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899A -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899A
KR20230060899A KR1020210145605A KR20210145605A KR20230060899A KR 20230060899 A KR20230060899 A KR 20230060899A KR 1020210145605 A KR1020210145605 A KR 1020210145605A KR 20210145605 A KR20210145605 A KR 20210145605A KR 20230060899 A KR20230060899 A KR 2023006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unit
display
significa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968B1 (ko
Inventor
유승철
박노진
Original Assignee
유승철
박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철, 박노진 filed Critical 유승철
Priority to KR102021014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968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 포스트에 구성되고 유의구역의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정 각도 및 거리 내에 있는 유의구역 도로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물체의 존재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여 도로를 따라 진행하거나 가로지르는 임의의 물체들 상호 간 상대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Caution region road objec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 기둥(또는 포스트라 함)에 구성되고 유의구역의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정 각도 및 거리 내에 있는 유의구역 도로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물체의 존재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여 도로를 따라 진행하거나 가로지르는 임의의 물체들 상호 간 상대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률 또한 증가하고 있다. 교통사고는 운전자와 보행자가 서로 주의해도 잠깐 방심하는 찰나에 일어난다.
이러한 교통사고 발생률 및 교통사고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교통법규가 발의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도로 시설물 및 장치들이 개발되어 도로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 보호 구간, 저 시인성 구간, 커브 구간 등과 같은 유의구역에는 더 많은 시설물 및 장치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물로는 커브길의 볼록거울, 과속 방지턱, 제한속도 표지판, 도로용 난간 등이 있다.
그리고 교통사고 발생률 및 교통사고 사망률 등을 줄이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로는 보행자 감지 신호등 제어장치, 충돌 감지 장치를 가지는 도로 펜스 장치,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등이 있다.
그러나 시설물들의 부정확한 설치로 인하여 운전자와 보행자를 더 혼란스럽게 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도로 위로 접근하는 물체에 대한 시인성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또한, 보행자 감지 신호등 제어장치는 보행자의 감지 시 신호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보행자 보호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너무 잦은 건널목 앞 정지로 차량의 소통을 방해하고 운전자들의 불만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널목 신호등과 상관없이 건널목 위에서 보행자의 검출 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하여 주변에 알려 교통사고를 최소화하는 보행자 감지 신호등 제어장치 등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운전자가 건널목에 근접해서야 발광다이오드의 점멸을 확인할 수 있어 그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6683호(2006.11.23.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601호(2016.02.03.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 포스트에 구성되고 유의구역의 도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일정 각도 및 거리 내에 있는 유의구역 도로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물체의 존재 여부에 따른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여 도로를 따라 진행하거나 가로지르는 임의의 물체들 상호 간 상대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는: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고, 정삼각기둥 형태로 구성되어 삼각형의 3면 중 2면이 도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기 두 2면 대응하여 구성되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물체 존재여부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일정 각도 및 일정 거리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물체 검출부; 및 상기 물체 검출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없음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체 검출부는, 상기 포스트의 2면의 각 면 상단부에 구성되어 120°의 각도 내에서 일정 거리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여, 측면에서 도로 방향으로 180°의 각도 내에서 일정 거리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 검출부의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통해 도로 상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출되면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없음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적색 및 청색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이되, 상기 표시 제어부는, 도로의 물체 미검출 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청색을 표시하고, 도로의 물체 검출 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적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다수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물체를 감지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상기 유의구역 내에서 고유하게 할당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물체 감지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의구역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감지 통지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물체 감지 신호의 입력 시 상기 감지 통지부를 통해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연속되는 인덱스를 가지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를 제외한 상기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에서 물체를 검출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의 차와 상기 포스트 간 간격(거리)에 의해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를 