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933B1 -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933B1
KR101655933B1 KR1020150049086A KR20150049086A KR101655933B1 KR 101655933 B1 KR101655933 B1 KR 101655933B1 KR 1020150049086 A KR1020150049086 A KR 1020150049086A KR 20150049086 A KR20150049086 A KR 20150049086A KR 101655933 B1 KR101655933 B1 KR 10165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external
unit
road mark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민
Original Assignee
김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민 filed Critical 김선민
Priority to KR102015004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H05B37/02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상 또는 상기 도로의 주변에 배치되는 도로 표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 표지 장치의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발하는 발광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되면 감지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외부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로 상기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상기 도로 표지 장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일부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로 표지 장치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과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서 상기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식별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외부 감지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어떤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확인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빛을 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또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개수가 적을수록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인, 도로 표지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Road sign apparatus and road sign system}
본 발명은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로 표지병(pavement marker) 또는 시선 유도 장치(eye inducement apparatus)와 같이 도로 상 또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고, 차선의 위치 또는 커브 길의 형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도로 표지 장치 및 복수의 해당 도로 표지 장치들에 의한 도로 표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 표지병 또는 시선 유도 장치와 같이 도로 상 또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도로 표지 장치는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 커브 길의 커브 방향 및 커브 정도 등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선을 벗어나는 차량에게 가벼운 물리적 충격을 줌으로써 차선 이탈에 대한 경고를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야간, 비나 눈이 심하게 오는 경우, 또는 안개가 심하게 낀 경우 등과 같이 기상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확보 되지 않을 수 있다. 재귀 반사 기능 또는 빛을 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도로 표지 장치가 운전자의 가시거리 확보에 도움을 줄 수는 있으나, 기상 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그 효과 또한 제한적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빛의 발산 여부, 빛의 발산 세기, 또는 발산하는 빛의 주파수 등을 결정하는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지한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감지 신호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외부 감지 신호를 기초로 빛의 발산 여부, 빛의 발산 세기, 또는 발산하는 빛의 주파수 등을 결정하는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변의 도로 상황을 기초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과 함께 도로 상황을 안내할 수 있는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로 상 또는 상기 도로의 주변에 배치되는 도로 표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 표지 장치의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발하는 발광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되면 감지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외부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로 상기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로 표지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상기 도로 표지 장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일부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로 표지 장치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과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서 상기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식별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외부 감지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어떤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빛을 발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어떤 식별자에 대응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로 출력하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또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개수가 적을수록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도로 표지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도로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도로 상황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도로 주변의 상황을 분석하여 상황에 맞는 상기 도로 상황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도로 상황 신호 또는 상기 외부 도로 상황 신호에 대응하는 빛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도록 유도하는 발광 제어 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로 주변의 상황은 도로의 파손 여부, 도로 공사의 진행 여부, 또는 도로 상 교통 사고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를 상기 도로와 평행한 면 상에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한 감지 결과,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외부의 온도, 외부의 조도, 외부의 기상 상태, 또는 외부에 물 또는 눈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날씨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빛을 발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로 출력하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외부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전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한 전달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내지 제3 도로 표지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은,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발하는 발광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되면 감지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의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는 기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의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외부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로 상기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감지부가 상기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이 상호 간의 거리,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3 도로 표지 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는 순서를 기초로, 상기 제1 내지 제3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발광부가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주파수로 빛을 발하는, 도로 표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초로 빛의 발산 여부, 빛의 발산 세기, 또는 발산하는 빛의 주파수 등을 결정하는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감지한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감지 신호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외부 감지 신호를 기초로 빛의 발산 여부, 빛의 발산 세기, 또는 발산하는 빛의 주파수 등을 결정하는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도로 상황을 기초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과 함께 도로 상황을 안내할 수 있는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의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의 동작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100)는 제1 형태의 도로 표지 장치(100a), 제2 형태의 도로 표지 장치(100b), 또는 제3 형태의 도로 표지 장치(100c) 등으로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로 표지 장치(100)는 도로 표지병 또는 시선 유도 장치와 같이 도로 상 또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도로 표지 장치(100)는 차선의 위치 또는 커브 길의 형태를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표지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형태의 도로 표지 장치들(100a 내지 100c)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에게 빛을 통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로 표지 장치(100)에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하는 빛은, 도로 표지 장치(100) 내부에 포함되는 발광 장치에서 발하는 빛일 수도 있고,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발하는 빛일 수도 있다.
