 구비한 가로등의 시각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상세하게는, 외곽 지역에 설치된 차도와 인도 양측으로 향하는 양방향 가로등에 대하여, 도플러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물체(차량, 사람 또는 동물)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고, 위험 상황에서 해당 가로등 조명부의 색 또는 점멸을 제어하여 가로등을 통해 시각적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른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도로쪽의 차량과 인도쪽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무단횡단을 인지하고, 이를 알려주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기술로서, 어느 한쪽(인도, 또는 차도)에 해당하는 부분의 센싱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이 아니며 양쪽 센서의 정보를 통해 시각적으로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기술에 불과하기 때문에 종래의 센싱 정확도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33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3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66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른 감지방식을 갖는 저가의 센서들을 통해 사람 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고가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센싱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센서의 일시적 장애가 발생하여도 즉각적으로 대처하여 오인식을 방지하고자 한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광원을 갖는 복수의 가로등과, 상기 가로등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와, 상기 가로등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되 제1감지부의 감지방식과 다른 형태의 제2감지부와,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신호를 제공받고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접근신호로 확정짓는 접근판단부와, 상기 접근판단부의 접근신호를 시간대 별로 수집하는 빅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의 접근신호를 통해 가로등 주변의 통행량을 분석하는 환경분석 연산부와, 상기 환경분석 연산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구역 가로등의 조도 및 연계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영상감지센서 중에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등 주변의 비상상황을 인식하고 비상상황에 따라서 접근판단부에서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감지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비상상황 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는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작동장애에 따른 비상상황을 알려주는 고장 감지부와, 가로등 주변의 날씨 및 주변상황에 따른 비상상황을 알려주는 환경 감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감지방식이 서로 다른 이종의 감지센서로 사람 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고가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각 감지센서에 장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감지정확도 및 감지거리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상황 감지부를 통해 감지센서의 고장 및 주변환경의 상황을 고려하여 감지센서의 우선순위를 지정함으로써, 비상상황에 따른 감지 오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비상상황 감지부가 더 포함된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비상상황 감지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의 센서 종류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의 센서 종류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을 갖는 복수의 가로등(100)과, 상기 가로등(1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200)와, 상기 가로등(1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되 제1감지부(200)의 감지방식과 다른 형태의 제2감지부(300)와, 상기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신호를 제공받고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접근신호로 확정짓는 접근판단부(400)와, 상기 접근판단부(400)의 접근신호를 시간대 별로 수집하는 빅데이터 저장부(500)와,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500)의 접근신호를 통해 가로등(100) 주변의 통행량을 분석하는 환경분석 연산부(600)와, 상기 환경분석 연산부(600)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구역 가로등(100)의 조도 및 연계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를 통해 얻는 감지정보를 접근판단부(400)에서 접근신호로 확정짓고 확정된 접근신호는 빅데이터로 저장한 다음, 빅데이터의 자료로 가로등(100) 주변환경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가로등(100)의 조도 및 연계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감지방식이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에 적용될 수 있는 센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각 감지센서의 종류에 따른 장단점은 아래의 표와 같다.
