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539B1 -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 Google Patents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539B1
KR101939539B1 KR1020180088331A KR20180088331A KR101939539B1 KR 101939539 B1 KR101939539 B1 KR 101939539B1 KR 1020180088331 A KR1020180088331 A KR 1020180088331A KR 20180088331 A KR20180088331 A KR 20180088331A KR 101939539 B1 KR101939539 B1 KR 101939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signal
occurrence
unexpected situation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일
오승현
Original Assignee
(주)알엠테크
주식회사 시코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엠테크, 주식회사 시코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알엠테크
Priority to KR1020180088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2차 추돌사고를 예방하는 스마트 가로등이 개시된다. 본 스마트 가로등은 상기 도로의 기설정된 감지구간을 대상으로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객체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구간 내의 돌발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다른 가로등과 상호 간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발신호를 다른 가로등에 송신하거나, 다른 가로등으로부터 상기 돌발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전방도로의 상기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상기 전방도로의 돌발상황의 발생 사실을 인지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상신호를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되는 가로등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되되,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時點)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돌발신호를 전단에 위치된 가로등 중 기설정된 알림 거리 이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에 전송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고 발생 시,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2차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Smart streetlight for a secondary accident prevention}
본 발명은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위치된 가로등이 도로상의 객체의 감지 여부에 따라 사고 발생 상황을 감지하고, 사고 발생 상황이 감지되면, 통신 연결된 전단의 가로등에 사고 발생 신호를 전송하며, 사고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전단의 가로등이 전방 도로의 사고 발생 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림으로써, 2차 추돌사고를 예방하는 스마트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상의 차량은 시속 100km/h가 넘는 빠른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전방에 사고가 발생된 경우,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가 늦어져, 정지해 있는 사고차량과 충돌하는 2차 추돌사고의 가능성이 매우높다.
특히, 2차 추돌사고의 치사율은 일반 사고에 비하여 약 6배 높은 치사율을 보일 만큼, 2차 추돌사고의 발생 시에는 심각한 피해가 발생되기 때문에, 2차 추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요구된다.
기존의 2차 추돌사고 방지를 위한 조치로는, 사고차량의 운전자가 사고차량의 전단에 삼각대를 설치하거나, 운전자가 직접 수신호 함으로써, 후미 차량에 사고사실을 인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 삼각대의 설치 및 수신호 과정에서 사고차량의 운전자에게 2차 추돌사고의 위험이 있어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4591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에서는 도로변의 가로등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사고 발생을 감지한 가로등의 전단의 가로등들의 점멸을 통해, 후방의 차량이 사고 발생을 인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2차 추돌사고를 예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운전자가 전방의 사고 발생 여부만 인지 가능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사실을 인지한 운전자가 속도를 늦추는 대응만이 가능하여, 2차 추돌사고는 예방할 수 있지만 사고에 의한 교통 정체가 가속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가로등을 이용하여 도로의 차량 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사고 발생 지점의 일정 거리 전단에 위치된 가로등을 통해,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전방의 사고 발생을 인지하도록 하되, 사고가 발생된 차로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를 함께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가 발생된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차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추돌사고를 예방할 뿐 아니라, 사고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교통 정체도 저감되도록 하는 장치의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14591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차량 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고에 대한 정보가 사고 발생 지점 내 일정 거리 전단에 위치된 다른 가로등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전방의 사고 발생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2차 추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 가로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의 차로별 사고 발생 여부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고, 차로별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가 사고 발생 지점 내 일정 거리 전단에 위치된 다른 가로등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 차로를 사전에 인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차로를 미리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에 의한 교통 정체가 저감되도록 하는 2차 추돌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가로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추돌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가로등은 상기 도로의 기설정된 감지구간을 대상으로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객체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구간 내의 돌발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다른 가로등과 상호 간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발신호를 다른 가로등에 송신하거나, 다른 가로등으로부터 상기 돌발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전방도로의 