도 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의 구성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100)는 감지부(110), 발광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도로 표지 장치(100)의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체는 도로 상 또는 도로 주변에서 움직임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체에는 자동차,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100)가 적용되는 장소 또는 목적에 따라서, 사람, 선박, 열차, 또는 항공기 등이 이동체에 포함될 수도 있다.
감지부(110)는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는 조도 센서, 적외선 센서, 근접 스위치, 속도계 등의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일정 거리 내에서 움직이는 상태의 물체 또는 정지한 상태의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측정 장치 또는 측정 프로그램일 수 있다.
감지부(110)는 도로 표지 장치(100)의 주변에서 일정한 방향의 이동체의 존재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표지 장치(100)는 하나의 도로와 다른 하나의 도로를 구분하는 차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도로 표지 장치(100)에 포함되는 감지부(110)는 해당 차선의 양쪽에 배치되는 두 개의 도로를, 도로가 뻗어있는 방향과 수직하는 두 방향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로 표지 장치(100)는 외부 영역(예컨대, 인도) 및 도로 간의 경계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도로 표지 장치(100)에 포함되는 감지부(110)는 해당 경계의 안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도로를, 도로가 뻗어있는 방향과 45도 각도를 이루는 하나의 방향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감지부(110)는 도로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로가 뻗어있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 또는 도로가 뻗어있는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방향, 또는 도로가 뻗어있는 방향에 이동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도로 표지 장치(100)의 주변에서 일정한 범위 이내의 이동체의 존재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 표지 장치(100)는 하나의 도로와 다른 하나의 도로를 구분하는 차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도로 표지 장치(100)에 포함되는 감지부(110)는 해당 차선의 양쪽에 배치되는 두 개의 도로를, 각각의 도로의 폭에 해당하는 범위 내에서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도로 표지 장치(100)는 외부 영역(예컨대, 인도) 및 도로 간의 경계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도로 표지 장치(100)에 포함되는 감지부(110)는 해당 경계의 안쪽에 배치되는 하나의 도로를, 도로 표지 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5미터 이내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감지부(110)는 특정 도로의 일정한 범위 내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해당 도로의 폭 또는 감지부(110)가 감지하고 있는 방향과 도로가 뻗어있는 방향과의 각도 등을 고려하여 일정한 범위 내에 이동체가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도로 표지 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는 도로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 상에는 도로 자체의 파손, 도로 공사의 진행, 또는 도로 상 교통 사고 등, 이동체의 통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이렇게 도로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발광부(120)는 도로 표지 장치(100)의 외부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발광부(120)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20)는 평상시에는 빛을 발하지 않고 있다가,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만 빛을 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발광부(120)는 평상시에는 제1 세기로 빛을 발하고 있다가,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 세기와 다른 제2 세기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발광부(120)는 평상시에는 제1 주파수로 빛을 발하고 있다가,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발광부(120)는 제1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 세기 또는 제1 주파수로 빛을 발할 수 있고, 제2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 세기 또는 제2 주파수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발광부(120)는 제1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세기의 빛을 지속적으로 발할 수 있고, 제2 발광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주기로 점멸을 반복하는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발광부(120)는 발광 제어 신호에 의해 의도되는 바와 맞는 다양한 종류의 빛을 발할 수 있다.
발광부(120)는 도로 표지 장치(100)의 외부로 빛을 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발광 소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120)는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반도체 레이저(laser diode), 고체 레이저(solid las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입력되는 전자 신호 또는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해서 일정한 혹은 가변하는 세기로, 일정한 혹은 가변하는 주파수의 빛을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는 도로 표지 장치(100)와 동일한 종류의 하드웨어적 및/또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도로 상에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배치될 수 있고, 이 중 하나의 도로 표지 장치(100)의 입장에서 다른 모든 혹은 일부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은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인식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외부의 장치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전차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도로 상 특정한 위치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 도로 주변의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 감지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에서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 통신부(130)는 도로 표지 장치(100)의 감지 범위 내에 이동체가 존재한다는 정보를 담고 있는 전자적 신호인 감지 신호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도로 표지 장치(100)가 배치되어 있는 도로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전자적 신호인 도로 상황 신호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감지 신호는, 해당 신호를 발성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의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 또는 도로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전자적 신호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도로 상황 신호는, 해당 신호를 발송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의 주변의 도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전자적 신호일 수 있다.