통해 자신이 검출한 물체 이외의 전방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방 물체 경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방법은: 제어부가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단에 구성되는 물체 검출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유의구역 도로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삼각형의 3면 중 2면이 도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포스트의 상기 두 2면 대응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없음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물체 미존재 디스플레이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물체 존재 디스플레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단에 구성되는 물체 검출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유의구역 도로상의 임의 위치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물체의 감지 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의구역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물체 감지 통지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물체의 감지 시 상기 감지 통지부를 통해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연속되는 인덱스를 가지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를 제외한 상기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에서 물체를 검출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자신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타 물체 존재 판단 단계; 및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의 차와 상기 포스트 간 간격(거리)에 의해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전방 물체 거리 계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물체 존재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표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링 과정은, 상기 타 물체 존재 판단 단계에서 자신 이외의 위치에서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에 이어서 연속되는 인덱스 그룹의 진행 방향과 자신 이외의 위치에서 물체를 검출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에 의해 전방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전방 물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에 구성되어 도로 위에 있는 물체들을 검출한 후 물체가 검출된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포스트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를 통해 물체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므로, 상기 유의구역 도로를 진행하는 임의의 물체가 상대 물체를 쉽고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스트를 정삼각형 형태로 구성하여 시각적인 디스플레이 정보를 정삼각형의 도로측 방향 두 면에 표시하므로 양방향의 먼 곳에서도 볼 수 있도록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물체 간의 거리를 각각 알려주므로 상기 두 물체는 상대 물체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물체에 빠르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므로 로드킬에 의한 사고 및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가 적용된 유의구역 도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가 적용된 유의구역 도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도로 물체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가 적용된 유의구역 도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가 적용된 유의구역 도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면에 참조된 부호 1은 유의구역 도로 상에 존재하는 물체로, 1-1은 사람으로 보행자이고, 1-2는 자동차(또는 차량이라 함)이며, 10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가 구성되는 포스트이며, 20은 두 포스트(10) 사이를 연결하는 난간대이다. 상기 물체(1)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행자 및 자동차가 될 수 있으나, 동물이 될 수도 있고, 다른 물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유의구역 도로는 저시인성 도로, 어린이 보호구역 도로, 건널목구역 도로, 커브구역 도로, 사고 다발구역 도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포스트(10)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의구역 도로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나, 시인성을 위해 양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거리는 1m, 1.5m, 2m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포스트(10)는 정삼각기둥, 육각기둥, 원기둥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정삼각기둥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삼각기둥의 삼각형의 1면이 도로 반대편으로 향하고 60°의 각을 이루는 2면이 도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포스트(10)에는 본 발명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가 구성되고,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30)가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물체 모두가 잘 보이도록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삼각기둥의 두 면에 걸쳐 외측으로 구성된다.
또한 포스트(10)의 상기 두 면의 상단부 각각에는 일정 각도 및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물체를 검출하는 제1센서부(121) 및 제2센서부(122) 각각이 구성된다.
상기 제1센서부(121) 및 제2센서부(122)는 120°의 각도 및 7m 이내의 물체를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인 PIR(Passive Infrared Sensor) 센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120°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는 제1센서부(121) 및 제2센서부(122)가 60°의 각도를 가지는 정삼각기둥의 두 면에 구성되므로, 제1센서부(121) 및 제2센서부(122)를 통해 180° 이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가 동일한 물체(1)를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예를 들면, 포스트, 10-2, 10-3, 10-4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는 동일한 물체(1)인 보행자(1-1)를 동시에 검출하고, 검출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적색을 표시하고, 포스트 10-8, 10-9, 10-10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는 물체(1)인 자동차(1-2)를 동시에 검출하고 검출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적색을 표시할 것이다.