상기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상기 전방도로의 돌발상황의 발생 사실을 인지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상신호를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되는 가로등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되되,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時點)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돌발신호를 전단에 위치된 가로등 중 기설정된 알림 거리 이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에 전송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차로별 객체의 유무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차로에서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객체가 감지된 이상차로에 대한 이상차로 정보가 포함된 이상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이상차로와 연결된 차로에서,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상차로 정보가 포함된 돌발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신호에 포함된 이상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전방도로의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정보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를 인지 가능하도록 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발신호는,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의 식별 정보,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이 위치된 도로의 전체차로의 수에 대한 전체차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돌발신호에 포함된 전체차로 정보 및 이상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된 둘 이상의 세로선이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세로선을 차선으로 하는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도록 하고, 상기 가상의 차로에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기호 또는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2 기호가 상기 세로선 사이에 각각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신호를 수신한 가로등이 위치된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의 수와,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이 위치된 돌발상황 발생지점의 전체차로의 수 중, 더 큰 수보다 하나 많은 수의 세로선이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도록 하되, 상기 표현된 가상의 차로 중, 상기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에 비해, 추가되는 차로에는 제3 기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현재 지점에 비해, 상기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차로의 수가 추가되는 것이 표현되도록 하고, 상기 표현된 가상의 차로 중, 상기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에 비해 감소된 차로에는 제4 기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현재 지점에 비해, 상기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차로의 수가 감소되는 것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된 차선에서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표현된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전체차로 중, 상기 추가된 차로에 상기 제1 기호와 상기 제3 기호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추가된 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됨이 표현되도록 하고, 상기 감소된 차선에서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표현된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전체차로 중, 상기 감소된 차로에 상기 제1 기호와 상기 제4 기호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감소된 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됨이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특정 형태의 가림막이 렌즈에 형성되는 고보캡이 마련되고, 도로의 바닥을 향해 상기 가림막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가림막의 형상이 상기 바닥에 투영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보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보조명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도로의 바닥에 투영된 가림막의 형상를 통해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의 발생 여부를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보캡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전 각도가 제어되고, 상기 가림막은, 화살표 형상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보캡의 초기상태가, 상기 화살표 형상의 방향이 차량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각도가 되도록 하고,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된 차로와 연결된 차로의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고보조명을 제어하여, 고보캡의 각도가 90°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고 발생 시,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2차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가 발생한 차로를 사전에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사전에 차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의한 교통 정체가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추돌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가로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보조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보조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보캡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서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추돌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가로등(1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추돌사고 방지를 위한 스마트 가로등(이하, "가로등"이라 한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은 복수로 마련되되, 도로변(道路邊)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은 이상상황을 감지하여 이상신호를 생성하는 제1 가로등(10a),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 가로등의 후단에 위치되어 돌발상황을 판단하여 돌발신호를 생성하는 제2 가로등(10b) 및 제2 가로등의 전단에 위치되되, 기설정된 알림 거리 이내에 위치되어, 돌발상황의 발생사실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방 도로에 돌발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인지시키는 제3 가로등(10c)으로 역할이 나뉘게 되나, 이는 고정되어 있는 역할이 아니라 이상상황 발생지점에 따라 바뀔 수 있는 가변적인 역할이다.