통신부(130)는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로부터 생성된 전달 신호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수신된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로부터 전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전달 신호는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와 완전히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일 수 있으며, 단지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의 세기를 증폭시킨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전달 신호는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가 포함하고 있는 정보에 더하여, 해당 전달 신호가 도로 표지 장치(100)를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생성된 전달 신호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도로 표지 시스템(10)에서는 두 개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 간에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거리보다 더 먼 거리까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10)를 통해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에 발광부(120)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를 통해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도로 표지 장치(100)는 해당 사실을 빛을 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40)는 해당 사실에 대응하는 빛이 발광부(120)로부터 발산되도록 유도하는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10)를 통해 도로 주변의 특정한 상황이 감지된 경우에 발광부(120)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를 통해 도로 표지 장치(100)의 주변에 도로의 파손, 도로 공사, 또는 교통 사고 등의 상황이 확인된 경우, 도로 표지 장치(100)는 해당 사실을 빛을 발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어부(140)는 해당 사실에 대응하는 빛이 발광부(120)로부터 발산되도록 유도하는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외부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발광부(120)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해당 외부 도로 표지 장치 주변에서 이동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해당 사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통신부(130)는 해당 외부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40)는 수신된 외부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3 및 도5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외부 도로 상황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발광부(120)로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해당 외부 도로 표지 장치 주변의 도로에서 특정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사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통신부(130)는 해당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40)는 수신된 외부 도로 상황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3 및 도 6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부(110), 발광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들일 수도 있고, 하나의 물리적 장치 내에서 논리적으로만 그 역할이 구분되는 단위들일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110), 발광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감지부(110), 발광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 중 일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 발광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도로 표지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에서 알고리즘 상 구분되는 논리적 블록들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100)는 감지부(110), 발광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에 더하여, 저장부(150) 및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날씨 감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도로 표지 장치(100) 외부의 온도, 도로 표지 장치(100) 외부의 조도, 도로 표지 장치(100) 외부의 기상 상태, 또는 도로 표지 장치(100) 외부에 물 또는 눈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날씨 감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날씨 감지부(115)가 감지한 날씨의 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른 종류의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 표지 장치(100)는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다른 이동체들의 위치 또는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러한 빛은, 동일한 세기 또는 동일한 주파수로 출력이 되더라도, 주야간 또는 도로 주변의 기상 상태에 따라서 운전자에게 인지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날씨 감지부(115)로부터의 날씨 감지 결과를 기초로, 발광부(120)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세기, 빛의 주파수, 빛의 발산 패턴 등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발광부(120)는 해당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세기, 서로 다른 주파수, 또는 서로 다른 패턴 등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도로 표지 장치(10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일부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들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은 서로 간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 또는 도로 주변의 상황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고, 송수신된 전자적 신호들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세기, 서로 다른 주파수, 또는 서로 다른 패턴 등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자적 신호들 각각이 어떤 도로 표지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고,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 각각을 구별하기 위한 서로 다른 식별자들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50)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 각각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들을 저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때, 도로 표지 장치(100)의 저장부(150)는 도로에 배치된 모든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식별자들을 전부 저장할 수도 있고, 도로 표지 장치(100)의 주변에 배치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예컨대, 도로 표지 장치(100)와 연속되어 일측 방향으로 배치된 10개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및 반대쪽 방향으로 배치된 10개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식별자들만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여기서 식별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이진 코드(binary code), 특정 범위 내의 주파수, 특정 범위 내의 전류 또는 전파의 세기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 각각을 서로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기호 또는 기호의 집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식별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과 도로 표지 장치(100) 간의 배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에 제1 외부 도로 표지 장치, 제2 외부 도로 표지 장치, 도로 표지 장치(100), 제3 외부 도로 표지 장치, 및 제4 외부 도로 표지 장치의 순서로 다섯 개의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50)는 제2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일측 방향으로 도로 표지 장치(10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제1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동일한 일측 방향으로 