난간대(20)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와 같이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는 구성 및 동작은 다음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n은 인덱스로 1,2,3...의 정수이고, 각 포스트(10-n)는 동일한 인덱스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n)이 구성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는 물체 검출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110), 경보부(140) 및 통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110)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가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MCU) 등의 디지털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는 경우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 및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영역에는 물체(1)를 검출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들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식별정보는 유의구역 도로에 설치되는 포스트(10) 및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의 수에 따른 고유의 인덱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의구역 도로에 50개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를 포함하는 포스트(10)가 설치되는 경우, 각 포스트(10-n, n=1,2,3,4...,50)의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n, n=1,2,3,...,50)는 n의 값을 인덱스로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물체 검출부(120)는 유의구역 도로의 포스트(10)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물체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하여 일정 거리 이내의 유의구역도로 위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 여부에 따른 물체 검출 신호를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물체 검출부(120)의 센서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의구역 도로의 일정 거리 내의 전방위의 물체를 검출할 수 있도록 검출 각도가 180°인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의 센서로 180°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성을 필요하거나 검출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둘 이상의 센서를 적용하여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물체 검출부(120)는 120°의 검출 각도를 가지는 센서를 포함하는 제1센서부(121) 및 제2센서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센서부(121) 및 제2센서부(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60°의 각도를 가지는 정삼각기둥 형태의 포스트(10)의 도로 방향 두 면 상단부에 구성되어 180°의 검출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적색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텍스트, 그래픽 등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텍스트, 그래픽 등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다이오드 및 액정표시장치 둘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하나의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삼각기둥의 도로 방향 일면에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31) 및 다른 일면에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제2표시부(132)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경보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는 부저음, 경고음, 전방에 물체(보행자)가 있습니다, 전방 몇m에 물체(보행자)가 있습니다 등과 같은 경고 음성일 수도 있을 것이다.
통신부(160)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광대역무선통신(Ultra Wide Band:UWB)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 유의구역 내에 설치되는 포스트(10)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 간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를 구성하여 상호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일실시 예에 따라 아날로그 제어회로 형태로 구성되거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CPU, MCU 등의 마이컴 등으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모니터링부(141) 및 표시 제어부(142)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감지 통지부(143),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 및 전방 물체 경보 제어부(1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니터링부(141)는 물체 검출부(120)를 통해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영역)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물체가 검출되면 물체 감지 신호(정보)를 표시 제어부(142), 감지 통지부(143),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 및 전방 물체 경보 제어부(145)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142)는 모니터링부(141)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를 포함하는 포스트(10)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 물체가 없음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고, 모니터링부(141)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 물체가 있음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한다.
감지 통지부(14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어, 모니터링부(141)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 고유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부(160)를 통해 상기 유의구역 도로에 설치된 모든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라 물체 검출부(120)는 180° 검출 각도 및 7m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고, 포스트(10)가 1m, 1.5m, 2m 간격으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감지 통지부(143)는 자신 이외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것이다. 즉, 저장부(110)는 자신의 식별정보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장치(100)의 식별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을 것이다.