즉, 제1 가로등(10a)이 제2 가로등(10b) 및 제3 가로등(10c)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알림 거리는 1km일 수 있으며, 도로 상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제3 가로등(10c)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알림 거리가 1km인 경우, 제3 가로등(10c)은 제2 가로등의 전단에 위치되되, 1km 이내에 위치되는 모든 가로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a, 10b)은 도로의 차량 사고 발생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고에 대한 정보가 사고 발생 지점 내 일정 거리 전단에 위치된 다른 가로등(10c)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전방의 사고 발생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2차 추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a, 10b)은 도로의 차로별 사고 발생 여부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고, 차로별 사고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가 사고 발생 지점 내 일정 거리 전단에 위치된 다른 가로등(10c)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 차로를 사전에 인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차로를 미리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 발생에 의한 교통 정체가 저감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은 조명부(100), 감지부(200), 제어부(300), 통신부(400) 및 출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00)는 도로를 향해 빛을 방출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조명부(100)는 가로등(10)의 일측 끝단에 마련되되, 도로를 향하도록 마련되고, 빛의 밝기의 향상과, 전력 소비량의 감소를 위해, LED 조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200)는 도로의 기설정된 감지구간을 대상으로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객체란, 일반적으로 차량에 해당되지만, 차량뿐 아니라, 사람, 동물 및 화물 등의 일정 크기 이상의 도로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객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가 동시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감지부(200)는 차로별 객체의 유무를 개별적으로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복수의 초음파 센서 및 적외선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로등(10-1, 10-2, 10-3, … , 10-n)은 각각의 감지구간(F1, F2, F3, … , Fn)을 가지며, 각각의 감지구간(F1, F2, F3, … , Fn)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된 객체의 유무를 기반으로 감지구간 내의 돌발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돌발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차로에서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신호를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되는 가로등(10b)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이상신호에는 객체가 감지된 이상차로가 전체차로 중 몇 번째 차로인지에 대한 이상차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이상신호가 수신되되,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돌발신호를 전단에 위치된 가로등 중 기설정된 알림 거리 이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10c)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이상신호에 이상차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이상차로와 연결된 차로에서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아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상차로 정보가 포함된 돌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간 및 제2 기간은 5초 내지 30초이며, 제1 기간과 제2 기간은 필요에 따라 같은 기간으로 설정되거나 다른 기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가 돌발상황을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3 차량(C3)과 제4 차량(C4)이 충돌한 사고가 제2 감지구간(F2)에서 발생된 경우, 제1 가로등(10a)에 마련되는 감지부(이하, "제1 감지부”라 한다.)의해, 2차로(L2-2) 및 3차로(L2-3)에 객체(C3, C4)가 감지되고, 제1 가로등(10a)에 마련되는 제어부(이하, “제1 제어부”라 한다.)는 2차로(L2-2) 및 3차로(L2-3)에서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C3, C4)가 감지되어, 이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는 좌측에서 두 번째 가로등(10-2)이 제1 가로등(10a) 역할을 하고, 좌측에서 첫 번째 가로등(10-1)이 제2 가로등(10b) 역할을 하게 된다.
제1 제어부(300a)에 의해 이상신호가 생성되면, 제1 제어부(300a)는 생성된 이상신호를 후단에 위치하는 제2 가로등(10b)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가로등(10b)이 이상신호를 수신하면, 제2 가로등(10b)에 마련되는 제어부(이하, “제2 제어부”라 한다.)는 제2 가로등(10b)에 마련되는 감지부(이하, “제2 감지부”라 한다.)를 통해, 2차로(L2-2) 및 3차로(L2-3)와 연결된 2차로(L1-2) 및 3차로(L1-3)에서 이상신호를 수신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감지되는 객체가 없어, 돌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1 제어부(300a)는 돌발상황이 의심되는 상황을 판단하여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제2 제어부(300b)는 돌발상황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돌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제1 제어부(300a)이 이상신호를 생성하였으나, 제2 감지부(200b)가 이상차로와 연결된 차로에서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를 감지하였다면, 제2 제어부(300b)는 돌발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돌발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제어부(300b)는 차량 사고와 같은 돌발 상황이 아니라, 정체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돌발신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부(400)는 서로 다른 가로등과 상호 간에 통신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이상신호 및 돌발신호를 다른 가로등에 송신하거나 다른 가로등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00)는 외부의 기기와도 통신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이상신호 및 돌발신호를 외부의 기기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40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비콘, LTE, 3G, 4G, 5G 등 근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출력부(500)는 통신부(400)에 의해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전방도로의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이전의 운전자들이 전방 도로의 돌발상황의 발생 사실을 인지 가능하도록 하며, 그 밖에 출력부(500)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5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5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500)가 마련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5를 참조하여 출력부(5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도로의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출력부(500)는 제1 출력모듈(510) 및 제2 출력모듈(520)을 포함한다.