센서종류 동작 원리 장점 단점
PIR센서 온도를 가진 대상의 복사선을 검출하여 식별 1.인체식별력이 우수함
2.센서가격이 저렴
3.인식범위가 넓음

1.외부외란광에 오인식
2.온도변화에 따른 오인식
3.동작거리가 짧음
초음파 센서 발사한 초음파의 반사파를 직접 수신하여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거리 및 대상을 식별 1.정밀측정이 가능
2.감지 거리 조절이용이
1.동작범위가 좁다
2.센서 동작시간이 느림
3.온도,먼지에 취약
레이더 센서
(microwave)
센서에서 발사한 마이크로 웨이브의 반사파를 직접 수신하여 송수신 주파수를 비교하여 도플러주파수를 측정하여 대상을 식별 1.장거리 정밀측정 가능
2.속도 측정이 가능
3.온도, 먼지 등의 환경영향이 적음
1.소형물체에 따른 오동작
2.주변 장애물의 의해 발생되는 반사파에 취약
라이다 센서 센서에서 발사한 레이저의 반사파를 직접 수신하여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거리 및 대상을 식별 1.정밀측정이 가능 1.동작범위가 좁다
2.고가의 가격문제
본 발명은 고가의 정밀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감지범위, 거리를 넓히고 인식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로서,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는 고가의 라이다 센서를 제외하고, PIR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중에서 적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감지에 효율적인 CCTV형태의 영상으로 대상을 감지하는 영상감지센서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근판단부(400)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양 신호가 어떠한 형태로 들어왔는지에 따라 접근신호로 인정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접근판단부(400)의 설정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아래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상기 접근신호의 대상은 사람 또는 차량이나 이륜차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빅데이터 저장부(500)는 상기 접근신호를 시간대별로 저장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접근판단부(400)의 확정된 접근신호 이외에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감지신호도 함께 저장되는 구성으로서, 접근판단부(400)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접근판단부(400)의 확정된 접근신호와 실제 통행량을 비교분석하여 접근판단부(400)의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자료로 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경분석 연산부(600)는 빅데이터 저장부(500)의 접근신호를 분석하여 가로등(100) 주변의 통행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즉, 시간대별로 통행량의 변화, 대상의 평균이동속도, 특정시간대에 고정적으로 출,퇴근하는 대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어부(700)는 상기 환경분석 연산부(600)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구역 가로등(100)의 조도 및 연계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즉, 통행량에 따라 가로등(100)의 조도값을 100%, 75%, 50% 와 같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의 평균이동속도에 맞추어 경로에 해당하는 가로등(100)이 차례로 밝아질 수 있도록 조도조절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시간대 고정적으로 출,퇴근하는 대상의 시간에 맞게 해당구역 가로등(100)의 조도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800);가 더 포함되어 비상상황에 따라 접근판단부(400)에서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감지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800)는 실시간으로 운용되며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접근판단부(400)의 알고리즘 제어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800);는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작동장애에 따른 비상상황을 알려주는 고장 감지부(810)와, 가로등(100) 주변의 날씨 및 주변상황에 따른 비상상황을 알려주는 환경 감지부(820);로 구성된다. 상기 환경 감지부(820)는 관리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비상상황을 알려줄 수도 있고, 가로등(100) 주변에 설치된 온도센서, 우적센서, 미세먼지센서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밍제어 시스템은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조합에 따라 크게 2가지의 실시예로 나뉠 수 있다.
실시예 1은 도로옆 가로등(100)과 같이 인도에는 사람이 통행하고 차도에는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나, 사람과 차량 모두 통행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좁은 도로에 적합한 실시예로서, 제1감지부(200)는 사람 감지가 용이한 PIR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로 적용되고 제2감지부(300)는 차량 감지가 용이한 레이더센서 또는 영상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감지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접근판단부(400)에서는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신호 어느 하나라도 감지되면 접근감지로 확정짓는 형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은 서로 다른 감지거리를 갖는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가 서로 취약점을 보완하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고가의 감지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측정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1의 비상상황 감지부(800)를 통한 감지 및 접근판단부(400)의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부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고장 감지부(81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정상작동되는 감지부에 의존해서 감지하게 된다. 즉, 고장신호라 함은 항시 감지신호를 유발하는 오동작과 반대로 감지신호를 발생하지 않은 고장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감지부(200)의 고장이 감지되었을 경우 고장 감지부(810)는 이를 감지하고 접근판단부(400)의 설정을 일시적으로 변경하게 되는데, 이때 접근판단부(400)에서는 제1감지부(200)의 감지신호는 차단하고 제2감지부(300)의 감지신호를 우선으로하여 사람과 차량 모두 식별하도록 한다.
그리고 환경 감지부(820)를 통해 온도변화를 감지하였을 경우, 온도에 취약한 센서 즉, PIR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로 적용되는 제1감지부(200)를 뒷순위에 두고 온도에 영향이 적은 레이더센서를 우선순위에 두어 접근판단부(400)에서 접근신호로 확정짓는 것이다. 아울러 환경 감지부(820)를 통해 바람이 많이 불거나 낙엽, 우박과 같은 소형장애물이 감지될 경우에는 반대로 소형장애물에 취약한 레이더센서가 적용되는 제2감지부(300)를 뒷순위에 두고 소형장애물에 영향이 적은 제1감지부(200)를 우선순위에 두는 형태로 접근판단부(400)의 알고리즘을 변경하게 된다.