제2 외부 도로 표지 장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제4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해당 일측 방향과 반대측 방향으로 도로 표지 장치(10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제5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제4 외부 도로 표지 장치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도로 표지 장치(100)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과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를 감지 신호 또는 도로 상황 신호에 포함시킬 수 있고, 해당 식별 신호가 포함된 감지 신호를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외부 감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식별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식별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를 찾아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해당 식별자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어떤 식별자에 대응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외부 감지 신호가 어떤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해당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도로 표지 장치(100) 사이의 거리, 또는 해당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도로 표지 장치(100)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인, 도로 표지 장치의 배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해당 도로 표지 장치의 배치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과 도로 표지 장치(100) 간의 배치 관계에 대한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획득한 도로 표지 장치의 배치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조건을 기초로 발광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해당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50)에 도로 표지 장치(100)의 주변에 배치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식별자들만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조건은 해당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도로 표지 장치(100)와 근접한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저장부(150)에 도로에 설치된 모든 도로 표지 장치(100)들의 식별자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도로 표지 장치(100)와 근접한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지 여부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과 도로 표지 장치(100) 간의 배치 관계로부터 제어부(140)가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도로 표지 장치(100)의 주변에 배치되어 있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출력된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가 수신된 경우를 그 이외의 경우와 구분하여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그 결과, 발광부(120)는 도로 표지 장치(100)와 근접한 거리에 배치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빛을 발하거나, 그 외의 경우와 다른 세기 또는 다른 주파수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로 표지 장치(100)는 도로 표지 장치(100) 주변의 이동체들의 이동 정보 또는 도로의 상태에 대응하는 빛을 발할 수 있고, 현재 도로 표지 장치(100) 근처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는 전방에 먼 곳까지 시야 확보가 안되는 상황(예컨대, 악천후 상황 또는 심한 안개가 낀 상황)에서도 전방의 상황을 도로 표지 장치(100)로부터의 빛의 발산 여부 또는 발산되는 빛의 색깔, 빛의 세기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구동부(160)는 도로 표지 장치(100) 자체, 또는 발광부(120)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구동부(160)는 도로 표지 장치(100) 자체, 또는 발광부(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구동부(160)는 도로 표지 장치(100) 자체, 또는 발광부(120)를 도로 표지 장치(100)가 배치된 도로의 표면과 평행한 면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감지부(110)를 통한 감지 결과, 또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여 구동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160)를 통하여 도로 표지 장치(100) 자체, 또는 발광부(120)를 움직이는 구체적인 예시는 도 6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의 동작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제1 도로(R1) 및 제2 도로(R2) 사이의 중앙선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d)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외부 영역 및 제 1 도로(R1) 간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e)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제1 도로(R1) 및 제2 도로(R2) 사이의 중앙선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로 표지 장치(100d)들은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를 통과하는 이동체들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를 통과하는 이동체들에게 운전자들이 이동체의 존재 여부 또는 도로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빛을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로 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d)들 각각은 서로가 감지한 이동체의 존재 여부 또는 도로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서로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외부 영역 및 제 1 도로(R1) 간의 경계 부분에 배치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로 표지 장치(100e)들은 제1 도로(R1)를 통과하는 이동체들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도로(R1)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도로(R1)를 통과하는 이동체들에게 운전자들이 이동체의 존재 여부 또는 도로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빛을 제1 도로(R1)로 발산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e)들 각각은 서로가 감지한 이동체의 존재 여부 또는 도로 주변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서로간에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들(100d 및 100e)이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가 뻗어있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광을 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100)는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 상에서 이동체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눈에 인지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들(100d 및 100e)이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 사이의 차선이나 도로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장치(100)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기둥, 표지판, 가드 레일, 또는 기타 자연물 혹은 인공물에 부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로와 도로 사이의 중앙선, 또는 도로와 도로 사이의 차선에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도로가 뻗어있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발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제1 도로(R1) 및 제2 도로(R2) 사이의 중앙선에 배치되는 제a 내지 제f 도로 표지 장치들(101a 내지 101f)을 포함할 수 있다. 제a 내지 제f 도로 표지 장치들(101a 내지 101f)은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제a 내지 제f 도로 표지 장치들(101a 내지 101f) 각각은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에 제1 및 제2 도로(R1 및 R2)가 뻗어있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d 및 제e 도로 표지 장치(101d 및 101e) 각각은 제1 도로(R1)가 뻗어있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광(Ld 및 Le)을 발할 수 있다.