제1 출력모듈(510)은 현재 위치로부터 사고 발생 지점인, 제1 가로등(10a)까지의 거리가 출력되기 위해 마련되고, 제2 출력모듈(520)은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1 출력모듈(510) 및 제2 출력모듈(520)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마주하는 면에 위치되어, 운전 중인 운전자가 제1 출력모듈(510) 및 제2 출력모듈(520)에 출력되는 돌발상황 발생 정보를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가로등(10c)에 마련되는 제어부(이하 “제3 제어부”라 한다.)는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돌발신호에 포함된 이상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전방도로의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정보가 제1 출력모듈(510) 및 제2 출력모듈(52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를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가로등(10)은 식별을 위해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어부(300a, 300b)는 제1 가로등(10a)의 식별 정보, 제1가로등(10a)이 위치된 도로의 전체차로의 수에 대한 전체차로 정보가 포함되는 이상신호 및 돌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에 갓길이 형성되는 경우, 전체차로에 갓길이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a, 10b)은 갓길에 차량이 정차되어 있는 상황을 감지하고, 후단의 가로등(10c)은 갓길에 차량이 정차된 상황을 출력할 수 있다.
돌발신호에 제1 가로등(10a)의 식별 정보, 이상차로 정보 및 전체차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3 제어부(300c)는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돌발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 이상차로 정보 및 전체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상황이 발생된 지점까지의 거리,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 현재 위치의 전체차로 대비, 돌발상황이 발생된 지점의 전체차로의 증감 여부 등에 관한 정보가 출력부(50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발신호에 제1 가로등(10a)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제3 제어부(300c)는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돌발신호에 포함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제1 가로등(10)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산출된 거리가 제1 출력모듈(51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된 거리는 거리를 출력한 제3 가로등(10c)으로부터 제1 가로등(10a)까지의 거리이며, 이는 거리를 출력한 제3 가로등(10c)으로부터 돌발상황이 발생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돌발신호에 제1 가로등(10a)의 식별 정보, 이상차로 정보 및 전체차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각각의 제3 제어부(300c)는 각각의 제3 가로등(10)이 위치된 현재지점의 전체차로의 수와, 제1 가로등(10)이 위치된 지점의 전체차로 수 중, 더 큰 수보다 하나 많은 수의 세로선(v)이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2 출력모듈(520)에 출력되도록 하여, 세로선(v)을 차선으로 하는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제3 가로등(10c)이 위치한 지점의 전체차로 수가 4차로이고, 제3 가로등(10c)이 위치한 지점에서 제1 가로등(10a)이 위치된 지점 도중에 도로의 차선이 증가하여, 제1 가로등(10a)이 위치된 지점의 전체차로 수가 5차로인 경우, 어느 하나의 제3 가로등에 마련되는 제3 제어부(300c)는, 6개의 세로선(v)이 서로 간에 이격된 상태로 제2 출력모듈(520)에 출력되도록 하여, 5개의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세로선(v)이 출력되어,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는 경우, 제3 제어부(300c)는 가상의 차로에 돌발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1기호, 돌발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2 기호, 표현된 가상의 차로가 현재 지점을 기준으로 추가된 차로임을 나타내는 제3 기호 및 표현된 가상의 차로가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에 비하여 감소되는 차로임을 나타내는 제4 기호 중 적어도 하나의 기호가, 각 가상의 차로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호는 'x', 제2 기호는 'o', 제3 기호는 '+', 제4 기호는 '-'의 형태일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출력모듈(510)에는 '300'이 출력되고, 제2 출력모듈(520)에는 5개의 세로선(v)이 출력되되,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가상의 차로에는 제2 기호(s2)가 출력되고, 세 번째 가상의 차로에는 제1 기호(s1)가 출력되며, 네 번째 가상의 차로에는 제4 기호(s4)가 출력되어, 이를 본 운전자는 300미터 전방의 3차로에 돌발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전방 300미터 지점에서는 4차로가 감소되는 차로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인지한 운전자가 1차로 혹은 2차로로 차량을 운행 중이라면, 운행 중인 차로를 그대로 유지하되, 3차로 혹은 4차로로 차량을 운행 중이라면, 운행 중인 차로를 1차로 혹은 2차로로 미리 변경하여, 2차 추돌사고와 사고에 의한 교통정체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번째 차로에 제1 기호(s1)가 출력되고, 제3 기호(s3)가 가상의 네 번째 차로에 출력된 경우, 운전자에게 300m 전방의 3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하였고, 현재의 전체차로 수는 3차로이지만, 돌발상황 발생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우측으로 4번째 차로가 추가되어, 1, 2차로 혹은 3차로를 이용하여 주행한다면 돌발상황을 피할 수 있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제어부(300c)는 제2 출력모듈(520)에 제1 기호(s1)와 제3 기호(s3)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에 비하여 추가되는 4차로에서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차로가 분할되어 감소되는 경우, 차로가 분할된 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3 제어부(300c)는 가상의 차로 중, 분할된 차로에 제4 기호(s4)가 출력되도록 하되, 제1 기호(s1)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여, 전체차로에서 분할되는 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출력부(5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00)의 측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10)의 몸체를 이루는 기둥 하단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고,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00)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출력부(500)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어디든 위치할 수 있되,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가로의 길이를 갖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보조명(530)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보조명(530)의 가림막(531a)이 도로의 바닥에 투영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c)의 제어에 의한 고보캡(531)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보조명(530)을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부(500)는 전방도로의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를 도로의 바닥에 출력되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도로의 바닥을 향하고 있어도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를 인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술된 제1 출력모듈(510) 및 제2 출력모듈(520) 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고보조명(5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보조명(530)은 도로의 바닥을 향해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고보캡(531)을 포함할 수 있다.