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모니터링부(141)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저장부(110)에 저장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에서 연속되는 인덱스를 가지는 식별정보를 제공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는 자신이 검출한 물체(1)와 동일한 물체(1)를 검출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자신의 인덱스에서 연속되는 인덱스를 가지는 식별정보를 동일 물체 검출 그룹으로 묶어 관리하고, 물체 검출 그룹과 인덱스가 떨어져 있는 다른 물체 검출 그룹이 존재하는지를 검출하여 자신의 물체(1) 이외의 다른 물체(1)를 검출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자신이 검출한 물체(1) 이외의 물체(1)를 검출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가 있으면 자신이 검출한 물체의 진행 방향을 판단하고, 전방의 물체인지를 판단하여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도 1 및 도 2를 예를 들면, 포스트, 10-8, 10-9, 10-10에 설치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100-8, 100-9, 100-10 각각은 자동차인 물체(1-2)를 검출하고 각각 8(인덱스)-XXXXX인 식별정보, 9-XXXXX인 식별정보, 10-XXXXX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포스트, 10-2, 10-3, 10-4에 설치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100-2, 100-3, 100-4 각각은 사람인 물체(1-1)를 검출하고, 각각 2-XXXXX인 식별정보, 3-XXXXX인 식별정보, 4-XXXXX인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유의구역 도로에 설치된 모든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들로 전송할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1-2)를 검출한 포스트(10-8)의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8)의 저장부(110)에는 식별정보, 8-XXXXX, 9-XXXXX, 10-XXXXX, 2-XXXXX, 3-XXXXX, 4-XXXXX가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따라서 8-XXXXX 식별정보를 가지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8)의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연속된 인덱스, 9, 10을 가지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9, 100-10)가 자신이 검출한 물체인 자동차(1-2)를 동일하게 검출한 것으로 판단하고, {8, 9, 10}을 동일 물체 검출 그룹으로 묶고, 인덱스, 2, 3, 4는 자신들의 인덱스와 떨어져 있으므로 타 물체인 보행자(1-1)를 검출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2, 3, 4}를 타 물체 검출 그룹으로 묶어 관리한다. 상기 동일 물체 검출 그룹 및 타 물체 검출 그룹의 인덱스는 시점별로 달라질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 누적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이전의 동일 물체 검출 그룹에서 현재 동일 물체 검출 그룹의 자신의 인덱스 변화에 따라 물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동일 물체 검출 그룹이 {8,9,10}에서 {7,8,9}로 변동되었다면 물체(1)인 자동차(1-2)가 8에서 7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타 물체 검출 그룹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타 물체 검출 그룹의 인덱스가 동일 물체 검출 그룹의 인덱스 진행 방향에 있으면 전방에 물체(1)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자신이 검출한 물체(1, 예: 자동차(1-2))의 전방에 다른 물체(2, 예: 보행자(1-1))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자신이 검출한 물체(1)에서 타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는 포스트(10)의 거리에 진행 방향에 대해 동일 물체 검출 그룹의 맨 앞 인덱스에서 타 물체 검출 그룹의 맨 뒤 인덱스 차를 곱하여 물체(1) 간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포스트(10) 간 거리가 2m이고, 상기의 예를 들면, 물체 간 거리는 2m *(8(동일 물체 검출 그룹의 맨 앞 인덱스)-4(타 물체 검출 그룹의 맨 뒤 인덱스))=8m가 될 것이다.
전방 물체 경보 제어부(145)는 모니터링부(141)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의 입력 시 경보부(150)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방 물체 경보 제어부(145)는 모니터링부(141)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를 입력받고,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144)로부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거리정보를 포함하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도로 물체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40)는 물체 검출부(120)를 통해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다(S111).
모니터링이 시작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 물체가 없음을 나타내는 제1도로 상태 정보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한다(S113). 상기 제1도로 상태 정보는 청색등(LED)을 온(ON)하여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도로 상태의 표시 중 제어부(140)는 상기 모니터링을 통해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고(S115), 물체가 검출되면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도로 상태 정보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한다(S117). 상기 제2도로 상태 정보는 적색등을 온하여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도로 상태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중에도 제어부(140)는 상기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고(S119), 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S113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1도로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반면, 물체가 검출되면 제어부(140)는 구동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때까지(S121) 상술한 S113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물체 검출부(120)를 통해 물체 모니터링을 개시한다(S211).
물체 모니터링이 개시되면 제어부(140)는 초기상태로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 물체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물체 없음 상태를 나타내는 제1도로 상태를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213).
제1도로 상태가 표시되면 제어부(140)는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215).
상기 물체가 검출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되고 있는 제1도로 상태 정보를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 상에 물체가 있음을 나타내는 제2도로 상태 정보로 변경하여 표시한다(S217).
제2도로 상태가 표시되면 제어부(140)는 도로상태를 표시하고 있는 포스트(10)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가지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유의구역의 모든 포스트(10)에 구성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들로 전송한다(S219).