상기 환경 감지부(820)에 의해 뒷순위로 밀려나는 감지부의 감지신호는 온도 및 날씨변화 정도에 따라 정상적으로 감지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감지부(820)에서 환경변화의 정도에 따라 감지신호 전체를 차단할지 아니면 일정비율은 감지신호로 인정하여 사용될지를 판단하고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비상상황 감지부(800)는 고장 감지부(810) 및 환경 감지부(820)의 이상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상황으로 판단하여, 접근판단부(400)의 변화된 설정을 다시 초기설정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2는 보안용도로 설치되는 가로등(100)과 같이 차량의 통행은 거의 존재하지 않고 사람의 통행만 빈번한 곳에 골목길에 적합한 실시예로서, 제1감지부(200)는 PIR센서로 적용되고, 제2감지부(300)는 초음파센서로 구성되어 사람 감지에 특화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 2는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가 서로 동일한 감지대상을 갖기 때문에 접근판단부(400)에서는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양 신호가 모두 감지되어야 접근감지신호로 확정짓는 형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는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의 감지신호를 모두 충족해야되기 때문에 측정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2의 비상상황 감지부(800)를 통한 감지 및 접근판단부(400)의 제어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실시예 2의 고장 감지부(810) 역시 실시예 1과 유사한 형태로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감지부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고장 감지부(81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정상작동되는 감지부에 의존해서 감지하게 된다. 즉, 제1감지부(200)의 고장이 감지되었을 경우 고장 감지부(810)는 이를 감지하고 접근판단부(400)의 설정을 일시적으로 변경하게 되는데, 이때 접근판단부(400)에서는 제1감지부(200)의 감지신호는 차단하고 제2감지부(300)의 감지신호를 우선으로 하여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실시예 2의 환경 감지부(820)는 온도변화를 감지하였을 경우, 제1감지부(200)와 제2감지부(300) 중에서 온도변화에 더 취약한 PIR센서에 해당하는 제1감지부(200)를 뒷순위에 두고 온도변화의 영향이 더 적은 초음파센서를 우선순위에 두어 접근판단부(400)에서 접근신호로 확정지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환경 감지부(820)를 통해 바람이 불거나 먼지, 눈, 비와 같은 미세장애물이 감지될 경우 미세장애물에 취약한 초음파센서가 적용되는 제2감지부(300)를 뒷순위에 두고 미세장애물에 영향이 적은 제1감지부(200)를 우선순위에 두는 형태로 접근판단부(400)의 알고리즘을 변경하게 된다.
실시예 2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환경 감지부(820)에 의해 뒷순위로 밀려나는 감지부의 감지신호는 온도 및 날씨변화 정도에 따라 정상적으로 감지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감지부(820)에서 환경변화의 정도에 따라 감지신호 전체를 차단할지 아니면 일정비율은 감지신호로 인정하여 사용될지를 판단하고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가로등 200 : 제1감지부
300 : 제2감지부 400 : 접근판단부
500 : 빅데이터 저장부 600 : 환경분석 연산부
700 : 제어부 800 : 비상상황 감지부
810 : 고장 감지부 820 : 환경 감지부

Claims (4)

  1. 광원을 갖는 복수의 가로등,
    상기 가로등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가로등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대상의 접근을 감지하되 제1감지부의 감지방식과 다른 형태의 제2감지부,
    상기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영상감지센서 중에서 적용되며,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신호를 제공받고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접근신호로 확정짓는 접근판단부,
    상기 접근판단부의 확정된 접근신호와,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의 감지신호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상기 확정된 접근신호와 실제 통행량 비교분석시 상기 접근판단부의 알고리즘 학습 자료로 사용되도록 신호들을 저장하는 빅데이터 저장부,
    상기 빅데이터 저장부의 접근신호를 통해 가로등 주변의 통행량을 분석하는 환경분석 연산부,
    상기 환경분석 연산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구역 가로등의 조도 및 연계작동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제어부;
    상기 가로등 주변의 비상상황을 인식하고 비상상황에 따라서 접근판단부에서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감지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비상상황 감지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는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작동장애에 따른 비상상황을 알려주는 고장 감지부와, 가로등 주변의 날씨 및 주변상황에 따른 비상상황을 알려주는 환경 감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고장감지부는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접근판단부의 설정을 일시적으로 변경하며,
    상기 환경 감지부를 통해 온도변화를 감지하였을 경우, 온도에 취약한 PIR센서 또는 초음파센서로 적용되는 제1감지부를 뒷순위에 두고 온도에 영향이 적은 레이더센서를 우선순위에 두어 접근판단부에서 접근신호로 확정짓는 한편, 바람이 불거나 낙엽, 우박과 같은 소형장애물이 감지될 경우에는 반대로 소형장애물에 취약한 레이더센서가 적용되는 제2감지부를 뒷순위에 두고 소형장애물에 영향이 적은 제1감지부를 우선순위에 두는 형태로 접근판단부의 알고리즘을 변경하고,