이 때, 제a 내지 제f 도로 표지 장치들(101a 내지 101f) 각각은 어떤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에 따라서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주파수로 빛을 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를 위해,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의 입장에서 동작 방식을 기술하기로 한다.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의 통신부(130)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의 제어부(140)는 해당 외부 감지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가 어떤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출력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40)는 해당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 사이의 거리, 또는 해당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초로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의 발광부(120)로 출력하는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가 제1 이동체(C1)가 존재를 확인할 수 있고,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로부터 해당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감지 신호가 출력될 수 있고,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가 해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의 제어부(140)는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와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 사이에 1개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거나,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와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 사이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후,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와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또는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와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개수가 적을수록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의 발광부(120)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의 제어부(140)는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와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 사이의 거리는 제b 도로 표지 장치(101b)와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 사이의 거리보다는 길고, 제d 도로 표지 장치(101d)와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 사이의 거리보다는 짧다. 따라서,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는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가 발하는 빛보다 세기가 더 약한 빛을 출력할 수 있고, 제d 도로 표지 장치(101d)가 발하는 빛보다는 세기가 더 강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는 붉은색의 빛을 출력하고, 제d 및 제e 도로 표지 장치들(101d 및 101e)은 녹색의 빛을 출력하며, 제c 도로 표지 장치(101c)는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가 출력하는 빛의 파장과 제d 도로 표지 장치(101d)가 출력하는 빛의 파장의 중간 정도의 파장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법에 의해 구동되는 도로 표지 장치(100)들로 구성되는 도로 표지 시스템(10)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체(C1)를 직접적으로 감지한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가 발하는 빛(La)의 세기가 가장 강할 수 있고, 제b 도로 표지 장치(101b)가 발하는 빛(Lb)이 그 다음으로 강할 수 있고, 이어서 제c 내지 제e 도로 표지 장치(101c 내지 101e)가 발하는 빛(Lc 내지 Le)이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와의 거리에 따라서 점차 약해질 수 있다. 제a 도로 표지 장치(101a)와 멀리 떨어져있는 제f 도로 표지 장치(101f)가 발하는 빛(Lf)은 이동체가 관측되지 않은 경우의 빛과 동일한 밝기 또는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고, 제f 도로 표지 장치(101f)는 빛을 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특정 도로 표지 장치(100) 근처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가 전방에 먼 곳까지 시야 확보를 못하는 상황에서도 전방의 얼마나 먼 곳의 앞에 다른 이동체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상황을 도로 표지 장치(100)로부터의 빛의 발산 여부 또는 발산되는 빛의 색깔, 빛의 세기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1 이동체(C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이동체(C2) 및 제3 이동체(C3)가 제1 또는 제2 도로(R1 또는 R2)를 주행하는 경우, 해당 이동체의 존재를 알리는 빛이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이동체들의 주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로부터 해당 이동체들의 존재를 알리는 빛이 출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이동체들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로부터 해당 이동체들의 존재를 알리는 빛이 출력되도록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동작할 수도 있고, 이동체들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 및 반대 방향 양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로부터 해당 이동체들의 존재를 알리는 빛이 출력되도록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동작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악천후 또는 안개가 심하게 낀 상황과 같이 제1 이동체의 후방에서 제1 이동체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체에게 제1 이동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체들의 주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빛을 출력하게 할 수 있고, 급커브길, 차도 주변에 시야 확보가 잘 안되는 산길과 같이 제3 이동체의 전방에서 제3 이동체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4 이동체에게 제3 이동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이동체들의 주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100)들이 빛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두 도로의 사이의 차선에 배치되는 제a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내지 102j)을 포함할 수 있다. 제a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내지 102f)은 해당 차선의 양쪽 도로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제a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내지 102j) 각각에 포함되는 감지부(110)는 각각의 도로 표지 장치들이 배치되어 있는 도로 주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a 및 제b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및 102b)의 감지부(110)는 교통 사고 상태(A)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상황이 교통 사고 상태(A)임을 판단하는 주체는 제어부(140)일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해당 도로의 종류, 해당 도로의 평균 혼잡도, 해당 도로의 현재 혼잡도, 측정된 이동체의 방향, 측정된 이동체의 움직임 여부, 측정된 이동체에서 발생되는 소리, 온도, 빛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제a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내지 102j) 각각에 포함되는 통신부(130)는 도로 상황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a 및 제b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및 102b)의 통신부(130)는 교통 사고 상태(A)를 알리는 도로 상황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제c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c 내지 102j)의 통신부(130)는 제a 및 제b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및 102b)로부터 송신되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a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내지 102j) 각각에 포함되는 제어부(140)는 감지한 도로 주변의 상황을 분석하여 상황에 맞는 도로 상황 신호를 생성하고, 도로 상황 신호 또는 외부 도로 상황 신호에 대응하는 빛이 발광부(120)로부터 발산되도록 유도하는 발광 제어 신호를 발광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c 및 제d 도로 표지 장치들(102c 및 102d)은 서로가 발하는 빛이 교차하도록 하여, 특정 도로 상에 'X 