고보캡(531)은 특정 형태의 가림막(531a)이 형성되는 렌즈가 마련되되, 고보조명(530)의 빛이 방출되는 방출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고보조명(530)에서 도로의 바닥을 향해 빛이 조사되면, 가림막(531a)이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고보조명(530)은 가림막(531a)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만이 도로의 바닥에 조사되도록 하여, 가림막(531a)의 형상이 도로의 바닥에 투영되도록 할 수 있다.
고보조명(530)은 각각의 가로등(10)이 위치된 도로의 전체차로의 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차로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00c)는,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고보조명(530)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각각의 차로의 바닥에 투영되는 가림막(531a)의 형상을 통해 운전자가 차로별 돌발상황의 발생 여부를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보캡(531)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제3 제어부(300c)에 의해 회전 각도가 제어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가림막(531a)은 화살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고보캡(531)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고보캡(531)의 회전을 위한 구동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마련되어 제3 제어부(300c)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고보캡(531)이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가림막(531a)의 형상이 화살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3 제어부(300c)는, 각각의 고보캡(531)의 초기상태가 가림막(531a)의 화살표 형상이 향하는 방향이 차량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제1 방향이도록 하되,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돌발상황이 발생된 차로와 연결된 차로에 빛을 조사하는 고보조명(530)을 제어하여, 고보캡(531)의 각도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90 °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차로와 연결된 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200)는, 출력부(500)에 고보조명(530)이 마련되는 경우, 조도 감지모듈(미도시)이 마련되어, 실시간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조도 감지모듈(미도시)이 마련되는 경우, 제3 제어부(300c)는 감지된 조도의 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고보조명(530)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여, 전력 소모가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도 감지모듈(미도시)이 마련되는 경우, 제2 제어부(300b)는 감지된 조도의 값에 따라 알림 거리의 설정 값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300b)는 알림 거리가 감지된 조도의 값과 반비례하도록 조절하여, 안개 등에 의해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낮은 경우에는 더욱 먼 거리에서부터 2차 추돌사고를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의 동작 특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1 제어부(300a)는 적어도 하나의 차로에서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910). 적어도 하나의 차로에서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S910-N) 적어도 하나의 차로에서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될 때까지, 객체를 감지하고, 만약, 적어도 하나의 차로에서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었다면(S910-Y), 제1 제어부(300a)는 이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920).
제1 제어부(300a)는 이상신호가 생성되면, 이상신호를 제2 가로등(10)에 송신하고(S930), 제2 제어부(300b)는 이상신호가 수신되면,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내에 이상차로와 연결된 차로에서 객체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940).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었다면(S940-Y) 제2 제어부(300b)는 돌발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제어부(300b)는 이상신호가 수신되되,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구간서 정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체신호를 생성하여, 정체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300b)는 이상신호가 수신되되,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객체가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지되었다면,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제1 제어부(300a)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았다면(S940-N), 제2 제어부(300b)는 돌발신호를 생성하고(S950), 복수의 제3 가로등(10)에 생성된 돌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960).