    상기 환경 감지부에 의해 뒷순위로 밀려나는 감지부의 감지신호는 환경 감지부에서 감지신호 전체를 차단할지 아니면 일정비율은 감지신호로 인정하여 사용될지를 판단하고 설정하며,
    상기 비상상황 감지부는 고장감지부 및 환경감지부의 이상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정상상황으로 판단하여 접근판단부의 변화된 설정을 초기설정으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45066A 2017-11-02 2017-11-02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KR10187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066A KR101871119B1 (ko) 2017-11-02 2017-11-02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066A KR101871119B1 (ko) 2017-11-02 2017-11-02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19B1 true KR101871119B1 (ko) 2018-06-26

Family

ID=62788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066A KR101871119B1 (ko) 2017-11-02 2017-11-02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463B1 (ko) * 2019-09-03 2020-04-09 주식회사 명신전자 디밍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200134669A (ko) 2019-05-23 2020-12-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레이더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조명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946A (ko) * 2007-04-10 2008-10-15 하재상 인공지능형 가로등 제어장치
KR100976610B1 (ko) * 2009-06-29 2010-08-18 (주)오로라 디자인랩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183359B1 (ko) 2012-04-13 2012-09-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296356B1 (ko) 2013-01-22 2013-08-14 아이티엘(주) Led 가로등의 디밍 감시 제어 방법
JP2017508260A (ja) * 2014-03-19 2017-03-23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多方式感知
KR101786615B1 (ko) 2017-03-03 2017-10-17 주식회사 레딕스 도플러 센서 및 rgb led를 구비한 가로등의 시각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946A (ko) * 2007-04-10 2008-10-15 하재상 인공지능형 가로등 제어장치
KR100976610B1 (ko) * 2009-06-29 2010-08-18 (주)오로라 디자인랩 네트워크를 사용한 가변형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183359B1 (ko) 2012-04-13 2012-09-1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296356B1 (ko) 2013-01-22 2013-08-14 아이티엘(주) Led 가로등의 디밍 감시 제어 방법
JP2017508260A (ja) * 2014-03-19 2017-03-23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多方式感知
KR101786615B1 (ko) 2017-03-03 2017-10-17 주식회사 레딕스 도플러 센서 및 rgb led를 구비한 가로등의 시각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669A (ko) 2019-05-23 2020-12-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레이더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조명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99463B1 (ko) * 2019-09-03 2020-04-09 주식회사 명신전자 디밍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2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istance-based debouncing of light-characteristic changes
KR101145955B1 (ko) 횡단보도 교통 평온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10935A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1674443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
KR101886325B1 (ko) 주차장 교차로의 진입차량 경고 시스템
KR101871119B1 (ko)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CN106223223A (zh) 一种人行横道的安全通行警示装置
KR101250868B1 (ko) 횡단보도 조명용 볼라드
KR102099463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210031589A (ko) 터널 내부 차량 사고 방지시스템
KR20170019575A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20190057870A (ko) Vms를 이용한 도로 사고 예방 시스템
KR101939539B1 (ko)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KR20110094549A (ko) 복수의 가로등의 디밍 방법
CN109493624B (zh) 一种具有自检功能的交通信号灯
KR102340722B1 (ko) 가로등의 제어방법
CN210807757U (zh) 一种公路隧道灯光智能控制系统
KR101691581B1 (ko) 방향 지시등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KR102193155B1 (ko) 횡단보도용 표출수단의 제어시스템
CN210181218U (zh) 带有自学习功能的盲点监测系统
KR101496717B1 (ko) 위치 및 속도기반 가로등 점등 시스템 및 방법
CN112882061A (zh) 人车识别安全防护激光装置及方法
KR102048821B1 (ko) 가로등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1629472A (zh) 基于毫米波雷达的人行横道智慧路灯指示系统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