표시'(Lg)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도로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도로 상에서 교통 사고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고, 해당 도로로 지나갈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e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e 내지 102j)은 서로 빛을 발하여, 특정 도로 상에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표시'(Lh)가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도로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운전자에게 도로 상에서 교통 사고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인지시킬 수 있고, 해당 도로가 아닌 다른 도로로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도로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들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제a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a 내지 102j) 각각은 구동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c 및 제d 도로 표지 장치들(102c 및 102d)은 서로가 발하는 빛이 교차하도록 하여, 특정 도로 상에 'X 표시'(Lg)가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 제c 및 제d 도로 표지 장치들(102c 및 102d) 각각에 포함되는 제어부(140)는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발광부(12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e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e 내지 102j)은 서로 빛을 발하여, 특정 도로 상에 '특정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표시'(Lh)가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 제e 내지 제j 도로 표지 장치들(102e 내지 102j) 각각에 포함되는 제어부(140)는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발광부(12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교통 사고 상태(A) 만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시스템(10)은 도로의 파손 여부, 도로 공사의 진행 여부, 또는 도로 상 교통 사고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다양한 상황에 맞는 빛을 발하도록 도로 표지 장치(100)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방법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순서도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로 표지 장치(100) 및 해당 도로 표지 장치(100)를 포함하는 도로 표지 시스템(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순서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 방법은, 도로 표지 장치의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0 단계),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되면 감지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단계),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또는 수신한 외부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발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 단계), 및 생성한 발광 신호에 대응하는 세기 또는 주파수의 빛을 발산하는 단계(S40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도로 표지 시스템
100: 도로 표지 장치
110: 감지부
115: 날씨 감지부
120: 발광부
130: 통신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160: 구동부

Claims (10)

  1. 도로 상 또는 상기 도로의 주변에 배치되는 도로 표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로 표지 장치의 주변에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발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빛을 발하는 발광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되면 감지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이동체의 존재가 확인된 경우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외부 감지 신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발광부로 상기 발광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상기 도로 표지 장치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일부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식별자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로 표지 장치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과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를 상기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서 상기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감지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 식별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외부 감지 신호가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어떤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지 확인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빛을 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또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와 상기 도로 표지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의 개수가 적을수록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세기가 강해지도록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인, 도로 표지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한 외부 도로 표지 장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들 중 어떤 식별자에 대응하는지에 따라서, 상기 발광부로 출력하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도로 표지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도로 표지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도로 주변의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통신부는, 도로 상황 신호를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부터 외부 도로 상황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도로 주변의 상황을 분석하여 상황에 맞는 상기 도로 상황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로 상황 신호 또는 상기 외부 도로 상황 신호에 대응하는 빛이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산되도록 유도하는 발광 제어 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출력하는, 도로 표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주변의 상황은 도로의 파손 여부, 도로 공사의 진행 여부, 또는 도로 상 교통 사고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로 표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상기 도로와 평행한 면 상에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한 감지 결과,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도로 표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외부의 온도, 외부의 조도, 외부의 기상 상태, 또는 외부에 물 또는 눈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날씨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로 빛을 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날씨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광부로 출력하는 상기 발광 제어 신호의 세기 또는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도로 표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상기 외부 감지 신호를 기초로 전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생성한 전달 신호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 도로 표지 장치들로 송신하는, 도로 표지 장치.
  10. 제1 항, 제3 항, 및 제5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감지부가 이동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경우, 상기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이 상호 간의 거리, 또는 상기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의 배치 순서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도로 표지 장치들 각각에 포함되는 발광부가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른 세기 또는 주파수로 빛을 발하는, 도로 표지 시스템.