각각의 제3 제어부(300c)는 돌발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S970), 돌발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면(S970-N), 돌발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고, 만약, 돌발신호가 수신되었다면(S970-Y), 수신된 돌발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 이상차로 정보 및 전체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돌발상황 발생 지점까지의 거리 및 차선 별 상황정보가 출력부(50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980).
제1 제어부(300a) 및 제2 제어부(300b)는 이상신호 및 돌발신호를 생성 및 전송한 경우에도 이상신호 및 돌발신호의 생성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이상신호 및 돌발신호를 추가로 생성하고 전송하며, 제3 제어부(300c)는 기설정된 제3 기간 이내에 돌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돌발상황 발생정보의 출력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부(300c)는 새로운 돌발신호 정보가 수신된 경우, 출력되는 돌발상황 발생정보가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제어부(300c)는 통신부(400)를 통해 외부로부터 해지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돌발상황 발생정보의 출력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된 내용에 의해 사고 발생 시,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을 사전에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2차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후방의 차량 운전자가 사고가 발생한 차로를 사전에 인지 가능하도록 하여, 사전에 차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고 발생에 의한 교통 정체가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스마트 가로등 10a: 제1 스마트 가로등
10b: 제2 스마트 가로등 10c: 제3 스마트 가로등
100: 조명부 200: 감지부
300: 제어부 300a: 제1 제어부
300b: 제2 제어부 300c: 제3 제어부
400: 통신부 500: 출력부
510: 제1 출력모듈 520: 제2 출력모듈
530: 고보조명 531: 고보캡
531a: 가림막

Claims (8)

  1. 도로변(道路邊)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배열되어 도로를 향해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도로의 기설정된 감지구간을 대상으로 객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객체의 유무를 기반으로 상기 감지구간 내의 돌발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돌발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다른 가로등과 상호 간에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돌발신호를 다른 가로등에 송신하거나, 다른 가로등으로부터 상기 돌발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전방도로의 상기 돌발상황의 발생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가 상기 전방도로의 돌발상황의 발생 사실을 인지 가능하도록 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는 경우,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상신호를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위치되는 가로등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되되,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時點)으로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돌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돌발신호를 전단에 위치된 가로등 중 기설정된 알림 거리 이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가로등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감지부는,
    차로별 객체의 유무를 개별적으로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차로에서 기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객체가 감지된 이상차로에 대한 이상차로 정보가 포함된 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이상차로와 연결된 차로에서, 상기 이상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제2 기간 이내에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상차로 정보가 포함된 돌발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신호에 포함된 이상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전방도로의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정보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를 인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돌발신호는,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의 식별 정보,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이 위치된 도로의 전체차로의 수에 대한 전체차로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거리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에 포함된 전체차로 정보 및 이상차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가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출력부는,
    특정 형태의 가림막이 렌즈에 형성되는 고보캡이 마련되고, 도로의 바닥을 향해 상기 가림막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가림막의 형상이 상기 바닥에 투영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보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보조명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도로의 바닥에 투영된 가림막의 형상을 통해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의 발생 여부를 인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고보캡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회전 각도가 제어되고,
    상기 가림막은, 화살표 형상로 마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보캡의 초기상태가, 상기 화살표 형상의 방향이 차량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각도가 되도록 하고,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된 차로와 연결된 차로의 바닥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고보조명을 제어하여, 고보캡의 각도가 90°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된 둘 이상의 세로선이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세로선을 차선으로 하는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도록 하고, 상기 가상의 차로에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제1 기호 또는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리는 제2 기호가 상기 세로선 사이에 각각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차로별 돌발상황 발생 여부가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돌발신호를 수신한 가로등이 위치된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의 수와, 상기 이상신호를 생성한 가로등이 위치된 돌발상황 발생지점의 전체차로의 수 중, 더 큰 수보다 하나 많은 수의 세로선이 상기 출력부에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가상의 차로가 표현되도록 하되, 상기 표현된 가상의 차로 중, 상기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에 비해, 추가되는 차로에는 제3 기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현재 지점에 비해, 상기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차로의 수가 추가되는 것이 표현되도록 하고,