상기 물체 감지 통지 정보의 전송 후, 제어부(140)는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들로부터 수신된 물체 감지 통지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221).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물체 감지 통지 정보가 있으면 제어부(140)는 자신 또는 포스트(10)의 식별정보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이전 및 현재의 물체 검출 그룹의 인덱스 변화에 의해 진행방향을 판단하고, 자신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물체 검출 그룹 이외의 물체 검출 그룹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자신의 물체 검출 그룹 이외의 물체 검출 그룹이 진행 방향의 전방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23).
전방에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구동 종료 이벤트가 발생될 때까지(S231) 유의구역 도로의 해당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다시 검사하고 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술한 S213 이후를 반복 수행하고, 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S217 이후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전방의 물체가 검출되면 제어부(140)는 자진이 검출된 물체에서 전방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S225) 후, 경보부(190)를 통한 음성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한 텍스트 데이터로 계산된 거리에 물체가 있음을 경보한다(S227).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물체 10: 포스트(기둥)
20: 난간 100: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110: 저장부 120: 물체 검출부
121: 제1센서부 122: 제2센서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제어부
141: 모니터링부 142: 표시 제어부
143: 감지 통지부 144: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
145: 전방 물체 경보 제어부 150: 경보부
160: 통신부

Claims (8)

  1.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고, 정삼각기둥 형태로 구성되어 삼각형의 3면 중 2면이 도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기 두 2면 대응하여 구성되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물체 존재여부에 따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일정 각도 및 일정 거리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물체 검출부; 및
    상기 물체 검출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없음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검출부는,
    상기 포스트의 2면의 각 면 상단부에 구성되어 120의 각도 내에서 일정 거리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포함하여, 측면에서 도로 방향으로 180°의 각도 내에서 일정 거리 이내의 물체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체 검출부의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를 통해 도로 상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검출되면 물체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물체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없음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물체가 검출되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적색 및 청색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이되,
    상기 표시 제어부는,
    도로의 물체 미검출 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청색을 표시하고, 도로의 물체 검출 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적색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물체를 감지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상기 유의구역 내에서 고유하게 할당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물체 감지 신호의 입력 시 상기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의구역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감지 통지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물체 감지 신호의 입력 시 상기 감지 통지부를 통해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연속되는 인덱스를 가지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를 제외한 상기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에서 물체를 검출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사하고,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의 차와 상기 포스트 간 간격(거리)에 의해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물체 거리 계산부를 통해 자신이 검출한 물체 이외의 전방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보부를 통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전방 물체 경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6. 제어부가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단에 구성되는 물체 검출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유의구역 도로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과정;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물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삼각형의 3면 중 2면이 도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포스트의 상기 두 2면 대응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없음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물체 미존재 디스플레이 과정;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위치에 물체가 존재함을 나타낸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물체 존재 디스플레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과정은,
    상기 제어부가 모니터링부를 통해 유의구역 도로의 측면에 일정 거리 간격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의 상단에 구성되는 물체 검출부를 통해 상기 포스트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유의구역 도로상의 임의 위치에서 물체가 감지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물체의 감지 시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체 감지 통지 정보를 생성한 후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유의구역의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물체 감지 통지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물체의 감지 시 상기 감지 통지부를 통해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연속되는 인덱스를 가지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를 제외한 상기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에서 물체를 검출한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자신의 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물체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하는 타 물체 존재 판단 단계; 및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와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의 차와 상기 포스트 간 간격(거리)에 의해 상기 다른 유의구역 도로의 다른 위치의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는 전방 물체 거리 계산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물체 존재 디스플레이 과정에서 표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방 물체까지의 거리를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과정은,
    상기 타 물체 존재 판단 단계에서 자신 이외의 위치에서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자신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에 이어서 연속되는 인덱스 그룹의 진행 방향과 자신 이외의 위치에서 물체를 검출한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의 식별정보의 인덱스에 의해 전방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전방 물체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방법.