KR1020150049086A 2015-04-07 2015-04-07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KR10165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86A KR101655933B1 (ko) 2015-04-07 2015-04-07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086A KR101655933B1 (ko) 2015-04-07 2015-04-07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933B1 true KR101655933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086A KR101655933B1 (ko) 2015-04-07 2015-04-07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9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39B1 (ko) * 2018-07-30 2019-04-11 (주)알엠테크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KR102193154B1 (ko) * 2019-10-04 2020-12-18 서창범 표출수단을 이용한 교차로 교통 제어시스템
KR102193155B1 (ko) * 2019-10-04 2020-12-18 서창범 횡단보도용 표출수단의 제어시스템
KR102207109B1 (ko) * 2019-11-26 2021-01-25 주식회사 해건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20210018728A (ko) * 2019-08-09 2021-02-18 한국자동차연구원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86073A (ko) * 2020-12-16 2022-06-23 유메이 주식회사 경보 기능이 구비된 도로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60899A (ko) * 2021-10-28 2023-05-08 유승철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34A (ja) * 1997-05-16 1998-12-02 Kictec:Kk 可変方向性自発光鋲
JP2007183803A (ja) * 2006-01-06 2007-07-19 Toshiba Corp 車種判別システム、車種判別方法
KR20110019050A (ko) * 2009-08-19 2011-02-25 이진호 교통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KR101121147B1 (ko) * 2011-07-19 2012-03-20 창원시 자전거 통행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7334A (ja) * 1997-05-16 1998-12-02 Kictec:Kk 可変方向性自発光鋲
JP2007183803A (ja) * 2006-01-06 2007-07-19 Toshiba Corp 車種判別システム、車種判別方法
KR20110019050A (ko) * 2009-08-19 2011-02-25 이진호 교통 표시 장치의 제어 장치
KR101121147B1 (ko) * 2011-07-19 2012-03-20 창원시 자전거 통행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539B1 (ko) * 2018-07-30 2019-04-11 (주)알엠테크 2차 추돌사고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가로등
KR20210018728A (ko) * 2019-08-09 2021-02-18 한국자동차연구원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4961B1 (ko) * 2019-08-09 2021-06-16 한국자동차연구원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3154B1 (ko) * 2019-10-04 2020-12-18 서창범 표출수단을 이용한 교차로 교통 제어시스템
KR102193155B1 (ko) * 2019-10-04 2020-12-18 서창범 횡단보도용 표출수단의 제어시스템
KR102207109B1 (ko) * 2019-11-26 2021-01-25 주식회사 해건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20220086073A (ko) * 2020-12-16 2022-06-23 유메이 주식회사 경보 기능이 구비된 도로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51593B1 (ko) * 2020-12-16 2022-10-06 유메이 주식회사 경보 기능이 구비된 도로 표지병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60899A (ko) * 2021-10-28 2023-05-08 유승철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559968B1 (ko) * 2021-10-28 2023-07-25 유승철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933B1 (ko)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KR101728080B1 (ko) 도로 교통사고 예방장치
KR101860789B1 (ko) 차량 제어용 상황 인지 보조 장치
CN102956116B (zh) 用于突显汽车的期望的运动路径的方法和控制器
US98498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vehicle
EP2752832B1 (en) Street lamp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and system for providing safe driving information using street lamp
US201300581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a light emission of at least one headlight of a vehicle
US109608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display of a pictogram representative of the presence of a disruption in front of the vehicle
CN108569209B (zh) 图像显示装置
RU2611289C2 (ru) Система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и на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1362706B1 (ko) 차량의 직진 주행성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30038B1 (ko) 교차로에서 교통 관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시스템
KR102002860B1 (ko) 보행자를 보호하는 알림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567894B1 (ko) 횡단보도의 음성 안내 시스템
US10040451B2 (en) Vehicle warning device for emitting a warning signal
JP7166155B2 (ja) 街路灯システム
US20190287405A1 (en) Vehicle safety device with warning zones
KR20190050640A (ko) 차량의 안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101531485B1 (ko) 차량 감속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US20190329700A1 (en) Out-of-vehicle notification device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2022538164A (ja) 光モジュールを用いて自動車両と物体との間での衝突を防止するための方法
KR20140111733A (ko) 매트릭스형 스마트 자동차 전조등
JP2020197895A (ja) 歩行者及び自転車に対する危険車両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