    상기 표현된 가상의 차로 중, 상기 현재 지점의 전체차로에 비해 감소된 차로에는 제4 기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현재 지점에 비해, 상기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차로의 수가 감소되는 것이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된 차선에서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표현된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전체차로 중, 상기 추가된 차로에 상기 제1 기호와 상기 제3 기호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추가된 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됨이 표현되도록 하고,
    상기 감소된 차선에서 상기 돌발상황이 발생된 경우, 상기 표현된 돌발상황 발생 지점의 전체차로 중, 상기 감소된 차로에 상기 제1 기호와 상기 제4 기호가 겹쳐진 상태로 출력되도록 하여, 상기 감소된 차로에서 돌발상황이 발생됨이 표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7. 삭제
  8. 삭제
KR1020180088331A 2018-07-30 2018-07-30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KR101939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31A KR101939539B1 (ko) 2018-07-30 2018-07-30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331A KR101939539B1 (ko) 2018-07-30 2018-07-30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539B1 true KR101939539B1 (ko) 2019-04-11

Family

ID=6616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331A KR101939539B1 (ko) 2018-07-30 2018-07-30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5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91A (ko)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도로 내 야생동물 출현 경고용 알림장치 및 알림방법
KR2021005941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이에스에너지아 가로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591A (ko)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101347543B1 (ko) * 2013-11-07 2014-01-16 김요한 이동식 교통 신호 장치
KR20140145733A (ko) * 2013-06-14 2014-12-24 주식회사 퓨처테크 실시간 홀로그램을 이용한 통합 사고 경보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85148A (ko) * 2015-01-07 2016-07-15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KR101655933B1 (ko) * 2015-04-07 2016-09-08 김선민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591A (ko) 2011-04-07 2012-10-17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20140145733A (ko) * 2013-06-14 2014-12-24 주식회사 퓨처테크 실시간 홀로그램을 이용한 통합 사고 경보 장치 및 시스템
KR101347543B1 (ko) * 2013-11-07 2014-01-16 김요한 이동식 교통 신호 장치
KR20160085148A (ko) * 2015-01-07 2016-07-15 서영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로의 사고발생 경고 시스템
KR101655933B1 (ko) * 2015-04-07 2016-09-08 김선민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91A (ko) * 2019-04-11 2020-10-21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도로 내 야생동물 출현 경고용 알림장치 및 알림방법
KR102182759B1 (ko) * 2019-04-11 2020-11-25 주식회사 건영이앤씨 도로 내 야생동물 출현 경고용 알림장치 및 알림방법
KR20210059419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이에스에너지아 가로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08981B1 (ko) * 2019-11-15 2021-10-21 주식회사 이에스에너지아 가로등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092B1 (ko) 안전운전 정보제공 가로등 및 그 가로등을 이용한 안전운전 정보제공 시스템
JP5476914B2 (ja) 指向性制御照明装置
US6765495B1 (en) Inter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EP3154042A1 (en) Traffic accident occurrence notification system using led display lamps
US10943487B2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program for vehicle
KR20120114591A (ko) 가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KR20160092959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44648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통학시간대 속도위반 단속이 가능한 하이브리드형 과속 경고 및 단속 겸용 시스템
JP7166155B2 (ja) 街路灯システム
JP7171397B2 (ja) 街路灯システムおよび緊急車両通行支援システム
KR101939539B1 (ko)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KR102356084B1 (ko)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시스템
KR20140066301A (ko) 차선 변경 차량과 충돌 사고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31589A (ko) 터널 내부 차량 사고 방지시스템
KR20110050221A (ko)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515036B1 (ko) 가변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안전운전 유도 정보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KR101508663B1 (ko) 영상감지를 이용한 교통체계 컨트롤 장치
KR20180046065A (ko) 보행자 보호용 알림 시스템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JP2005115794A (ja) ガイドライト装置
KR101871119B1 (ko) 이종의 감지수단을 이용한 가로등의 디밍제어 시스템
KR101496717B1 (ko) 위치 및 속도기반 가로등 점등 시스템 및 방법
JP2008262446A (ja) 運転支援装置
KR20150025336A (ko) 선박간 가시광 통신 시스템 및 그의 통신 방법
KR102354118B1 (ko) 후방 차량 전조등 점등 유도 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