KR1020210145605A 2021-10-28 2021-10-28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559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05A KR102559968B1 (ko) 2021-10-28 2021-10-28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05A KR102559968B1 (ko) 2021-10-28 2021-10-28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99A true KR20230060899A (ko) 2023-05-08
KR102559968B1 KR102559968B1 (ko) 2023-07-25

Family

ID=8638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605A KR102559968B1 (ko) 2021-10-28 2021-10-28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96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601B1 (ko) 1995-12-07 1998-12-01 이형도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0646683B1 (ko) 2006-05-19 2006-11-23 (주) 한백종합기술공사 보행자 감지기능을 가진 도로 횡단보도.
JP2008127979A (ja) * 2006-11-16 2008-06-05 Akai Kosakusho:Kk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KR101125095B1 (ko) * 2011-09-01 2012-03-21 (주) 시티이엔지 무인 교통 알림장치
KR20120058026A (ko) * 2010-11-29 2012-06-07 (주) 텔트론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도로반사경 및 그의 도로 감시방법
KR20120070710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광기술원 유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26459A (ko) * 2013-04-23 2014-10-31 김예찬 T자 도로용 실시간 상황표지판
KR101655933B1 (ko) * 2015-04-07 2016-09-08 김선민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KR20190098361A (ko) * 2018-02-14 2019-08-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감지센서를 활용한 교통안전용 볼록거울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8601B1 (ko) 1995-12-07 1998-12-01 이형도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KR100646683B1 (ko) 2006-05-19 2006-11-23 (주) 한백종합기술공사 보행자 감지기능을 가진 도로 횡단보도.
JP2008127979A (ja) * 2006-11-16 2008-06-05 Akai Kosakusho:Kk 交通安全表示体及び交通安全表示体を用いた交通安全表示システム。
KR20120058026A (ko) * 2010-11-29 2012-06-07 (주) 텔트론 움직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전자식 도로반사경 및 그의 도로 감시방법
KR20120070710A (ko) * 2010-12-22 2012-07-02 한국광기술원 유도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125095B1 (ko) * 2011-09-01 2012-03-21 (주) 시티이엔지 무인 교통 알림장치
KR20140126459A (ko) * 2013-04-23 2014-10-31 김예찬 T자 도로용 실시간 상황표지판
KR101655933B1 (ko) * 2015-04-07 2016-09-08 김선민 도로 표지 장치 및 도로 표지 시스템
KR20190098361A (ko) * 2018-02-14 2019-08-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감지센서를 활용한 교통안전용 볼록거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968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208B1 (ko)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102157582B1 (ko) 라이다 센서 기반의 보행자 안전관리 시스템
KR101554971B1 (ko) 횡단보도의 보행자안전시스템
KR101841650B1 (ko) 스쿨 존 안전가이드장치
KR101673211B1 (ko) 횡단보도 교통사고 예방 방법
KR102210645B1 (ko) 보행안전지원시스템
KR101720163B1 (ko) 도로반사경 장치
KR101245510B1 (ko) 도로상의 사고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20160092959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92965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방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855301B1 (ko) 교통보행 위험지역 내 차량진입 알림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92358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정보 표시 방법
KR101248584B1 (ko) 보행속도에 따라 녹색현시를 결정하는 신호등 제어방법 및 장치
KR20190114347A (ko)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속도준수 제어시스템
KR20150009157A (ko) 위험구간 led시선유도등 제어방법
KR102559968B1 (ko) 유의구역 도로 물체 표시 장치 및 방법
JP6770137B1 (ja) 歩行者及び自転車に対する危険車両警報システム
KR20180031453A (ko) 차량용 신호등
KR100949180B1 (ko) 세이프존에서의 차량 제어장치
KR102353084B1 (ko) 교차로 횡단보도 신호등 안전표시 전광판
JP2002049985A (ja) 渋滞監視システム
KR102316449B1 (ko) 안전유도등을 이용한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TW201320022A (zh) 緊急救援警示方法及其系統
KR20180122081A (ko) 보행자 안전시스템
JP2002352381A (ja) 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